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개인별 책무성 강화에 따른 협력학습의 긍정적 상호 의존성 효과 분석

        김다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to analyze its effect. Positive interdependence is a factor to maximize the benefits of collaborative learning by activating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team members. Thus, I devised a method for forming a positive interdependence.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with the analysis o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activities, strengthening the individual accountability of final challenge promoted their enegetic communication between team members and enhanced their interaction. Second, with performing individual accountability, individual role for the final challenge was carried out actively.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satisfaction on problem solving was very high 88% of the responses and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satisfied. The team memb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ir active accountability performing,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collaboration, and the effe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reviews. In conclusion, strengthening their accountability of team members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eam project is to recognize the positive interdependence and to promote their enegetic interaction between the team members.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 모색과 그 효과 분석이다. 긍정적 상호의존성은 팀원 간 긍정적 상호 작용을 활성화하여 협력학습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은 요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하였다. 그 방법으로 최종과제에 대한 개인별 책무성 강화 방법을 활용하였다. 다음은 연구 결과이다. 첫째, 팀원 간 협력적 활동 과정에 대한 분석을 보면, 최종 결과물에 대한 개인 책무성 강화 방식이 팀원 간 적극적인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강화시켰다. 둘째, 팀원들의 개인 책무성 면을 보면, 실험반의 경우 모든 팀원이 공동으로 자료 조사, 의견제시, 그리고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과제를 해결해 가는 전체 과제에 대한 개인별 역할 강도가 강하게 작용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팀 과제 해결에 대한 만족도 결과를 보면, 실험반의 경우 88% 학생들이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팀 활동 후기에서도 개인 책무의 중요성 인식, 협력 활동의 의의와 가치에 대한 인식, 집단 지성 효과에 대한 인식 등 협력학습의 가치와 효과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풍요롭게 서술하였다. 결론적으로, 팀 과제 결과에 대한 개인의 책무성 강화는 과제 해결 과정에서 팀원 간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인식하게 하여 긍정적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 데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대학정보공시제 정책분석 및 효율적 운영방안 탐색

        김경회,이경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대학정보공시제를 Cooper의 4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진단하고 개 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최근 대학정보공시제가 확대되어 추진되면서 대 학정보공시제를 둘러싼 다양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어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따라 서 대학정보공시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종합적인 실태분석을 토대로 향후 대학정보공 시제가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oper 의 4차원 정책분석, 즉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에서 대학정보공 시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정보공시제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탐색하고 자 한다. 규범적 차원에서는 대학정보공시제가 추구하는 이념인 국민의 알 권리 보장, 대학경쟁력 강화, 행정의 효율성과 투명성 제고, 학술 및 정책연구의 진흥이라는 측면을 검토하였고, 구 조적 차원에서는 대학정보공시제의 정책집행의 구조, 연계체제, 시스템의 효율화 측면을 검 토하였다. 그리고 구성적 차원에서는 대학정보공시제 운영과 관련된 정부, 대학, 정보수요자 측면을 검토하였고, 기술적 차원에서는 교육 및 홍보의 강화, 정보의 신뢰성 제고 그리고 개 인정보 보호 측면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대학정보공시제에 대한 분석 및 진단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제도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이 수렴되고 반영되는 정책집행 구조로의 개선, 교 육정보소비자 지향의 정보제공 및 시스템 개발, 유관기관 간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 연계 및 활용, 교육 및 홍보의 강화, 정성적 평가지표 추가 개발, 신뢰성 제고 및 개인정보 보호 방안 강구 등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학교자율화 조치에 따른 B교육청의 추진 현황 분석

        정일환,김병주,서지영,정현숙,홍준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3

        교과부의 4·15 학교자율화 추진계획에 따라 B도교육청은 24개 지침을 폐지하고 5개 지침을 수정·보완하였다. 각 지침들의 분포 영역을 살펴보면 학사 및 학교경영(3건), 교육과정(18건), 인사(2건), 장학(2건), 기타 (4건)등 교육과정 관련 지침이 가장 많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정량적인 기준에서는 교육과정 영역에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어 단위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이 신장된 것이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그 내용을 살펴보면 수준별교육과정, 방과후교육과정 관련 지침은 대체적으로 그 내용이 유지된다는 측면에서 학교자율화 즉시 폐지 지침의 내용이 단위학교 교육과정 자율성 신장에 기여하는 바는 그리 크지 않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2단계 학교자율화 추진계획에서는 일괄폐지 지침 327건 중 65.4%(214건)를 즉시 폐지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지침 폐지의 이유 사업기간 완료, 결산 완료(43.9%, 100건), 1회성 지침(22.4%, 51건)의 비율이 높다. 특히 이 중 1회성 지침은 자료제출 공문, 행사 계획 등 학교 자율화를 위한 정비대상의 지침이라 보기는 어렵다. 학교자율화 1, 2단계 정책들은 즉시 폐지되는 지침의 수, 정비되는 법령의 수를 중심으로 한 양적인 측면의 규제완화를 학교자치의 필요조건으로 설정한 셈이다. 학교자율화가 학교중심의 자치기반 마련을 위해서는 중앙 주도 지침 폐지라는 규제완화가 아닌 학교구성원들의 자치의식과 전문성을 전제로 한 운영능력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 critical analysis of internationalization - The emerging global higher education market

        조주희(Cho Joo hee) 韓國比較敎育學會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세계화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대학의 국제화 현상을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신자유주의 정책에 의해 대학이 상업화된 환경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뚜렷하게 밝히고 있다. 대학의 국제화는 정부의 고등교육 규제 완화에 따라 나타나는 재정 압박으로 인해 시장 전략을 내세운 중국인 유학생 유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부의 책무성 강화 요구는 대학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학생을 모집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대학은 자격을 갖추지 못한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학위공장”의 특성을 지니게 됨으로써 고등교육 시장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제화를 통한 학생 시장의 팽창은 대학 교수진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연구 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를 사용하였으며 대학의 교수진과 행정가들의 면담 자료와 문서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서 보이는 국제화의 세계적인 경향과 비영어권 국가인 한국의 특수적인 국제화 상황도 확인하고 있다. This case study probes recent internationalization dynamics focusing on international student recruitment at a private university in response to current globalization trends. Observation has clearly shown that the university has moved toward a commercialized environment caused by neoliberal policies. Under the name of internationalization, Chinese students are aggressively recruited with diverse market-driven strategies as the university has difficulty competing for funds due to deregulation policies. Strong government-led accountability has led the university to jump into profit-making student recruitment. As such changes take place, the global higher education market is emerging in a way that profit- driven education is increasingly provided in the form of “degree mills” that are readily accessible to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academic qualifications. The expansion of this student market has led to criticism from academicians regarding the recent trend of internationalization. This study utilizes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employing as primary methods document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academicians and administrator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ternationalization in Korea moves in a very similar way to global trends and with some distinct local approaches as a non English-speaking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