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멘토링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조한준,최대수,성창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mentoring as an effective support method to increase the awarenes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as demonst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mentor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sitive role of entrepreneurial mentoring was confirmed as an influencing factor to increase the intention of young prospective entrepreneurs to set up and increase their expectations for social support. Specifically, entrepreneurial mentor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respectively,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mentor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ully mediated between entrepreneurial mentor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entrepreneurial mentoring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s self-confidence and efficacy increased when they recognized the belief or utilization of social support. Finally, by confirming that entrepreneurial mentor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that social support mediates between entrepreneurial mentor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entrepreneurial mentoring program raises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and helps founders to social suppor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can be used as a way to raise the awareness and effect of startup supporting policy in practice as well.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인식과 창업의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지원 방안으로서 창업멘토링의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창업멘토링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의도를 높이고 사회적지지에 대한 창업자의 기대감을 높이는 영향요인으로서 창업멘토링의 긍정적인 역할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창업멘토링은 창업의도,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지지는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창업멘토링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멘토링과 창업의도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에게 창업전문가의 멘토링은 가까운 미래에 창업을 선택하려는 개인의 욕구를 나타내는 창업의도, 주변인이나 학교, 정부의 지원을 통하여 사회적인 도움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믿음을 나타내는 사회적지지, 그리고 창업가로서 수행해야 하는 역할과 과업을 계획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신념을 나타내는 창업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하였다. 또한 사회적지지가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적지원에 대한 믿음이나 활용을 높게 인식할 때 개인 스스로 자신에 대한 믿음과 효능감도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업멘토링이 사회적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지지는 창업멘토링과 창업의도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이 창업지원 정책을 포함하는 사회적지지에 대한 창업자의 인식 개선과 창업의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Motivati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mediator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Junhwan Yang(양준환) 대한경영학회 2021 大韓經營學會誌 Vol.34 No.11

        창업과정은 위험과 스트레스 감수뿐만 아니라 관련 지식과 정보가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사회적 지원은 위험과 스트레스 상황에 맞서 싸워야 하는 잠재적 기업가에게 매우 유용한 자원이다. 결국 기업가는 자신의 창업노력을 강화시켜 주기도 하고 또는 제약시키기도 하는 사회구조에 의해 영향받게 된다. 개인이 창업자기효능감을 얻기 위한 중요한 요소의 하나가 부모나 멘토 등으로부터의 사회적 설득이다. 예컨대 성심성의를 기울인 카운슬링, 효과적인 교육, 창업촉진정책 등은 개인에게 외부환경을 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용기를 주고 동기부여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 등 세 국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사회적 지원이 그들의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과 함께 이들 국가 대학생들 사이에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동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이다. 검증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원은 이들 국가 대학생들의 창업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한국, 중국, 일본 대학생들 사이에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동기 수준은 각기 다른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창업의식 고취와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해서는 관련 교육도 중요하지만 가족을 포함한 우리 사회구성원들의 청년 창업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를 위한 유관 프로그램 개발도 중요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해 두었다. Entrepreneurial process involves taking risk and stress as well as relevant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this sense, social support is beneficial to potential entrepreneurs who struggle with risk and stressful situation. Thus, entrepreneurs are influenced by social structures that enhance or restrict their entrepreneurial efforts. Likewise, social persuasion from parents, and mentors is a vital element in acquiring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Promotional policies, elaborating counseling and effective education empower and motivate individuals to make us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attested how perceived social support influenc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of Korea, China and Japan. We also ascertained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the different level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mong these three countries. As the result, we foun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Finally, we found that the level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are different among Korean, Chines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Empirically, our study presents strong evidence on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for promoting entrepreneurial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regardless of different sociocultural and geographical backgrounds.

      • KCI등재

        창업지식습득이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자 가족배경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주연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4

        Empirical stud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have been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 unemployment rate has increased as the global economy stagnates in the aftermath of the COVID-19 pandemic, and entrepreneurship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job creation. Although numerous antecedent variables have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focuses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an individual factor and the entrepreneur's family background as an environmental factor.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results of 300 global respondents through the online survey platform Prolific. The respondents were screened by asking a question about having had entrepreneurial education. Since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have been proved in numerous domestic studies, this study aims to generalize these results by investigating global samples. The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CES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acquisi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via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e family background of entreprene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quisition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knowledge acquisi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the entrepreneurship family background moderated this relationship. Specifically, when the family entrepreneurship background is strong (vs. weak), the positive effect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acquisi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via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a own business, entrepreneurial educa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to improv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acquisition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entrepreneurial intention can be induced. Third, strong family background of entrepreneurship further promotes entrepreneurship intention by increasing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conclusion, in order to revitalize entrepreneurship, it is important to provide various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s. These educational programs will be able to improv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by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cquire entrepreneurial knowledge, and thereby promot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provide advanced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ose who have start-up business experiences in their families. 창업의도에 관한 실증연구는 지난 수년간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어왔다. 최근에는 COVID-19 팬데믹의 여파로 전 세계적으로 경기가 침체되면서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창업이 고용 창출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수많은 선행 변수들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 개인의 특성이라 볼 수 있는 창업 자기효능감과 환경적 특성인 창업자 가족배경에 초첨을 맞추어 이 변수들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스크리닝 질문을 통하여 창업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Prolific에서 300명의 글로벌 응답자에 대한 온라인 조사로 진행되었다.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 다수 확인된 바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샘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일반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지식습득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지식습득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창업자 가족배경은 이 관계를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창업지식습득 수준이 낮을 때에는 창업자 가족배경의 낮고 높음에 상관없이 창업의도가 낮은 반면, 창업지식습득수준이 높을 때에는 창업자 가족배경이 낮을 때에 비하여 창업자 가족배경이 높은 경우에 창업의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 준비 과정에서 창업교육이 창업의도를 향상하는데 필요한 조건이며,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창업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창업지식습득 수준을 높일수록 창업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궁극적으로 창업의도 또한 고양 시킬 수 있다. 셋째, 가족 중에 창업 경험이 있는 경우 창업 심화 과정을 이수하도록 하여 창업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창업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 활동, 창업 교육 등 창업 관련 프로그램 활성화가 중요하다. 따라서 교육기관은 학생들이 창업지식습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함으로써 창업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하여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수준의 창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가족 중에 창업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창업지원 정책이나 심화 교육 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및 창업교육유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임진혁 대한경영정보학회 2024 경영과 정보연구 Vol.43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창업이 청년들이 수립할 수 있는 또 다른 진로의 대안으로 받아들여지는 상황에서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들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하였다. 또한 창업교육의 효과는 다수의 연구에서 검증되었지만 대부분 교육만족도, 교육시행 전과 후를 비교한 연구가 다수인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 유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위치한 모 대학 학생 중 지식과 기법 중심의 창업교육과 자기개념, 기업가적 동기 등 기업가적 역량 개발 중심의 창업교육에 참여한 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시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후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Process Macro 4번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 14번을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기업가정신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와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은 매개효과를 보였고 창업교육유형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지식과 기법 중심의 창업교육이 기업가적 역량개발 중심의 창업교육보다 창업의도를 더 크게 함양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본 연구는 창업이 소수의 특수한 환경과 교육을 받은 사람만이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진로선택의 일환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상황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창업교육 중 지식과 기법 중심의 창업교육과 자기개념, 동기와 같은 기업가적 창업교육의 효과성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In an environment where entrepreneurship is accepted as an alternative career path for young adult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this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verified in many studies, but most of the studies compared educational satisfaction, pre- and post-implementation, and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mpetency-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type. [Methods] In this study, 124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cused on knowledge and techniques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y development education focused on self-concept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among students at a major university in Gyeonggi-do, Korea, attended research survey. After that,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program,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ocess Macro 4,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14. [Finding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ship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ddition, entrepreneurship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hile entrepreneurship education type had a moderating effect, indicating that knowledge and technique-orient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stered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a greater extent than entrepreneurial competency development-orient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mpl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 context where entrepreneurship can be practiced as part of a variety of career choices, not just by a few people with specialized circumstances and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ch as self-concept and motivation, compared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cused on knowledge and skills.

      • KCI등재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간의 관계연구 : 문제해결능력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김보혜(Bo-Hye Kim),김창완(Changone Kim) 한국창업학회 2021 한국창업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해결능력이 두 변수간의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능력 기반의 디자인씽킹 교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창업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은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문제해결능력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실무적으로는 창업교육이 실제 창업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특성인 창업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과목의 편성이 요구되며 창업교육 실태조사의 방식을 문제해결능력, 창업자기효능감 등의 역량 중심으로 전환하고 대학에서 콘텐츠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wo variables was verified.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on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e design thinking course based on problem-solving ability. This study found that self-confidence, self-regulating efficacy, and task challenge, sub-variable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problem-solving skills. Additionally, problem-solving skills mediate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ir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practice, in order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be converted into actual entrepreneurship, it is required to organize courses that can strength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Furthermore, it suggests a need for a support policy that can shift to competency-centered and support content development in universities.

      • KCI등재

        창업실패관련 행동적 평가가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대용,김재형 한국경영교육학회 2017 경영교육연구 Vol.32 No.4

        [Purpose]This research was implemented to check what effects the Behavioral Evaluation(BE) for entrepreneurial failure(EF) hav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EI) verif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E for EF and EI. Above all, in the study Health Belief Model was applied to research into ES. Specifically, it was performed to check what effects ES has on EI and to see if there are any mediating effects between BE for EF and EI. [Methodology]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s above, the representatives of companies belonged to the business incubation centers, the founders belonged to Startup Center, and students who took a business start-up related course were surveyed; and research findings were produced. [Findings]To summarize the findings, BE for EF did not influence EI significantly. But BE for EF significantly influenced ES, and E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EI; it turned out that E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BE and EI. [Implications]From these result, it is thought that additional activities for enhancing ES are needed. Because BE for EF can affect EI only through the medium of ES. [연구목적]본 연구는 창업실패관련 행동적 평가가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각 변수와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변수로서의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건강신념모델의 연구모형을 차용하여,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특히, 창업실패관련 행동적 평가와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지 연구하려 하였다. [연구방법]연구조사의 표본은 서울특별시 소재 대학 창업기업 대표자와 창업센터 청년창업가, 대학교 기업가정신강좌 수강생으로, 304명을 표본으로 수집하였다. 수집표본을 대상으로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분석한 결과, 창업실패관련 행동적 평가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창업실패관련 행동적 평가는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창업자기효능감은 행동적 평가와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변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연구의 결과에서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지원정책의 효과 제고에 유용하여, 이를 제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정교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창업실패관련 행동적 평가가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해야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창업자기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한 사회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며, 정부의 노력도 아울러 필요함을 시사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창업지원정책의 효과 제고와 관련하여 이론 및 실무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예비창업자의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정신의 관계: 창업교육 및 진로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재춘,김주섭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3

        Recently, domestic universities have emphasized career path to start-up throug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SE) and entrepreneu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SE on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s. Also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career uncertainty between ESE and entrepreneurship.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236 university students in Cheonan c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ESE showed a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ship.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E and entrepreneurship. In other words, university students with a higher entrepreneurial education showed higher entrepreneurship when ESE was lower. But students with a lower entrepreneurial education showed higher entrepreneurship when ESE was higher.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s of career uncertainty was confirmed in relationship between ESE and entrepreneurship. In other words, university students with a higher career uncertainty showed higher entrepreneurship when ESE was higher. But students with a lower career uncertainty showed higher entrepreneurship when ESE was lower. In order to improve the entrepreneurship of the pre-found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behavior 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by enhancing the ESE. Also, the improvement of entrepreneurship of pre-founders should strengthen the ESE of university students, and should complement systematic and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particular, we should provide the stability for career decision by eliminating uncertainty about the career path of university students. 근 국내 대학에서는 예비창업자인 대학생들의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정신의 고취를 통해서 창업으로의 진로경로가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예비창업자들의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정신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창업교육과 진로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충남 천안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창업자들의 높은 창업효능감은 기업가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예비창업자의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창업교육의 상호작용 효과가 실증되었다. 창업교육을 수강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창업효능감이 낮은 수준에서 중간 수준이 될 때까지 기업가정신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창업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창업교육을 수강하지 않은 집단에서 기업가정신이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창업자의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진로불확실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실증되었다. 진로불확실성을 낮게 지각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창업효능감이 낮은 수준에서 일정 수준이 될 때까지 기업가정신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창업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진로불확실성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에서 오히려 기업가정신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예비창업자들의 기업가정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대학생들의 창업효능감을 제고하여 예비창업자들의 행동통제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비창업자들의 기업가정신의 고취는 대학생들의 창업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노력과 동시에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창업교육의 보완이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대학생들의 창업진로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여 창업진로결정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해야 하겠다.

      • KCI등재

        창업자의 자기효능감이 창업기업의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준성,송인암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5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 of the founder's self-efficacy on the sales of the founding company by focusing on the factors that are currently emphasized in the founding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starts from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hat the education that is being implemen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successful start-up among various government-based start-up support projects is failing to produce many start-up failures. Entrepreneurs cannot be assessed by objective financial data, but there is a high degree of uncertainty that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ir personal and learning abilities. In addition, many previous studies, which are likely to be successful when there is a high self-efficacy in a specific field due to the influence of factors such as personal experience or learning, will answer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start-up compan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the founder's self-efficacy on the sales of the founding firms, especially the sales that are the key to the survival of the founding firms. This study has six major studies. First, to analyze whether the self-efficacy of entrepreneurs with respect to entrepreneurship affects the sales of entrepreneurs. Second, to analyze whether the self-efficacy of entrepreneurs with respect to market orientation affects the sales of entrepreneurs. Analysis of whether the founder's self-efficacy affects the sales of the founding firms. Fourth, analysis of whether the founder's self-efficiency affects the sales of the founding firms' understanding of management environment changes. An analysis of whether efficacy affects the sales of a start-up company, and sixth, an analysis of whether the founder's self-efficacy of business model building ability affects the sales of a start-up company.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entrepreneurs on product differentiation capability and business model building capac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ales of entrepreneurs. The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on business model building capacity. Also, it was confirmed that a path exists between the components of self-efficacy and that self-efficacy through the pat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les of the start-up compan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lications of establishing such a path and strengthening self-efficacy to create the survival and start-up performance of a start-up company if the goal of the start-up company is to survive when implementing various support projects for the start-up company. 본 연구는 현재 창업교육에서 많이 강조하고 있는 요인을 중심으로 창업자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실제 창업기업의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본 논문은 정부의 다양한 창업자 지원사업 중 창업성공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교육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다수의 창업실패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창업기업은 객관적인 재무자료로는 평가할 수 없고 창업자의 개인적 능력과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성공 가능성을 가늠해야하는 불확실성이 높다. 또한 개인적 경험이든 학습이든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쳐 특정 분야에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에 창업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많은 선행연구는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는지에 대한 답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창업기업의 성공 중 특히 3~7년차 기업의 생존의 열쇠인 매출을 중심으로 창업자의 자기효능감이 창업기업의 매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여섯 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기업가 정신에 대한 창업가의 자기효능감이 창업기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분석, 둘째, 시장지향성에 대한 창업자의 자기효능감이 창업기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분석, 셋째, 고객지향성에 대한 창업자의 자기효능감이 창업기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분석, 넷째, 경영환경변화 이해도에 대한 창업자의 자기효능감이 창업기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분석, 다섯째, 제품차별화 역량에 대한 창업자의 자기효능감이 창업기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분석, 여섯째, 비즈니스모델 구축역량에 대한 창업자의 자기효능감이 창업기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에 대한 분석 등이다. 실증분석의 결과, 본 연구는 제품차별화 역량과 비즈니스모델 구축역량에 대한 창업가의 자기효능감은 창업기업의 매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기업가정신과 고객지향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제품차별화 역량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고객지향성은 비즈니스모델 구축역량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자기효능감 구성인자간에는 경로가 존재하고 경로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강화하면 창업기업의 매출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창업기업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시행할 때 창업기업의 생존을 목표로 한다면 이러한 경로를 설정하고 자기효능감을 강화해야 창업기업의 생존과 창업성과를 만들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창업실패관련 평가와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대용,김재형 한국상업교육학회 2015 상업교육연구 Vol.29 No.5

        한국 청년 3명 중 1명은 창업에 관심이 있으나 실패의 두려움으로 창업을 주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부가 다방면으로 창업을 지원했음에도, 이러한 현상을 보이는 것은 그동안의 창업지원이 청년층을 창업으로 이끄는데 효과적이지 못했음을 반증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청년창업센터 예비창업자 및 창업자, 서울시 창업스쿨 창업강좌 수강생 295명을 대상으로 감정적 요인인 창업실패관련 평가와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시작되었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을 활용하여 창업실패관련 평가와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도 각각의 관계에 관한 가설 및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창업실패에 대한 지각된 취약성, 창업실패에 대한 지각된 혜택,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창업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창업실패에 대한 지각된 취약성을 줄이고, 창업실패에 대한 지각된 혜택을 제고해야 한다. 이를 위해 소규모 자본으로 창업하여 성공한 다수의 사례를 배포하거나 잠재창업자가 창업에 도움이 된다고 인지할만한 창업교육, 창업컨설팅 등을 확대하는 것도 방법이다. 또한 창업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잠재창업자의 창업자기효능감을 높여야 하는데, 잠재창업가에게 창업성공에 대한 믿음을 강하게 하고, 도전정신을 심어줄 수 있는 기업가정신을 확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hich employed HBM(Health Belief Model), showed that perceived suspect-ability, perceived benefit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mong other variables were found to be the only predictive variables with direct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potential businessmen live in capital area. However, the effect of perceived seriousness and perceived threat is minimal, insufficient to explai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Consequently, perceived suspect-ability, perceived benefit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the significant variable that can predic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Korea capital area, among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 and self-efficacy. The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recommended that the scale to reduce the perceived suspect-ability to deploy a small start-up success stories.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perceived benefits, it is necessary to apply several useful institutions in entrepreneurship to potential founders. For this purpos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analyze the practices of founder might expand entrepreneurship consulting, or be a role model to be called also how to implement educational practic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a potential start-up entrepreneurs instil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t is considered a strong belief in entrepreneurship and the success that it is necessary to spread the entrepreneurship training to instill the spirit of challe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