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념 스펙트럼의 한국적 진화

        김재한 한국통일전략학회 2017 통일전략 Vol.17 No.1

        Division and confrontation is a universal phenomenon of the human society. The left-right political spectrum is a classic system of assorting political ideologies, associated with such confrontation. Leftist values include equality, progress, reform, trade unionism, right, minority human rights, redistribution, social justice, government intervention, communism, socialism, anarchism, social democracy, multiculturalism, and inter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rightist values contain hierarchy, conservatism, reaction, family, obligation, tradition, private property, free-market, deregulation, capitalism, monarchism, fascism, Christian democracy, imperialism, and nationalism. South Korea is one of the few countries that divide political ideologies in technical terms as “progressive or conservative” instead of “left or right.” In South Korea, not only is the spectrum of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which emphasize procedural democracy and substantial democracy, respectively, but also the spectrum of pro-government and pro-opposition which are linked with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respectively. Due to its national division of 1945 and civil war of 1950, Korea’s spectrum of political ideology is distinctive in its own way. The general standard of political ideology in South Korea is its attitude towards the North Korean regime. Perception on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hina is a major element determining political ideology alongside with region and age group. The ideology spectrum in South Korea is quite exceptional; whereas the progressives lay value on nationalism, the conservatives emphasize North Korean human rights. As shown through the case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South Korea’s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are more concerned about the influence of North Korean workers on the regime stability in North and South Korea rather than their impact on South Korea’s capitalists and workers. Policies towards of North Korea have worked as a valence issue, a position issue, or a wedge issue in South Korean politics. Stances over North Korea need to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void fierce conflicts between ideologies. 분열과 대립은 인간 사회의 보편적 현상이다. 그런 대립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스펙트럼은 좌-우 이념이다. 좌익적 가치는 평등, 진보, 개혁, 조합, 권리, 소수인권, 재분배, 사회정의, 정부규제강화, 공산주의, 사회주의, 아나키즘, 사회민주주의, 다문화주의, 국제주의 등인 반면, 우익적 가치는 위계질서, 보수, 반동, 가족, 의무, 전통, 사유재산, 자유시장, 정부규제완화, 자본주의, 군주주의, 파시즘, 기독민주주의, 제국주의, 민족주의 등이다. 대한민국은 전문가들이 이념 스펙트럼의 명칭으로 좌-우 대신에 진보-보수를 사용하는 거의 유일한 국가이다. 한국에서는 절차적 민주주의와 실질적 민주주의를 각각 중시하는 보수-진보 스펙트럼뿐 아니라, 집단주의와 개인주의를 각각 중시하는 여성향-야성향 스펙트럼도 중요하다. 1945년 분단과 1950년 전쟁을 통해 한국의 이념 스펙트럼은 특수성을 띠게 되었다. 북한 정권을 어느 정도로 받아들여야 하느냐는 것이 그 중심 의제이다. 북한 및 통일에 관한 인식은 지역과 연령에 더해 남한 이념 스펙트럼의 주요 요소로 자리 잡아 있다. 북한부터 시작해서 미국 그리고 중국에 대한 태도까지 남한의 보수-진보 이념 구분에 포함되어 있다. 진보 진영이 단일 민족을 중시하고 보수 진영은 북한 인권을 중시하는 이례적인 이념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 개성공단 사례에서 보듯이 북한 거주 노동자의 활용에 대한 보수-진보 진영의 태도도 자본가나 노동자에 미치는 영향보다 남북한 정권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 이념은 정책의 향방을 알려주는 효율적인 정보인 동시에 추진 정책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 이념이 인물 중심의 패거리로 작동하면 이념의 양립 가능성을 낮추어 불안정한 체제가 된다. 체제 파괴적 이념을 제외하고 이념 간에 양립 가능성이 높은 스펙트럼을 구축해야 한다. 대북 정책은 남한 내 이념 성향을 구별 또는 분열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여 왔고 앞으로도 그럴 수 있다. 통일 문제가 이념 진영 간에 좀 더 공감되어야 정치적 악용이나 과도한 이념 대립을 해소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정치공간의 시민과 대표 간 이념적 일치: 개념화와 측정

        정동준 ( Jung Dong-joon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7 의정연구 Vol.23 No.2

        대의 민주주의에 있어 대표자가 얼마나 시민의 이념적 선호를 대변하는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의회 혹은 정부와 시민 간의 이념적 일치는 주로 정당정치가 오래된 서구 민주주의 국가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민주주의의 역사가 비교적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논문은 2002년부터 2016년까지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정치공간의 시민과 대표 간 이념적 일치를 다양한 방식으로 개념화하고 측정하였다. 먼저 좌-우의 단차원적 공간으로 분석한 결과, 시민과 국회 간의 이념적 거리와 달리 시민과 정부 간의 거리는 200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야 간 양극화와 정부의 대표성 악화는 민주주의의 규범적 측면에서 부정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다차원적 공간에서 정부와 시민 간의 이념적 거리는 쟁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대북지원에서는 2008년 보수정권이 들어선 이후 점차 증가한 반면, 복지정책의 경우는 이전의 진보 정권에 비해 악화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렇게 쟁점별로 이념적 일치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은 시민과 정당 모두에게 많은 점을 시사한다. 시민들에게는 단차원적 이념을 넘어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쟁점을 대변하는 대표자를 구별하는 능력이, 정당에게는 기존의 지지층과 함께 늘어나는 무당층을 대변하기 위해 효과적인 당 조직의 정비와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How well citizens are represented by their representatives holds critical importance in representative democracy. While previous studies of ideological congruence have largely focused on Western established democracies, there was not as much attention paid to young democracies including, South Korea. This article investigates ideological congruence in South Korea based on multiple survey data sources collected from 2002 to 2016. When it comes to unidimensional Left-Right ideology, the distance between citizens and governments, unlike its citizen-assembly counterpart, has widened since 2000 sending a negative signal to the norm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s to multidimensional issue positions, however, it turns out that ideological congruence in South Korea has varied along issues such as aids to North Korea and Welfare spending. These results provide both citizens and parties with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citizens, they are required to distinguish which party or candidate is more representative of the issue they value the most beyond a simple Left-Right line; for parties, they are required to deal with how to represent their supporters as well as today`s increasing independents by strengthening their organizational capacity and providing effective party programs.

      • KCI등재

        현대문학 : 해방기 시의 자연표상과 이념

        정영진 ( Young Jin Joung ) 반교어문학회 2010 泮橋語文硏究 Vol.0 No.28

        자연표상은 주체가 세계를 대하는 태도를 반영한다. 물질적인 자연은 시 언어로 옮겨지면서 `재현`된 자연이 되며 동시에 특정한 시기에 집단표상의 성격을 띤다. 본 논문의 목표는 해방기의 좌우파 시들의 자연표상의 성격을 규명하고, 탈식민 의식이 냉전적 감각에 노출되면서 자연표상과 이념이 어떻게 조응되는지 살피는 데 있다. 필자는 우선 물음의 수사를 통해 해방기 좌·우파 시에서의 자연표상의 지위와 역할에 주목하였다. 좌파 시의 경우 물음의 형식을 통해 답안의 정당성을 구하고, 원인의 문제를 책임의 문제로 전이시킴으로써 정치적 문제를 윤리적 문제로 확대한다. 이 경우,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자유롭게 세계를 구성할 수 있는 존재가 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우파 시에서는 물음의 수사를 통해 자연의 절대적 지위가 확정된다. 우파 시인들은 자연을 초월적 서사이자 유일한 가능세계로 이해하고 자연에 자기충족적인 유기체로서의 절대성을 부여한다. 해방기에는 냉전이라는 새로운 감각 구조가 형성되는 시기이기도 했지만 탈식민의 다양한 비전들이 나타났던 시기이다. 자율·공영·공생의 이념은 우파의 탈식민 의식과 관련된다. 김광섭의 경우 탈식민의 문제를 정체성 문제와 연결시키면서 식민/탈식민이라는 폭력적 구조에 대한 문제의식을 날카롭게 드러낸다. 개인과 사회 민족 단위의 개별성의 존중과 개별성을 지지하는 보편성으로서 자율·공영·공생의 이념을 강조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유치환은 이 이념을 동일성을 확보하는 원리로 받아들기도 한다. 그는 해방기의 혼란한 정치사회 현실에서 전 민족의 화합을 처방하는데 이 이념을 활용한다. 이 시기 국토와 고향 표상은 좌우의 선명한 대립을 보여준다. 우파의 경우 국토 탄생을 절대적인 자연의 신비로 재현해내고 민족의 기원을 심미화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좌파 시들은 현재에 초점을 두고 국토와 고향을 재현한다. 좌파 시에서의 국토는 새로 시작하는 국가의 모습으로 그려지기 때문에 순진하고 어리고 약하며 그래서 보호되어야 할 대상이다. 이와 연동하여, 좌파 시의 고향은 궁핍한 삶의 구체적 표상이 된다. 대조적으로 우파 시의 고향은 그리움의 대상이며 정신적 안식처이자 자기정화의 공간으로 표시된다. 해방기 국토와 고향 표상은 민족을 중심으로 탈식민 의식을 구성하는 우파와 국가를 중심으로 탈식민을 지향했던 좌파의 간격을 보여준다. Natural representation reflects the attitude of subject to the world. Physical nature turns into a `represented` nature as it is transferred to poetic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bears the character of a collective representation at a specific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natural representation of the leftist and rightest poems at the time of liberation and to investigate how the natural representation is corresponded to the idea as the post-colonialism was exposed to cold-war sensation. First of all,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position and role of natural representation of the leftist and rightest poems at the time of liberation through the rhetorics of question. The leftist poems expand the political problems to ethical problems by seeking the legitimacy of answer through the form of question and transferring the problems of cause to the problems of responsibility. The rightest poems determine the absolute position of the nature by through the rhetorics of question. The rightest poets understand the nature as a transcendental narration and as an only possible world and grant the nature the absoluteness as a self-sufficient organism. The period of liberation was the time when a new sensitive structure of cold war was formed as well as various visions of post-colonialism appeared. The ideology of autonomy·co-prosperity·symbiosis is related with the post-colonialism of the Rightists. Gwang-Seop Kim revealed the critical mind on the violent structure of colonialism/post-colonialism sharply by connecting the problem of post-colonialism to the problem of identity. He emphasized the ideology of autonomy·co-prosperity·symbiosis as a universalism that respects the individualism in the unit of individual, society and nation and supports the individualism. On the contrary, Chi-Hwan Yu accepted this ideology as a principle to secure identification. He made use of this ideology for prescribing the harmony of the whole nation in the chaotic reality of politics and society in the period of liberation. Territory and hometown representation in this period shows a clear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ists and the Rightists. The Rightists represented the birth of territory as a natural mystery and expressed the origin of the nation aesthetically. On the contrary, the Leftists` poems put focus on the present and represented the territory and hometown. The territory in the Leftists` poems is pure, immature and weak, so the object of protection, as they are depicted as the look of a newly starting state. Connected with this, the hometown of Leftists` poems become a concrete representation of the life in poverty. On the contrary, the hometown in the Rightists` poems is marked as the object of yearning, the rest for heart and the space for self-purification. Therefore the territory and hometown representation in the period of liberation shows the gap between the Rightists who constituted the post-colonialism centering around the nation and the Leftists who aimed at post-colonialism centering around the state.

      • KCI등재

        서유럽 극우정당 지지 동기 분석

        김민정,홍지영 한국국제정치학회 2012 國際政治論叢 Vol.52 No.2

        Since the 1980s, populist radical right parties have emerged in many European countries and enjoyed increasing electoral success.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different motivations of voters for supporting a populist radical right party, and to find which factors condition these motivations. Based on data from the European Social Survey for Austria, Belgium, Denmark, France and Norway, this article tests three sets of motivations: protective voting motivation (economic and cultural), ideological voting motivation (left-right cleavage, cultural cleavage), protest voting motivation. Our analysis of data from 5 countries shows that motivations of voters for supporting a populist radical right party vary depending on each country's national circumstances. Despite these varieties, we can find some similarities across five countries. First, this analysis provides strong evidence that, among different motivations, ideological voting motivation based on left-right position powerfully influences voter's support for populist radical right party. That is, the more close voter's left-right position with that of populist radical party, the more likely he is to vote for populist radical right party. In contrast, ideological voting motivation based on cultural cleavage rarely matters in voter's support for populist radical right party. Second, voter's education level has a conditioning effect on support for populist radical right party by shaping the degree of left-rignt ideological voting motivation.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서유럽 여러 국가에서 부상하고 있는 포퓰리즘 극우정당에 대한 유권자들의 지지 동기를 살펴보고, 이러한 동기가 중요하게 작용하게 되는 조건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포퓰리즘 극우정당에 대한 지지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서유럽 5개국을 대상으로 방어적 투표동기, 이념적 투표동기, 항의적 투표동기를 설정하고 이 중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동기가 무엇인가를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유권자들이 포퓰리즘 극우정당을 지지하게 되는 동기는 각국의 역사나 상황, 유권자의 성향에 따라 국가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었는데, 무엇보다 좌우이념으로 인한 이념적 투표동기가 극우정당 지지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좌우균열을 의도적으로 배격하고자 하는 포퓰리즘 극우정당에게는 모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포퓰리즘 극우정당에게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문화적 차원의 균열에 의한 이념적 동기는 거의 모든 국가에서 극우정당 지지에 그다지 중요하게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동기들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도록 해주는 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개인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개인의 교육수준이 좌우 균열에 의한 이념적 동기가 중요하게 작용하도록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치이념과 균열구조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박기성(Ki-Sung Park) 한국유럽학회 2018 유럽연구 Vol.36 No.4

        극우주의는 이제 정치 현상을 넘어 정당정치의 일부이다. 특히 유럽에서의 극우정당은 연정을 통해 국정에 참여하거나 캐스팅보트가 될 정도로 영향력이 상당하다. 대표적으로 오스트리아 자유당(FPÖ), 스웨덴 민주당(SD), 이탈리아의 북부동맹(Lega Nord), 독일의 ‘독일을 위한 대안(AfD)’ 등이 그러하다. 프랑스의 ‘국민연합(RN)’, 오스트리아 자유당은 대선에서 결승까지 진출했었다. 극우정당이 부차적 성격(second order)의 유럽의회 선거뿐만 아니라 총선에서도 지지기반을 확대하며 기성정당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극우정당이 신뢰를 상실한 기성정당의 정치적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이를 단순히 단선적 정치적 스펙트럼의 극단에 위치시키면 그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혼란스럽기까지 하다. 이에 본 논문은 전통적 좌우를 경제적 좌우로, 극우와 극좌정당을 새롭게 등장한 사회적 좌우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전통적 좌우가 중도로 수렴했던 것처럼 사회적 좌우의 수렴가능성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오늘날 혼란스러운 극우현상과 정당정치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The popularity of radical right parties continues in Europe. Italy’s (Northern) Alliance is participating in the coalition as a result of the general election in 2018, and Germany"s Alternative for Germany has also grown rapidly as a third party in the 2017 general election. The ‘National Front’ of France has advanced to the final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And also Hungary"s ‘Fidesz Party’, Poland’s ‘Law and Justice Party’, Finland"s ‘The Finns’, Sweden’s ‘Sweden Democrats’, Austria’s ‘Freedom Party of Austria’ is being promoted. The radical right parties are expanding their support base not only in the European parliamentary elections but also in the general elections, threatening the established parties. As such, the radical right parties are emerging as a political alternative to the established parties, but when we put them in a single left-right axi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ccurately and confusing. This paper explains the radical right as ‘social right’ in the social left-right axis and the traditional left and right as ‘economic left-right’. In addition, it examines possibility of convergence of social left-right parties as convergence of traditional left-right parties, which will help to understand the change of cleavages and predict the future of radical right.

      • KCI등재

        1940년대 후반 정치담론과 문학담론의 관계 - 『신천지』에 나타난 ‘민족’과 ‘민족문학’ 기호를 중심으로

        김준현 상허학회 2009 상허학보 Vol.27 No.-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relation between the political discourse and the literal discourse in late 1940’s by reading the magazine Shinchunji. As Shinchunji claimed a neutral position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right wing and left wing, it became a major field of conflicts of various discourses. After the Korean War, right wing writers defined Shinchunji as a magazine represented left wing writers. However, it is far from truth. Actually, the standard for dividing right wing and left wing was originated from the concessions of the right wing writers in 1950’s. Though it is not possible to divide various discourses only into two groups, right wing writers established a strong standard that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In late 1940’s – also known as ‘Liberation period’ –, there was no literal discourse independently established. It is because that no literal discoursive struggle was mad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result, the literal discourse had played a role as a part of the political discourse in late 1940's. The argument between ‘sun-su’ and ‘cham-yoe’ – the only literal discourse of the period – was also in the context of the political discourse. 이 글은 잡지 『신천지』를 중심으로 1940년대 후반 한국의 정치담론과 문학담론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신천지』는 좌우 대립의 장에서 중도적인 노선을 지향했으며, 그 결과 다양한 담론들이 투쟁하는 장의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신천지』는 후대에 우파 문인들에 의해 ‘좌익지’로 규정되었으나,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 사실 좌파와 우파를 양분하여 나누는 기준 자체도 우파 문인들의 소급에 의한 것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중도 노선을 지향하거나, 좌우 합작의 방법을 모색하려는 시도들, 그리고 좌우의 대립으로는 설명될 수 없었던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닌 담론들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오직 좌우 대립의 리트머스 시험지에 의해 당대의 의미가 규정되었던 것이다. 그것은 우파 문인들 간의 담론 투쟁에서 좌파 문단과의 투쟁 이력을 통해 정치적 입지를 다지려고 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던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해방기라고도 불리는 1940년대 후반은 문학담론의 독자적 위치가 확립되지 않은 때였다. 문학 장의 담론투쟁이 ‘민족’이라는 기호에 대한 정의 내리기 투쟁에서 ‘민족문학’이라는 기호에 대한 정의 내리기 투쟁으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1940년대 후반의 정치담론과 문학담론의 관계를 고찰할 수 있다. 1940년대 초반 조선의 문학담론의 맥락은 단절될 수밖에 없었으며, 그리하여 1940년대 후반의 문학담론은 정치담론에 의해 호명당하는, 즉 정치담론으로부터 분화되지 못한 특수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당대 유일한 문학담론 투쟁이었던 순수참여 논쟁도, 결과적으로 정치적인 담론의 맥락 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 KCI등재후보

        재미 작가 김보현 작품의 디아스포라 이미지 분석

        정금희(Jung, Kum Hee),조사라(Cho, Sa Rah)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3 디아스포라 연구 Vol.7 No.1

        1955년 도미한 화가 김보현은 한국 근현대미술사에 있어서 마지막 남은 추상표현주의 1세대로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굴곡의 한국 근현대사 속에서 좌우 이념의 희생양이 되어 고국을 등진 후 60년 가까이 뉴욕에서 작업 활동을 하고 있다. 김보현은 한국에서 3차례나 정신적ㆍ신체적으로 고통을 겪게 되면서 한국 화단과 40년 간 단절하였다. 도미 후 그의 60여년 화업에 있어서 고국에서 받았던 트라우마는 예술의 근원으로 작용했다. 디아스포라의 전형적 삶을 살았던 김보현의 예술세계도 자연 그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디아스포라적인 김보현의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재미 한인사와 미술사를 알아본다.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들은 초기에는 하와이와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살았으나 1950년대 이후 미국 전역으로 확산된다. 김보현이 도미했던 당시 뉴욕은 현대미술의 메카로 떠오르면서, 전 세계 수많은 미술가들을 비롯해 한국 작가들도 서서히 모여들었고, 현대미술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김보현의 작품 속에 드러나는 디아스포라적 이미지와 특성이 무엇이며, 그의 예술이 지닌 의미와 가치에 대해 문제를 제기시켜 본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오늘날 디아스포라 미술의 의미와 디아스포라의 정의 및 형성을 알아보고 김보현 예술을 이러한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범주는 김보현이 미국으로 이주한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창기 작품을 중심으로 한다. 김보현 예술에 대한 디아스포라적 관점의 분석은 현대미술에 드러난 디아스포라적 이미지와 특징을 도출해낼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시대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한국의 정체성과 특질을 연구한 사례로 의미를 가지며, 한국근현대미술사의 한 영역으로서 재미 작가 재조명 측면에서도 일정 부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Bo-hyun Kim, Korean-American artist, went to America in 1955. He is the last one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bstract expressionists, having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art history. Kim was scapegoated in the long and winding modern history of Korea, and forced to leave his native country. He has been in New York for six decades. After he suffered both mental and physical pain three times in Korea, Kim had to cut himself from the Korean artist community for over four decades. The trauma he has had to endure over the past six decades has always been the source of his artistic inspiration. Kim who had to flee his native country is a classic example of ‘diaspora’.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American history and the American art history first to understand his works inspired by diaspora. The Korean-American history traces back to 1903 when the Gaelic docked in Honolulu with around 100 Korean immigrants - who left their home country to pursue the American Dream - aboard. It has been 110 years since then, and around two million Koreans now live in the United States. Early generations of Korean Americans settled first in Hawaii and Los Angeles, and, in the 1950s, they started to spread across the country. Currently, the 40 percent of Korean Americans live in New York and Los Angeles, the two largest cities in the United States. When Bo-hyun Kim arrived at New York first, the city was rising as the mecca of contemporary American art, attracting many artist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ose from Korea and leading the contemporary art trend of the time. This study analyzes the images and characters of diaspora that is melted in his works, and raises questions on the implications and values of his works in art history. To do so, the implications of today’s diaspora art and the definition and development of diaspora are reviewed.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Kim’s early works from the late 1950s to the early 1960s. Analyzing Kim’s works from the aspect of diaspora will serve as a ground to extract general images and characters of diaspora that is expressed in modern art. It will also have implications for studying the identity and characters of Korea from the same perspective in this global era, as well as for contributing to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by discovering and shedding new light on Korean-American artist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