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眞興王代 新羅의 北方進出과 對高句麗領域向方

        張彰恩(Jang, Chang-eun) 신라사학회 2012 新羅史學報 Vol.0 No.24

        신라 眞興王(540~576)은 553년에 백제로부터 한강 유역을 탈취한 후 영역 지배를 공고히 하기 위한 巡狩를 추진하였다. 진흥왕은 먼저 555년 10월에 北漢山에 巡幸하여 지역 내 민심을 위무하엿다. 556년 7월에는 比列忽州[강원도 안변]을 설치했고, 다음해에는 기존의 新州를 폐지하고 北漢山州를 두었다. 이를 통해 진흥왕은 군사적 거점을 한강 이남에서 이북으로 전진 배치하였다. 진흥왕의 북방 순수는 568년부터 본격화되었다. 진흥왕은 곧 568년 3월~6월에 북한산 비봉에 올라 비문을 세웠고, 철령[양주-포천-영평-김화-회양-철령] 또는 추가령구조곡[양주-연천-철원-평강-분수령]을 경유한 후 안변을 거쳐 8월에는 황초령 10월에는 마운령까지 巡狩를 갔다. 결국 553~568년 신라의 北進線은 한강 하류 유역의 파주에서 북한산 일대의 전역과 양주를 거쳐 동북쪽으로 추가령구조곡 이남, 그리고 철령을 넘어 안변에서 황초령과 마운령 이남의 함흥 일대에 이르렀다. 진흥왕은 568년에 북한산을 거쳐 함흥 일대까지 진출했음에도 불구하고 순수 후 곧바로 北漢山州를 폐지하고 南川州[경기도 이천]를 설치했다. 또한 比列忽州를 없애고 達忽州[강원도 고성]를 두었다. 진흥왕이 함흥 일대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이 지역이 가지는 지리적 수세의 불리함 때문이었다. 곧 함흥 일대는 고구려 국내성과 평양에 이르는 교통로가 발달되어 있어 고구려의 반경에 쉽게 노출될 수 있었다. 고구려군이 마식령을 넘어 안변을 차지하게 되면 그 이북에 있는 신라군이 고립될 우려가 컸다. 또한 남천주를 설치한 배경은 백제에 대한 방어체제 정비와 연관이 있었다. 곧 567년 들어 위덕왕은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한 성왕을 추모하는 陵寺를 창건하고 사리장엄 의식을 행함으로써 내부의 결속을 다져 대신라 보복전 준비에 만전을 기하였다. 나아가 기존에 남조 위주로 추진하던 대중국 외교를 北齊에 사신을 파견하면서 다변화시켰다. 위덕왕의 이와 같은 행보는 진흥왕으로 하여금 상당한 위기감을 조성하였다. 진흥황이 주치소를 후퇴시킨 후 신라와 고구려의 영역향방은 변화되었다. 다만 그것은 주로 신라 동북방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곧 진흥왕은 예비적인 안정성 차원에서 주치소는 광주산맥이라는 천역적인 방어망 아래의 달홀주[고성]에 둔 채, 비열성[안변]을 최북단 거점성으로 삼아 고구려를 지속적으로 압박하였다. 그리고 한강 하류 유역은 신라가 기존에 설치했던 북한산주의 범위 내에서 신라의 영역지배가 유지되었다. 결국 6세기 중반 신라와 고구려는 한강 하류 유역에서는 북한산주를 기점으로 소강상태를 유지했고, 동북방으로는 신라가 비열성을 차지한 채 광주산맥 이남을 안정적으로 영역지배 하였다. In the middle 6th century, Silla occupied the Hangang basin it was occupied by Baekje. In 555, King Jinheung(r. 540~576) patrolled the Bukhansan. In 556.7, King Jinheung established Biyeolheulju at Anbyeon-gun in Gangwon-do. also the next year established Bukhansanju at Bukhansan. With this, Silla consolidated their Terresterial rule in lower reaches of Hangang basin. In 568, King Jinheung patrolled back the Bukhansan. and He erected sunsubi at mountaintop of Bukhansan. It was called 〈Bukhansan Silla Jinheungwang sunsubi〉. In 568.8, King Jinheung patrolled the Hwangchoryeong in Hamgyeongnam-do. subsequently In 568.10, He patrolled the Mounryeong in Hamgyeongnam-do. He also erected sunsubi at there. It was called 〈Hwangchoryeong Silla Jinheungwang sunsubi〉·〈Mounryeong Silla Jinheungwang sunsubi〉. King Jinheung went throuth Chugaryeong route at there. After the patrol in 568.10, King Jinheung abolished Bukhansanju and Biyeolheulju. Instead, He established Namcheonju[Icheon-si in Gyeonggi-do] and Dalhoju[Goseong-gun in Gangwon-do]. Because Hamheung reigion was indefensable area. Besides, It need to strengthen defense line to Baekje. Finally, Goguryeo and Silla’s Territorial Trend in the middle 6th century was standed fact to face Bukhansanju&Gwangjusanmaek as its starting point.

      • KCI등재

        신라 진흥왕대의 한강유역 진출 결과

        김덕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2 서울학연구 Vol.- No.89

        The nature of King Jinheung’s Sunsu(순수) differed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In 555 and 561, it was done in terms of expansion of new territories, and in 568, in terms of territorialization of the expanded area. From 564, Silla began to conduct diplomatic toward China(대중외교) in earnest. This was the result of the domination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ruling system was strengthened by accommodating China’s developed advanced culture. Before Silla took control of the Han River basin, the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between the three kingdoms were to be resolved between the three kingdoms, but after seizing the Han River basin, it changed as the tendenc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hree kingdoms by linking them with China. This is the result of King Jinheung’s advance into the Han River basin. King Jinheung built a the sixteen-foot Buddha statue(장육존상) at Hwangnyongsa Temple(황룡사), claiming to be Cakravartirajan(전륜성왕), which symbolized King Jinheung. However, after King Jinheung’s death,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did not lead to the continuity of the development achieved in King Jinheung’s era. In this sense, the result of King Jinheung’s advance into the Han River basin can be evaluated as a half success. 신라는 진흥왕대에 한강유역으로 진출하면서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 로 비약적인 영토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진흥왕대의 영토 확대는 대체로 한강유 역과 낙동강유역, 그리고 동해안지역 등 3개의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진흥왕의 순수는 시기에 따라서 그 성격이 달랐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가 본격적으로 대중외교를 전개한 것은 564년(진흥왕 25) 북제에 사신을 파견하면서 비롯되었으며, 566년에는 진에도 사신을 파견하였다. 이것은 한강유 역의 장악에 따른 결과였으며, 중국의 발달한 선진문화를 수용하여 지배체제를 강화하였다. 신라가 한강유역을 장악하기 전에는 삼국의 갈등은 삼국 사이에서 해결하려고 하였지만, 한강유역을 장악한 후에는 삼국의 문제를 중국과 연결해서 해결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이것은 진흥왕대 한강유역의 진출로 나타난 결과이다. 진흥왕은 황룡사에 장육존상을 조성하면서 스스로 전륜성왕을 표방하였는데, 장육존상은 진흥왕을 상징하였다. 진흥왕은 한강유역으로 진출하여 ‘새롭게 나라 를 열은[開國]’ 신라를 대중외교를 전개하면서 ‘크게 창성[太昌]’시켰으며, 다시 전륜성왕신앙으로 ‘번성하여 구제[鴻濟]’하는 것으로 변화를 시도하였다. 572년(진흥왕 33) 무렵부터는 동륜 태자의 죽음과 진흥왕의 건강에 문제가 발 생하면서 후계 구도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그리하여 진흥왕의 죽음 이후에는 진흥왕대에 이룩한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진 흥왕대의 한강유역 진출 결과는 ‘절반의 성공’을 거두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흥왕대의 한강유역 진출은 신라의 정치사에서 가장 중 요한 사건이었다.

      • KCI등재

        신라 진흥왕의 巡幸과 巡幸路 고찰

        전덕재(Jeon, Deog-jae) 신라사학회 2023 新羅史學報 Vol.- No.57

        본 논고는 娘城의 위치 비정 및 진흥왕의 낭성 순행 목적과 그 의미, 북한산진흥왕순수비의 건립 연대와 568년 진흥왕의 巡幸路, 新州의 동북 경계의 변화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나오는 娘城은 충주지역에 위치한 지명이었으나, 고려 말기에 옛 琅琊郡과 琅琊國의 영역이 명나라 靑州府에 소속되었던 사실을 감안하여 淸州를 琅城이라 別稱하는 관행이 나타났고, 조선 후기에 琅城을 娘城의 異表記로 이해하면서 娘城 역시 청주의 별호라 부르기도 하였음이 확인된다. 진흥왕은 551년 3월에 娘城에 巡幸하여 소백산맥 이북의 赤城(단양군 단성면)과 國原(충북 충주시)을 새로 신라의 영토로 편제하였음을 대내외에 선포하는 한편, 한강유역으로의 진출을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였다. 金武力의 관등이 553년(진흥왕 14)에 阿飡이었고, 북한산비와 561년에 건립된 창녕비에 그의 관등이 迊干이었다고 전하는 사실 및 북한산비와 568년에 건립된 마운령비에 진골 출신인 未智의 관등이 모두 大奈末이라 전하는 사실 등을 감안하건대, 북한산비는 568년에 건립되었다고 봄이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마운령비와 황초령비, 북한산비 등에 의거하여, 진흥왕은 568년 8월 21일에 王京을 출발하여 동해안을 따라 황초령과 마운령을 순행하였고, 10월 2일 이후에 안변을 떠나 추가령구조곡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이용하여 北漢山(한강 이북의 서울)에 이르렀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후 진흥왕은 북한산에서 충주를 경유하여 계립령을 넘어 의성, 영천 등을 걸쳐 왕경으로 귀환하였다. 553년 이후에 신라는 철원지역까지 新州의 영역을 확장하였다가 590년을 전후한 시기에 娘臂城(경기도 포천시 군내면의 반월산성) 이북의 영토를 고구려에게 빼앗겼으며, 629년(진평왕 51) 8월에 낭비성을 차지하고, 다시 철원지역 등을 新州의 영역으로 편제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historical research on the location of Nangseong(娘城) and the purpose and meaning of King Jinheung’s Patrol of Nangseong, the year of construction of Bukhansan(北漢山) King Jinheung’s Patrol Memorial Stone, the King Jinheung’s route of Patrol in 568, the changes in the northeastern boundary of Sinju(新州). Nangseong in the Samguksagi Sillabongi was a place name located in the Chungju region, but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people began to refer to Cheongju(淸州) as Langseong(琅城),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territory of the old Nangya-gun and Nangya-guk belonged to Cheongju-bu(靑州府) in the Ming Dynasty. And it is confirmed th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Nangseong was understood as another spelling of Langseong, Nangseong was also called as another nickname for Cheongju. In March 551, King Jinheung went to Nangseong, proclaiming to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at Jeokseong (Danseong-myeon, Danyang-gun) and Gukwon(Chungju-si, Chungcheongbukdo), located north of the Sobaek Mountains, were newly incorporated into Silla’s terri tory, while established a specific strategy to promote advancement into the Han River basin. Considering the fact that Kim Muryeok’s official rank was Achan(阿飡) in 553(the 14th year of King Jinheung’s reign) and his official rank is recorded as Japgan(迊干) on Bukhansan Stele and Changnyeong Stele built in 561, and the fact that it is said that the official rank of Miji, who was of Jingol status, was Daenamal on Bukhansan Stele and Maunryung Stele built in 568,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Bukhansan Stele was built in 568. Based on the Maunryeong, Hwangchoryeong and Bukhansan Stele, we can deduce that King Jinheung departed from the capital(Gyeongju) on August 21, 568, and left Anbyeon after October 2nd and arrived at Bukhansan(Seoul located north of the Han River) by using the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the Chugaryeong Valley. Afterwards, King Jinheung reached Chungju from Bukhansan, and from there, crossed Gyeripryeong, passed through various regions such as Ui seong and Yeongcheon, and returned to the capital. After 553, Silla expanded the territory of Silla to Cheolwon, and around 590, the territory north of Nangbiseong (Banwolsanseong in Gunnae-myeon, Pocheon-si, Gyeonggi-do) was lost to Goguryeo, and occupied Nangbiseong in August of 629 (the 51st year of King Jinpyeong), and organized the Cheolwon area into Sinju’s territory again.

      • KCI등재

        신라 진흥왕대 大樂 정비의 의미와 목적

        임평섭(Lim, Pyeong-seob) 신라사학회 2015 新羅史學報 Vol.0 No.34

        신라사에서 진흥왕 대는 변혁의 시기로 평가될 만큼 급격하게 영역 확장이 이루어진 시점이다.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신라의 통치를 확고히 하고자 다양한 정치 행위들이 수반되었는데, 진흥왕 12년에 우륵의 음악을 접한 다음 신라 악사들로 하여금 우륵의 곡을 배우도록 했다는 점은 주목된다. 특히나 진흥왕의 본격적인 정치행로를 선포한 ‘開國’이라는 연호 제창에 이어 이루어진 행위가 우륵과의 만남이었다는 점은 더욱 흥미를 끈다. 이러한 독특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견해에서는 유독 우륵에게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는 대가야와 관련한 연구 접근의 한계를 우륵을 통해 보충하고자 했던 점과 연관된다. 그러나 우륵 12곡을 바탕으로 신라의 大樂이 정비되었다는 사실은 그 초점이 진흥왕 대의 상황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진흥왕 대의 음악 활용에 대한 기존의 관점인 ‘예악정치’라는 해석을 바탕으로 이를 확장해서 진흥왕대 신라의 정치사회적 변화 속에서 음악의 역할을 살피고자 했다. 유교적 관점이 반영된 ‘禮樂’에는 節을 바탕으로 질서를 강조한 禮와 和를 바탕으로 어울림을 강조한 樂의 의미가 담겨 있다. 우륵의 음악은 예악사상을 반영하여 신라에 수용되었으며, 그 과정은 이를 잘 보여준다. 이는 진흥왕대 단행된 순수 과정에서 新舊民의 和合, 그리고 중앙과 지방의 위계질서 확립에 있어 음악의 활용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법흥왕대 정비한 골품제와 관등 체계를 확대 적용하면서 신분에 따른 음악의 향유를 명확히 하고자 차별성을 부각하는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대내외적인 변화 외에도 진흥왕대 본격화된 불교의례에서의 음악 활용, 왕실의 제례 행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유교적인 관점이 농후한 大樂을 통해 왕실의 권위를 강조한 점들을 살필 수 있다. The period of King Jinheung in the history of Silla has been evaluated as the era of innovation that achieved rapid expansion of territory. Under such change, various political activities were accompanied to reinforce the reign of Silla. In this circumstance, it is noteworthy that, when encountering music of Wooreuk at his 12th year of reign, King Jinheung instructed musicians of Silla to learn music of Wooreuk. Despite such uniqueness, existing opinions pay attention to Wooreuk only. But, the fact that Daeak was maintained based on 12 music works of Wooreuk requires special attention.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ole of music in the midst of political and social change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Yeack(禮樂) politics’ which is the existing perspective on the use of music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Music of Wooreuk was accepted by Silla based on Yeack’s characteristics which are demonstrated in its process of acceptance. Accordingly, it is conjectured that music was used for the harmony between old and new residents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hierarchy between central and local society in the course of territory expansion and purification process. Together with this, it was also used as a means of discrimination of social class to clarify the available music to enjoy by class when the Golpum system(骨品制) and official rank system(官等) sorted out based on the regulation. Besides such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Daeak that had strong Confucian sense was utilized to stress the royal authority in the course of using music at the Buddhist ritual which was widespread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and in the process of sorting out the royal rituals.

      • KCI등재

        眞興王碑와 근대 東洋史學 : 연구사적 검토를 단서로 하여

        고미야 히데타카(小宮秀陵)(KOMIYA Hidetaka)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0 중앙사론 Vol.0 No.52

        본고는 동아시아사 속 진흥왕비의 역사적인 위상을 고려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진흥왕비 연구에서 주목받지 않았던 문제의식과 그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진흥왕비에서는 비문 작성에 영향을 끼친 유교적인 사상과 고유신앙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이처럼 복합적인 사상은 북위의 석각자료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진흥왕비는 북조와 한국고대국가를 포 함한 동아시아사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함을 시사하는 중요한 비석으로 재평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진흥왕비가 지금까지 동아시아사 속에서 의의를 찾을 수 없었던 까닭은 근대 동양사학 연구자가 비석에 대해 멸시적인 시선을 갖고 있었 기 때문일 것이다. 内藤湖南에 의해 이루어진 근대 최초의 진흥왕비 연구 논문은 중국 북조와 신라의 교류 속에 진흥왕비를 위치시킨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문제의식에는 고증학자인 金正喜에 대한 대항·우월 의식이 담겨있었고 거기에는 北碑南帖論으로 대표되는 고증학자의 비석 연구 중시에 대한 비판적 시선이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considers awareness of the problem missing from the historical narrative when considering the historical phase of the King-Jinheung monument(真興王碑) in East Asia. The Jinheung monument can show Confucianism and peculiar beliefs through words. This complex though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tone carving materials in Northern Wei. Therefore, this stone monument is important as a stone monument in East Asian history that covers the Northern Dynasties and the ancient countries of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Jinheung monument did not find any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East Asia. Because, in modern oriental history, there was an understanding that monument studies was underestimated. The first study of the Jinheung monument in modern hisitory was done by Konan Naito(内藤 湖南). He found the significance of the Jinheung King monument in the exchange between the Northern Court of China and Silla. However, he had a sense of opposition and superiority to Gim Jeong-hui(金正喜). In other words, his thought was critical of the Kaozheng(考証学) scholar s emphasis on stone monument research, which is called the Northern stelae and Southern copybooks(北碑南帖論) .

      • KCI등재

        진흥왕 집권 후반기 사방(四方) 의식의 표방과 불교의례 - 사방의 구심점으로서 ‘신라 만들기’ -

        임평섭 부산경남사학회 2020 역사와 경계 Vol.115 No.-

        This paper is supposed to focus on historical situations from 560 to the time when King Jinheung passed away. In the research, I tried to examine the meaning of revising the era name, interpreting the content of King Jinheung’s Sunsubi(巡狩碑) in practical term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ntends to newly analyze Buddhist rituals supported by King Jinheung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terrelation of Silla and a governmental order. The core concept of the research is just “Awareness about the four directions”. It might be associated with political measures following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King Jinheuing. He took some administrative actions, such as dispatching the generals of the four directions and the local administers, to organize newly acquired domains and reinforced the controlling power on finance and supplies. These measures could visualize the national stabilization indicated as a moral behavior of the King to every people living in all regions of the Silla. However, An outburst territorial expansion made not only domestic strife but discontentment as well. Besides, a confusing circumstance of neighboring countries requested the Silla to device new political actions to appease an air of anxiety. In the situation, the best option the Silla chose was, thus, Buddhist rituals and self-practice of King Jinheung. These two actions taken after a territorial expansion were ultimately intended to make the Silla stabilize and established it as the center of the four directions. 본고는 진흥왕 집권 후반기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영토 확장이 마무리되는 560년대부터 진흥왕 사망까지의 시기를 다루었다. 기존에는 568년에 입석된 순수비의 내용을 기초로 정치사상에 대한 분석 내지 불교 관련 행적에 주목하여 진흥왕 집권 후반기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는 주로 신라가 영토 확장 이후 직면한 상황에 대한 후속 조치 보다 진흥왕 개인의 업적이나 왕권강화라는 결과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진흥왕 집권 후반기는 사방 의식이 통치행위로 구현된 시기였다. 본고는 이 사방 의식이 영토 확장에 이은 후속 조치의 일환으로 주목하였다. 진흥왕은 확장된 영역을 전략적으로 편제하기 위해 주와 정을 설치하는 군사 조치와 더불어 사방군주와 지방관의 파견이라는 행정 조치를 취하였다. 이와 함께 각지에서 수취한 물자에 대한 재정 통제를 강화하였다. 이를 통해 신라 전역과 인민에게 진흥왕의 덕업으로 대변되는 통치질서가 안정적으로 구축되었음을 보여줄 수 있었다. 그러나 급격한 영토 확장으로 인한 내부 갈등과 대외정세의 급변은 통치질서의 이완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진흥왕 집권 후반기에는 새로운 통치행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강조된 것이 불교의례의 설행과 진흥왕의 실천행이었다. 결국 영토 확장 이후 진흥왕이 표방했던 사방 의식과 불교의례는 신라 전역과 인민을 망라하는 사방의 구심점으로서의 신라 만들기였다.

      • KCI등재

        진흥왕순수비 건립의 의의

        박초롱(cho-rong, Park)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8

        이 글은 왜 진흥왕은 巡狩碑를 건립하였는가라는 의문에서 시작하였다. 진흥왕 이전에도 삼국의 국왕들은 순수를 행했으나 순수비를 건립하였다는 기록도 현전하는 비문도 없다. 또 진흥왕순수비의 형식은 이전의 신라비나 고구려비에서 예를 찾을 수 없는 것이었다. 위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중국에 순수비가 건립된 선례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글에서는 중국의 사례와 진흥왕순수비를 비교 검토해보았다. 1장에서 중국의 巡狩개념과 의례가 성립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2장에서는 중국의 순수비 건립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신라에서 순수비를 건립할 당시 진시황의 순수 이후 건립된 刻石과 북위의 순수비를 참고했을 것으로 보았다. 또 순수의 근거로서 자주 제시되는 『尙書(書經)』가 진흥왕순수비 작성에 중요 자료가 되었으리라 보았다. 이를 통해 진흥왕 순수비를 순수 儀禮라는 관점에서 재검토해보았다. 이어서 진흥왕의 순수비 건립이 갖는 사회적 의미도 밝혀보고자 했다. 순수비가 『상서』에 근거한 왕도정치 이념을 표방한 이유를 지방지배체제의 변화와 연관지어 해석하였다. 德化로 민심을 획득하려 한 배경에는 새로 편입된 지역의 피복속민을 6세기에 국왕의 公民으로 인식하게 된 사회적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왜 중국의 순수 개념에 근거하여 순수를 행하고 비문을 작성하였는지에 대한 대답이 될 것이다. 중국의 순수 개념에 따르면 순수는 祭儀를 통해 天子가 권위를 확인받고 民政시찰을 통해 지배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신라는 새로 확보된 지역과 民에 대하여 국왕 지배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보편적인 논리로서 중국의 순수를 차용한 것이었다. 실제 이러한 이념은 순수 의례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공표되었을 것이다. 진흥왕순수비는 그 순수 의례의 최종결과물이자 상징으로서 건립되었다. This study originates from the question of why King Jinheung established sunsubi (monuments commemorating the king’s tour). The kings of the Three Kingdoms before King Jinheung had also performed sunsu (tour of the country), but there are no records or epitaphs proving that they had established sunsubi. In addition, the form of Jinheungwang Sunsubi is unprecedented in previous Silla or Goguryeo monuments. Chapter 2 examined the process in which sunsu (巡狩) rites were established in China, as well as cases in which sunsubi was constructed. This provided a reference of square stones (刻石) built after the sunsu by Qin Shi Huang when sunsubi was built in Silla, and sunsubi of the north latitude. Moreover, 『Classic of Documents (尙書Sangseo or 書經Seogyeong)』 that is presented frequently as the evidence of sunsu may have served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Jinheungwang Sunsubi. Chapter 3 reviewed Jinheungwang Sunsubi in the perspective of sunsu rites (儀禮), assuming that King Jinheung’s sunsu was performed after accepting China’s concept of sunsu.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ed to clarify the social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of King Jinheung’s sunsu. The reason why sunsubi claimed to advocate the ideology of royal politics based on 『Classic of Documents』 was interpreted in line with the change in the local ruling system. The attempt to win popularity from the public with moral influence (德化) was grounded on the social and ideological change in which the subjugated class under the indirect rule during the era of Maripgan was perceived as the citizens (公民) of the king in the 6th century. This perception will be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y sunsu was performed and the epitaph was written based on China’s concept of sunsu. According to China’s concept of sunsu, the term refers to how the emperor (天子) confirms his authority through a memorial service (祭儀) and secure legitimacy to rule by inspecting civil affairs (民政). Accordingly, China’s sunsu was adopted by Silla as a universal logic to support the legitimacy of the king’s rule over the newly acquired regions and the people (民). In fact, this ideology might have been proclaim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process of sunsu rites. Jinheungwang Sunsubi was established as the final output and symbol of such sunsu rites.

      • KCI등재후보

        新羅 眞興王의 統治哲學 硏究(2)

        양근석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민족사상 Vol.5 No.4

        This thesis attends to analyse the ruling philosophy Jinheung of Silla. King Jinheung of Silla is a great and heroic king from history of Silla. During his 37-year rule, he established an absolute authority of the king and modified a national administration, ruling regulations. With this systematic organizing, he fortified a national power for unification of Samhan(三韓統一). He rendered services to his´s country in his life for sake of the realization of Gukkajinho(國家鎭護, to keeping a state with a buddist laws) thought and Bulkukto(佛國土) thought. To do this, he executed a Baekgojabuphe(百高座法會) and Palguanjaehe(八關齋會). Also, he revived a Hawrangdo(花郞道) for a the education of the young and national cultivating men of ability. Through this Hawrangdo, the after Silla produced most young talents. The persons moving in Samhaniltong(三韓一統) are almost from the Hawrangdo. According to this situation, I think that the various ruling organization of King Jinheung provides the foundation of the unified Silla. 新羅의 제 24대 眞興王(540-576)은 신라 992년의 역사에서 가장 偉大하고 英雄的인 君主였다고 할 수 있다. 왕의 在位 37년간 강력한 專制王權을 확립하고 國家行政과 統治制度를 整備하고 新設하여 三韓一統을 위한 國力을 强健하게 構築하였다. 진흥왕은 신라사회를 氏族社會의 遺制에서 벗어나서 반듯한 국가의 面貌를 日新하고, 中興시키기 위하여 수 많은 統治業績을 實行하였다. 진흥왕은 佛國土思想을 具現하고 國土擴張을 통한 雄大한 나라를 만들기 위하여 淨佛國土思想과 國家鎭護思想을 통하여 三韓一統의 巨大한 野望을 이루고자 일생동안 盡力하였다. 이를 위하여 왕은 百高座法會와 八關莚會 등을 設行하였으며 ‘王卽佛’의 확고한 信念을 갖고 轉輪聖王이 되고자 하였다. 이웃한 伽倻, 高句麗, 百濟와 和戰兩面의 戰略을 구사하여 同盟과 戰爭을 통하여 국토를 확장하고 각 지역을 직접 巡幸하여 軍士와 百姓을 慰撫, 褒賞하고 巡狩碑를 建立하였다. 진흥왕은 靑少年敎育과 國家的인 人材養成을 위하여 花郞道를 中興하였다. 이 花郞道를 통하여 뒷날 신라국가 인재의 대부분이 輩出되었다. 곧 後代의 三韓一統의 統一主導勢力으로 活躍하는 인물들이 모두 花郞徒 출신이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것은 30대 文武王 때 였지만 통일을 위한 진흥왕의 강력한 國力培養과 人材養成 등의 基盤構築이 없었다면 통일은 不可能 하였을 것이다. 곧 삼한일통을 위한 국가적인 모든 力量의 結集과 그 준비는 진흥왕 때에 이루어졌다고 할 수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1부>에 이어서 <2부>로 진행된 것으로, 진흥왕의 統治哲學과 그 業績을 王權의 確立과 骨品制度, 僧侶職責制度, 佛國土思想의 具現, 花郞道의 再創立과 中興, 國土擴張事業, 國史의 編纂, 音樂의 整理와 獎勵, 巡狩碑의 建立 등을 다루었다.

      • KCI등재

        신라 황룡사의 창건과 진흥왕의 왕권 강화

        최선자(Choi Sun Ja)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2

        본 논문은 신라 황룡사의 창건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진흥왕이 창건을 통해 궁극적으로 목적했던 바가 왕권 강화였음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황룡사는 진흥왕 14년(553)에 새로이 궁궐을 지으려던 터에서 황룡이 출현하자 사찰로 변경되어 창건되었다. 그런데 궁궐은 왕권을 상징하는 가장 강한 표상이므로 진흥왕과 황룡사 창건의 관계가 정치적 상관성을 갖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발굴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 황룡사지의 지반은 원래 늪지였다. 따라서 우선 궁궐 건설의 계획을 수립하고, 늪지의 매립과 같은 대규모 토목공사를 진행해야 했다. 진흥왕 14년이라는 황룡사 창건 연대는 궁궐이 사찰로 변경된 시점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늪지의 매립이 6세기 중반에 완료되고 인근에 도로가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한 연구에 의해 입증된다. 이때 조성된 도로는 격자문 도성의 주된 유구로 이와 궤를 같이 하여 황룡사의 寺域이 확정되었다. 북위와 일본의 사례를 통해서 검토해 본 결과 이러한 도성제도는 율령의 제정ㆍ반포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형성했다. 곧 율령에 의한 통치제도를 확립하기 위해 도성을 정비하고 궁궐을 건설했던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법흥왕 7년의 율령 반포 및 동왕 18년의 제방수리 명령에 주목했다. 법흥왕을 이어 즉위한 진흥왕은 전대의 정치ㆍ사회적 분위기를 이어 받는 한편, 유년에 즉위한 까닭으로 왕태후와 이사부의 섭정을 받았다. 그러나 재위 초기는 섭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확산과 전쟁ㆍ대규모 토목공사 등으로 인해 각종 정치ㆍ사회적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는 궁궐 건설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계획 변경의 원인이 되었다. 그런데 황룡사 창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반드시 주목해야할 것이 창건의 결정적 역할을 했던 ‘황룡’이다. 이에 여러 기록에 의거한 고대인의 인식 체계를 기준으로 하여 다각도로 황룡의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곧 황룡은 상서로운 징조로서 정치의 衰缺함을 은폐하고자 한 의도로도 볼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실한 수호신인 황룡을 잡기 위해 사찰을 세우고 호법룡의 역할을 부여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황룡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황룡사 창건에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親政 이후 더욱 강력한 왕권을 위해 전륜성왕사상을 수용한 진흥왕은 즉위의례적 創寺 행위인 황룡사 창건을 통해서 왕위의 정당성을 획득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결국 황룡사는 왕권 강화의 기틀을 확립하고자 한 진흥왕의 종교적 상징물이자 정치적 권력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This study try to confirm that King Jinheung pursued ultimately royal authority strengthening through the foundation by looking the process of foundation of Hwangyong temple in silla. As every knows, Hwangyong temple was founded by changing from making the new royal palace to the temple at 14 year of King Jinheung. There is the reason why it have a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foundation of Hwangyong temple and King Jinheung because a palace is symbol of royal authority. According to excavation investigation, the ground of Hwangyong temple area was originally bog land. Therefore, it devised a plan to build of palace at the first and had to progress grand-scale public works such as reclaim bog land. However, provided it takes notice at researcher’s estimation that some roads was made near the temple after end of the reclaiming bog land at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the period of foundation as 14 year of King Jinheung is pointing the changing time from royal palace to the temple. The roads which is made near temple is the main ruins of gridpattern capital system, in sync with it, Hwangyong temple was demarcated the temple area. On investigation in the case of the northern Wei Dynasty and ancient Japan, this capital system formed consistent correlation with establishment and proclamation of the law. Which mean, modifying of the capital city and building royal palace to establish a ruling system by the law. In relation to this, it’s took note of proclamation of the law at 7 year of King Bupheung and command of repairing dike at 18 year of same King. On the other hand, King Jinheung who ascended following King Bupheung inherited political and social moods of previous generation, He was acted as regent by the Empress Dowager and Isabu because King came the throne when he was young. However, in the early reign of King Jinheung, it was occurred various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with the diffusion of negative awareness about the regency and the warㆍgrand-scale public works. It was became the cause of negative awareness and changing of plan about building of the palace. But we surely have to take notice of Yellow Dragon which was an active role on the foundation in the study about foundation of Hwangyong temple. So I tried analysis from various angles about Yellow Dragon by awareness stage of the ancients on the many data. That is to say, Yellow Dragon can be considered in a intention that it try to cover up political flaw as auspicious sign, on the other hand, it can interpret to give a role of the Dragon as the defence of a Buddhism for catching the Yellow Dragon lost patron saint. This awareness about Yellow Dragon legitimized on the foundation of Hwangyong temple. After the politic by himself, King Jinheung accepted Cakravartin idea to more powerful royal authority. Then he tried to acquire legitimacy of the throne and strengthen royal authority through a sort of the ceremony of a accession to the throne. Finally, Hwangyong temple works as a religious symbolic icon and political power base for King Jinheung who tried to build up the basis of King’s power.

      • KCI등재

        진지왕의 즉위과정과 정책에 관한 연구

        고현아(Ko, Hyun-ah)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8 No.-

        진지왕의 즉위 과정은 진흥왕대 왕위 계승과정과 관련이 깊다. 진흥왕은 자신의 직계 자손이 안정적으로 왕위 계승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진흥왕대 성씨의 사용, 태자의 책봉 등 일련의 정책들이 이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태자 동륜이 사망하면서 왕위계승자로 금륜을 선택하였다. 이는 당시 신라사회에서 형제 왕위 계승체계가 용인되었던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계승 과정으로 이해 할 수 있다. 금륜은 진흥왕의 적극적인지지 속에서 진흥왕대 정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왕자로서의 기반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었다. 특히 진흥왕대 황룡사 장육불 조성이나 국선ㆍ화랑제가 시행되는데 일정 부분 정치적 역할을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험은 아버지인 진흥왕의 전륜성왕 이념을 계승ㆍ강화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즉위 이후 진지왕의 측근 세력들이 사망하면서, 진지왕은 자신의 지지기반의 큰 축을 상실하게 되었다. 당시 진흥왕대부터 시작된 진흥왕계 직계를 중심으로 하는 왕위 세습권 확립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던 세력들이 진지왕의 정책에 거세게 반발하였다. 진지왕은 새로운 세력들과의 연대를 모색하기도 했으나 이러한 시도는 실패하고 결국 국인 세력의 반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서 폐위되었다. King jin ji the accession of the process is king jinheung succession of the time of to the throne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deep. King jinheung their a direct descendant was try to do to the throne. King jinheung time use, use, a set of policies, including Crown Prince"s policy is related to go. Geureona crown prince dongryun to chose geumreon the heir to the throne as were killed. Silla at the time in succession process can understand natural. Geumreon eun king jinheung his base and a variety of experiences while participating in politics when they can do. In particular, king, timing and hwangyongsa jinheung feet - sixteen bronze - gilt sakyamuni buddha for creating and Middle and hwarang kuksun triad systeml have been implemented to a political role. King jin ji cakravartirajan the ideology of abeojiin the succession and strengthened. However, after accession to the throne, king jin ji of the forces of death and his aides, king jin ji is his own support base will start to lose. King jin ji to seek a new coalition forces, too, but such attempts fail to properly dethroned by not responding to protests from forces and eventually kok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