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기업집단 소속 공익법인의 계열사 주식보유규제의 개선방안

        곽관훈(Kwan-Hoon Kwak) 한국기업법학회 2015 企業法硏究 Vol.29 No.4

        국가에 의한 공익활동은 막대한 재정수요를 요구하게 되며, 이는 만성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국가에게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민간주도의 공익법인은 이러한 국가재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많은 국가들이 공익법인을 통한 개인 및 기업의 기부 및 공익활동 활성화를 위해 세제감면 혜택 등 다양한 제도적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최초에는 공익법인에 대해 출연하는 개인이나 기업의 재산에 대해 상속세 및 증여세를 면제하였다. 이는 공익법인에 대한 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그런데 재벌기업들이 이를 악용하여 상속세나 증여세의 부담을 회피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공익법인을 설립하거나, 공익법인을 지주회사화하여 계열회사를 지배하는 방법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1991년에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하 “구 상증세법”)’ 개정을 통해 공익법인이 보유하는 주식이 일정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대해서는 상속세 및 증여세를 부과하도록 하였다. 즉, 상증세의 부과를 통해 공익법인이 악용되는 사례를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하였으며, 이후 몇 차례 개정이 있었지만 현재까지 기본적 골격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증세법상 규제에 대해 두 가지의 상반된 견해가 대립되고 있다. 먼저 규제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현행 상증세법상 규제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주요 대기업들이 계열 공익법인을 통해 편법상속을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또 다른 견해는 상증세법상의 규제 때문에 기업 등이 기부를 꺼려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한다. 위 두 주장은 모두 일면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 공익법인에 대한 주식출연 문제는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라는 측면과 남용방지를 위한 규제강화라는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양자를 조화롭게 규제할 수 있는가이다. 이에 본 논문은 기부문화의 활성화라는 측면과 대기업집단에 의한 악용가능성 차단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is the legal persons, either as incorporated foundations or incorporated associations, with the purpose of conducting activities concerning aid or payment of school expenses, scholarships or research expenses, sciences and charitie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general interest of society. The value of any property contributed to any public service corporation shall not be included in the taxable value of donated property. However, that where the stocks of a domestic corporation are contributed to a public service corporation, etc., and the sum of the contributed stocks and any of the following stocks exceeds 5/100 (10/100 in cases of a conscientious public service corporation) of the total number of voting stock issued by the domestic corporation, an excess portion calculated shall be excluded from the taxable value of donated property. The Purpose of the restriction is to prevent evasive transfer wealth, management anomalies of public foundation, unfair market competition, and so on. There are two kinds of contradictory opinion on this regulation. The first is the increase in cases of misappropriation of large business groups, and therefore, the regul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e second opinion must deregulate, so reduce the contribution of the corporation. In this article, I will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for restrictions on subsidiaries stock ownership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belong to large business group at balanced perspective.

      • KCI등재

        인권경영의 법적 의미와 기업규제패러다임의 전환

        곽관훈(Kwan-Hoon Kwak) 한국기업법학회 2015 企業法硏究 Vol.29 No.1

        기업의 인권침해행위에 대한 규제는 오래 전부터 존재하였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국가들은 기업에 의한 인권침해행위를 법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하는 경우 엄격한 제재가 가해진다. 그러한 의미에서 기업에 있어 인권보호는 당연한 법적 의무이며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 UN이 기업과 인권에 관한 프레임워크를 발표하였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기준인 ISO 26000이 제정되면서 기업에 있어 인권은 새로운 의미로 다가오고 있다. 종래 기업은 출자자인 주주의 이익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따라서 좋은 물건을 만들어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 기업이 선한 기업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재무적으로 이익을 내는 기업이라 할지라도 그 과정에서 인권문제를 일으키는 기업의 경우 사회적 비난은 물론 매출감소 등으로 심각한 위기를 겪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기업입장에서 인권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은 리스크 관리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소가 된 것이다. 기업에 대한 인권경영의 요구는 법적 측면에서 볼 때는 기업규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종래 기업의 조직법적 관점은 주주중심의적 사고방식이 지배하고 있었다면, 인권경영은 이해관계자중심주의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회사법의 근본적인 관점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현행법의 경우 기업의 위법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사후적인 제재를 통한 규제가 중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인권침해를 예방하기 위한 규제는 사전 예방적인 규제가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행위자에 대한 규제가 아니라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규제로의 전환이 필요하게 된다. 많은 국가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기업의 인권경영이나 사회적 책임을 법정화하고 있으나 우리의 경우 아직 이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법적 측면에서 인권경영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향후 우리 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ncept of ‘Business and Human Rights’ is gaining growing attention across the world, and ‘Business and Human Rights’ has become a quite commonly used, familiar term. However, it is not easy to adopt a single definition of ‘Business and Human Rights’, as it literally means the responsibility of a corporation vis-a-vis in relation to the society that it belongs to. Since social conditions differ between countries and periods, corporate responsibility required by the society also takes different forms, making it very difficult to ascertain what the actual definition of ‘Business annd Human Rights’ is. However, when combining different conceptual definitions currently under discussion, ‘Business and Human Rights’ refers to an act of considering not only financial performance but also diverse aspects linked to environment, human rights in business operations. Difference may exist between countries and regions since some may place more focus on human rights or environment or value donation more than others. Demand for ‘Business and Human Rights’ management has recently entered a new phase. With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Implementing the United Nations ‘protect, Respect and Remedy’ Framework” and, there are on-going global efforts to standardize ‘Business and Human Rights’ practices. Although most of them are legally non-binding guidelin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to evaluate firms based on such guidelines. In other word, as firms without ‘Business and Human Rights’ engagement are not appreciated in the market, ‘Business and Human Rights’ is no longer an option but a critical factor for ensuring business survival and sustainable growth.

      • KCI등재

        일본의 집합소송 도입 논의 및 쟁점사항

        곽관훈 ( Kwan Hoon Kwak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3 상사판례연구 Vol.26 No.2

        In Japan, the bill to remedy the damage as consumers set to introduce a system to suit was recently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The main content on the lawsuit settlement was to collect opinions from various fields and ``The Act covering special cases in civil proceedings for the collective recovery of consumer`s property damages``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April 19, 2013. Although It is not yet passed the bill, the Japanese government is pushing the bill. This research aims to study on discussion about the introduction of a set of lawsuits in Japan. The full extent of the damage of all consumer is huge, but the damage of individual consumers is very small. Thus, There is little reason for consumers to lawsuit. There is no appropriate remedy to the consumer. To solve this problem, Japanese government to discuss the introduction of a new lawsuit began.

      • KCI등재

        기업가치향상을 위한 규제방안 -Soft Law를 중심으로-

        곽관훈 ( Kwak Kwan Hoon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1 상사판례연구 Vol.24 No.1

        The recent corporate scandals raise serious questions about the state of corporate regulations. Now, we realize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in regulating the corporation crim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punish the corporation only through the criminal laws. The aim of regulations on the corporation in the present day is deterrence role to an enterprise`s unlawful act and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However It is ineffective to deterrence role to an enterprise`s unlawful act, because corporation have been observed the regulations on it`s own intiative. The paradigm shift of the corporate regulation were the introduction of soft law. The term soft law refers to quasi-legal instruments which do not have any legally binding force, or whose binding force is somewhat weaker than the binding force of traditional law, often contrasted with soft law by being referred to as hard law. Traditionally, the term soft law is associated with international law, although more recently it has been transferred to other branches of domestic law as well. There is an important example of soft law, that is to say the ISO26000. ISO26000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giving guidance on SR. Sustainable business for organizations means not only providing products and services that satisfy the customer, and doing so without jeopardizing the environment, but also operating in a socially responsible manner. The guidance in ISO26000 draws on best practice developed by existing public and private sector SR initiatives. In this article, with these issues in mind, I would like to explore the paradigm shift of corporate regulation to enhance Corporate Value, specially focus on making the best use of the soft law.

      • KCI등재

        금융시장의 규제변화: 원칙중심규제의 도입 가능성

        곽관훈 ( Kwan Hoon Kwak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2 상사판례연구 Vol.25 No.3

        Principles-based regulation means moving away from dictating through detailed, prescriptive rules and supervisory actions how firms should operate their business(so-called ``rule-based regulation``). Financial markets are constantly changing. Continuous innovation and new product development are important ways in which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generates benefits for consumers and markets. It is important that regulation can respond rapidly to the pace of change in markets and so allow them to continue to develop for the benefit of their users. I believe regulation that focuses on outcomes rather than prescription is more likely to support this development and innovation. Any set prescriptive rules is unable to address changing markets circumstances and practices at all times, and it inevitably delays, and in some instances prevents, innovation. In quickly changing marketplace, principles are far more durable. Principles-based regulation means placing greater reliance on principles and outcome-focused, high-level rules as a means to drive at the regulatory aims we want to achieve, and less reliance on prescriptive rules. I believe that, in many circumstance, the economic and business interests of firms` senior management and their Boards and shareholders can be aligned more effectively with our regulatory goals through a principles-based approach. And I believe that this regulatory approach will result in an industry that deals with regulatory issues in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way.

      • KCI등재

        다단계판매산업 규제의 합리적 개선방안

        곽관훈 ( Kwak Kwan-hoon ) 한국유통법학회 2017 유통법연구 Vol.4 No.1

        다단계판매 방식은 소비자가 상품이 준비된 상점을 찾아서 구매하는 전통적인 판매방식과는 다른 특수한 판매방식이었다. 따라서 기존 판매방식과 다르게 특수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새로운 판매방식은 소비자가 상품구입의사를 가지고 선택하여 구매하는 것과 달리 구매의사가 없는 상황에서 판매자의 방문이나 전화를 통해 상품구입을 권유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만적이거나 구매를 강요하는 판매방식이 사용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에 따라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그러한 내용을 방문판매법에 마련한 것이다. 그러나 법 제정 이후 25년이 지난 오늘날 다단계판매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많이 변화하였다. 현재 다단계판매시장은 세계 3위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다단계판매원으로 종사하고 있는 국민의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에 문제가 되었던 정보비대칭 문제도 상당정도 해소가 되었으며, 성공적인 국내 다단계업체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다단계판매산업의 규모가 확대되고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우리는 다단계판매를 문제가 많은 특수한 판매의 형태로 인식하고 있다. 그 결과 다단계판매산업에 대한 과도한 규제가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단계판매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국가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규제는 과거 25년 전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 아쉽다. 본 논문에서는 다단계판매산업 규제의 문제점 중 특히 등록증 및 수첩의 전자화 문제 및 신고의무에 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시대와 상황에 변화에 따른 다단계판매산업 규제의 합리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하고자 한다. Multi-Level Marketing are a special type of sales that is different from existing sales metho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gulate more strictly than existing regulations of general sales method. The general sales method is that the consumer goes to the seller and makes a purchase, however, Multi-Level Marketing come from the seller to the consumer. Therefore, there is a high risk that mis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consumers. Thus, regulators have strictly regulated Multi-Level Marketing. However, the law about Multi-Level Marketing was enacted 25 years ago, and the economic environment has changed a lot. Currently, Multi-Level Marketing are ranked third in the world,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engaged in Multi-Level Marketing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 has also been solv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spite the evolution of this Multi-Level Marketing, it still recognizes special sales that are multifaceted and problematic. As a result, it seems that excessive regulation on Multi-Level Marketing continues, Therefore, the Multi-Level Marketing has not been developed.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problems of the regulation of Multi-Level Marketing, especially the issue of registration and the electronicization of Registration certificate and the reporting duty of multi-level salesperson. In addition, we will examine the rationalization of Multi-Level Marketing industry regul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imes and circumstances.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사업자와 상거래법제

        곽관훈(Kwan-Hoon Kwak) 한국기업법학회 2018 企業法硏究 Vol.32 No.1

        온라인플랫폼은 ‘양면시장(two-sided market)’으로서 플랫폼사업자가 두 종류 이상의 이질적 그룹에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용자들은 플랫폼을 통해 상대방 그룹과 거래하거나 상호작용하면서 경제적 가치나 편익을 창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스마트폰의 성장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양면시장이 계속 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배달앱서비스나 택시앱서비스와 같은 ‘O2O(Online to Offline) 비즈니스’이다. 온라인 플랫폼에 의해 형성되는 양면시장은 기존의 단면시장과는 매우 다른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단면시장에서 적용되는 경제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수요와 공급이라는 기준만으로 가격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플랫폼 운영자가 각 집단의 수요탄력성을 고려하여 한 측면에 더 요금을 부과하고 다른 측면에서 지불하는 가격을 그 만큼 감소시킬 때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즉, 이질적인 집단이 참여함에 따라 가격정책도 이질적으로 나타나는 등 기존의 단면시장과는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면, 당사자간의 법률관계도 그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O2O를 전제로 볼 때 거래의 당사자는 (ⅰ) 공급자인 사업자와 (ⅱ) 수요자인 소비자 외에 (ⅲ)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로 구분된다. 이때 공급자와 플랫폼사업자의 관계와 수요자와 플랫폼 사업자의 관계는 근본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법적규제도 법률관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달라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행법의 경우 소비자와 관계에 대해서만 규율하고 있고 상인인 공급자와 상인인 플랫폼사업자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별다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플랫폼을 둘러싼 당사자간의 법률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특히 상인인 공급자와 상인인 온라인플랫폼 사업자와 관계정립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Transactions using online platforms are on the rise. The online platform is a two-sided market and differs from the existing market. The platform provider provides the platform to two or more heterogeneous groups, and the users use platform k to deal with the other party. With the growth of smart phones, a new type of double-sided market continues to emerge. A typical example is ‘O2O (Online to Offline) business’ such as delivery app service or taxi app service. The two - sided market formed by the online platform is ver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 sided market, and the economic principles applied in the cross - sectional market are often not applied. In particular, the price is not formed solely on the basis of demand and supply, but when the platform operator charges the fee on one side in consideration of the demand elasticity of each group and decreases the price paid on the other side, There are also cases. In other words, price policy is heterogeneous due to participation of heterogeneous groups.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will change accordingly give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platform. O2O business assumes that the parties involved in the transaction are: (i) the supplier, (ii) the consumer, and (iii) the online platform operat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ier and the platform provid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platform provider must be different. Therefore, legal regulations should be chang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gal relations. However, in the case of the current law, it regulates only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sumer, and there is no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ier as a merchant and the platform operator as a merchant.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involved in the online platform and examine the direction that should be taken in order to establish relations with the online platform provider as a merchant.

      • KCI등재

        중소기업의 구조조정 활성화 방안

        곽관훈(Kwan-Hoon Kwak) 한국기업법학회 2012 企業法硏究 Vol.26 No.3

        This article is attempts to study on the revitalization for the restructuring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in Korea.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fallen into the category of marginal company, should restructure including cost management strategies, concentration on core business and reduction of debt ration. But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still reluctant to restructure their company and business on account of wrong recognition of corporate restructuring and insufficient policy and legal system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attract voluntary corporate restructuring from improperly-run small and medium enterprise. The government of Japan should take some drastic measures to revitalize the ailing economy, specially to establish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Vitality of Industry’ in 1999. This act aimed at easing of restrictions for corporation is significant for reforming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restructuring policy in Korea. And it is possible that marginal small and medium enterprise change the type of organization, for example social enterprise or cooperative association for maintenance of employment.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xplore the revitalization for the corporate restructuring policy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in Korea.

      • KCI등재

        핀테크 관련 국내법제의 현황과 과제

        곽관훈(Kwak, Kwan-Ho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江原法學 Vol.49 No.-

        핀테크는 금융과 ICT 기술이 융합하여 기존보다 낮은 비용과 효율적 서비스로 더 높은 고객가치를 만들어내는 사업을 통칭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4년 5월 금융위원회가 공인인증서 의무사용 제도를 폐지하면서 본격적으로 핀테크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핀테크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아직도 미흡하는 지적들이 적지 않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우리나라의 경우 세부적으로 규제를 일일이 나열하고 사전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는 포지티브(positive)원칙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이 핀테크 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지적받고 있다. 법적 측면에서도 핀테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다만 주의할 점은 금융시장에 대한 규제 측면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의 특성을 고려할 때 고객이 신뢰하지 못하는 핀테크 산업이 성장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 규제를 완화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규제공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대안이 제시되는 필요하다. 먼저, 신기술 및 신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하는 경우, 이에 대한 규제가 모호하거나 현행법상 허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업 스스로 대안을 제시하고 특례를 요구하도록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신속하게 신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대안도 함께 제시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아울러 핀테크에 적합하지 않은 금융시장 규제의 완화는 제도의 근본적인 취지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규제의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핀테크 산업이라는 이유만으로 규제를 완화한다면 그로 인한 부작용의 발생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핀테크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한된 범위 내에서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Fintech" is a combination of Finance and Technology, dealing with the new IT technology related to financial services. The recent finance and technology coined Fintech has emerged as a major concern. The key point of Fintech is trying to provide a convenient financial service differentiated from our traditional financial transation by the ICT technology. We must improve the laws to enable the FinTech Industry. First,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has been improved through deregulation. Second, Crowd funding is used for diverse meanings in practi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its operating mechanism as an alternative fundraising tool for the SMEs. Theref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rowdfunding system. Third, as commercial companies using Big Data, one of the most common legal issues will be customers" privacy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forth, big data is closely related to customers and other interesting parties. Nevertheless, the scope of the current study is limited to utilization of Big Data by commercial companies and privacy 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 this article, with these issues in mind, I would like to explor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Acts about Fintech in our nation. And then, I would try to examine improvement of the Acts about Fintech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