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견기업 기술혁신 지원방안

        박찬수 ( Chan-soo Park ) 한국중견기업학회 2012 중견기업연구 Vol.3 No.2

        창업, 벤처기업이 중소·중견기업이 되고 나아가 대기업으로 발전해 나가는 자연스런 기업 성장생태계는 국가 경제의 지속 성장을 위한 핵심 동력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중견기업 부분이 병목 (bottleneck)이 되어 기업 성장 및 국가 발전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음은 주지하는 사실이다. 본 연구 에서는, 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정책을 다양하게 살펴본다. 단순한 경영 활동 지원이 아니라, 중장기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실현 가능한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직접적인 목표이며, 따라서 R&D 등 혁신 활동이 미래 경쟁력의 조석이라는 전제 하에 다양한 기술혁신 지원정책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한국의 중견기업은 매출액 1천~1천5백억원 구간에서 성장통을 겪고 있으며, 매출액 3천억원 이상의 기업군의 R&D 활동 저조로 성장잠재력이 불확실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대기업에 전속적인 납품 구조를 가질수록, R&D 투자 노력이 감소하는 특성이 나타났으며, 핵심 애로요인으로는 R&D 투자방향 설정의 문제와 고급 인력 부족 문제를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견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 지원정책 방안으로 크게 다음 6가지를 제안하였다. 중견기업 전용 R&D 연구소 설치를 통한 기술기획 및 연구기능 지원, 정부 R&D 사업의 부문별 타깃팅 강화, 지자체-중견기업-지역 대학이 연계된 R&D 인력개발 사업 추진, 중견기업 R&D 인력 대상의 공동 복지 프로그램 개발, CEO 인식 전환을 위한 교육 및 훈련 확대, 개방형 혁신의 인프라 지원 등이 제안 내용인데, 이를 통해 한국 중견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위한 씨앗이 뿌려지고, 글로벌 불황과 저성장의 늪에 빠지지 않고 한국 경제가 지속성장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novation policy tools for Korean hidden champions. It is well known that in the growth ladder of Korean enterprizes the areas of hidden champion (medium & high enterprizes) is the bottleneck, and to create jobs and reduce the widening gulf netween conglomerates and SMEs, strengthening those areas is taken for granted as a key driver of Korea economy’s sustainable growth. In this study, to support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hidden champions and national innovation ecosystem, especially to occupy the long-term competitive advantage, a wide variety of policies are explored. First, establishing research center exclusively used by Korean hidden champions is helpful to their innovation, technological planning and making future strategy. Sector-specific government R&D programs are probably useful policy instrument for their innovative activity. Linkage among the industry-local government-college could be effective for promoting R&D workforce. Government-supported common welfare system should be launched to attract global talents to Korean hidden champions. To change CEO’s perception about the inefficiency of R&D activity, addi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nitiated by the private association could be a relevant policy tool for increasing R&D investment. Building a joint platform for open innovation is necessary, especially providing a market and technology information in the developing countries like China, India, etc. Through all of these policies, future competitiveness of Korea’s hidden champions can be attained and hopefully it will be the seeds of national sustainable growth.

      • KCI등재

        중견기업법 상시화의 의의 및 향후 과제

        권용수 한국기업법학회 2023 企業法硏究 Vol.37 No.2

        Until the 2010s, Korea maintained a dichotomous classification system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nd large enterprises, and the government's corporate policy was focused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owever, amid a rapid change in the economic environment, there is a strong perception that "to create an engine for economic growth and boost economic vitality, it is necessary to support companies that have a large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such as job security". Based on this perception, the concept of a High Potential Enterprises(HPEs) that causes a crack in the previous dichotomous classification system entered the realm of law, and the ‘Special Act on the Growth Promotion a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was enacted as a 10-year temporary law. Special Act on the Growth Promotion a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aims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by establishing a corporate ecosystem that allows HPEs to grow into global professional companies by supporting them to grow and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Since its implementation in July 2014, this law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based on the spread of social awareness of the significance and need for support of HPEs, and recently, it has been converted to a Permanent Statute ahead of sunset in July 2024. Regarding this, there were also concerns that the continuation of the law, which assumes fostering and supporting HPEs, may affect the reduction of suppor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owever, the Special Act on the Growth Promotion a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has not resulted in reduced suppor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o far, and the significance and justification of Permanent Act are recognized in the following respects. Firstly, in terms of both economic growth and addressing social challenges, the significance of HPEs is recognized. However, there are many examples where their actual condition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MEs, and they experience the valley of death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market limitations. Therefore, the need for continuous nurturing and support is recognized. Secondly, the sunset provision of the Act could lead to confusion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numerous laws that incorporate the definition of HPEs from the Act. It is worth noting that there is a growing trend of legislation, including support and nurturing for HPEs, as the societal awareness of the significance and the need for support for HPEs continues to spread. Thirdly, the Special Act on the Growth Promotion a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is not intended to address temporary policy challenges, so it inherently differs from temporary legislation in that aspect. Considering the above, it can be positively evaluated that the Special Act on the Growth Promotion a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has been converted from the temporary Act to the regular permanent Act. However, in order for the Special Act on the Growth Promotion a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to effectively fulfill its purpose, several tasks need to be undertaken. These tasks include expanding the scope of the law, implementing effective policies for HPEs in accordance with the Act, and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enhancing support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HPEs. This paper briefly mentioned future tasks, and a systematic review of each issue is required in the future. 우리나라는 2010년대까지 중소기업과 대기업이라는 이분법적 분류체계를 유지해 왔고, 정부의기업 정책은 중소기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경제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경제성장의동력을 창출하고 경제 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을 벗어난 기업 중에서 고용안정 등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거나 혁신역량과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라는 인식이강해졌다. 이로부터 2011년 3월 산업발전법 개정 시에 종전의 이분법적 분류체계에 균열을 가져오는 중견기업이라는 개념이 법의 영역에 들어오게 되었고, 이후 10년 한시법으로 중견기업법이 제정되기에 이르렀다. 중견기업법은 초기중견기업의 성장통을 완화해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것을넘어서, 중견기업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지원을 통해 중견기업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기업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우리 경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중견기업법은 2014년 7월 시행된 이후 중견기업의 의의와 지원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확산을 토대로 개정을 거듭해 왔고, 2024년 7월 일몰을 앞둔 상황에서 상시법으로 전환되었다. 중견기업법의 상시화에 대해서는 중견기업 육성·지원을 상정하는 법의 존속이 중소기업 지원 축소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다. 그러나 중견기업법은 중소기업의 성장까지 시야에둔 법으로서 지금까지 중소기업의 지원 축소 등의 결과를 초래하지 않았고, 다음과 같은 점에서 상시화의 의의와 당위성이 인정된다. ① 중견기업은 경제성장과 사회적 과제 해소라는 측면에서 그의의가 인정되는 한편, 그 실질이 중소기업과 별반 다르지 않은 예가 많고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는과정에서 죽음의 계곡을 경험하므로 지속적인 육성·지원의 필요성이 인정된다는 점이다. ② 중견기업법의 일몰은 중견기업법의 중견기업 정의 규정을 준용하는 다수 법령의 해석·적용에 관계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중견기업의 의의와 지원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인식이 확산되면서 중견기업 지원·육성을 포함한 법령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는 것이다. ③ 중견기업법은 일시적으로 발생한 정책과제에 대처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애초부터 한시법과는 맞지 않는 면이 있다는 점이다.

      • 한국 중견기업정책의 비전과 발전방안

        표정호 ( Jeong-ho Pyo ) 한국중견기업학회 2011 중견기업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견기업의 전반적인 실상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원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해서 우리나라 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중견기업들은 ‘중소기업 지원, 대기업 규제’라는 이분법적 사고의 틀 속에서 지원과 보호를 받지 못하고 방치되는 어려움을 겪고 있어, 결과적으로 중견기업군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매우 취약한 수준이고, 중견기업들의 실상도 신 성장동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고, 인력확보와 판로확보, 신기술개발 등에서도 애로를 겪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인 비중에 비해 고용창출과 총수출 등에서 기여하는 바가 커서 육성여하에 따라서는 국가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이러한 실상과 특징을 보이는 원인은 크게 제도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 중견기업인 스스로의 문제, 대기업의 견제 등 4분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견기업 육성을 통한 정책비전을 무역2조 달러, 1인당 GDP 4만 달러시대 달성에 두고, 연도별 중견기업 수, World Class Leader기업 수, 일자리 창출 수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이러한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견기업으로의 성장촉진을 위한 제도 혁신, 중견기업의 혁신역량 강화, 중견기업지원 인프라 구축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oblems and the reality of the Korea Strong Medium Enterprises(KSME), and the policies to develop the KSME were suggested. KSME have been left off the list for support and protection under the dichotomous perception, the support for small enterprises and the restriction on major enterprises, which leads to the severe weakness of the KSME in quantity as well as in quality. In addition, they have been faced with difficulties to achieve a new growth power and human resources, to secure the market, and to give birth to a new technology. Considering that the KSME contribute toward the creation of jobs and exports relatively more than their proportion, they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potentially i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s economy. The reasons of the current status and the features were studied according to four sections, institutional factors, social factors, the enterpriser's own problem, and the protection of major enterpri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reasons, several measures including the system renovation for promoting the growth to KSME, the innovative capability reinforcement of KSM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infrastructure to support KSME, were suggested to accomplish the specific goals like the annual number of medium enterprises, the number of World Class Leader enterprises, and the number of created jobs, under the policy vision that the international trade amount of two trillion dollars and the GDP per capita of forty thousand dollars would be accomplished by the growth of KSME.

      • KCI등재후보

        중견기업의 글로벌마케팅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유승균(Yoo Seung-Gyun),박문서(Park Moon-Suh)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17 No.2

        세계시장에서 대기업을 뒷받침할 수 있는 우수한 역량을 가지고 있는 중견기업은 글로벌 리더로써 국내 기업의 국제경쟁력 증진을 이끌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한국경제는 중소기업ㆍ중견기업ㆍ대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그 중에서 중견기업의 성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가교역할로써 해외부품 의존도를 낮추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중소기업의 지속성장을 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중견기업의 형성과 발전은 국내 산업의 성장에 필요한 중요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견기업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마케팅을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견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다양한 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글로벌마케팅의 지원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중견기업이 가지고 있는 성장의 어려움과 경영상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중견기업이 히든 챔피언으로서 국제무대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글로벌마케팅 지원방안을 여러 측면에서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Medium Enterprises will be the driving force as a global leader in promoting the competitiveness. Moreove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edium enterprises need for growth of the domestic industry is important challenges. In this paper, a new type of medium enterprises focused on support for global marketing plan was to find a solution. To do this, look at the status of medium enterprises, conducted in various institutions and practices in support of global marketing was seen and growing medium enterprises have difficulties and management problems were investigated. Furthermore, medium enterprises to grow big enough to hidden champion support for the global marketing plan to review the various aspects presented.

      • KCI등재

        지역통상정보 : 국내 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복재 ( Park Bok Jae ),장선미 ( Chang Sun Mi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4 통상정보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위해 최근 활발하고 성공적인 중견기업 육성을 시도하고 있는 미국과 독일의 정책을 분석하였다. 국내 중견기업 수는 최근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주요 성장지표에 해당하는 매출·고용·수출 등의 평균값이 하락하였으며, 특히 R&D집약도가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독일은 중소기업 지원의 한 범주에서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으며, 특히 글로벌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국가의 중견기업관련 정책을 통한 우리나라 중견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은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중견기업 효율적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인프라의 확충 및 제도의 개선이다. 기업 성장을 위한 직접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창업활동을 장려하고 기업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본적인 역량에 집중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둘째, R&D와 창업 등을 위한 자금지원의 확대이다. 중견기업 육성책이 별도로 없는 국가들도 자금 부족으로 연구개발이나 사업화를 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중소기업들의 R&D활동에 대에 장기적인 지원이 경쟁력 있는 중견기업 양성의 핵심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현재 법제상 제시된 중견기업의 범위에 있어 보다 합리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중견기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지원책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업의 지배구조가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우리나라 중견기업을 중심으로-

        유명산,권기정 한국국제회계학회 2018 국제회계연구 Vol.0 No.77

        In order to find a new growth engine in Korea, in July 2014, the Special Act on Promotion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and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was enacted. However,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in Korea has been short, and many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value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firms, and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and analysis of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companie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value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firms, it is found that the share of major shareholder has significant negative effect within 5% range. Foreign ownership and institutional ownership have a positive (+) effect in the range of 1%.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by market type (KOSDAQ and securities market) show that the majority shareholding ratio is negative in the case of the KOSDAQ market but not significant, (-)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Foreign own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KOSDAQ market by 1% and the securities market by 5%. Regardless of the type of listed market, even in the case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 firms, the higher the foreign ownership rate, the higher the enterprise value of high potential enterprisesd firms. In the case of R & D intensity by market type, both the KOSDAQ market and the KOSPI marke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within 1% range, indicating that many high potential enterprises firms are using it as a means of generating revenue for companies through R & D develop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valu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Korea's high potential enterprises' promotion policy. 우리나라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 결국 2014년 7월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제정하여 중견기업지원에 법적인 토대를 마련하여 관련 정책들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중견기업이라는 개념이 도입 된 역사가 짧아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견기업의 지배구조와 기업가치의 관련성 살펴보고 중견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중견기업의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간의 실증 분석 결과 기업 대주주 지분율은 5% 범위 내에서 음(-)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인 지분율 및 기관투자자 지분율은 1% 범위 내에서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장유형별(코스닥시장과 코스피시장) 실증분석 결과는 대주주 지분율은 코스닥시장의 경우에는 음(-)의 값을 나타냈지만 유의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으나, 코스피시장의 중견기업은 5% 범위 내에서 음(-)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상반된 결과를 나타났다. 외국인 지분율은 코스닥시장은 1%, 코스피시장은 5% 범위 내에서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의 경우에도 상장시장유형에 상관없이 외국인지분율이 높으면 중견기업의 기업가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유형별 연구개발집약도의 경우에는 코스닥시장과 코스피시장 모두 1% 범위 내에서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많은 중견기업들이 R&D 개발을 통해 기업의 수익 창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의 특징을 살펴보면 기존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간의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연구대상을 중견기업에 한정하여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한 연구는 진행된 적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의 중견기업의 육성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 한다고 할 수 있다.

      • 중견기업의 회사채 발행현황과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정희준 ( Jeong Heejoon ) 한국중견기업학회 2022 중견기업연구 Vol.9 No.1

        우리나라 소 · 부 · 장산업 생태계의 중추이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는 국가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은 필수적 생산 요소인 자금조달에 있어 취약한 조건에 놓여 있다. 자본시장 접근성 한계로 중견기업이 겪게 되는 자금조달 수단의 다양성 부족은 자금조달 비용을 높일 뿐만 아니라 중견기업의 사업 성격과 추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연구는 중견기업이 자본시장을 통해 대규모로 장기자금을 조달하는 핵심 금융 수단인 회사채 발행 활성화를 위한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중견기업 중에는 자본시장을 이용할 수 있는 기업 규모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회사채를 발행하지 않는 외감기업들도 많이 존재한다. 이들을 중심으로 중견기업들이 회사채 시장을 원활히 활용할 수 있는 회사채 발행환경 개선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은행 담보대출과 경쟁 가능한 담보부사채 발행조건 개선, 중견기업전문 특화금융회사 지정 및 중견기업연합회의 역할 강화, 회사채 발행비용 절감, ESG경영환경 하에서의 회사채발행 능력 배양, QIB제도 및 ISA를 이용한 중견기업 회사채 수요처 발굴 등을 제안하였다. 이를 실현해 중견기업 회사채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법률, 제도 등에 대한 심화 검토의 필요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정책 구현이 요구된다. The middle market enterprises in Korea are the core of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and play the role of waist connecting the big companies and small-medium industry. Nevertheless, the middle market enterprises have been under the vulnerable conditions in financing, especially in terms of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The lack of diversity in financing methods experienced by middle market enterprises not only increases the cost of financing, but also affects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process of the middle market enterprises.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for revitalizing corporate bond issuance for middle market enterprises, which is a key financial means to raise long-term funds on a large scale through the capital market, and suggests policy directions to improve them. Among middle market enterprises,, there are many externally audited companies that do not issue corporate bonds even though they have a corporate size that can take advantage of the capital market. This study focuses the proposals to facilitate the issuance of corporate bonds by these externally audited companies. These include improving the issuance conditions of collateralized bonds that can compete with collateralized loans of commercial banks, designating a specialized financial companies for middle market enterprises and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Federation of Middle Market Enterpries, reducing corporate bond issuance costs, cultivating the ability to issue corporate bonds under ESG management environment, and using the QIB system and ISA. In order to realize these proposals and revitalize the corporate bond market for middle market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in-depth review of related laws and systems and to implement policies based on them.

      • KCI등재

        우리나라 중견기업의 고용창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상장 중견기업을 중심으로

        정호정,오세열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proposal is to search for determinants of job creation on listed ME (medium enterprises) between 2012-2014 in South Korea. Based on our empirical analysis, we found that the size of the company and its growth potential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on companies’ ability to create new jobs. But we couldn’t find the Gazelle effects in midsize companies.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the growth of the company and its capacity to create new jobs means that even a midsize company with a sizeable scale retains the ability to create more jobs if the firm has a high growth rate.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growth momentum above anything else. This also suggests that, in order to create new jobs, the government needs to focus on devising policy measures that support mid-sized companies as well as small businesses. In this light, the authorities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midsize companies could pursue sustained growth through R&D or by getting enough funds to help them grow. By doing so, they should create good quality jobs and set up a sound corporate ecosystem.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개년 간 상장 중견기업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중견기업의 고용창출 결정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규모와 성장성이 중견기업의 고용창출효과와 유의적인 정(+)의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중소기업과는 달리 중견기업에서 가젤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에 대한 기업규모 및 성장성과 고용창출효과와의 유의적 관계는 설립 후 상당한 기간이 경과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기업규모를 가진 중견기업이라도 성장성이 높은 기업이면 여전히 높은 고용창출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견기업의 고용창출은 무엇보다 성장 동력의 확보가 중요하며, 고용창출을 위해서는 중소기업 뿐 아니라 중견기업에 대해서도 정책적 관심을 가져야 함을 시사한다. 이런 관점에서 정책당국은 중견기업이 연구개발이나 성장자금조달 등의 활성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제반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이끌어내고 중소기업과 중견기업 모두 성장할 수 있는 건전한 기업생태계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중견기업법상 중견기업의 범위 및 지원방식에 대한 검토

        곽관훈 ( Kwak¸ Kwan-hoon ) 한국중견기업학회 2023 중견기업연구 Vol.10 No.1

        중견기업은 고용, 수출, 매출에 있어서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으며, 바이오헬스나 항공·드론, 시스템반도체 등 신산업 분야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혁신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주체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과 비교할 때 비교적 높은 임금과 좋은 고용환경을 제공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으며, 경제위기시 대내외 충격을 흡수하여 우리 경제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중견기업의 성장을 지원할 필요성이 존재하며, 정부 차원에서도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중견기업이 우리 경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2014년에는 중견기업의 지원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중견기업법이 제정되었다. 글로벌 경영환경이 다품종 소량생산에 강점이 있는 중견기업에게 유리하게 전개되는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산업발전법」상 규정만으로 국내 중견기업의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한 입법이라고 할 수 있다. 중견기업법의 제정은 중견기업의 성장에 있어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은 명확하나, 10년 한시법으로 제정됨에 따라 그 역할의 한계가 명확하였다. 이에 따라 중견기업법의 상시화에 대한 필요성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으며, 현 정부의 국정과제로 채택되기도 하였다. 그 결과 2023년 4월 18일 동법 개정을 통해 유효기간을 삭제하여 중견기업에 대한 상시적인 정책적 지원이 가능하게 되었다. 10년간 한시법으로 존재하였던 중견기업법이 상시화됨에 따라 법적 측면에서도 중견기업을 하나의 실체로서 인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즉, 과거 중소기업과 대기업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중소기업-중견기업-대기업’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기업 패러다임이 구축된 것이다. 그러나 현행 중견기업법이 중소기업이나 대기업과 명확히 구분되는 실체로서 정립되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향후 중견기업의 법적 개념 및 중견기업법의 법적 지위 등에 대해 본격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Middle-Standing Enterprises,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necessary.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improved various support systems and related laws since around 2010. For example, the Middle-Standing Enterprises Act,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asic law for Middle-Standing Enterprises, provides financial support, tax reductions and exemptions, and special cases regarding fairness of entrusted and entrusted transactions. Because Middle-Standing Enterprises, are important, the Middle-Standing Enterprises, Act was enacted in 2014. It was difficult to expect the growth of mid-sized companies only with the provisions of the Industrial Development Act. The Middle-Standing Enterprises Act created in this way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Middle-Standing Enterprises.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iddle-Standing Enterprises Act as a 10-year limited law, the limitations were clea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Middle-Standing Enterprises Act was recently changed into a standing law. With the regularization of Middle-Standing Enterprises Act, Middle-Standing Enterprises have also been recognized as legal entities.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future tasks of the Middle-Standing Enterprises Act. In particular,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the scope of Middle-Standing Enterprises and the support methods for Middle-Standing Enterprises.

      • 독일경제의 특성과 중견기업의 역할

        김영우 ( Young-woo Kim ),강성욱 ( Seong-uk Kang ) 한국중견기업학회 2013 중견기업연구 Vol.4 No.1

        글로벌 경제위기가 지속되면서 중견기업이 주목받고 있다. EU에서는 2003년부터 중소기업 중에서 규모가 크고 국제경쟁력을 갖춘 기업을 중견기업이라고 정의하고 이에 따른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야 본격적으로 중견기업에 대한 논의가 주목받는 이유는 독일의 경쟁력이 히든 챔피언에서 나온다는 연구결과, 기업의 생산양식이 다품종소량생산 및 모듈화로 전환되면서 중견기업의 중요성 증대, 중견기업의 고용창출 효과의 독보성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최근 독일의 경제성장은 2011년 기준으로 3% 성장으로 EU 경제권에서는 괄목할 만하다. Deloitte나 UN 산업개발기구 등에 의하면 독일의 제조업 경쟁력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나타난다. 이를 바탕으로 전통적으로 수출주도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견실한 중견기업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 독일연방통계청에 따르면 중견기업의 기준은 종업원 수 50명 이상 250명 미만인 기업군들로 구성되며 매출액기준으로는 1,000만 유로 이상 5,000만 유로 미만이다. 중견기업에 해당하는 기업수는 약 11만개에 달한다. 이들의 특성으로는 전문분야의 특화, 대외 지향성, 안정적 경영 3가지를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독일 정부는 이러한 중견기업의 장기성장을 위해 혁신을 통한 기술개발, 산학연 협력체제, 안정적 금융지원이라는 육성정책을 펼치고 있다. Despite of the recent world economic downturn, Germany has maintained its reputation as a manufacturing powerhouse by focusing on Mid-sized Enterprises(MSEs). The German economy is doing well in comparison with many advanced economies. This is causing people all around the world to take a particularly keen look at Germany, as especially at the “German Mittelstand” and its longstanding record of high export and employment. This paper summarise the factors which the German MSEs successful. The statistics on the German SMEs in this paper refer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either according to the German definition (up to 500 employees and up to €50m annual turnover) or according to the European definition (up to 250 employees or up €50m turnover). Direct comparisons are not always possible; the definition used is cited for each diagram. However, facts and figures alone are not enough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the German MSEs. Many of these successful enterprises are characterised by features like independence or family ownership. If one takes these features as criteria, the concept of German MSEs can also embrace larger companies. Many innovative German firms remain committed to the spirit of the German MSEs even after they have outgrown the traditional definitions of SMEs due to the success of their products and service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German MSEs will continue to contribute to growth, employment and prosperity in Germany. In the future, strong growth will be seen in the Germany manufacturing powerhouse and in the related companies which will in turn create more jobs. This repor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stent manufacture MSEs policy which the Korean government and companies should lea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