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연변지역 韓人 ‘集團部落'의 설치와 통제적 생활상

        유필규(Phil-Gyu Yoo)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0

        한인 ‘집단부락’은 일제가 1930년대에 연변지역에서 ‘강제적 수단’을 통해 형성한 한인 집거구였다. 이는 일제가 대륙침략정책을 강화해 가는 과정에서 비롯된 산물이다. 일제는 재만한인들의 ‘비적들로부터의 신변안전’과 ‘자작농창정이라고 하는 경제적 자립’을 명목으로 집단부락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결국 그것은 일제의 침략 논리 속에서 재만한인을 강제로 토지에 묶고, 항일무장투쟁세력과의 연계를 끊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변지역은 일찍이 한인사회가 발달한 곳이었다. 이로 인해 항일무장투쟁이 왕성하였고 이를 탄압하기 위해 군사적 목적이 강화된 특징을 지닌 집단부락이 설치되었다. 이같은 점에서 ‘안전농촌’과 차별성이 드러난다. 집단부락은 1933년부터 1935년까지 매년 세 차례에 걸쳐 모두 28개소에 설치되었다. 이는 조선총독부가 주관하고 조선인민회를 하층 단위로 하여 자위단을 설치하는 등 ‘자작자위’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집단부락은 조선총독부가 제시한 입지조건과 수용인원 선별과정을 거쳐 동양척식회사에 의해서 설치되었다. 3차에 걸쳐 설치된 집단부락은 제1 · 2차 설치기에 비교적 대규모로 추진된 반면, 제3차 설치기에 이르러 규모가 점차 작아지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하지만 1936년 만선척식회사의 설립을 기점으로 다시 본격화된 집단부락의 설치는 해방시기까지 계속된 집단이민으로 이어졌고, 연변지역 한인을 통제하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으로서 작용하였다. 각현에 설치된 집단부락은 각기 비슷한 구조와 운영상태를 보이고 있었으나, 각현의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가장 친일적인 민회조직을 바탕으로 연길 · 훈춘현 집단부락은 ‘조선총독부 부락’으로 불렸다. 화룡현은 항일무장투쟁세력과의 치열한 교전, 왕청현은 1937년 이후부터의 강제이주, 안도현은 계획적으로 추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가혹한 폭력을 당했던 집단부락으로 특징지을 수 있겠다. 이러한 집단부락 정책의 폭력성과 침략성은 집단부락에 수용되었던 사람들의 구술자료를 통해 단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The Korean collective village in Yanbian area was formed compulsorily in Yanbian area in 1930s by Japanese imperialism. It was the product formed in the course of strengthening the continent invasion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Japanese imperialism promoted the policy of the collective village under the pretext of the protection of the Koreans in Manchuria from bandits and their economical independence, what is called “a policy to change a tenant farmer into an independent farmer”. But its aim was to bind the Koreans in Yanbian to land and to sever their connection with anti-Japanese militants under Japanese aggression logic. Yanbian area was the place where formerly Korean communities developed. Therefore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briskly spread in Yanbian area and Japanese imperialism founded the collective village with a special feature of military aim to oppress the anti-Japanese armed militants. In this point the Korean collective village is different from “a safe farm village”. The Korean collective villages were founded in 28 places by 3 times a year from 1933 through 1935. As the village established a body for self-defense with its lower unit, Joseoninminhoi (Korean people’s council)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in Korea, it had a special feature of self-defense by itself. The collective village was founded by the Oriental colonization company and its conditions of location and selection process of the persons to be admitted passed through the proposal of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in Korea. The villages were founded 3 times. The villages at the 1st and 2nd period were founded comparatively on a large scale, however, the scale of the village at the 3rd period diminished gradually. But the foundation of the collective village which was fully accelerated again starting from the establishment of Manseon colonization company brought about continuous mass emigration till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t played the most effective role to control the Korean people in Yanbian area. The collective villages founded in each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 (hyeon) were alike in their structure and operation condi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 they had different peculiarities. The villages in Yanji and Hunchun hyeon were called the village of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in Korea because they had the most pro-Japanese people’s council among the collective villages. As there was a intense battle between the Japanese army and anti-Japanese militants in Hwaryong hyeon and deportation to Wangcheong hyeon was performed after 1937, the Korean people in these areas suffered severe violence. In spite that the collective village in Ando hyeon was founded as planned, the Korean people suffered such violence. The violence and aggressiveness of the collective village policy is revealed straightforwardly in the oral statement of the people who were taken to the collective village.

      • KCI등재

        1930~40년대 연변지역 한인 ‘集團部落’의 성격

        유필규(Yoo, Phil-Gyu) 백산학회 2008 白山學報 Vol.- No.81

        ‘집단부락’은 일제가 1930~40년대 만주를 침략하고, 대륙침략정책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연변지역에 ‘강제적 수단’을 동원하여 형성한 한인중심의 집거구였다. 집단부락은 일제에 의한 강제적 이주 형태와 수탈을 내세운 침략기지정책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일제 지배층의 주도면밀한 장기적인 계획 속에서 추진된 집단부락정책은 일제의 대륙침략정책의 운영과 맞물려 있었다. 만주경영은 조선경영과 불가분의 관계라는 일본 지배층의 인식 하에서, 정착실패 또는 미미한 성과에 그친 일본인 농업이민대신, 수전경작능력을 통해 자생력을 갖춘 한인들이 대거 만주경영에 투입되었다. 유랑하던 한인을 중심으로한 만주국 초기(1933~1936) 집단부락정책이 실효를 거두었다고 판단한 일제는 중일전쟁기(1937~1941) 들어 조선 내의 한인들을 이주시키는 쪽으로 범위를 확장하면서 집단부락정책을 강화하였다. 성격과 특성에 따라 이를 각각 전반기 집단부락의 설치와 그 후속 시기로서 후반기 집단부락의 설치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이렇듯 집단부락 설치를 두 시기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이 두 시기에 집단부락 설치의 목적이 ‘治安安定性’에서 ‘收奪强化性’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전반기 집단부락의 설치와 후반기 집단부락 설치의 연결고리는 1935년의 전반기 집단부락 설치 중 제3차 설치, 그리고 1936년 9월의 滿鮮拓植株式會社와 鮮滿拓植株式會社의 설립에서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유기적인 체계를 정립하는 모습은 1937년 이후 대규모 한인 강제이주와 본격적인 수탈체제의 출범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재만한인들은 물적ㆍ인적으로 항일무장투쟁세력을 지원하였다. 이에 일제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인적ㆍ물적자원을 포함한 모든 자원을 통제하고 수탈하였다. 1938년 말부터는 곡물 ‘출하’와 양곡배급정책이 실시되었다. 또한 일제는 ‘사상적 건전’을 강조하면서 집단부락의 한인들을 제국주의 논리에 세뇌시키고자 했다. 연변지역 집단부락은 1930년대 초반 만주국의 지배력 확대을 위해 항일무장투쟁세력을 탄압하는 ‘전초기지’로, 30년대 중반에는 항일무장투쟁세력과의 전투 ‘최전선’으로, 그리고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의 발발을 즈음해서는 ‘후방기지’로서의 역할을 달리하였다. 또한 전기간을 통해 항일무장투쟁세력을 ‘驅逐’하고자 하는 근거지로서 집단부락이 활용되었다. 1941년 6월, 만선척이 만주척식회사와 병합되면서 집단부락은 어떠한 지원도 기대할 수 없을 만큼 철저하게 소외되었고, 역설적으로 수탈은 점점 더 강화되었다. The Korean collective village(集團部落) was formed compulsorily in Yanbian(延邊) area in 1930~1940s by Japanese imperialism. It was the product formed in the course of strengthening the continent invasion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The Korean collective village was symbolized invasion base policy that compulsory deportation and exploitation by Japanese imperialism. The Korean collective village policy was promoted to close and long plans that continent invasion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chief executives. Recognized from both are inseparably related Manchuria(滿洲) and Chosun(朝鮮) of Japanese imperialism chief executives. Wandered Korean-centric collective village policy(The early age of Manchuria, 1933~1936) was succeed. Japanese imperialism was changed Korean from colonial Chosun-centric collective village policy(The Sino-Japanese war, 1937~1941). This was classified the first half year and the latter half year establishment of collective village. Thus, classified two times that establishment of collective village was changed purpose of collective village establishment from public security stability to exploitation strengthening. Chaining of The first half year and the latter half year collective village establishment was 3rd establishment under the first half year collective village establishment 1935, and establishment of Manseon colonial company(滿鮮拓植會社) and Seonman colonial company(鮮滿拓植會社) September. 1936. This change previewed Korean deportation after 1937 and foundation of regular exploitation formation. The Koreans in Yanbian was supportted to the body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with material and personal help. After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Japanese imperialism was controlled material and personal resources, exploitated its. Until the end of 1938, put in operation grain ‘shipment’ and grain distribution policy. Collective village in Yanbian was ‘Advance base’ to suppressed the body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the opening part of 1930, ‘The front line’ to battled with the body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The rear base’ to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Also, Collective village was expulsion base of the body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1930~40s. Manseon colonial company was amalgamated to Manjoo colonial company(滿洲拓植會社) July. 1941. Collective village was alienated and exploitation was strengthened.

      • KCI등재

        1940년대 조선총독부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의 설치와 성격

        유필규(Yoo, Phil-gyu)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48

        조선총독부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는 1940년 7월 조선총독부 직영으로 출범하여 1940년대 이후 만주로의 이주를 희망하는 한인들을 양성했던 훈련기관이었다. 기존 선만척식회사의 세포훈련소를 모태로 하여 확대·강화시킨 조선총독부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는 일제의 대륙침략정책이 심화·변질되어 가던 1940년대에 이르러 조선총독부 직영으로 전환되어 전시체제기 인력동원은 물론 재만 ‘집단부락’ 정책의 군사적 강화를 통해 재만한인사회를 보다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전략적 기관이었음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조선총독부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는 한인 분산개척이주자의 효율적인 통제와 이들을 대륙침략정책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만주 현지에 보내질 ‘개척전사’의 양성에 목적을 두고 있었다. ‘개척전사’들을 만주 각지에 배치하여 수많은 집단부락을 설치하고 분산개척이주자들을 집단수용하고자 했던 것이다. 종전의 백만호이주계획이 양적인 측면에서 만주로의 이주를 획책한 것이었다면,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를 통한 계획적인 이주계획은 질적인 변화를 모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백만호이주계획이 사실상 수포로 돌아간 상태에서 만주 영유를 위한 이주정책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고자 했던 일제는 대소전을 대비하여 조선총독부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를 통해 양성된 사상교육을 받은 개척민들, 특히 청년의용대 인원을 국경지대에 배치함으로써 대소전쟁의 ‘방어벽’으로 삼고자 했다. 이들은 실제로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에서 집단부락과 유사한 형태의 수용과정을 통해 훈련받았으며, 군사훈련을 받기도 하는 등 농업실무교육에 국한되었던 종전의 훈련과는 확연하게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군사훈련이라는 것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렀으며, 광활한 북만주지역을 영유하기 위한 일제의 야욕에 희생되어야 했던 운명에 놓여있었다. 이들은 전선의 확대에 따라 일제의 병참기지 역할을 수행해야 했던 만주의 상황과 맞물려 가혹한 수탈에 시달리기도 해야 했다. 1938년 당시 재만한인의 수치가 80만에 머물렀으나 1945년 해방 당시 216만을 상회하는 수치였음을 감안할 때 1940년대 한인의 만주로의 이주는 비약적인 증가를 보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들을 통제하기 위해 조선총독부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는 우수한 ‘개척전사’들을 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만주 각지에 수많은 집단부락을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산재한 분산개척이주자들을 이곳에 속박함으로써 만주 이주정책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시도 속에서 우수한 ‘개척전사’들을 양성하고자 했던 노력이 바로 조선총독부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의 설치와 운영으로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Manchuria Frontiersman Training Cam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forced training center for migrant to Manchuria in 1940’s. This forced training center was grounded for Se-Po(洗浦) training center of Chosun-Manchuria colonization company. The directly operated training center was transfered by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40’s. Also It was reflelcted labor mobilization and Military Strengthen of The Collective Village(集團部落) Policy in Wartime system period by Japanese Imperalism. Manchuria Frontiersman Training Cam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ultivated ‘Pioneer Warriors’ for settled down in Manchuria. They are used for intensive control of The Korean Dispersal Frontiersmans and The Invasion of Asian Continent Policy by Japanese Imperalism. In other words, The Korean ‘Pioneer Warriors’ were arranged The Collective Village in Manchuria. And The Korean Dispersal Frontiersmans were admitted to the Collective Village. The Million Household(百萬戶) Migration Program meaned migration to Manchuria for quantitative expansion. Manchuria Frontiersman Training Cam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planned migration program meaned qualitative changes. Actually, The Million Household Migration Program was failed. Japanese Imperalism hope to insisted migration to Manchuria. So, Manchuria Frontiersman Training Cam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etached ‘Pioneer Warriors’ to The Soviet Union border area and be ‘Barricade’ in wartime. They were trained with condition like The Collective Village in Manchuria in Manchuria Frontiersman Training Camp. Besides They were received military training distinctly different what previous agriculture training. However, military training was very elementary way, became the sacrificial lamb in expansive North Manchuria by Japanese Imperalism. Manchuria Frontiersman Training Cam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appearanced to solution for The migration to Manchuria Policy in 1940’s.

      • KCI등재

        1930년대 만주지역의 아편재배와 한인, 그리고 匪賊

        박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2

        Articles on the opium problem in Manchuria frequently appeared in the domestic media reports before the Manchuria Incident. There were also reports that the bandits and Korean people were involved in the opium problem. So, how did it change under Japanese rule of Manchuria in the 1930s? During the 1920s, opium problems were rampant during the era of the Northeast Asian regime. Let's take a look at what has changed since the Manchurian Incident. Since the Manchuria Incident, migrant Koreans in the Yalu and Tumen borders were in an environment of security unrest. Manchukuo authorities enforced the opium monopoly system without consistency. Accordingly, immigrant Koreans were always in a precarious situation. Previously, opium was being cultivated in the border area of ​​the Yalu River and Tumen. It was an economically impoverished area. Nevertheless, Manchukuo authorities have designated this place as an opium plantation. It was a result of several considerations. First of all, it was necessary to acquire opium for the monopoly. It was also necessary to provide high income to the local residents. It was a way to mitigate complaints about the authorities. And there was a need to construct a collective village and pay for the loan associated with it.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 plan of the military authorities' Public Security Purification enforcement, opium cultivation was banned suddenly. The cultivation of opium in the border area of ​​the Yalu River and Tumen was thought to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income sources of the anti-Japan fighters. As a result, there was a serious upheaval in the Korean rural communities who migrated to Manchuria. Rice farming in the Korean immigrant rural communities was the first means of livelihood. But the cultivation of opium was also an important means of livelihood. Before the Manchurian Incident some poor Korean immigrants grew opium in order to maintain their livelihood. They were taking the threat from bandits Since the establishment of Manchukuo in the 1930s, the authorities ' policies have been inconsistent. So poor Korean immigrants had no choice but to live tough without complaining ‘만주사변’(중국에서는 이를 ‘9ㆍ18사변’이라고 칭함) 이전의 국내 언론의 보도에서 만주지역의 아편문제와 마적은 물론 한인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기사가 자주 언급되었다. 그렇다면 1930년대 일본의 만주 지배 하에서는 어떻게 변화되었을까? 즉 한인 관련을 포함하여 1920년대 동북군벌정권 시기에 성행했던 아편문제가 ‘만주사변’ 이후에는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되었는지 궁금하다. ‘만주사변’ 이후 ‘만주국’을 수립한 일본은 재정수입과 관련하여 점금주의에 근거한 아편전매제도를 실시하였다. 1932년에 아편법과 동시행령을 공포하고 다음해에 전매아편에 필요한 아편의 재배지역 및 지정면적을 포고하였다. 지정지역 내에는 열하성, 흥안성과 함께 과거 아편을 재배한 경험이 있으며 양질의 아편을 생산했던 길림성이 포함되었다. 다음해에는 압록강과 두만강 대안 국경지역과 같은 치안이 안정되지 않는 지역까지 허가지역에 포함시켰다. 이 지역 아편 재배농민과의 적대적 관계 해소는 물론 국경지대의 치안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었다. 비적, 즉 항일세력의 활동으로 치안이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1936년 이전까지 ‘만주국’ 당국은 압록강ㆍ두만강 대안 국경지역의 아편재배를 허가하였다. 국내언론에서는 우려가 높았다. 압록강 대안 장백현의 아편생산에 대해 본업을 망각하고 일확천금을 꿈꾸는 요행심을 조장하며, 마적의 습격과 아편 중독자의 증가를 초래하는 등 부정적인 측면이 매우 강하여 그 폐해가 크다고 보았다. 간도지역 역시 오랫동안 아편재배 경험이 있었으며 1936년 이전까지 아편재배가 허가되었다. 1934년부터 1935년까지 군 당국이 치안대책과 연계하여 이 지역에 집단부락을 건설하였으며, 집단부락 건설 및 이전가옥 신축을 위한 대부금의 변제를 위해 아편재배를 허가하였다. 어떠한 의도에서 아편재배가 허가되었든 '만주국' 건국 직후 만주 이주 한인의 아편경작은 한인에게 있어 벼농사 다음으로 중요한 생업수단이었다. 그런데 1936년에 들어서자 비적 토벌이라는 치안대책과 연계되면서 당국의 아편 재배지역 지정이 일변하였다. ‘만주국’ 건국 이후에도 이 지역에서는 일본의 만주지배에 저항하는 비적, 즉 항일세력이 활동하였는데 군은 이들을 토벌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휴식과 보급의 근거지인 산간의 가옥들을 제거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항일세력의 보급 거점인 산간에 산재한 농가를 모아 집단부락을 건설하여 ‘匪民分離’를 강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편재배 정책에도 변화가 생겼다. 군은 산간벽지에서 재배되는 아편이 모두 항일세력의 자금원이라고 보았고 아편재배 장려에서 단호한 박멸로 방침을 변경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집단부락 건설의 차입금 변제를 위해 아편재배를 장려해 왔던 간도지역은 물론 빈강성의 동녕, 안동성의 장백현에 대해서도 갑자기 재배 지정을 취소시켜 버림으로써 한인 농촌사회의 심각한 우려를 초래하였다. 요컨대 ‘만주사변’ 이후 압록강과 두만강 대안 국경지역의 이주 한인들은 치안불안이라는 환경 속에서 ‘만주국’ 당국의 일관성 없는 아편 전매제도 시행으로 생업에도 늘 불안정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당초 ‘만주국’ 당국은 이 지역이 과거 아편재배의 경험이 있는 지역이었고, 경제적으로 빈궁한 지역이었기에 비적의 활동이 활발한 지역이었...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 제3의 눈으로 읽는 만주 - 현경준의 「유맹」을 중심으로 -

        노상래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硏究 Vol.- No.70

        The main narrative of Hyun Kyungjun's Yumaeung sheds light on the criminal modification project which was implemented by Manchukuo. The novel narrates the project based on Bodoso(a guidance institute), a collective village in Manchuria. The criticism of the novel used to keep the perspectives of resistance and cooperation. This study, however, considers Bodos as heterotopia where the stories of Myungwoo and Kyusun are developed, and analyzes the spatial directionality. When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Myungwoo, the project looks successful. There is a symbol code by which to view the standpoint of Myungwoo. This is confirmed by those who are similar to Kyusun. The spatial assessment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Bodoso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residental space. While those living outside of Bodoso reproach the individuals living the inside for committing crimes, the insiders consider the others as the same criminals just like themselves. In contrast, there aren't any differences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 the persons like Kyusun. This is indeed smooth space. That'why those living inside couldn't escape to the outside for complacency. They dreams of the third space which is neither the inside nor the outside. Accordingly, they wouldn't give up their own old dreams. Regulation and restrictions in this novel are too much to control the stragglers. Although they are overseen by the collective village and controlled by regulations, they put themselves beyond their control. While the regulations are equipped to suppress the persons, they open slip down. Royal road and paradise in the novel is a dream of unrealizable fantasy and a broken mirror which reflects shapes distortively. What the novelist discloses is the slip which is veiled by the eyes of a regenerator, Myungwoo. 현경준의 「유맹」은 집단부락인 보도소를 중심으로 만주국이 시 행한 범죄인 개조프로젝트를 서사로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이 소설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저항과 협력이라는 시선으로 자주 다루어지곤 했다. 그러나 이 논문은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인 보도소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명우와 규선의 서사를 중심으로 제3지대의 공간 지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소설은 명우를 중심으로 한 개조프로젝트가 일정 부분 성공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명우의 초점 속에 드리워진 상징코드가 있는데, 그것은 ‘규선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도소 <안>과 <밖>으로 나누어진 공간에 대한 평가는 거주 공간의 차이에 따라 평가는 갈린다. <밖>의 사람들은 <안>의 사람들이 저지르는 범죄 행위를 질타하지만 <안>의 사람들에게는 <밖>의 사람들도 <안>의 사람과 별반 다를 것 없는 범죄인으로 규정된다. ‘규선류’들에게 <안>과 <밖>은 구분되지 않는다. 등질의 공간인 것이다. 그래서 <안>의 사람들은 안주를 위해 <밖>으로 탈주하려 하지 않는다. <안>과 <밖>의 공간이 아닌 제3지대를 꿈꾼다. 그런 이유로 그들은 ‘옛꿈’을 포기하지 못한다. 이 소설에서 규정이나 규율은 ‘낙오된 폐인’을 통제하기에 버겁 다. 그들은 집단부락의 감시와 규율에 의해 통제받지만, 스스로 그 통제 바깥에 놓여 있다. 규율은 그들을 강제하기 위해 마련되었지만, 규율은 자주 미끄러진다. 왕도낙토는 실현될 수 없는 환상이었고, 형체가 일그러져 보이는 깨진 거울이었다. 현경준이 고발하려는 것은 개심자 ‘명우’의 시선에 가려진 바로 이 미끄러짐에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 KCI등재

        통제와 치료, 그리고 기획된 공간 : 만주국 시기 한·중 작가 소설 속 공간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정겨울(Jung, Keo-Yul) 대한중국학회 2021 중국학 Vol.76 No.-

        만주국 시기 일본은 페스트와 아편중독이라는 문제 해결을 위해 격리소와 집단부락과 같은 공간을 설계한다. 이러한 공간은 표면적으로는 대다수 시민의 안전보장과 전염병 확산 방지, 중독자에 대한 치료 등을 내세우고 있었지만 실제로 그 기획 의도나 운영 방식에 있어서는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의 폐쇄성과 폭력성을 다분히 드러내는 곳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만주국 시기 발생했던 전염병, 아편중독과 같은 중대한 사회문제와 관련된 사항들을 되짚어보고 이를 통제하는 과정에서 중국인과 조선인들의 민족적 위치가 어떻게 재편성되고 있는지에 주목한다. 특히 구딩(古丁)과 현경준의 작품에 등장하는 ‘격리소’와 ‘보도소’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그 속에 내재한 제국주의 식민 이데올로기의 허상과 모순점에 대해 고찰한다. During the Manchukuo period, Japan colonial government created controlled areas, or spaces, such as quarantine centers and group villages to solve the problems of plague and opium addiction. On the surface, these spaces were designated to quarantine infected or addicts for the safety of the majority, by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addictive drugs, but in reality, these places were used to control people with nationalistic ideas and to suppress people. In this context,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some social problems of Manchukuo related to epidemics and opium addiction, especially paying attention on how ethnic Chinese and Koreans were reorganized, and further controlled.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the illusions and contradictions of the imperialistic colonial ideology inherent within ‘quarantine centers’ and ‘group villages’ that appear in the novels of Gu-ding and Hyun, Kyung-jun.

      • KCI등재
      • KCI등재

        망국과 실향의 한(恨), 만주 디아스포라를 돌아보다: 1930년대 '만주개척단'을 중심으로

        구미정(Koo,Mi-J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2

        만주사변의 승리로 광활한 만주 지역을 둘러싼 열강들의 각축전을 종식시키고 배타적인 주도권을 확림하게 된 일제는 '오족협화(五族協和)'를 내세우며 만주국을 '왕도낙토(王道樂土)'로 선전했다. 그런 한편, 이 지역에서 활동하던 항일(抗日)세력을 축출하기 위해 대대적인 집단부락 건설안을 발동시켰다. 그 대상은 일차적으로 일본 본토인들이었다. 그러나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만주개척단'사업이 그다지 호응을 얻지 못하자, 일제는 조선총독부와 손을 잡고 조선인들의 집단이주를 획책하기에 이른다. 주로 가난한 농민들이 '만추리안 드림'의 표적이 되었다. 이렇게 하여 만주국의 '국민'이 된 재만(在滿) 조선인은 실상 어느 나라의 국민도 아닌 독특한 정체를 갖게 되었다. 어차피 나라 잃은 민족이라, 일본인에 비해서는 영락없이 '2등 국민'이지만, 한족(漢族)이나 만주족, 몽골족이 보기에는 일본인과 다를 바 없는 침략자의 이미지로 각인된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후여, 그러니까 '조선족'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사회의 그늘에 포진해 있는 수많은 동포들이 다시금 '고국'에서 '2등 국민' 취급을 받고 있다. 그리하여 만주 디아스포라는 광복 70주년을 맞이한 오늘 우리에게 새로운 숙제를 안긴다. 디아스포라에게도 '조국'이 있는가, 그들이 욕망하는 '조국'은 과연 어떤 나라인가라는.

      • KCI등재

        한인의 만주 이주 양상과 동북아시아

        신주백(Sin Ju-Back) 역사학회 2012 역사학보 Vol.0 No.2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conditions faced by Koreans migrating to Manchuria betwee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and 1945 had changed from one of free migration to one of colonization. Through the study this paper aims to re-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history in the Manchurian region and provide a basis to refocus on the history of compulsory mobilization as a whole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Japanese invasion of Manchuria in 1931 was a significant turning point for Koreans migrating to Manchuria. The migration of Koreans changed from one based on self-motivated individuals to a forced migration onto which Japan’s imperialistic aims were strongly projected. Forced migration became more structured once Japan invaded mainland China in 1937. Methods used in recruiting new migrants included tricking or pressuring individuals. Contrary to propaganda, migrants had to construct their settlements by themselves and were forced to live within controlled village groups sharing joint responsibilities. Furthermore, some of the people already settled in Manchuria were also forced to move and live in these same village groups. Forced migration served the function of pressuring the national movement that was unfolding among the Korean expatriates and reducing their resistance.

      • KCI등재

        중국 연변(延邊)지역 전라북도(全羅北道) 사람들의 강제이주와 정착

        김주용 ( Kim Joo Y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7

        1932년 제국 일본이 만주국을 건립하면서 한반도에서 한인의 만주 이주 형태도 바뀌게 되었다. 특히 안전농촌 설치 이후에는 집단이주 형태의 이민을 추진하기에 이른다. 1937년 중일전쟁은 그 기점이 되었다. ‘왕도낙토’를 개척하기 위해 이민 또는 이주민의 용어를 ‘개척민’으로 변경하였으며, 전라북도는 개척민의 보급창고였다. 이 글에서는 만주국 시기 전라북도인들이 만주지역에 ‘강제이주’되었으며, 제1세대들의 이주과정과 그 강제성을 규명하였다. 특히 전라북도 이주 1세대의 구술자료를 통해 그들의 이주와 정착 및 생활실태를 규명하였다. 만주국에서는 ‘개척민’들의 안전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토성을 쌓았으며, 이주민들은 이 곳에서 감옥과도 같은 생활을 영위하였다. 경제공동체의 완성을 통해 전시체제를 유지하려고 했던 만주국은 오족협화를 내세워 이주한인들을 통제하였다. 통제와 감시의 선결 조건은 강제성이었다. 강제이주된 전북인들은 해방과 동시에 정착과 귀환의 갈림길에서 고민하였다. 오늘날 연변자치주 안도현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의 대부분은 만주국의 강제이주 정책의 산물이었다. When Imperial Japan founded Manchuria in 1932, the Korean Peninsula changed the form of Korean migration to Manchuria. In particular,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safe farming village, the government will seek to emigrate in the form of group owners.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was the starting point. To carve out ‘Wangdo Naktto’, the term of immigrants or migrants was changed and Jeollabuk-do was a supply depot for pioneers. In this article, the people of North Jeolla Province were ‘forced to move’ to Manchuria during the Manchukuo period, and they identified the first generation’s migration process and its coercion. In Manchuria, Saturn was built for the safety of the ‘convicted’ people, and migrants lived here like prisons. Manchukuo, which tried to maintain its wartime system through the completion of the economic community, controlled the migrants under the pretext of cooperation between the five ethnic groups. The pre-emptive condition of control and surveillance was enforceability. The people of Jeollabuk-do, who were forced to move, agonized over the crossroads of settlement and return at the same time as liberation. Today, most of the “chaioxianzu(朝鮮族)” residing in Ando County, Yanbian Province, were products of the Manchurian country’s forced migration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