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사대학당(京師大學堂) 학과제도(學科制度)의 설립과정(設立過程)과 `문학(文學)`의 위상(位相)

        류준필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中國文學 Vol.56 No.-

        1898年的≪籌議京師大學堂章程≫(梁啓超)在標榜“中西幷重”的同時, 建立了包含文學科在內的10個學科的知識體制。在這里, 文學的含義是被置于中西的交接点, 或者說是折中地帶的。文學是一個動搖于詞章與外國語(文)之間的槪念。1902年的≪欽定京師大學堂章程≫以日本的學制爲樣本, 將學問區分爲“政治科, 文學科, 格致科, 農業科, 商務科, 醫術科”等七個分科。在文學科中包含了“經學, 史學, 理學, 掌故學”。因此, 這里的文學是與中(國)學類似的槪念。1904年的≪奏定大學堂章程≫中又將文學科分爲經學科和文學科。文學科由“中國史學, 万國失學, 中外地理學, 中國文學, 英國文學, 法國文學, 日本文學”等構成。在這里“中國文學“第一次作爲獨立的知識而登場。而其內容也與傳統詞章(學)一致。在這種脈絡下, 也就構成了林傳甲的≪中國文學史≫。就這樣伴隨着“中國文學”這一知識在大學制度中基礎的奠定, 文學的含義逐漸與詞章學對峙, 幷逐漸變得明確起來。因這其中包含了中國文學史的基本構造, 之后應該如何規定“中國文學”內涵的問題也就自然而然地成了焦点。圍繞與系統指向相悖的傳統文論認識方法的論爭的爆發也正是源于此。經過之后的新文化運動, 以胡适等北京大學敎授陣容爲中心的中國近代文學硏究逐漸形成制度幷固定下來。

      • KCI등재

        확장과 영합 사이: 21세기 한국 중국어문학연구의 현주소

        양회석,김혜정 한국중국어문학회 2007 中國文學 Vol.52 No.-

        本文通過有關統計資料之分析而探討在韓國硏究中國語文學的情況。 其統計資料有兩種:其一是韓國有代表性的有關中國語文方面的兩種學術雜志(≪中國文學≫與≪中語中文學≫)所載的論文目錄, 其二是由韓國學術振興財團所選定, 獲得硏究基金而進行的項目目錄。 由此分析而得知幾條信息, 有: 1。 近五年的學術硏究成果的數量, 遠遠超過了1980年代和1990年代同一期間的總數。 2。 中國古典文學方面硏究的數量相對有所減少, 語言學和文化方面的硏究成果却相對增加了, 尤其是文化方面日趨急增。 3。 有不少硏究突破了旣有觀点和方法, 其表現相當可觀。 這些情況値得表揚, 但是, 也有些現象令人深思。 1。 有些硏究方向或方法已超過創新階段而甚至于有意獵奇。 2。 有些硏究(特別是文化方面硏究)過度重視實用, 希冀“見用于世”, 從而難免有出洋相之嫌。 新的硏究領域的“擴張”與對實用爲主的時代潮流的“迎合”, 這可以說是21世紀韓國中國語文學硏究的現狀。 在此場合, 我們有充分的必要去傾聽老子的諄諄敎誨:“旣知其子, 復守其母。”, 幷聆聽庄子的??話語:“无所可用, 安所困苦哉!”

      • KCI등재후보

        중국 조선족 아동문학 체계론

        김만석(Kim, Man-Suk)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4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초창기 한반도 프로아동문학과 순수아동문학의 영향을 동시에 받았다. 해방 초기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조선아동문학과 소련 사회주의 아동문학의 지배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창작되었다. 1950년대 후반기부터 중국 좌익의 범위 하에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중국의 계급주의아동문학, 정치아동문학의 영향을 받는다. 문화혁명 이후, 중국아동문학을 뒤따라 상처문학, 반성문학의 성격을 띠게 된다. 1990년대에 이르러 중국조선아동문학은 자기의 자주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나라 안팎의 여러 가지 아동문학의 장점을 널리 수용하여 자기 민족적인 특징을 살려 가면서 중국이라는 사회, 정치, 환경에 적응하는 독자적인 아동문학체계를 구축한 아동문학이 되었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그 대상을 소년, 아동으로 명확히 밝힌 아동문학이다. 그러면서 아동문학은 성인들이 소년아동을 신심이 건전한 사회성원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쓴 문학임을 강조하고 있다. 때문에 아동문학은 아이들 자신의 유치한 문학이 아니라 어른들과 아이들을 위한 고상한 문학인 것이다. 그리고 일본의 선진적인 아동문학이론을 수용한 중국아동문학리론체계를 받아들여 아동문학을 유년문학, 동년문학, 소년문학으로 나누고, 이 3단계 문학이 통합된 문학임을 선언한 문학이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동요, 동시, 동화, 우화, 이야기, 수필, 아동소설, 아동희곡. 텔레비영화문학 등으로 그 장르를 나누고 있다.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was affected by both early professional children literature of Korean Peninsula and pure childrens literature. In the early liberation,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had been created under Joseon childrens literature and socialism through Joseon and the Soviet Union. From the late of 1950s,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 under the leftist had been affected by childrens literature of classism in China and political childrens literature.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the literature indicated injury literature, reflection literature following Childrens literature of China. In 1990s,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made a step forward independence.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has reflected the good points and characterized their own ethnicity, so it has become independent childrens literature that has adapted to society, politics, environment in China.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has targeted for boys and children. In addition, adults have written them to bring up children as social members of sound body and mind. Therefore, childrens literature is not puerile but high-toned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theory system of China has accepted the advanced childrens literature theory of japan and it has combined 3 system; youth literature, young age literature, boys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genre of Ethnic Koreans categorizes into nursery song, nursery rhyme, fairy tale, fable, story, essay, childrens novel and television movie literature.

      • KCI등재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고전문학 수용 양상 연구 -설화 및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사동훼,정소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3

        본고는 그간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만 편중된 연구사에 주목하여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서 한국 고전문학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 는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와 달리 중국인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학습대상이 제한적이고 명확하다. 또한 중국은 중세문학사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기 때문에 현재는 한국의 고전문학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염두하며 논의를 진행하다. Ⅱ장에서는 중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재 4종을 대상으로 한국 고전문학의 수용 양상을 개관하다.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교재에는 고급 단계가 많지 않지만, 고급 교재가 있더라도 한국 고전문학은 중급 단계에 편중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설화나 설화 관련 작품이 가장 많이 실린 점에 주목하여 그 양상을 Ⅲ장 에서 자세히 검토하다. 그 결과, 한국 고전문학 못지않게 중국의 설화를 나란히 두거나, 때로는 중국의 설화 를 주된 본문 텍스트로 삼기까지 하는 등 한국어 교재라고 해도 실제 교수자나 학습자가 중국인인 점을 감안 하여 중국의 문학을 한국어로 바꾸거나 표현하는 데에도 적지 않게 관심을 두고 있는 점을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 얻은 성과는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 제기한 바,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고전문학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 그리고 중세문학사에서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깊었던 만큼 고전문학을 현대문학보다 더 쉽게 여기고 중급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다룬다는 점을 밝혔다. 무엇보다 한 국의 고전문학이 본문에 제시만 될 뿐이고 연습문제의 내용으로까지는 잘 다루어지지 않고 있고, 그에 비한다 면 중국의 고전문학이 상당한 비중을 가지고 다루어진다는 점,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중국의 세계화의 일환으 로서 중국 내에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confronts the predominant research bias with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historically centered on teaching materials originating from South Korea. We shift our focus to investigate how classical literature is introduced in Chinese-published Korean textbooks. Unlike Korean-published materials, Chinese-published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re designed exclusively for Chinese students. And discussed how China, which played a central role in medieval literature, perceive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Chapter II, we provide an overview of the percep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four kinds of widely-u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Although there are not many advanced textbooks edited and published by China itself, it can be seen that classical literature is mainly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textbooks. Furthermore, we observe that traditional stories and related works are most frequently included in the textbooks and delve into this in Chapter III. The results indicate that traditional Chinese narratives receive same level attention a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troduced in these materials. Some units are using traditional Chinese narratives as the main content. Given that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primarily Chinese, there is a notable interest in presenting Chinese literature in their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research findings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ly, as raised in the introduction, we have examined the recep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Chinese published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s not been specifically addressed so far; Secondly, we elucidate that due to the strong historical connec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medieval literary history, classical literature is emphasized as more accessible and commonly included at intermediate language learning levels comparing to modern literature; Lastly, we note that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 is only presented in the text and is rarely covered in exercises, whereas classical literature in China holds a considerable proportion. In conclusion, as a part of China’s globaliz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experiencing essential growth within China.

      • KCI등재

        ‘조선 작가’ 소설과 중국 현대문단의 시각

        신정호,이등연,송진한 한국중국소설학회 2003 中國小說論叢 Vol.18 No.-

        當前‘東亞’話語普遍流行, 不過考慮到20世紀東亞各國的文學交流由於意識型態未能充分展開的歷史, 可想而知所謂的‘東亞視覺’竝不是흔容易去重構或闡釋. 本文討論的問題基本上依據的是韓中國現代小說史有關的材料, 不過타仍然可以提供20世紀前半期韓中文化交流在內的東亞文化視覺一種. 韓中現代小說交流的硏究, 尤其中國境內漢譯出版的‘朝鮮作家’小說與其接受視覺, 對20世紀中國現代文學的重新檢討, 進而對包括重寫‘東亞文學論’在內的東亞文化討論可啓示許多斬新的視覺. 衆所周知, 20世紀亞洲各國的民族文學(國民文學)大半依고‘民族主義’思想産生竝發展, 尤其韓中兩國把對方的民族文學(國民文學)作成了本國民族文學(國民文學)發展的主要參照系. 中國文壇開始漢譯竝接受‘朝鮮(韓國)作家’小說作品始於20世紀30年代, 直到40年代初達到了高峰. 其中主要有三個不同理論基礎. 其一、 由胡風主導的‘弱小民族文學論’, 例如包括「黑手」(金永八)、 「鎔鑛爐」(宋影)、 「猫」(趙碧巖)、 「猪」(李孝石)、 「烏鴨」(李泰俊)、 「戰鬪」(樸英熙)、 「被驅逐的人們]」(張赫宙)、 「山靈」(張赫宙)、 「上墳去的男子」(張赫宙)、 「初陣」(李北鳴)、 「聲」(鄭遇尙) ; 其二、 東洋民間傳統題材反近代文學, 例如包括「姓權的那個家화」(張赫宙)、 「李致三」(張赫宙)、 「山狗」(張赫宙)、 『流蕩』(張赫宙)、 「富億女」(安壽吉)、 「赫色的山」(金東仁)、 「嘉實」(李光洙) ; 其三、 朝鮮殖民地新生代作家作品, 例如包括「月女」(金史良)與「福男伊」(兪鎭午). 漢譯接受的文學思想基礎而言, 可以說由胡風主導的‘弱小民族文學’類直接繼承了魯迅的現實主義精神, 령外東洋民間傳統題材的‘反近代’文學類, 可以說其思想成分有意無意之間深化了周作人的文學思想與東亞文化意識. 現代中國文壇對韓國現代小說之漢譯過程而言, 可發現兩種不同來源, 卽從朝鮮(韓國)文學朝鮮語作品之漢譯與朝鮮(韓國)文學日語作品之漢譯. 具體擧其作品而言, 前者有「黑手」、 「鎔鑛爐」、 「猫」、 「富億女」、 「赫色的山」、 「猪」、 「烏鴨」、 「嘉實」、 「戰鬪」; 後者有「被驅逐的人們]」、 「姓權的那個家화」、 「山靈」、 「上墳去的男子」、 「初陣」、 「聲」、 「李致三」、 「山狗」、 「月女」、 「福男伊」以及『流蕩』, 尤其「被驅逐的人們」、 「山靈」、 「上墳去的男子」、 「聲」、 「李致三」、 「山狗」、 「月女」、 「福男伊」以及『流蕩』等尙未存在韓文文本. 理所當然, 這種情況與朝鮮(韓國)殖民時期文化背景相存在著直接的關係. 筆者認爲, 亞洲現代文學硏究或重寫亞洲文學史討論應該重視以上介紹的現代文學交流之客觀歷史. 不容置疑, 這些問題的思考以及實踐應該從現代文化的載體文學文本探索, 尤其從當時亞洲各國所相互飜譯的小說文本著手. 眞正實踐這一大課業, 應該虛心硏究‘中國’(含‘滿洲國’和臺灣)現代文壇對韓國(朝鮮)現代文學的基本視覺, 竝同時兼顧當時在亞洲範圍內出現的殖民文學與其殖民性問題. 中國的‘韓國學’與韓國的‘中國學’, 也許從此可達到終極目標. 雖不能至, 心向往之.

      • KCI등재

        “进化”与“復古”之间

        ?知延(Ji-Yeon Han)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4

        본 논문은 첸중수의 초기 비평문 〈복고를 논하다(论復古)〉를 주요 논의대상으로 삼았다. 첸중수의 〈복고를 논하다〉는 궈샤오위(郭绍虞)의 《중국문학비평사(中国文学批评史》(1934)에 대한 비평문으로 1934년 10월 17일 《대공보(大公报)》 문예칼럼(文艺副刊)에발표되었다. 청년 시절 첸중수는 논문, 에세이, 서발(序跋), 서평 및 번역문 등 다양한 문체를 통해 중국과 서양문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첸중수 초기 문학비평의 주요 범주는 다름 아닌 자국의 고전문학이었으며, 이를 편의상 세부적으로 중국시, 중국문학사, 그리고 중국문학비평사로 나눌 수 있다. 첸중수는 자신의 독자적인 비평적 사유를 거침없이, 여과 없이 드러냄으로서 당시 주류(主流) 문화비평계와는 상이한 관점을 제시하였는데, 특히 본 논문의 주요 논의대상인 〈복고를 논하다〉가 이에 부합하고 있다. 비록 편폭은 짧지만 이 글에는 문학의 ‘복고’와 ‘혁명’에 관한 첸중수의 문학사관(文学史观)이여실히 반영되어 있다. 첸중수는 이 글에서 궈샤오위가 역사적 문학진화론에 입각하여 중국문학비평의 발전과정을 논한 점에 대해 일침을 가하고 반론을 제기했다. 주지할 점은 첸중수가 진화론 자체를 부정한 것이 아니라, 진화론이라는 이론을 중국문학사 및 중국문학비평사 연구에 적용시킨 점을 반대하였던 것이다. 또한 첸중수는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 중국의 전통문학관인 ‘언지(言志)’와 ‘재도(载道)’ 간의 ‘병행불패(竝行不悖)’를 구체적 논거로 들기도 하였다. 적어도 첸중수의 입장에서는 진화론이라는 과학적 프레임으로 타국의 문학이 아닌, 중국문학과 문학비평의 발전과정을 논하는 것은 지극히 ‘맹목적’ · ‘주관적’인 비평 행위였다. 더 나아가 이는 사리(事理)에도 맞지 않았을 뿐더러, 동서고금의 문예가 지닌 ‘보편적’ 규율에도 어긋나는 것이었다. 주지하듯이 사전적 의미에서의 ‘복고’와 ‘혁명’의 이면에는 복잡한 요소들, 즉 ‘과도기적’인 요소와 더불어 ‘중간적’ 요소 역시 내재되어 있는 바, 특히 중국문학의 ‘복고’와 ‘혁명’의 이면에는 이러한 요소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복고’에 대한 첸중수의 ‘해명’을 곱씹어보노라면 중국 문학전통에 대한 첸중수 자신의 아집이 엿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첸중수는 문학의 ‘복고’와 ‘혁명’의 장단(长短)이 아닌, 양자(两者) 사이에 함축되어 있는 ‘내적 모순’에 더욱 주목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내적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 쪽에 우선을 두거나 치우치지 않는, 또한 어느 한 쪽이 지배적이거나 결정적이지 않아야 했다. 따라서 첸중수는 양자(两者)에 ‘최대한’ 부합할 수 있는 ‘절충적’인 문학사관(文学史观)을 통해 문학의 ‘복고’와 ‘혁명’ 간의 내적 모순을 좀 더 유연하게 극복하고자 했다. 이러한 측면에서 첸중수의 〈복고를 논하다〉는 주류 담론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바를 끝까지 견지했던 인간 첸중수의 고집을 비롯하여, 당시 문학사적 과도기를 유연하게 대처하여 문학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고수하고자 했던 ‘비평가’ 첸중수의 비(非)주류적 감성과 독자적인 비평 스타일이 여실히 반영되어 있는 글이라는 점에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겠다. “Returning to the ancients” is an old and usual questions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Especially, there were a lot of argues between “Returning to the ancients” and “revolution” in the field of Chinese literature.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emphasized that focusing on the “Returning to the ancients”, and taking Qian Zhongshu錢鍾書’s essay called Returning to the ancients論復古 as the breakthrough point, it was written in 1934. This article was writing about the “Returning to the ancients” in Chinese literature. Through this article, Qian wants to convey his views on praise and criticize Guo Shaoyu郭紹虞’s basic pronouncements about “Returning to the ancients” from Guo’s book is called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ry criticism中國文學批評史. According to this point, this paper is consisted of foreword, two body chapters, conclusion and the references. Chapter one gave an introduction to this paper, including research motive, purpose of study, and reviewed the former research.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in chapter two, tried to discuss about Qian’s literature history view. Qian made a serious criticism of the theory of literature evolution, because it is based on merely one’s own supposition, Qian tried to prove the historical continuity between modem and traditional theories of literature, had its unique concept of literature history view in two ways: uneven comparison, juxtaposing the new and the old. In chapter three, this paper went on research text analysis and clarified the distinction between Qian and Guo’s opinion about “Returning to the ancients” and “revolution” in the field of Chinese literature. I noticed Qian has his own ideas about this problem, i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Qian is considered literary revolution is just a function, it has nothing to do with content and object; Second, “Returning to the ancients” is a revolution in itself; Third, the successful literary revolution has brought back some ancient ways, it means that it is not only overthrow the ancient times, but also pick up the another ancient times; Fourth, if we ignore national conservatism and its historical continuity, and introduce the new style & new ideas, this innovation will not be very successful. Qian has become very aware the inherent contradiction between “Returning to the ancients” and “revolution” in the field of Chinese literature. Qian opposed blindly advocating the theory of literature evolution, and don’t use their own standard to measure of literature value. It is a remarkable fact that Qian always pay attention to literariness and literature itself. That’s the way it is his early literary criticism and its implications.

      • KCI등재

        중국 조선족 문학연구의 필요성과 방향

        최병우 한중인문학회 2007 한중인문학연구 Vol.20 No.-

        중국조선족 문학은 중국조선족 연구자들과 일부 한국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을 뿐이다. 최근 재외한인 문학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공감하여 국제한인문학회가 결성되어 전 세계 한민족의 문학을 연구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해외한인 문학 중에서 한국문학 전공자가 우선적으로 다가서야 할 대상이 중국조선족 문학이다. 남북한 문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한반도 내에서 이루어지는 한민족의 문학을 정리하고 이와 함께 중국조선족 문학을 연구함으로써 한국문학 연구의 폭과 깊이를 더해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조선족 문학에 대한 연구가 나아갈 방향 몇 가지를 제시한다.첫째, 가장 먼저 추진되어야 할 일은 중국조선족 문학에 대한 자료 정리이다.둘째, 중국의 현대사와 관련하여 중국조선족 문학에 대한 새로운 읽기가 필요하다.셋째,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문학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넷째, 한중 수교가 중국조선족 문학에 미친 영향을 살피는 작업이다.다섯째, 점진적으로 중국조선족 문학에 대한 미학적 연구가 축적되어야 한다.여섯째, 남북한 문학 나아가 재외한인 문학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The Direc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the Literature of Choseonjok in China Choi, Byeong-woo Literature of Choseonjok in China has been studied only by Choseonjok researchers in China and some Korean researchers. Recently, with increasing necessity for research on overseas Korean literature,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s Abroad' has been organized as an effort to study overseas Korean literature.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the literature of Choseonjok in China is what Korean literature majors must approach in the first place. While research on South‐North Korean literature leads to the understanding of Korean people’s literature created within the Korean Peninsula, research on the literature of Choseonjok in China will bring us deeper and broader insight to Korean literature. Thus, the present study makes a number of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literature of Choseonjok in China. First, the first task to be done is sorting out materials related to the literature of Choseonjok in China. Second, we need to review the literature of Choseonjok in China in connection to the contemporary history of China. Third, there should be studies on the patterns of changes in Choseonjok literature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of China. Fourth, the effects of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on the literature of Choseonjok in China should be examined. Fifth, aesthetic researches on the literature of Choseonjok in China should be accumulated gradually. Sixth, comparative research is necessar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and furthermore between Korean literatur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overseas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중국 신문학사론의 양상 및 그 비판적 검토

        이욱연(李旭?)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서강인문논총 Vol.20 No.-

        이 연구는 중국 신문학사를 보는 대표적인 문학사관에 대한 비판적 검토이다. 개혁 개방 이전 중국 신문학사는 주로 중국 근대의 특수성에 초점을 두고 기술되어 왔다. 마오쩌둥의 신민주주의론에 입각해 중국 신문학사를 기술한다고 하였지만 실제 문학사 기술에서는 신민주주의 신문학사가 아니라 사회주의 시각에 입각한 사회주의 신문학사 기술이었다. 이에 대한 반발로 개혁개방 이후에 등장한 이른바 ‘20세기 문학론’은 계몽주의와 세계문학과의 교류를 강조하는 신문학사관으로서 중국 신문학을 현대화라는 시각에서만 바라본 채, 현대화에 대한 낭만적 동경 속에서 중국 신문학사를 기술하였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중국 신문학사 기술에서 크게 영향을 끼진 시아즈칭의 신문학사관은 서구 보편주의 입장에서 중국 신문학사를 기술하였다는 점에서 신민주주의 신문학사관과 정반대 지점에 서 있었지만, 보편성을 강조한 서구 중심주의에 빠져 나머지 중국 신문학의 고유한 특수성을 중국 신문학의 한계로만 평가는 극단적 입장에 치우쳤다. 중국 신문학사를 새롭게 쓰는 데 있어서 관건은 중국 현대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의 문제와 중국 근대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의 문제라고 하겠다.

      • 중국 학계의 윤동주 시 연구 경향과 그 의미

        조정 상명대학교 한중문화정보연구소 2021 中國地域文化硏究 Vol.14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research trends and meanings of Yun Dong-ju's poetry in Chinese academic circles in three aspects: Patriotic Literature, Minority Literature, and Modernist Literature. The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China also suffered the invasion of Japanese imperialism, like Korea, the most prominent thing in Chinese academia when looking at Yun Dong-ju was its "resistance" to imperialism. Moreover, since Chinese literature, which has grown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ist ideology, prioritizes the politics of literature, this is the strongest basis for advocating Yun Dong-ju's poem. In China, a socialist country, what the literature demands as a national ideology is a sense of class resistance along with patriotism. Among Chinese scholars, Yun Dong-ju's politics is derived from the viewpoint of resistanc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nd resistance against feudal forces including the exploiting class. What is remarkable here is that since socialism is based on atheism, even the religious elements of Yun Dong-ju's poems are read as a political metaphor. In addition, there is a view that reads Yun Dong-ju's resistance as resistance to everything that destroys the harmony of the world, and behind this, there is also a national voice of human destin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2012,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human destiny’ was first raised, and in a report of the 19th Party Congres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n 2017, peace was said to be a prerequisite for building a sense of community destiny for humanity. The view of Chinese scholars that this is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human destiny and community has not only expanded the range of resistance in Yun Dong-ju's poetry, but also had the effect of expanding the politics of Yun Dong-ju's poetry literature to the horizon of global universality. Since the 2000s, “Chinese” Koreans have emphasized their affinity with China, and national identity has been emphasized in front of national identity. As the psychological element of diaspora was attached to this, studies of Yun Dong-ju's poems as minority literature began to emerge. Until now, research on Yun Dong-ju's poetry as minority literature has been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o look into the life and works of Yun Dong-ju with the inclusion of Chinese literature in mind in a large frame, and the other is to approach the works centering on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the Korean-Chinese as a minority. Yun Dong-joo is a poet who receives special attention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and Japan, and in the case of China, he is a representative poet who has a special meaning when trying to embrace Chinese minority literature into the interior of Chinese literature. The study of Yun Dong-joo's poetry as a minority literature in Chinese academia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diaspora character of the Korean-Chinese group will give interesting implications to the Korean academia. The research on Yun Dong-ju's poetry as a modernist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study of imageism. In the 1930s and 40s, when poet Yun Dong-ju was active, a literary school called Modern Passi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It was a literary movement influenced by Western symbolism and imageism, but above all, the unique character of this school was the rediscovery of the tradition of imageism in the poetry of the Tang Dynasty including Lee Sang-eun. Therefore, in the discussions linking the poetry of Yongdong-ju with the modern poetry, the poetry of Yun Dong-ju and the traditional Chinese poetry are linked. There is no definite evidence that Yun Dong-ju introduced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poeticly, so even though it contains some leaps, it seems that a more in-depth discussion would be possible if we look into the case of Jung Ji-yong, who aroused poetic inspiration to Yun Dong-ju. In the future, I look forward to a more in-depth study of Yun Dong-ju's poetry while studying the image movement in Korea and the modernist literature movement in China from a comparative literary perspective. 본고에서는 애국주의문학, 소수민족문학, 현대주의문학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중국 학계의 윤동주 시 연구 경향과 그 의미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 또한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 제국주의의 침탈을 겪었기 때문에 중국 학계에서 윤동주 시를 바라볼 때 가장 부각한 것은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성’이었다. 더욱이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 아래 성장한 중국문학은 문학의 정치성을 우선하기 때문에 이 점은 윤동주 시를 옹호하는 가장 강력한 근거가 된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서 국가적 이데올로기로 문학에 요구하는 바는 애국주의와 더불어 계급적 저항의식이다. 중국학자 사이에서 윤동주의 정치성은 일제를 향한 저항성이라는 관점과 착취계급을 비롯한 봉건세력을 향한 저항성이라는 관점에서 도출된다. 여기에서 특기할 만한 것은 사회주의는 무신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윤동주 시의 종교적인 요소까지 정치적인 메타포로 읽는다는 점이다. 이외에도 윤동주의 저항성을 세상의 조화로움을 파괴시키는 모든 것을 향한 저항성으로 읽는 관점이 나타나는데, 이 또한 그 뒤에는 인류 운명 공동체 의식이라는 국가적 목소리가 깔려 있다. 2012년에 ‘인류 운명 공동체 의식’이 처음으로 제기되었고 2017년 중국공산당 제19차 당대회 보고에서 평화는 인류 운명 공동체 의식을 구축하는 일의 전제조건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인류 운명 공동체 의식과 연관된다는 중국 학자들의 관점은 윤동주 시의 저항성의 범위만 확대시킨 것이 아니라 윤동주 시 문학의 정치성을 세계적인 보편성의 지평으로 넓히는 효과를 가져왔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부터 ‘중국’조선족이라는 중국과의 친연성이 강조되었고 민족적 정체성 앞에 국가적 정체성을 부각시켰다. 여기에 디아스포라라는 심리적 요소가 결부되면서 소수민족문학으로서의 윤동주 시 연구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소수민족문학으로서의 윤동주 시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한 가지는 큰 틀에서 중국문학으로의 포섭을 염두에 두고서 윤동주의 생애와 작품을 들여다보는 것이고, 다른 한 가지는 소수민족으로서의 조선족의 독자성과 고유성을 중심으로 작품에 접근하는 것이다. 윤동주는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특별한 관심을 받는 시인이며 중국의 경우 중국 내 소수민족문학을 중국문학 내부로 끌어안고자 할 때 각별한 의미를 갖는 대표적인 시인이다. 중국 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수민족문학으로서의 윤동주 시 연구와 조선족이라는 집단의 디아스포라 성격의 역사적 맥락을 살피는 일은 한국 학계에도 흥미로운 시사점을 던져줄 것이다. 현대주의문학으로서의 윤동주 시 연구는 이미지즘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해왔다. 윤동주 시인이 활동하였던 1930-40년대에는 현대파시(現代派詩)라는 문학유파가 중국현대주의 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서구 상징주의와 이미지즘의 영향을 받은 문학운동이었지만, 무엇보다도 이 유파의 특이한 성격은 이상은(李商隐) 시를 비롯한 당(唐)대 시에서 이미지즘의 전통을 재발견한 것이었다. 따라서 현대파시(現代派詩)와 융동주 시를 연관시키는 논의들에서는 윤동주 시와 중국 한시 전통을 연결시킨다. 윤동주가 중국 고전문학을 시적으로 도입했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어서 다소간의 비약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윤동주에게 시적 감흥을 불러일으켰던 정지용의 경우와 함께 들여다본다면 좀 더 심층적인 논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한국의 이미지즘 시운동과 중국의 현대주의문학운동을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면서 윤동주 시에 대한 한층 더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6.25”전쟁과 남북분단에 대한 성찰과 문학적 서사 : 중국문학과 조선족문학을 중심으로

        김호웅(Jin Hu Xiong)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1 통일인문학 Vol.51 No.-

        “6.25”전쟁이 터진지 지 60년이 되고 휴전이 된지도 57년이 되었지만 이 전쟁의 당위성에 대한 중국정부 측의 견해에는 거의 변함이 없다. 민간에는 이 전쟁의 정의성 여부, 중국의 득과 실 등에 대해 찬반양론이 엇갈리고 있지만 미국의 일방주의논리에 의한 패권주의가 지속되는 한 이 전쟁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접근, 역사적 반성은 유보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정치적인 상황은 문학의 자유로운 표현을 제한하는 멍에의 구실을 하고 있다. “6.25”전쟁은 중국문학에 “항미원조문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열게 했다. “항미원조문학”은 중국 당대문학의 중요한 성과로 인정된다. 이 전쟁 초기부터 중국정부는 전국 군민을 단결해 전쟁의 승리를 쟁취하기 위해 중국 문인들의 협력을 요구했고 중국문인들도 무조건 정치성을 우선적인 자리에 놓고 중국인민지원군과 후방의 인민들이 보여준 애국주의, 국제주의, 혁명적 영웅주의정신을 찬미하는데 주력했다. 1978년 나온 위외의 『동방』은 이러한 정통적인 문학관을 대변한 작품이며 “항미원조전쟁”의 전반 과정을 예술적으로 집대성한 대작으로 평가된다. “항미원조전쟁”에 대한 새로운 탐구는 이 문학의 초창기부터 싹텄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쟁 에 의한 아름다운 것들의 소실, 즉 전쟁의 비인간성을 고발한 로령의 「저지대에서의 ‘전역’」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로령의 “온정주의(溫情主義)”는 “항미원조전쟁”의 현실과 저촉되고 군민의 의지와 사기를 떨어뜨릴 수 있었으므로 비판을 면치 못하게 된다. 이는 “항미원조문학”의 한차례 좌절이라고 하겠다. 새로운 역사시기에 와서 “6.25전쟁”에 관한 중국문학은 새로운 탐구의 조짐을 보인다. 작가들은 전쟁과 평화에 대한 새로운 사고를 하며 전쟁으로 인한 인간 운명의 변화, 보통 사병의 정신적 아름다움과 그들의 실존적 고뇌를 다루고 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냉전체재가 여러 민족공동체에 얼마나 큰 불행을 몰고 왔는가를 고발하면서 항구적인 평화를 갈구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6.25”전쟁을 다룬 중국소설도 점차 세계의 반전평화문학과 대화를 하고 있으며 새로운 전쟁문학의 공동 분모를 찾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중국정부 측의 공식적인 입장과 엘리트 및 문학자들 사이에 균열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고 하겠다. 조선족문학은 주로 장편소설의 형식이 아니라 단편소설의 형식으로 “6.25”전쟁과 남북분단의 아픔을 다루고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중국의 주류문학에 비해 훨씬 더 깊이 있는 반성과 성찰을 보여주고 있다. 일부 작품들은 “6.25”전쟁을 동서냉전체재의 대립에 의한 대리전쟁이고 그것은 동족상잔의 참극이었으며 이에 참여한 자신들을 두고 깊이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오랜 분단에 의해 이질화된 남과 북, 그리고 연변의 모습을 생생하게 증언함으로써 인문학적 통합의 필요성을 호소하고 있으며 반복적인 만남과 대화, 상호 이해와 존중을 통해 혈육의 정에 바탕을 둔 통합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lthough it has been 6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6.25”war and 57 years since the ceasing of the war, it has been consistent view of Chinese government that the war was righteous. There are two opposite opinions on the justice of the war, and on the gain and loss of China among civilians. However, unilateralism caused by the hegemony of the US prevents various perspectives and historical reflection on the war. Such political situation confines freedom of literary expression. “6.25” war opened the new field in Chinese literature--the literature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 It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achievement of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Concerted efforts of Chinese intellectuals are necessary in order to gain the victory of the war. Chinese intellectuals put political issues at the first place and wrote literary works praising the patriotism, internationalism and heroism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and Chinese people. Wei Wei’s Orient published in 1978 is not only the representative work, but also the artistic integration of the process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The exploration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from new perspective star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war literature. Lu Ling’s the Campaign on the Depression is an important work, exposing the inhumanity of the war which destroyed the beautiful things. However, it was criticised for its “excessive tenderheartedness” which was conflicted with the reality and shook the will and morale of the soldiers and civilians. So it can be seen as the setback of the literature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The literature regarding “6.25” war demonstrates new aspects in the new era, The authors reconsiders the issue of war and peace, and in their works, they deal with man’s change of fate because of the war, and spiritual beauty and existing affliction of ordinary soldiers. Especially, they expose the misery brought to national community by the Cold War after the World War II. At the same time, they show their yearning for permanent peace. In this regard, Chinese novels concerning “6.25” gradually have dialogue with world’s anti-war literature and seeks for common features with the new war literatur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concerning the war, there are two different opinions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and Chinese elite and authors. Literature of Korean Chinese deals with the pain of “6.25” war and the Division of Korea in the form of short stories other than novels. In spite of its limitation, it shows deeper 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comparing with main stream Chinese literature. Some works points out that “6.25” war is only the substitute of the Cold War between the East and West, and it is the war among its own people. The authors reflect on the fact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war. The works depicts vividly heterogenized North and South Korea caused by the Division of Korea over a long period, and they also give a vivid picture of the phase of Yanbian. In this way, they call upon the necessity of integration from the humanity perspective . They seek for a way of integration on the basis of blood ties through repetitive meetings and dialogues,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