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진재난지역에 대한 선교

        이종우(Jong woo Lee)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4 No.-

        21세기에 들어와 지구촌 곳곳에 지진, 쓰나미, 태풍, 토네이도, 대홍수 등으로 인한 대재난들이 점증하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런 재난을 하나님의 선교를 실천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교회적 관심은 부족하며 관련 연구도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므로 연구자는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연구자는 여러 가지 재난들 가운데 지진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었고, 네팔 대지진 1년을 맞아 지진의 발생원인과 피해상황, 지진피해자들의 고통, NGO단체들과 선교사들의 노력을 리서치하고 선교신학적 입장과 선교적 실천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지진발생에 대한 지질학적 관점과 신학적 관점을 고찰하였다. 지진은 지구의 지각을 구성하는 판들이 천천히 이동하면서 마찰과 제동 작용을 통해 지진파를 유발시킴으로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그이면에는 만유의 주권자이신 하나님의 섭리가 존재한다. 둘째, 재난지역 주민들의 문제들과 그에 대한 대처방안을 다루었다. 그것은 여진으로 인한 사상자 발생, 산사태로 인한 2차 피해, 불안정한 주거환경, 기초생활용품의 부족, 의료 환경의 부족, 심리적 트라우마, 폭력과 범죄에의 노출, 교육시설의 부재 등이며, 이들에 대한 대처 매뉴얼이 필요하다. 셋째, 선교사들과 NGO단체들의 지진피해 후의 복구노력을 다루었다. 네팔 주재 한국 선교사들은 단일 재난대책기구를 조직하여긴급 구조와 복구를 통하여 지역민들로부터 교회의 신뢰도를 증진시켰다. 넷째, 지진재난지역에 대한 선교 신학적 관점을 토대로 선교적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진지역에 대한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의 관점에서, 사회적, 심리적 치유를 아우르는 통전적 선교를 실시해야 한다. 선교실천 방안으로는 전 교회적 홍보과 참여확대, 단일 재난대책본부를 설치하고 긴밀하게 협력하며, 한국위기관리재단의 전문적 자문, 현지교회지도자들을 앞세워 토착교회 성장에 기여, 복음전도는 현지문화의 정서를 고려, 항공의료-구호서비스의 참여, 국내교회들은 재난지역 긴급구호와 복구를 위한 상시적 시스템을 준비해야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지진에 대한 문헌 연구, 피해상황과 피해자들의 고통, 현지 구조-복구활동에 대한 선교적 노력에 대한 사역자들의 인터뷰, 언론 매체의 자료들을 참고하였다. The 21st century sees the ever increasing disasters throughout the world like earthquakes, tsunamis, tornadoes, or deluges. Christians should think of them as an opportunity to practice God‘s mission. However, these catastrophic disasters draw little concerns from church nor scholars. The present paper focuses on earthquakes, the Great Nepal Earthquake of 2015 in particular. The paper surveys the cause of the earthquake and its damage, the sufferings of the earthquake survivors, and the missionaries’ relief activities, and then presents my mission theological opinion and practice plans. First, the present paper surveys geological causes of earthquakes and discusses from theological viewpoint, divine providence in the earthquakes. Second, the present paper surveys the issues of inhabitants and overcoming Methods: the increasing death by the subsequent after shocks, massive landslides, loss of habitations, shortage of daily necessities, poor medical assistance, psychological trauma, exposure to violence and crimes, and destroyed educational facilities. Third, the present paper surveys the restoration endeavor after the disaster. Korean missionaries organized a single damage relief organization. They cooperated with local leaders and administrators in relief and restoration activities, hence contributed to heightening the reputation of church leaders. Fourth, the present paper presents the opinion of holistic mission theology. God’s mission is holistic. On the opinion, missional action plans: 1) the public relations and participation of churches; 2) missionaries should cooperate under the organization of a single damage management center; 3) the advice of the Korean Crisis Management Service(KCMS); 4) organizing of the people’s self-governing patrol party is necessary for keeping order and preventing crimes; 5) psychological therapy should be performed to heal the trauma of local people and children in particular through the counselling training of local pastors and teachers; 6) the cooperation with the local church leaders; 7) in the case of propagation, they have to consider the local cultural emotion; 8) overseas organizations’ network like the Aviation Mission Society should be operated; 9)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hurch’s year-round system for the emergency relief and restoration; 10) establishing a monitoring system under UN is necessary for preventing government officials from embezzling restoration fund and ensuring transparent financial implementation. For this study, the present paper has done research on literature on earthquakes and the damage and suffering of the victims, had interviews with ministers about the local relief activities, and surveyed the media data regarding the Nepal Earthquake of 2015.

      • 국가 지진방재 정책기술 추진방안

        이정한 ( Lee Jung Han ),박종율 ( Park Jong Ryul ),윤누리 ( Yun Nu Ri ),오금호 ( Oh Keum Ho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2

        우리나라의 국가 지진방재 정책기술은 2016년 9월 21일 발생한 규모 5.8의 9.12지진 발생 전후로 구분할 수 있으며, 9.12지진이 발생하기 전에는 대부분 우리나라 주변의 일본, 중국, 대만 등 대규모 지진 발생 이후 관련 대책들이 발표되었다. 2016년 9.12지진 이후 지진방재 종합대책, 2017년 포항지진 이후 지진방재 개선대책이 마련되었다. 이후 지진화산재해대책법을 근거로 지진방재 종합대책 및 지진방재 개선대책, 그리고 제1차 지진방재 종합계획을 보완한 제2차 지진방재 종합계획이 발표되었으며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지진방재 전문기관 클러스터를 운영을 통해 원활한 국가 정책기술을 지원하고자 한다.

      • KCI등재

        후쿠오카 지역에서 발생한 12개 지진의 지진원 밑 지진파 감쇠값에 관한 연구

        김준경 한국지진공학회 2007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1 No.1

        본 연구는20005년 3월부터 약2개월에 걸쳐 후쿠오카 지역에서 짧은 기간에 발생한 12개의 지진으로부터 관측된 154개의 지반진동 자료를 이용하여 지진원 및 지진파 감쇠와 관련된 값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하고자 하는 모든 값을 동시에 비선형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LM(Levenberg-Marquardt) 역산방법을 적용하였고 전단파 에너지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12개 지진의 응력강하값의 평균은 약 79.2-bar이고 부지 하부 지진파 감쇠값 \kappa의 평균값은 0.043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광역적인 지진파 감쇠를 나타내는 Qo 와 {\eta}값은 각각 248.1 및 0.558로 분석되었다. Qo 과 {\eta}값은 지진파의 경로중 일부가 동해를 거치기 한반도 남동부의 지진파 전파의 특성뿐만 아니라 일본과 한반도 사이의 지체구조의 차이로 인한 불균질 특성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관측소부지 하부의 지진파 감쇠값 K의 평균값은 미국 동부지역 대표값 보다 훨씬 크고 미국 서부지역 대표값보다 거의 유사한 값을 보여 주었으며 각각 관측소 부지 고유의 증폭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있으면 보다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Parameters including the seismic sources and the elastic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sed using the observed ground motions from 12 Fukuoka region earthquakes. The Levenberg-Marquardt algorithm was applied to invert all the variables non-linearly and simultaneously with S wave energy in fiequency domain. Average stress drop of 12 events and local attenuation parameter \kappa under seismic stations were estimated to about 79.2-bar and 0.043 respectively. Regional attenuation parameter, Qo and {\eta}, were also estimated to be about 248.1 and 0.558 respectively. Low value of Qo seems to caused by inhomogeneous tectonic characteristics between Japan island and southern Korean peninsula. \kappa values are much higher than that characterizing EUS (Eastern United States) region, and nearly similar to that of WUS (Western Waited States) region. If the informations on site specific amplification of all the seismic stations are known, \kappa values can be estimated more precisely. All the values including the seismic sources and the site and crustal scal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can be used as seismic design parameters.

      • KCI등재

        2방향 지진하중을 받는 다경간 단순교의 동적거동분석

        이상우,김상효,마호성 한국지진공학회 2004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8 No.4

        본 연구에서는 작용방향이나 크기에 있어서 불규칙한 특성을 보이는 지진하중을 받는 교량구조물의 동적거동을 보다 실제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3경간 단순교를 대상으로 2방향 지진하중을 고려할 수 있는 이상화된 교량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량해석모형에는 2축 휨에 따른 상호작용을 고려한 교각의 비선형 거동은 물론 상부구조의 회전으로 인한 인접 진동계간 평면적 충돌이나 단계적인 받침 손상 등이 고려되었다. 2방향 교량해석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최대지반가속도를 갖는 2방향 지진하중에 의한 교량의 지진응답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독립된 두 개의 직교축에 대해 수행된 1방향 지진해석으로부터 구한 결과(직교지진력의 조합에 의한 응답)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개발한 2방향 교량해석모형이 고량구조물의 2차원적 지진응답의 불규칙성을 잘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량구조물의 변위응답은 두 가지 지진해석방법에서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RC 교각의 복원력은 1방향 지진해석을 수행할 경우 상당히 과소평가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교량구조물의 내진안전성 평가시 교각에 작용되는 수평지진력이 중요한 해석변수가 되는 경우에는 2방향 지진하중에 의한 상세해석을 통한 충분한 검토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지상관측자료에 기초한 남한 전역의 지진 규모 및 발생빈도 분석

        이호민,백경록,김중훈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지진은 한 번의 발생으로도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와 더불어 사회 기능이 마비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한반도는 인접한 일본, 중국 등에 비해 지진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지역이라고 여겨져 왔기에, 각종 사회기반 시스템의 설계, 건설, 유지 및 관리에 있어서 과거에는 지진에 대한 충분한 대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대규모 인명피해를 유발한 지진에 대한 기록들이 한반도에도 상당수 존재하며, 최근들어 지진의 발생 빈도가 변화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한반도는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로 판단할 수 없으며 지진의 규모, 발생 확률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는 한반도 전역에 걸친 지진의 빈도해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사용된 자료 중 결측값이 존재하여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1978년 이후 남한 전역의 지상관측소에서 측정된 1,119 회의 지진 중 연 별 최대규모의 지진 자료를 추출하여 확률론적 분석기법인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확률분포함수로 Normal, 2 변수 Gamma, 3변수 Gamma,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Gumbel 분포형을 각각 적용하였으며, 모수 추정법으로는 적률법과 최우도법을 적용하여 재현기간 별로 예측되는 지진의 연최대 규모를 산정하였다. 또한, 도출된 확률분포함수의 적합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χ2(Chi-square) 검정과 K-S (Kolmogorov-Smirnov) 검정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적률법을 적용하여 도출한 2변수 Gamma 분포형을 한반도 지진자료에 대해 가장 적합한 분포형으로 선정할 수 있었다. 도출된 결과는 지진에 대한 확률론적 분석 자체로의 의미를 지님과 함께, 나아가 발생 가능한 미래의 지진 재해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상수도 시설물의 지진 취약도

        Changsoo Lee,Deasub Shin,Hodam Lee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시설물에 대해 손상단계를 기능수행과 붕괴방지로 나누고, 해외실측지진과 한반도형 인공지진에 대해 각각의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른 취약도 함수를 도출하였다. 손상단계 및 지반가속도를 이용하여 상수도시설물의 지진파에 따른 취약도 곡선을 도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해석결과, 도복장강관과 덕타일 주철관에 한반도형인공지진을 재하하는 경우, 해외실측지진을 재하하는 경우에 비하여 중앙값이 최소 0.1에서 최대 0.4까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한반도형 인공지진을 이용한 지진취약도 곡선은 국내실정에 맞는 합리적인 내진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failure of water supply facilities is categorized into two phases: functional failure and complete collapse. The fragility curve of water supply facilities under PGA has been developed for two loading cases: actual overseas earthquake and Korean artificial earthquake. The seismic fragility of water supply facilities has been analyzed and compared about failure phases and PGA.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probability of failure of the wrapped steel pipe and ductile case iron pipe under Korean artificial earthquake has been shown as lower than that under actual overseas earthquake in the range from 0.1 to 0.4. The suggested seismic fragility curve by using Korean artificial earthquake can be exploited in a reasonable seismic design reflecting Korean local ground condition.

      • KCI등재

        설계용 스펙트럼에 적합한 인공지진파에 의한 비선형 응답 특성의 분석

        전대한,강병두,김재웅 한국지진공학회 2006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0 No.5

        건축구조물의 비선형 지진응답해석에서 입력지진동은 구조물의 탄소성 지진응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지진동파형은 지진발생과 전파경로에 따른 여러 가지 인자에 의해 그 특성이 결정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지진응답해석에서 일반성을 갖는 입력지진동을 선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본 논문은 내진설계용 스펙트럼에 대응하는 인공지진동파형을 작성한 후, 작성된 인공지진동에 대한 탄소성 응답스펙트럼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여기서 작성된 인공지진동파형은 과거의 지진에서 얻어진 기록지진동파형을 이용하여 기록지진동과 동일한 위상각을 가지며, 감쇠정수 h=5%일 때의 내진설계용 스펙트럼과 거의 일치하도록 작성되었다. 작성된 인공지진동은 원 기록지진동과 동일한 위상각을 가지며, 주기 T=0.02{\sim}10.0sec 범위에서 설계용 스펙트럼과 매우 근접하게 작성되었다. 인공지진동을 입력한 1자유도계의 탄성 및 탄소성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여 탄소성 응답스펙트럼 및 탄소성 응답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작성된 인공지진동은 건축구조물의 탄소성 지진응답해석용 입력지진동으로 충분히 타당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In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building structures, the input ground accelerations have considerable effect on the nonlinear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s. The characteristics of soil and the locality of the site where those ground motions were recorded affect on the contents of earthquake wave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lect appropriate input ground motions for seismic response analysis. This study describes a generation of artificial earthquake wave compatible with seismic design spectrum, and also evaluates the nonlinear response spectra by the simulated earthquake motions. The artificial earthquake wave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viously recorded earthquake waves in past earthquake events. The artificial wave have identical phase angles to the recorded earthquake wave, and their overall response spectra are compatible with seismic design spectrum with 5% critical viscous damping. Each simulated earthquake wave has a identical phase angles to the original recorded ground acceleration, and match to design spectra in the range of period from 0.02 to 10.0 seconds. The seismic response analysis is performed to examine the nonlinear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DOF system subjected to the simulated earthquake waves. It was concluded that the artificial earthquake waves simulated in this paper are applicable as input ground motions for a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building structures.

      • 국내 화력발전소 지진감시시스템 구축

        김병철,연관희,신상철,양재열,김기석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국내외에서 발생하는 지진이 화력발전 설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지진발생 이후 후속조치 이행에 사용하기 위하여 5개 발전사의 22개소 화력발전소 중 8개소 화력발전소의 지진계측시스템을 재구축 하고, 14개소 화력발전소의 지진계측시스템을 신규로 구축하였다. 이러한 구축작업의 법령적 근거는 지진방재를 위하여 2009년 3월 25일 발효된 지진재해대책법과 소방방재청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운영기준[소방방재청 고시 제2013-12호, 2013.5.3, 일부개정] 이다. 지진계측장비로 지진기록계는 미국 Quanterra사의 Q330S, Q330+Baler44를 설치하였으며, 지진가속도센서는 미국 Kinemetrics사의 FBA ES-T, ES-U2를 설치하였다. 설치된 지진계측장비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성능검사를 받은 장비이며, 지진재해대책법 소방방재청고시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운영기준에서 제시한 규격에 모두 만족하는 장비이다. 지진모니터링 소프트웨어는 각 지진계측장비로부터 계측된 건물진동 및 지진가속도자료를 실시간 감시·저장, 트리거 구동, 자동·수동 분석, 자동경보 기능 및 지진가속도자료를 소방방재청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개발한 KISStool을 이용하여 구현하였고, 5개 발전사에서 계측된 지진가속도자료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Web 인터페이스로 개발하였다. 구축된 지진감시시스템은 화력발전소의 지진 재해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 체계를 정립하고, 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 지진에 대한 화력발전소 구조물의 설계기준 개선 등에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지진취약도분석을 통한 교량의 지진위험도 평가

        이진학,윤진영,윤정방 한국지진공학회 2004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8 No.6

        지진취약도 분석을 통하여 교량의 지진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지진취약도 분석에서는 교각 하부의 소성힌지의 거동을 주요 손상인자로 분석하였으며, 또한 한반도 지진재해지도를 근거로 하여 지진발생확률을 산정한 후 이들을 이용하여 교량의 성능단계에 따른 손상발생확률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각에 직접 전달되는 지진이 아닌 암반노두에서의 지진의 최대지반가속도에 대하여 지진취약도를 분석하였으며, 비선형 지진해석을 위해서는 층상지반의 영향으로 증폭된 지진하중을 고려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예제교량의 지진위험도를 분석하였으며, 면진받침이 설치된 교량에 대한 지진 위험도의 저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지진재해지도에서의 조건이 다른 지역에 시공되는 경우의 지진위험도를 분석함으로써 현 시방서의 타당성을 간접적으로 검토하였다. Seismic risk assessment of bridge is presented using fragility curves which represent the probability of damage of a structure virsus the peak ground acceleration. In theseismic fragility analysis, the structural damage is defined using the rotational ductility at the base of the bridge pier, which is obtained through nonlinear dynamic analysis for various input earthquakes. For the assessment of seismic risk of bridge, peak ground accelerations are obatined for various return periods from the seismic hazard map of Korea, which enables to calculate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peak ground acceleration. Combining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peak ground acceleration and the seismic fragility analysis, seismic risk assessment is performed. In this study, seismic fragility analysis is developed as a function of not the surface motion which the bridge actually suffers, but the rock outcrop motion which the aseismic design code is defined on, so that further analysis for the seismic hazard assessment may become available. Besides, the effects of the friction pot bearings and the friction pendulum bearings on the seismic fragility and risk analysis are examined. Lastly, three regions in Korea are considered and compared in the seismic risk assessment.

      • KCI등재

        Inelastic Response Spectra Due to the Weak Earthquakes Considering the Nonlinear Soft Soil Layer

        Kim Yong Seok 한국지진공학회 2003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7 No.4

        강진을 고려한 지진설계 규준은 약진지역에서는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을 수 있고,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성능기준 설계가 합리적인 지진설계를 위해서 중요하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연약지반 위에 놓인 단자유도계의 탄성, 비탄성 지진응답 해석을 지반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여 최대지진가속도를 0.07g와 0.11g로 조정한 11개 약진에 대해 수행하였다. 지진응답해석은 지반-구조물체계에 대해 유사 3차원 동적해석 프로그램으로 암반에 지진기록을 입력하여 한 단계에 일괄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고정지반이나 선형지반을 가정한 지진응답 스펙트럼은 구조물-지반체계의 실제적인 거동을 보여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리적인 지진설계를 위해서는 지진규준에 정해진 일상적인 설계절차에 다라서 수행하는 것보다 다른 성질을 가진 여러 지반에 대해서 성능기준 지진설계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약진을 받는 연약지반의 비선형성도 입력지진동을 증폭시켜 탄성, 비탄성 지진응답 스펙트럼에 심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그 현상은 특히 탄성 응답스펙트럼에서 두드러졌다. Seismic design codes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the strong earthquakes may result in unnecessary economical loss in the low seismic area, and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nce based design considering the soil-structure interaction is recognized for the reasonable seismic design. In this study. elastic and inelastic seismic response analyses of a single degree of freedom system on the soft soil layer were performed considering the nonlinearity of the soil for the 1 weak earthquakes scaled to the nominal peak accelerations of 0.07g and 0.11g. The seismic response analyses were performed in one step applying the earthquake motions to the bedrock, utilizing a pseudo 3-D dynamic analysis software of the soil-structure system.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eismic response spectra of a system assuming the rigid base or the linear soil layer does not represent the true behavior of a structure-soil 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nonlinear soil-structure interaction effects and to perform the performance based seismic design for the various soil layer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o follow the routine design procedures specified in the design codes for the reasonable seismic design. The nonlinearity of the soft soil excited with the weak seismic motions also affected significantly on the elastic and inelastic seismic response spectra of a system due to the nonlinear soil amplification of the earthquake motions, and it was pronounced especially for the elastic response spect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