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속보호체계형 은퇴주거단지 내 지역사회 연계형 공용공간의계획과 디자인

        김미희 한국주거학회 2018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9 No.6

        The paper presented here is concerned with planning and design of the common spaces for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CCRCs). More specifically, the aims are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common spaces are desirable to be open to the community and then to propose an ideal layout of the common space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from March to early May in 2018, with a group of thirteen experts specialized in senior housing or social welfare. The findings from this are as follows: 1) In independent housing, walking trail, the library, auditorium, and fitness center are considered to be most desirable to be open. Whereas, the library and auditorium are most desirable in assisted living and nursing home. 2) In planning of independent housing, common spaces are proposed to be grouped together of similar activities to secure the privacy of individual housing units and also to promote the social interactions of residents. In planning of assisted living and nursing home, these are then proposed to be scattered as small groups and placed close to individual housing units. 3) When running such open common spaces, it was finally suggested that external users should be accessed upon registration and reservations with fees; and the service should be operated by a professional management agency. 노인시설 중의 하나인 연속보호체계형 은퇴주거단지(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CCRCs)의 공용공간은 로비나 라운지, 도서실, 다목적 홀 등으로 구성되고 commom space로 불리운다. 이러한 공용공간의 공간구성방식은 거주자의 활동 특성과 교류형태에 영향을 미치므로 단순히 공간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거주노인의 사회적 교류와 참여를 독려하는 공용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은퇴주거단지 내 공용공간의 계획과 디자인을 위하여 CCRCs 내 자립주거와 생활보조주거 및 요양시설 각각에 필요한 공용공간의 종류를 파악하고, 공간구성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공용공간의 배치와 분산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공용공간이 지역사회와의 연계되기 위해서 요구되는 공간구성의 특성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델파이(Delphi)조사를 활용하였는데 조사대상은 노인복지 및 설계전문가 등 13명으로 구성하였다. 1차 조사는 2018년 3월 5일부터 3월 31일까지, 2차 조사는 2018년 4월 23일부터 5월 8일까지 이루어졌다. 조사내용은 1) 공용공간의 중요성과 지역사회에 개방할 경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공용공간, 2) 노인시설 공용공간의 최근 디자인 트랜드, 3) 공용공간의 배치와 분산형태, 4) 노인시설이 지역사회 연계형으로서 개발 될 경우 일반 노인시설과 다른 공용공간의 디자인 특성과 운영방안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첫째, 전문가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립주거의 공용공간은 산책로, 클럽라운지, 의료시설, 피트니스센터, 사우나, 디너식당 등이었는데, 클럽라운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공용공간이 개방되어도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생활보조주거 및 요양시설에서 비교적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용공간은 의료시설, 산책로, 상담실, 미용실, 종교모임장소 등이었고. 개방할 경우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시설은 강당, 도서관 등이었다. 둘째,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노인시설의 공용공간의 디자인의 최근 트랜드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배려’,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확보’, ‘건강증진 및 여가활동 공간 추구’, 그리고 ‘자연 친화형 및 지역사회 통합형 디자인’이었다. 셋째, 전문가들은 자립주거의 공용공간에서는 유사활동을 그룹화하여 소규모로 분산배치하고, 자립주거의 시각적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며 사회적 교류를 유도하는 디자인과 지역사회와 소통이 가능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위치을 바람직하게 여겼다. 반면에 생활보조주거 및 요양시설의 공용공간은 별도의 커뮤니티 동을 두지 않고 거주공간 가까이 주거 동 내부에 소규모 스케일로 분산 배치하는 디자인을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넷째, 일반 노인시설과는 다르게 지역사회 연계시키는 경우에 자립주거의 공용공간의 디자인은 거주자의 프라이버시 보장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외부인이 접근하기 편리하도록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보조주거 및 요양시설 역시, 거주자의 안전과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보장하면서 거주자와 외부인간의 영역과 출입동선을 분리하는 디자인이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용공간을 지역사회에 개방할 경우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바람직한 운영방안은 무엇보다도 거주자를 우선적으로 배려할 수 있는 시설과 프로그램을 개발시키는 것이었다.

      • KCI등재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관한 연구

        박항섭,김용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안도 다다오는 초기 주거건축에서부터 그의 건축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한 주택작품으로 건축가의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안도는 건축의 시작부터 일본의 전통성과 합리적 모더니즘을 동시에 내포하는 건축을 시도하였으며, 안도 건축의 특징으로는 노출콘크리트, 기하학 구성, 자연의 도입 등을 언급한다. 안도의 주택에는 보편적으로 모더니즘, 노출 콘크리트, 간결한 소재사용과 단순 기하학 구성, 중정과 자연의 도입, 비움과 풍요로움, 비연속적인 동선, 지역성과 인간의 삶, 일본 전통성의 접목, 낭비함이 없는 치밀한 디자인 등이 반영된 안도만의 건축 언어를 내재시키고 있다. 안도의 주거건축에는 건축적인 사고가 투영되어 있으며, 연출적인 공간구성과 동선을 관계시킨다. 본 연구는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역할을 밝히는 데에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의 연구 및 설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을 조사 분석하여 그에 대한 특성과 상호간의 관련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서 안도의 주거를 선별하여 문헌적인 고찰과 다양한 자료의 조사, 부분적인 답사 등을 바탕으로 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특이성을 제시하려 한다. 연구대상이 되는 주거는 안도의 대표되는 주거작품을 단독주택으로 한정하여 연대별과 공간구성의 특이성으로 평가된 주택을 선별하였으며, 그 대상의 주택으로는 스미요시 나가야 주택(Sumiyoshi-Azuma House, 1975-1976), 기도사키 주택(Kidosaki House, 1982-1985), 나카야마 주택(Nakayama House, 1983-1985), 고시노 주택(Koshino House, 1983-1984), 이씨 주택(Lee House, 1991-1992), 히라노 주택(Hirano House, 1995-1996)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의 진행은 첫째, 안도의 주거에 대한 사고를 고찰하고 둘째, 안도의 전반적인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조사와 특징을 제시하며 셋째, 선별된 각 주거별에 따른 사례를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며, 끝으로 이러한 과정으로 추출되어진 내용들을 정리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6개의 주택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고, 사례분석에서 추출한 내용들을 공간구성과 동선체계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공간구성은 에워쌈과 내부 중심적 공간, 형태성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하였으며, 동선체계는 외벽과 출입동선,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정리하였다. 또한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주택을 공간구성의 특징, 동선의 특징, 주거의 형태성 등으로 구분하여 표로서 종합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징으로 추출한 결론은 첫째, 에워쌈과 개방적 내부공간 연출이고 둘째, 내부 중심적 공간구성이며 셋째, 빛과 공간구성이며 넷째,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삽입이며 다섯째, 외벽과 출입동선의 유도이며 여섯째, 주거건축에 가구의 적극적 도입 등이다.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의 주거공간에 건축적 신념과 공간의 연출과 의도, 자연 등이 어떠한 방법으로 접목되어 있는가를 밝히는 데에 연구의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 연구 및 설계에 실무적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ndo Tadao became famous by build things based on architectural concepts he learned from early housing construction. From the beginning, Ando attempted to create architecture that simultaneously incorporated Japanese traditions and rational modernism, as well as features of relief architecture, including exposed concrete, geometry and the introduction of nature. Ando’s housing embodies his architectural language of modernism, exposed concrete, simple ingredients, and simple geometry, the introduction of nature, the opacity of poverty, the richness of human nature, the ga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the refinement of Japanese heritage. The work of Ando has an architectural mindset that directly relates to spatial composition and transfer. The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housing architecture, and hopes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Method) Based on research into and investiga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composition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the study aims to propose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housing based on research into various materials and research. Houses were screened for housing projects that were designated as single residences, based on detached dwelling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housing and spatial composition, and the homes of the residents of SumiyoshI-Zuuma House, 1975 and 1985 (Kidosaki House, 1982-1985), the Archaeological Site of Nakayama (Republic of Korea), and the Gosino were selected. The research method was to examine the dwelling, and to presen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overall residence of Ando, to derive the overall outcome of the housing construction by analyzing the overall housing of the screened out housing according to the screening and analysis of each derived dwelling. (Results) In order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was analyzed, and th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case analysis were analyzed separate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irculation System. The spatial organization was reclassified as bounded by surrounding areas, and was reclassified as the outer area, and the Circulation System was reclassified to the outer walls, the entrance lines, the direction of circulation and the vertical circulation.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se contents, the classification of houses was organized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ssel, the morphology of the dwelling, etc. (Conclusions) Firs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was identified. Seco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interior was identified. Third, the vertical circulation was identified. Fourth, the entrance to the interior of the hous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furniture was done. The study focuses on how to incorporate architectural beliefs and intentions into the residential space of Ando Tadao's residential space, and the ideas and intentions. I hope that these studies will be practical for the study and for designing residential buildings.

      • KCI등재후보

        소통하는 주거공간 디자인을 위한 경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변은영,김주연,하은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3

        이 논문은 거주성이 상실된 현대 사회에서 주거공간의 요구를 분석하고 거주성이 회복된 주거공간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화, 산업화, 개인화는 주거공간을 단절시키고, 주거공간의 본질보다 경제적, 기능적 측면이 중시되며 본래적 거주성은 상실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거주성의 회복 방안으로 자연, 사회, 인간과의 소통 체계로서 주거공간을 지향한다. 주거공간에 대한 사회적 현황 분석과 담론의 해석을 통해 주거공간의 본래적 의미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주거공간의 실현방안으로써 소통하는 경계를 인식, 영역, 관계의 확장이라는 세 가지 구조로 분석한다. 사례 분석을 통해 소통을 지향하는 경계의 구축 방법과 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소통하는 주거공간이 가변적이고 투명하며 이동가능한 양상으로 구축되고 자연, 인간, 사회와 소통을 유도하여 거주성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며, 인간의 존재 방식에 기반하면서도 현대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주거공간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a Dwelling space and to realize it in a modern society where the authentic meaning of a Dwelling is lost. A Dwelling space has been separated due to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personalization. As its economical and functional aspects have been emphasized, a Dwelling space has lost its authentic mea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a Dwelling space should interact with nature, humans and society as a means of restoring its original concept. The authentic meaning of a Dwelling space is construed by analyzing social status and interpreting the discourse about what a dwelling space is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the structures of an interactive boundary, as ways of realizing Dwelling space, are analyzed in three ways: the expansion of cognition, area and relation. The construction method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active oriented boundary are considered through case studies. The interactive Dwelling space is constructed on a flexible, transparent and movable basis, and contributes to restoring the authentic Dwelling by inducing interaction with nature, humans and society. This study finds a way to achieve the directionality of a Dwelling space which is based on the way of being of humans and corresponds to the changes of today's modern society.

      • KCI등재

        서울시 1인 청년주택의 공간디자인 연구

        강성묵,윤재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도시에서는 1인 가구의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시는 경제 및 문화 중심지로서 청년들의 주거 수요가 높은 도시이다. 1인 가구 급증에 따라 청년주택의 공급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주거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거공간은 기존의 주거공간과는 다른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현재 재화와 서비스를 공유하는 공유경제 안에서 살고 있다. 주거역시 공유하는 형태로 발전하여 개인 주거공간과 공유공간이 접목된 청년주택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에 따라 1인 청년주택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청년들에게 적합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필요하며 청년주택의 방향성과 미래를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청년주택에 미래 수요자인 청년들을 위한 공유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임대주택에 대한 거주민의 공간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주거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질적 수요자인 청년 인 가구의 공간 요구를 충족할 1-2인 가구의 공간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라이프 스타일과 공유공간의 기능 및 역할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외의 선진 청년주택 사례연구 및 분석을 통해 비교하여 각각의 청년 주택의 공통되는 공유공간, 개인주거공간, 코워킹스페이스 부분을 정의한다. 또한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을 명확히 구분하여 주거공간의 프라이버시를 높이고 공유공간의 역할 강화를 통해 거주민 간의 커뮤니티를 증대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 방향으로 고려하여, 거주자들이 함께 생활하며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의 청년공유주택디자인 방향을 모색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공유경제를 목적으로 하는 청년주택으로 현대 도시에서 젊은 세대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개념이다. 이러한 주택은 젊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생활하며 경제적인 부담을 분담하고, 사회적인 연결성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주택 시장의 문제를 완화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촉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결론) 셰어하우스 형태의 청년주택은 젊은 세대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고, 공유경제를 촉진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공간 측면에서는 개인 공간의 확보, 공동 공간의 개선, 유연한 구성 요소, 안전과 보안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개선사항을 고려하여 셰어하우스 형태의 청년주택은 젊은 세대에게 보다 나은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전통주거공간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단순성"과 "유일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정선경 ( Sun Kyung Jung ),이진민 ( Jin Min Rhie ),장영순 ( Young Soon Ja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0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논문은 한국인의 전통적인 미의식을 재조명하면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미적표현특성을 단순성과 유일성의 공간개념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오늘날 정보화시대라고 하는 문화적 환경은 한국 현대사회를 세계화와 다원주의적 개별화를 동시에 갖추는 라이프스타일의 방향으로 유도하고있다. 사람들은 국제화된 지구인으로서의 위치와 지역문화라는 민족적 특수성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는 문화인으로서 공감대를 만들어 가고 있다. 한국의 전통적인 미의식과 자연은 한국전통주거공간의 공간구성과 공간개념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한국전통주거공간의 구성과 분위기 속에는 단순성과 유일성의 개념이 공간의 미적표현의 바탕이 된다. 그 개념의 표현특성은 관조적이고 소박하며 최소한의 가공에 의한 자연스러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점은 지나치게 과장하는 간결성, 기본적구조, 반복적 형태성, 장식을 배제, 자연재료, 자연지형과의 조화로움으로 표현되었다. 위의 특성은 한국전통주거공간의 형태와 개념의 시각적 의미체계의 예라고 할 수 있는데 한국의 우주관, 자연관, 종교관에 바탕을 둔 한국의 전통적인 사상을 반영한 의미와 상징의 미적표현요소라고 규정할 수 있다. 단순성과 유일성의 개념으로 살펴 본 한국전통주거공간의 표현특성은 한국적이며 현대적인 공간디자인의 주체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될 것이고 독창성과 특수성을 내포한 라이프스타일의 문화적 가치를 형성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어 갈 것이라 전망한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for redefining of Korean traditional aesthetic sense and analyz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Korean traditional living space in terms of two spacial concepts: `simplex` and `unique`. As today`s 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period, Korean modern society has been required globalization and pluralistic individuality on their life style. Therefore Korean people are trying to have an international attitude and to recognize the value of their own cultural localization. Korean traditional aesthetic sense and nature influence how to form the traditional building as well as how to make an ambience into the space. The structural formation and atmosphere of Korean traditional living space relates `simplex` and `unique` spacial expression. It is based on the ideas of contemplation, modesty, natural by not too much technique. These aspects show such aesthetic characteristics as simplicity, basic structure, repetitive forms, resistance to excessive decoration,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and harmony with configuration of the ground. All described above connect the visual sign and symbol of Korean traditional thoughts about the universe, the nature and religion for expressing its forms and conceptual approach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alyzed by the viewpoint of `simplex` and `unique` in Korean traditional living space will be an effective design method to express the identity of the future Korean spacial design and lead a new paradigm which forms the culture that is the energy of human life style with uniqueness and specialty.

      • KCI등재후보

        주거 공간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마케팅 전략 연구

        김희정,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2

        주거 공간의 브랜드화를 통하여 브랜드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면서 소비자의 주목을 끌기 위한 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강력한 브랜드 구축은 경쟁력 있는 기업의 필수적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로 기업은 일시적인 브랜드 개발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브랜드 개발 및 관리를 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맞는 상품 개발이 기획단계에서부터 주거 공간 마케팅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상품과는 다른 주거 공간의 상품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브랜드 이미지와 마케팅 전략의 문헌적 연구, 주거 공간 마케팅 전략의 기본 전략을 마케팅 믹스 전략(4P MIX)으로 분류하여 구체적인 분석 모형을 설계하고, 결과를 도출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 공간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방안의 기틀을 마련하고, 주거 공간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With the increasing of brand's importance through the branding of housing spaces, the brand companies' competition to get the attention of customer is getting harder and harder and the having a strong brand became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all competitive companies. Therefore, a company needs to develop and manage his own brands systematically on a long-term basis not temporarily. Furthermore, the products developing that meets the customers' needs has to be carried out through housing space marketing activities right from the planning stage.This study set out to conduct literature study on brand images and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housing space as a product different from other products and to divide the basic strategies for housing space marketing into marketing mix strategies(4P MIX) to design a specific analysis model and generate results. The results, this study is also aimed to offer the basic data conducive to make a base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housing space to improve the brand image.

      • KCI등재

        기술사회의 라이프스타일 기반 스마트 주거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문보경 ( Bokyung Moon ),김주연 ( Joo Yun Kim ),안진근 ( Jinkeun Ahn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주거 공간은 사회, 문화, 환경, 기술적 변화와 상호작용하면서 끊임없이 진화되어 왔으며, 이러한 변화에 인간의 라이프스타일 역시 궤를 같이하여 왔다. 현대의 주거는 디지털 및 정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인간과 상호작용하고 새로운 경험을 주는 종합적 공간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지고 기술은 공간의 다양한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있다. 이는 독자적이고 능동적으로 기능하는 새로운 스마트 주거 공간의 형태로 구체화되고 있다. 인간의 거주와 그 주거공간의 형태적 변화를 예측해 보는 것은 공간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기술사회에서 인간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서 형성되고 변해가는 스마트 주거공간을 현대인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기반으로 특징과 주거유형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주거 공간디자인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하여 산업화 이후 라이프스타일 변화 및 주거생활과 어떠한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하고 이를 통해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의식을 이해한다. 둘째, 기술 발전에 따라 변해온 주거형태를 이해하고 현재에 이르러 성립된 스마트주거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한다. 셋째, 스마트주거의 특징을 바탕으로 공간디자인 취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 틀을 구축하고 이를 관점으로 스마트 주거 환경을 구현한 선행사례를 조사하고 대입하여 분석한다. (결과) 스마트 주거공간은 거주자의 생활패턴에 따른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구조를 제공한다. 자연소재와 스마트기술의 조화로운 결합이 주는 심미적 친환경 주거를 제공한다. 기존 물리적 공간에 콘텐츠의 유입으로 정보접근성이 용이해지고 자유롭게 정보공유를 통해 장소의 이동 없이 주거 공간 내의 환경을 니즈에 따라 해결 가능한 환경으로 조성한다. 앞으로 스마트주거환경의 편의성을 기대하는 사람들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스마트주거환경이 기술의 관점에서 발전되어 온 만큼 현재는 기술기반의 접근형태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기술이 보다 보편화되고 세련되어 지면서 디자인에 대한 감성적 요구가 늘어날 것임은 분명하다. (결론)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공간과 기술의 결합이 아닌 인간, 인간과 공간, 공간과 공간간의 소통이 가장 중요하며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대응으로 공간에 인간행태가 묻어나는 재현방식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 스마트주거 공간디자인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사례가 한정적이라는 한계를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이러한 연구를 통해 스마트 주거공간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후속연구를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sidential spaces have been evolving continuously as a result of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changes, and human lifestyles have been in sync with these changes. Thanks to advancements in dig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idential spaces in the modern age are structures characteristic of a complex spatial system that facilitates human interaction and delivers new experiences. Thus, technology blurs the various boundaries of space. Accordingly, a new and smart residential space that functions actively and independently has emerged. Predictions regarding residential spaces and their formative changes have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spac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and types of smart residential spaces that are forming and changing according to changes in human lifestyles in the modern technological society. The directionality in design strategies for such spaces is presented in this paper. (Method)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employed to understand lifestyle changes that occurred after industrialization, their interactions with residential spaces, and modern people’s residential awareness. Second,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hanges in residential forms that have accompanied technological advancement; contemporary types and features of smart residential spaces were also examined. Third, a strategic framework desig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residences; further,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revious cases regarding the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performed. (Results) Smart residential spaces form environments and structures that correspond to the life patterns of residents. An aesthetic and eco-friendly residence comes from a harmonious combination of natural materials and smart technologies. Additions to preexisting physical spaces ensure various information accessibilities; further, changes to residential spaces and environments reflect the need for unlimited sharing of information that does not require moving to a different location. The number of people seeking the conveniences of the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is increasing. Furthermore, the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requires a stronger technology-based approach. However, as technology becomes generalized and polished, emotional prerequisites associated with designs will definitely increase. (Conclusions) The primary concerns underlying the construction of residential spaces are humans and communications between humans and spaces-not the combination of spaces and technologies. Thus, construction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human consciousness as a representational method that reflects humans’ behaviors as they pertain to spaces. This study involved the exploration of a limited number of case studies; however, its findings may prompt various follow-up studies on smart residential space design.

      • KCI등재

        청동기시대 취락 구조의 변화

        송만영 숭실사학회 2014 숭실사학 Vol.0 No.33

        청동기시대의 취락은 주거, 주거군 등으로 분해되는 기초 단위 취락과 반대로 기초 단위 취락들이 결집된, 보다 큰 규모의 중형, 대형 취락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청동기시대 취락 구조의 변화 과정을 개별 주거, 주거군, 단위 취락 등 세 가지 분석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개별 주거는 주거 내부의 활동 영역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활동 영역의 큰 차이는 확인되지 않 았다. 다만 중기 이후의 주거 유형에 따라 석기 제작과 관련된 활동 영역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거군은 친연 관계에 있는 여러 주거들의 집합체로 취락 내에서는 주거들의 공간적인 결집 양상을 보인다. 청동기시대 초기에 미호천 유역을 중심으로 구획구에 의해 주거군을 분리한 사례가 확인되지만, 이는 매우 예외적인 경우이며, 구획구에 의해 주거군을 분리하는 경우는 주로 원삼국시대 이래로 관찰된다. 청동기시 대 전기 후반 이래로 세대공동체가 해체되면서 취락 내 주거군의 숫자는 점차 증가하지만, 이와 반비례하여 주거군 내의 가족 단위의 수는 차츰 감소한다. 이러한 경향은 청동기시대 후기까지 지속되는데, 이는 생계 경제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마지막으로 취락 내 행위 공간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특히 광장과 공지, 그리고 구획구의 개념 정리를 통 해서 행위 공간의 변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보이기 시작하는 매장 유 구는 주거 공간 내부에 위치하거나 주거 공간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며, 전기 후반 이래로 점 차 군집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중기 이래로 매장 공간이 주거 공간에서 뚜렷하게 분리되며, 주거군 단 위로 운영되었다. 저장 시설의 군집화와 더불어 독립된 저장 공간의 존재는 중기 전엽부터 보이기 시작하는 데, 여러 유적 사례로 볼 때, 대형 취락인 경우, 주거군 단위로 운영 관리된 저장 공간 이외에 취락에서 공동 으로 관리하는 저장 공간이 별도로 존재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중형 취락의 경우에는 주거군 단위로 저장 시설이 관리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기의 대형 취락에서는 주거 공간-저장 공간-매장 공간-경작지 순으로 배치하는 횡적 경관이 정형화 된다. 이러한 경관은 비록 취락 규모는 감소하지만, 청동기시대 후기까지 지속된다. 화성 쌍송리 취락의 사 례를 염두에 둘 때, 제의 공간을 주거 공간의 상위 또는 중심에 두는 공간 배치의 특징은 횡적 경관과 함께 청동기시대 후기까지 계승된 것으로 보인다. The settlement in Bronze Age was consisted of a more large or medium scale settlement rather the basic unit settlement divided into dwelling or cluster of dwelling. Thus,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change of settlement in the three level of analysis;individual dwelling, cluster of dwelling and settlement unit. For the individual dwelling, the large difference in activity area was not verified by analysing the change of the activity area of the interior space. Simply,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in the activity area related in stone manufacturing according to types of dwelling after the middle age. The cluster of dwellings, which is complex of various dwelling with kinship, shown the spatially connected aspect of dwellings. Although the case of separation of the cluster of dwellings by digging a ditch in the Miho-stream basin in the early time of Bronze Age could be find, it is an exceptional case. Rather it is mainly the after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at could be find the case of separation of cluster of dwellings by digging a ditch. Since the late of early time of Bronze Age, the number of dwellings in the settlement was increasingly increased with the dissolution of community of generations, but in inverse proportion the number of unit of family in the cluster of dwellings was gradually decreased. This trends continued to the latter part of Bronze Age, it seem to be closely related in the change of living economy. Finally, the activity area in the settlement, expecially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activity area, was examined by defining the notion of square, open area and digged ditch. As a result, the burial sites which could find after the early time of Brozen Age, was located inside of dwelling or formed the independent space separating form dwelling, and after the late of early time of Bronze Age, tend to be clustered increasingly. Also after the mid of Bronze Age, the burial space was separated distinctly, and operated as cluster of dwellings. The presence of independent storage space, with clustering of storage space, became seen after the early of middle of Bronze Age, and given the many case of sites, in the case of large settlement, it was thought that the storage space separately existed managed collectively in the settlement in addition to storage space operated by the unit of cluster of dwellings. However, in the case of the middle size of settlement, storage space was managed by the unit of cluster of dwellings. Meanwhile, in the mid of Bronze Age, lateral landscape was standardized, such as arranging dwelling space-storage space-burial space-farmland. This landscape continued to the late of Bronze Age, though the size of settlement was decreased. Given the case of the settlement site at Ssangsong-ri in Hwaseong, The feature of space arrangement, which ritual space was located in center of settlement or in the priority space, continued to even the late of Bronze Age with the lateral landscape.

      • KCI등재

        대단지공동주거의 공적·사적 공간관계에 관한 연구

        최임주,신병윤,오광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4

        오늘날의 공동주거는 포스트모던시대의 도시건축환경 속으로 재편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재편 과정은 한국의 1990년대 이후 경제적 차별화의 심화에 따른 거주자들의 각 계층에 따른 차별화된 공동체 개념과 개인주의의 심화에 기인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동주거공간의 계획 또한 근대와는 다른 공적·사적 공간관계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요구가 공간적으로 극대화 되어 나타나는 곳이 대단지화된 공동주거이다.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근대의 공동주거 개념으로는 현대 거주자들의 달라진 공적·사적 공간관계의 요구에 부응하기에 힘들게 되었으며 근대의 공동주거에서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관계설정에서 오랫동안 교본처럼 참고로 해왔던 오스카 뉴만(Oscar Newman)의 공적 공간, 준-공적 공간, 준-사적 공간, 사적 공간의 단계적 위계에 따른 공간계획은 더 이상 오늘날의 공동주거 계획에 적절히 응용되기가 힘들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포스트모던시대의 대단지화된 공동주거공간에서 달라진 공적·사적 공간관계를 배경으로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공동주거의 공적·사적 공간구성관계의 특징에 관한 규명은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각각의 공간적 특징과 그 위계적 단계에 따른 깊이의 이해만으로는 대단지화된 공동주거의 공적·사적 공간구성관계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기에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단지화된 공동주거의 공적·사적 공간관계의 특징을 규명하는 데에 있어서 이들 공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의 고려와 이러한 요소들의 등장배경과 이들의 관계를 체계화 하는 과정과 그 관계의 규명에 있다.

      • KCI등재

        한국 현대 주거공간에 반영된 전통성 표현 연구 -1990년대 이후 전통성이 표현된 단독주택공간을 중심으로-

        이영원 ( Youngwon Lee ),윤성호 ( Sungho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4

        (연구배경 및 목적)조형성과 기능을 강조하는 현대 주거건축에 반해 전통 주거건축은 자연과 건축, 건축과 인간이 소통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내·외부의 조화, 사람과 자연의 소통이 이루어졌던 한국 전통주거공간에 주목할 이유이다. 이러한 주거건축에서 전통성의 가치는 1990년대부터 여러 작가들의 작품 활동으로 인해 보다 많은 관심이 일어났다. 전통 주거건축의 가치를 재조명하게 되었고, 그 가치와 특성을 주거공간에 부여함으로써 서구식 주거의 단점을 보완한 현대주거공간을 계획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전통주거공간의 형태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닌 구성 원리와 의도를 이해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계획하는 것이다. 한국인에게 적합한 주거문화 형성을 위하여 현대 주거건축에서의 전통성 표현의 경향과 변화를 파악하고자한다.(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전통의 개념을 알아보고, 주거공간의 일반적 특징을 사회적 배경, 배치, 평면, 입면, 구조, 재료, 환경조절로 나누어 고찰한다. 앞서 고찰한 전통 주거건축의 특징을 바탕으로 전통성이 표현된 현대 주거공간의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현대주거공간에 적용되어진 전통주거의 현대적 해석과 적용가치에 대하여 타당성을 부여한다. (결과) 대부분이 마당 중심의 평면으로 마당을 감싸는 형태의 배치를 하고 있으며, 전통주거공간의 채 분화로 이해 할 수 있는 건물매스의 분절과 결합 양상이 많이 나타나 시각의 변화가 다양하게 일어나는 사이공간이 자연스럽게 생겨났다. 또한 내·외부를 연결하는 방식과 동선이 전통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현대 주거건축에서는 자연과의 관계를 고려한 공간 구성방식이나 개념적인 측면을 적용하는 시도가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현대주거공간에서의 전통성 표현경향과 변화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앞서 고찰한 전통주거공간의 특징을 통해 현대적 의미를 모색하고, 그 해석에 따른 사례지 분석을 하였다. 자연과의 관계를 고려한 전통공간의 구성방식이나 개념적인 측면을 적용하는 시도와 변화는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 주거환경과 전통에 대한 가치회복이라 할 수 있다. 현 시대에 맞게 전통을 재해석하여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미래 주거환경으로 가꾸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design h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architecture and humans. However, contemporary residential design has emphasized more values at form and function. The combin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nature inherent in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design has led to its ongoing attention from scholars. The reassessment of traditional dwelling designs attracted increased focus from 1990, with a number of new projects and architects who aimed to refocus the value of traditional residential construction. Active discussions have taken place on how contemporary residential spaces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Western housing by providing values and attributes that directly complement the living space. Not imitating Korean traditional structures.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principles and intentions of traditional housing and plans to reinterpret these in a modern style, along with the formation of suitable residential culture for Koreans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within traditional representations of housing today. It also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patterns that evolve according to modern living spaces, and the continuation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 (Method) This study identifies the features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onsiders the features of such architecture in terms of background, place, plan, elevation, structure, materials, and environmental contro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 we also analyze the case of modern living spaces. (Results) Most of the center plane of the yard which are in the form of arrangement surrounding the yard, appeared a lot of segments, combined with aspects of the building mass that can be understood by differentiation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while the space between that various changes in time occurring naturally arose. Similarly, copper used to connect the internal to external space on modern housing has been changed by actively introducing traditional elements. Contemporary dwelling projects also emphasize aspects and methods of spatial configuration that consider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e. (Conclusio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rends and changes in the traditional compared to contemporary living spaces, and explores modern structures through a prior review by the traditional features of residential spaces, and an analysis of case studies. The changes in housing can be seen to be intend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recover traditional values.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identity should be reinterpreted to generate indigenous residential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