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CC의 종교 간 대화와 풍류-해방도 모델

        손원영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4 No.-

        In 2022, world churches are looking forward to the 11th WCC Assembly in Karlsruhe, Germany. In the meantime, this article reflects how interreligious dialogue paradigm has shif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WCC and strives to find an appropriate interreligious dialogue model for Korean church. Three characteristics of interreligious dialogue of WCC were identified from the reflection of its history. First, although interreligious dialogue is now considered as WCC’s core business as well as its identity, the beginning of WCC revealed its ‘tendency of exclusivism’ following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church. However, WCC felt the needs of interreligious dialogue as it encountered other religions from missionary sites and learned that it was not appropriate to approach other religions with one-sided imperialistic attitude. Second, interreligious dialogue became legitimate as WCC and IMC integrated in the 3rd Assembly of New Delhi, and created an organization in charge of interreligious dialogue which admitted God’s work among neighboring religions under the ‘Missio Dei’ theology. The most significant events during this period were the invitation of WCC’s conferences to other neighboring religions and establishment of specific guidelines on interreligious dialogue regarding its attitude. Third, despite its significant progress and declaration which made a mark in WCC’s history after struggling with the problems of ‘religious plurality’ after 1990, interreligious dialogue is now in a phase of ‘moratorium’ as conflict with groups which criticize interreligious dialogue leads to the issues of Christian identity. In the midst of such period, this article observes conflicts arisen in Korean church between other religions and introduces Pungryudo-liberation model which appeared from the progress of interreligious dialogue in the case of Korean church. 세계 교회는 지금 2022년 독일에서 열리는 제11차 WCC 칼스루헤 대회 를 앞두고 있다. 이 시점에서 본 논문은 WCC의 역사를 통해 WCC 종교 간 대화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성찰하고, 한국교회에 적절한 종교 간 대화 모델을 탐색하는 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선 WCC 종교간 대화의 역사 성찰을 통해서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WCC 종교간 대화의 특징이 드러났다. 첫째, 종교간 대화는 WCC의 ‘정체성’이라 부를 수 있을 만큼 WCC의 핵심적 사업이었지만, 처음 출발의 시기는 전통적인 교회의 인식에 따라 ‘배타주의적 경향’을 띠고 있었다. 그렇지만 WCC는 선교 현장에서 만나는 이웃 종교와의 대면을 통해 일방적인 제국주의적 태도만으로 이웃종교에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면서 종교 간 대화의 필요성에 공감하게 되었다. 둘째, 제3차 뉴델리 대회에서 WCC와 IMC가 통합되고 또 WCC 산하에 종교간 대화를 전담하는 조직이 갖추어지면서 종교 간 대화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신학에 따라 이웃 종교 속에서도 역사하는 하나님의 활동을 인정하며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이 시기 WCC의 가장 대표적인 작업은 WCC의 각종 회의에 이웃 종교들을 공식적으로 초대한 일과 함께, 교회가 이웃 종교와 어떤 자세로 대화해야 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대화지침(Guidelines)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셋째, 1990년대 이후 종교 간의 대화는 ‘종교적 다원성’(religious plurality)의 문제와 씨름하면서 WCC의 역사에그 휙을 그을 만큼 매우 중요한 진전을 이루고 또 그에 따른 선언문들을 발표했지만, 현재는 종교 간 대화를 비판하는 그룹들과의 갈등 과정에서 기독교의 자기 정체성의 문제로 씨름하는 ‘모라토리엄’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런상황에서본논문은한국교회에서발생한종교간갈 등의 한 사례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등장한 종교 간 대화의 한 모델인 ‘풍류 -해방도 모델’(pungryudo-liberation model)을 한국 교회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마태오 리치의 적응주의 -『천주실의』에 나타난 그리스도교와 유,불,도(儒佛道)의 대화

        김명희 ( Myong Hee Kim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9 No.-

        본 논문은 16세기 중국의 선교사로 파송된 예수회 신부 마태오 리치가 적응주의 선교에서 보여준 그리스도교와 유·불·도(儒佛道)와의 대화를 분석해 종교 간 대화의 원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리치의 적응주의 선교는 그리스도교와 유교와의 대화를 통해 추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유교사회와 문화 속에서 추진된 리치의 적응주의가 어떻게 종교 간 대화의 모델이 될 수 있는지 그의 저서 『천주실의』를 통해 살펴보았다. 『천주실의』는 리치의 불교와 도교에 대한 반박글로서, 리치는 이책에서 그리스도교와 구별되는 두 종교의 신개념과 도덕론을 논박하였다. 동시에 유교와 그리스도교 간의 화해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리치와 중국 선비와의 대화내용을 기록한 『천주실의』를 분석해 리치의 종교간 대화의 특징과 한계, 의의를 밝혔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21세기 한국사회가 필요로 하는 종교간 대화의 원리를 전망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리치의 문화적응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화적응주의는 리치의 종교간 대화의 토대가 되는 원리이기 때문이다. 둘째, 『천주실의』에 나타난 그리스도교와 유·불·도의 대화를 해석학적으로 분석, 고찰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서들이 그리스도교와 유교와의 대화 혹은 그리스도교의 전교서로서 『천주실의』를 조명하였다면, 본 논문에서는 유·불·도, 특히 불교에 대한 리치의 이성적 대화의 논거들을 그리스도교와 유·불·도의 존재론적·도덕적 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앞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리치의 종교간 대화의 특징과 한계를 제시한 후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리치의 적응주의가 한국의 종교간 대화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논하였다.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리치는 크게 두 방향에서 대화를 시도하였다. 그리스도교와 유·불·도와의 존재론적 대화와 도덕적 대화다. 존재론적 대화에서 리치는 공무론(空無論)을 내세우는 불교와 도교는 무신론(無神論)의 종교라고 논박하였고, 인격신으로서 상제(上帝)를 표방하는 (원시)유교에 대해서는 호의적 태도를 보였다. 그리스도교와 유교의 유신론적 (有神論的) 신관에서 공유점을 찾은 리치는 이를 토대로 유학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중국의 상류층에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을 전파하려고 하였다. 리치는 도덕론을 통한 대화에서도 실재적 존재론에 입각해 불교의 윤회설을 해석함으로써 불교 윤리의 모순을 비판하였다. 뿐만 아니라 리치는 종교혼합주의에 대해서도 제동을 걸었다. 그는 유·불·도 세 종교가 혼합되는 것에 대해 경계했다. 리치의 유·불·도 대화의 목적은 세 종교의 잘못된 교설(敎說)을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으로 바로잡는 데 있었다. 이것은 혼합의 의미에서가 아닌 그리스도교 중심의 포괄적 의미에서의 대화였다. 세 종교 혹은 네 종교의 도리를 동시에 믿는 것이 아닌, 하나의 올바른 도리를 찾아내 믿는 것이 중요하였다. 리치는 그 하나의 올바른 도리가 그리스도교라고 확신하였다. 그리스도교 중심의 포괄주의적 대화는 리치의 대화가 갖는 한계점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6세기 당시 리치의 적응주의적 방법을 통한 보유론적(補儒論的) 대화는 획기적인 것이었다. 중세의 배타적 종교관에서 벗어나 타종교, 타문화와의 대화를 시도한 것은 이후 다종교·다문화 시대에 전개될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좋은 선례가 될 수 있었다. 비록 선교를 목적으로 하는 포괄주의적 대화였다고 하더라도 리치는 유교문화의 적응을 통해 유교와 그리스도교의 조화와 화해를 모색하였고, 동서문명의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 바로 이점이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리치의 적응주의가 갖는 의의라고 하겠다. This paper analyzes the dialogue between Confucianism/ Buddhism/Taoism and Christianity spread by way of Accommodationism of Matteo Ricci. This approach adopted by the Jesuit priest who was sent to China in the 16th century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 principles that can help define the interfaith dialogue. Ricci’s accommodationist approach was pursued via the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This study explored how Ricci’s Accommodationism introduced to the Confucian society and culture came to be the model of interfaith discourse by looking at his book Tianzhu Shiyi(The True Discourse of the Lord of Heaven). Tianzhu Shiyi is Ricci’s refutation of Buddhism and Taoism. In this book, he argued against the concept of deity and morality of these two religions as opposed to those of Christianity while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ng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The focus of this study was placed on the conversation between Ricci and a Chinese scholar in Tianzhu Shiyi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Ricci’s interfaith dialogue. Based on the analysis, the principles of the interfaith discourse - much needed in the twenty-first century South Korea - were reviewed. The first to be analyzed was Ricci’s cultural Accommodationism it was crucial as it was the founding stone of his interfaith exchange. Secondly, the hermeneutic interpretation was conducted on the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Buddhism/ Taoism as seen in Tianzhu Shiyi. While the existing studies shed light on Tianzhu Shiyi with a primary focus on the Christianity- Confucianism discourse or its evangelistic nature, this study examined Ricci’s rational basis for argument with regard to Confucianism/ Buddhism/Taoism, particularly to Buddhism, concentrating on the ontological and moralistic discours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Buddhism/Taoism. Thirdly, the aforementioned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Ricci’s interfaith dialogue and to find out how his Accommodationism could contribute to advancing the discourse.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icci attempted the discourse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the ontological and moralistic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Buddhism/Taoism. In the ontologicaldialogue, Ricci refuted that Buddhism and Taoism - which assert the emptiness and nothing(空無論) of things - were the religion of the atheists. He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primitive) Confucianism that had Shangdi(上帝) as its supreme deity. Having found a common ground in the theist belief of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Ricci sought to spread the teachings of Christianity to the upper class members of China, which were primarily comprised of Confucian scholars. Even in the moralistic discourse, Ricci interpreted the Buddhist belief of the cycle of life and death(samsara) based on the existential ontology to criticize the contradictory nature of Buddhist ethics. Furthermore, Ricci attempted to put a stop to religious syncretism. He warned against the fus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purpose of the interfaith dialogue that Ricci intended was to correct the fallacious teachings of the three religions with those of Christianity. This did not mean a fusion in its sense but inclusion that centered on Christianity. What was important to him was to find and believe in the one true way, not to believe in the three or four religions together simultaneously. Ricci was assured that that one true way was the way of Christianity. None other than this inclusive approach centered on Christianity was the limitation of Ricci’s discourse. Nonetheless, the discourse that ventured to ‘complement Confucianism’ based on Ricci’s accommodationist approach was one groundbreaking attempt. The escape from the exclusive and closed medieval view and the endeavor to initiate the inter-religious and inter-cultural conversation served as an excellent precedent for the interfaith dialogues that are to follow in the age of multi-religion and multiculture. Although limited by the discourse’s inclusive nature with a purpose of evangelizing the non-believers, Ricci aimed to reconcile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based on the accommodationist approach to the Confucian culture, thereby bridging the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This is precisely why Ricci’s Accommodationism holds considerable significance today.

      • KCI등재

        대산 김대거 종사의 종교간 대화

        김명희(金明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1 No.-

        소태산 대종사의 일원주의와 정산종사의 삼동윤리사상을 토대로 원불교 제3대 종사인 대산 김대거에 의해 제창된 종교연합운동은 종교 간의 교류와 협력에 대한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면서 종교간 대화의 실제적 사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산종사의 종교연합운동은 신자유주의 시대가 낳은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상생상화의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종교간 대화운동이다. “진리는 하나, 세계도 하나, 인류는 한 가족, 세상은 한 일터, 개척하자 하나의 세계”라는 대산의 사대진리사상을 바탕으로 추진된 종교연합운동은 원불교의 정체성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종교연합운동 속에 나타난 대산의 종교간 대화원리를 해석학적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종교연합운동의 토대가 된 대산의 사대진리사상이 어떻게 종교 간의 대화원리로 작용하는지 규명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산의 종교간 대화의 원리를 그의 사대진리사상과 소태산 대종사와 정산종사의 주요 사상을 중심으로 해석학적으로 분석, 고찰할 것이다. 특히 자본주의 시대에 세계평화와 정의실현을 위해 추진된 대산의 종교간 대화운동을 원효의 체상용(體相用) 원리를 통해 분석, 조명하고자 한다. 원효의 체상용 원리는 대립과 갈등을 화해시키는 화쟁원리로서 좋은 모델이 되기 때문이다. 이 작업을 위해 대산의 종교간 대화의 토대가 되는 사대진리사상을 원효의 체상용의 원리에 입각해 심층 분석할 것이다. 그 결과를 중심으로 대산의 종교간 대화가 갖는 특징과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먼저 원효의 체상용 대화원리를 간략히 소개한 후, 이어서 대산종사의 종교 간의 대화를 원효의 체?상?용 대화의 세 방향에서 분석, 고찰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산의 종교간 대화의 특징을 제기 한 후 결론에서 미래의 ‘대화운동’으로서 대산의 종교간 대화를 전망하고자 한다. The movement through inter-religious cooperation proposed by Master Daesan Kim Daegeo, who is the third Master in Won Buddhism, based on Monism of the Great Master Sotaesan and the Philosophy of Three Identities Ethics of Master Jeongsan, has emerged as a practical operation of inter-religious dialogue, suggesting specific alternatives for the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religions. The movement through inter-religious cooperation by Master Daesan is a movement of inter-religious dialogue to eliminate the social inequality caused by the neo-liberal era, and to create a community of co-existence and harmony. The movement through inter-religious cooperation which has been promoted on the base of Daesan’s Philosophy of Four Truths, “One Truth, One World, One Family of Humanity, One Workplace of the World; Let’s Develope One World”, is also the identity of Won Buddhism.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Daesan’s principle of inter-religious dialogue appearing in the movement through inter-religious cooperation, using the method of hermeneutical analysis. It also involves a study to determine how Daesan’s Philosophy of Four Truths,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movement through inter-religious cooperation, works as the principle of inter-religious dialogue. This thesis analyzes and examines Daesan’s principle of inter-religious dialogue centering on his Philosophy of Four Truths and the main thoughts of the Great Master Sotaesan and Master Jeongsan. Especially, Daesan’s inter-religious dialogue movement, which has been promoted to realize the world peace and justice in this capitalist era, is analyzed and investigated through Wonhyo’s principle of Essence, Aspect and Function. It is because Wonhyo’s Principle of Essence, Aspect and Function is a good model for the principle of Hwajaeng to reconcile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For this, Daesan’s Philosophy of Four Truths as the foundation of his inter-religious dialogue is analyzed in depth based on Wonhyo’s principle of Essence, Aspect and Function. The result will shed a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Daesan’s inter-religious dialogue. First, a brief introduction to Wonhyo’s dialogue principle of Essence, Aspect and Function is made and then Daesan’s inter-religious dialogue is analyzed and considered in three directions of Wonhyo’s dialogue of Essence, Aspect and Function.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Dasan’s inter-religious dialogue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 and Daesan’s inter-religious dialogue is considered as the future ‘dialogue movement’ in the conclusion.

      • KCI등재후보

        세계시민사회 실현을 위한 종교 간 대화와 협력: 국제인권의 종교적 비전과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연구

        안신 한국평화종교학회 2018 평화와 종교 Vol.0 No.6

        In the 21st century Korean society, non-religious people are rapidly increasing. Recently Inter-Korean Summit is open and the new category and orientation of interreligious dialogue and cooperation is needed. This article deals with new directions of building a global civil society by arguing the religious visio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and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practices. Inter-Korean summits and dialogues between religious and non-religious people can be regarded as inter-religious dialogues. Instead of focusing on abstract philosophical discourses on human rights, we should recover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nd overcome social crises on the base of human rights which world religions teach us. In order to fulfill the goals, it examines various models of inter-religious dialogue from traditional conversion oriented model to mutual transformation model. Therefore, in supporting religious minority including North Korean defectors, the balanced approach between human rights and social welfare practices is necessary. The author analyzes subjects of social welfare practices related to human rights and examines religious visio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and global ethics. In conclusion, the restoration of balance between human rights and social welfare will make us build a global civil society based on religious peace. 무종교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21세기 한국사회는 남북 간 대화의 길이 열리면서, 종교 간 대화와 협력에 대한 새로운 범주와 방향 설정이 필요한 기로에 서 있다. 본 논문은 인권담론의 종교적 비전과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을 주장함으로써 세계시민사회 실현을 위한 종교 간 대화와 협력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남북 간의 대화와 무종교인과 종교인 간의 대화를 광의의 종교 간 대화로 간주한다. 그리고 추상적이며 철학적 인권개념에 함몰되는 대신에, 세계종교의 인권 개념을 토대로 구체적인 삶과 가치의 회복을 실천 지향적으로 극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종교 간 대화에 대한 이론적 다양성을 소개하고, 개종을 전제로 한 전통적인 모형에서 상호 변혁의 모형으로의 전환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탈북자를 포함한 종교적 소수자의 인권문제뿐만 아니라 복지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함을 주장했다. 인권과 관련된 사회복지실천의 주제들을 분석하고 세계종교들의 인권에 대한 비전과 윤리를 검토하였다. 따라서 세계시민사회를 실현하기 위하여 종교의 평화적 가치에 대한 인권과 복지의 균형 잡힌 치열한 탐색과 분석이 필요하다.

      • KCI등재

        종교협력운동의 지속성 요인에 대한 연구 :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를 중심으로

        김화종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2 No.-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는 1965년 서울에서 한국의 6개 종단(개신교, 불교, 원불교, 유교, 천도교, 천주교) 지도자들이 모여 대화모임을 갖게 된 것이 효시가 되었다. 그러나 이 모임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은 끝에 1986년 3월 아시아종교인평화회의 서울 총회를 계기로 국제종교기구와 유대관계를 갖으며 새롭게 출범하게 되었고, 이곳의 설립이념은 종교인의 상호교류와 이해를 증진하며 이웃 종교 간의 공동과제를 연구, 실천하여 보다 나은 한국사회를 이룩하고 나아가 전 세계 종교인들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세계평화에 이바지하자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번 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 종교편향 문제로 한국사회는 정부와 종교계 간의 갈등이 빚어와 왔고, 불교와 기독교간의 대립각은 계속 날카로워져서 대구 동화사 사건과 봉은사 땅 밟기 사건과 같은 종교 간의 갈등 사건들이 계속해서 돌출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고 있는 7대 종단(한국민족종교협의회 포함)의 협의체로 구성되어진 KCRP의 역할이 더욱 절실히 촉구되는 시점에 와 있다고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종교 간의 대화가 더욱 촉구되는 시점임을 간주하고 KCRP라는 각 종단간의 협력체제 운동에서 발생되는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8명의 실무진들을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종단간의 복잡한 이해관계에 따른 어려운 문제와 갈등, 관계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KCRP가 존속되고 지속되고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도록 한다. 어떻게 보면 인류의 평화와 종교 간의 이해를 위해 활동하는 KCRP에 앞서 각 종단간 사이의 밸런스를 깨트리지 않기 위한 팽팽한 역학관계를 먼저 생각할 수밖에 없는 어려운 구조 속에서도 불구하고 KCRP가 지속적인 활동을 하게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함을 통해 종교연합운동이 이 사회에서 가지는 함의를 강조해 보도록 한다. The Korean Conference of Religions for Peace (KCRP) held its first meeting in 1965 and gathered religious leaders from six traditions: Protestantism, Buddhism, Won-Buddhism, Confucianism, Cheondogyo, and Catholicism. However, close to the end of experiencing numerous difficulties, and with the aid of the Seoul general meeting of the Asian Conference of Religions for Peace (ACRP) in March 1986, they started anew and which aimed at promoting religous dialogue among religious leaders and addressing joint issues, which they later implemented in order to create a Korean society that could move forward and colloborate with religious leaders from around the globe and bring about world peace. However, after the commencement of the newly elected government a bias towards religions emerged which inevitably led to conflict between the government and religions. Furthermore, the antagonism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escalated and bitter disputes between the two groups ensued with led to the disastrous incidents at the Daegu Donghwa Temple and the Bong Eun Temple. These events were both indicators that the role of the KCRP was vital and a necessary step for the seven religions(including South Korea tradition Religious Council) to come together and discuss pertinent issues that face Korean society. As such, this study regards dialogue among religions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society and in order to comprehend the situation occurring in the cooperation framework of each religious order of the KCR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representatives from working group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used. Although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complicated religious orders and other difficult problems and conflicts, this study analyzes the key factors that make the KCRP an active part in bringing about religious harmony. In some ways, the KCRP"s objective to promote the peace of humanity and understanding among religions underwent many challenges, however, the KCRP continues to be active and this study analyzes the key factors that make this possible. Through this evidenc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lications that religious coalitions have on society.

      • KCI등재

        종교간 교육의 초기 연구들에 대한 탐구: 케이건, 보이즈와 리, 그리고 반더벤과 지베르츠

        이정철 한국종교교육학회 2023 宗敎敎育學硏究 Vol.73 No.-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early studies on “interreligious education”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religious education that are evident in these studies. [Cont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ree sets of research: Kagan (1952), Boys and Lee (1996; 2006), and Van der Ven (1994) and Ziebertz (1993; 2007). Kagan’s study compared the educational effects on Christian teenagers when a Jewish rabbi conducted the education himself in the 1950s. Kagan reported that significant attitude change occurred when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ress their honest feelings and thoughts in dialogue. Boys and Lee conducted a long-term education program with 11 Jewish educators and 11 Catholic educators. They reported how relationship building and learning togeth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epening understanding and changing thoughts. Van der Ven and Ziebertz categorized the monoreligious model, the multireligious model, and the interreligious model and theorized that the interreligious model could bring change and be necessary in modern society. [Conclusions] As a result, it is observed that all of these early studies demonstrated that interreligious education is ‘education for transformation.’ It is also about encountering lived religion that is embodied in each participant. Transformation happens when perspective exchange and critical self-reflection take place among them.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간 교육(interreligious education)’의 초기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고, 이들 연구에서 나타난 종교간 교육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내용] 이를 위해 본 연구는 Kagan(1952), Boys & Lee(1996; 2006), 그리고 Van der Ven(1994)과 Ziebertz(1993; 2007)의 연구를 살펴본다. Kagan의 연구는 1950년대 기독교 청소년에게 유대인 랍비인 본인이 직접 실시한 교육 효과를 비교한 실증연구이다. 그는 각 종교의공통점보다 차이점이 강조되고, 참여자의 솔직한 감정과 생각이 대화적으로 드러날 수 있을때 유의미한 태도의 변화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Boys와 Lee는 유대인 교육자 11명과 가톨릭교육자 11명과 함께 2년 8개월에 걸친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들은 질적연구를 통해 ‘관계형성’과 ‘함께배움’이 서로에 대한 생각 변화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고하며, 종교간교육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증폭시켰다. Ziebertz와 Van der Ven은 단일종교 모델, 다종교 모델, 종교간 모델을 구분하여 이론화하였다. 특히, ‘관점교환’과 ‘자기성찰’이 있는 다종교 모델에 근거한 종교간 교육이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따라서 현대 사회에 필요한 모델임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초기 연구들에서 나타난 종교간 교육의 특징은 첫째, 이것이 근본적으로 ‘변화를 위한 교육(education for transformation)’이라는 점이다. 둘째, 종교간 교육은 대표자 간의 대화나 상대 종교에 대한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니라, 참여자 개인들의 삶과 이야기에서 구현되는 살아있는 종교(lived religion) 간의 만남과 상호배움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셋째, 참여자들의 변화는 그들 사이의 관점교환과 자기성찰을 통해 가능하다는 점이다.

      • KCI등재

        종교인과 신자가 나눈 대화내용에 대한 증언거부의 특권

        윤종행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30 No.4

        All U.S. states today have a statutory clergy-penitent privilege and U.S. federal courts acknowledge it based on Federal Rule of Evidence 501. This originated from the tradition of the “Seal of Confess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The sinner will not confess, nor will the priest receive his confession, if the veil of secrecy is removed. The privilege indicates communication should be confidential, spiritual and made to a cleric in his professional capacity. With regard to mandatory reporting law, there is a tension between this privilege and the constitutional right of freedom of religion. The state must show that the public interest of protecting children from abuse outweighs the penitent’s right to privacy and freedom of religion. To balance the privilege against the need for evidence in a given case, involvement with violent crimes, potential future danger to others, or abuse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consensus in the public debate on this issue, these two conflicting interests must be balanced with the location of the meeting, the duration of the clergy-penitent relationship, and preexisting spiritual counseling relationships taken into account. The severity of the crime and alternative ways to avoid victimization are other crucial factors. More concrete exceptions are needed in the Korean code of criminal procedure and evidence to clarify when clergies must disclose their communications with penitents for the “significant public interest.” 종교인과 신자 간에 나눈 대화내용에 대한 증언거부의 특권은, 개인의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미국의 모든 주의 법률과, 연방법원의보통법의 전통에 의하여 인정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주에서는 이 특권의보유자를 신자로 인정하고 있다. 이는 카톨릭 교회의 “고해성사의 비밀유지의무”의 전통에서 유래하는 것으로서, 종교인과 신자가 나눈 대화 내용이 비밀로서 보장이 되지 않는다면, 사람들이 신뢰를 갖고 종교인과 비밀스런 대화를 나누지 않으려고 할 것이고, 모든 사람은 때때로 참회와고백, 그리고 영적 훈련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이유에서이다. 종교인과 신자가 나눈 대,화내용에 대한 증언거부 특권으로서 인정되기위하여서는, 첫째, 상호간의 신뢰를 전제로 하는 비밀성이 있어야 하고, 둘째, 종교적・영적 대화이어야 하고, 셋째, 전문 종교인의 입장에서 나눈대화이어야 하는데,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지는 특권을 주장하는 사람이 입증하여야 한다. 종교인과 신자간의 증언거부 특권은 변호사나 심리치료사의 경우에서의 특권과 비교하여 보다 강한 보호를 받는데, 헌법적 권리인 종교행사의자유에 근거하여 상담내용의 공개를 거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만, 구체적인 사안에서 이 특권을 인정할 것인지를 판단함에 있어서, 미국의 법률과 판례는 대화내용의 비밀보장이라는 이익과 증거로서의 필요성을 비교형량하여 그 인정범위를 판단하고 있다. 폭력범죄와 관련되는 사건, 타인에게 잠재적 위협이 예상되는 경우, 또는 학대 등과 관련되는지 등의특수상황을 고려하고, 대화가 이루어진 장소, 종교인과 신자 간의 관계의지속기간, 그리고 영적 상담 관계가 이전에도 존재하였었는지 등을 아울러 참작하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는 아동학대사건 등의 경우에는종교인이 이를 당국에 신고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는데, 종교의 자유와 아동보호라는 공익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증언거부의 특권을 침해하면서라도 보호하여야 하는 중대한 국가적 이익이 존재하고, 기본권의 “최소침해 원칙”을 충족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다만 종교인의 비밀준수의무와 아동학대 사건에 대한 신고의무의 범위를 어떻게 할 것인가는, 공동체의 가치적 공감대가 어떠한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는 기본권의 충돌 문제이다. 아동학대 사건의 방지라는 공공복리의 측면과 종교의 자유라는 측면, 그리고 자유로운 신앙상담 제도의 공익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기본권을 제도적 측면에서 조화롭게 보장하는 방안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에 있어서, 종교인과 신자와의 대화 내용과 형식, 종교인과 신자와의 관계 및 교류기간, 범죄의 중대성, 그리고 범죄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한 대체방안의 유무와 수월성 등 제반 정황을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형법 제317조와 형사소송법 제149조 등에서 인정하고 있는종교인이 신자와 나눈 대화내용에 대한 증언거부권이 영미법상의 증언거부의 특권과 다른 점은, 우선 우리나라에서는 증언거부권의 주체를 종교인으로 규정하고 있는 점이다. 그러나 이는 종교인과 신자간의 정보교환내용에 대한 비밀보호라는 제도의 취지에 맞지 않고, 종교인과 신자간 증언거부의 특권이 본래 신자가 어떤 염려나 거리낌 없이 편안하게 영적 신앙 상담을 받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특권의 주체를 신자로 규정 ...

      • KCI등재

        종교간 대화와 협력에 관한 연구: 이슬람교에 대한 한국교회 선교방향 모색

        김남석(Kim, Nam-Suc)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7

        본 연구는 한국교회와 이슬람교 사이의 종교간 대화를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슬람교에 대한 일부 한국교회의 입장은 극히 배타적이며 적대적이기까지 하다. 그 근본 원인은 이슬람교에 대한 오해와 왜곡된 사실들이 무분별하게 공유된 것에서 기인한다. 한국교회는 이제까지 국내에서 이슬람교와 함께 공식적으로 종교간 대화나 협력을 모색해 본 경험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선교방향에 대한 반성과 변화를 주요한 관심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하여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총 7회에 걸쳐 실행했던 이슬람교와의 대화와 협력 프로그램을 모델케이스로 삼아 한국 사회의 무슬림의 현황과 이주무슬림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 기독교와 이슬람 사이의 종교적 ․ 교리적 지향 등을 심도 있게 분석한다. 또한 본 연구는 기독교와 이웃종교 사이의 선교적 대화와 협력을 모색하기 위하여 그동안 이루어졌던 개신교와 가톨릭의 노력을 살펴볼 것이며, 종교간 대화와 협력을 위한 건강한 윤리적 자세를 바탕으로 새로운 선교방향을 모색해 볼 것이다. 본 연구는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가는 일에 종교간 대화와 협력은 선택적인 요소가 아니라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할 교회의 과제임을 제시하려 한다. 특히 한국교회의 이슬람교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해소하고 이 땅에 이웃종교 사이에 서로의 믿음에 대한 존중과 경의를 통해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어가는 이론적 기여를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지구촌의 평화와 정의를 바로 세우는 일이 곧 하나님께서 위임한 교회의 공공적 선교 사명임을 명확히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Islam and Korean Christianity. The reality is that the attitude towards Islam for some Korean churches is antagonistic. The study argues that the reason for such an attitude is ignorance and a distorted understanding of Islam.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in Korea has never happened. Thus the need for such dialogues is imperative. The study focuses on the work of the Korean Conference of Religions for peace(KCRP) from 2010-2017. This work includes analysis of a programme of dialogue and cooperation with Muslims that arranged 7 interreligious meetings during these years. This paper examines the KCRP programme as a case study that reveals perceptions of Muslims in Korean society, and the nature of their religious life in Korea. It also views the previous ecumenical dialogues between Catholics and Protestants in ways that positively inform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The study, finally, argues that interreligious dialogue and cooperation is a necessity and not an option for Christians whose mandate is to seek the Reign of God. It is critical that Christians correct their biased views against Islam and instead approach Islam with an attitude of mutual respect for the sake of creating a peaceful society. The study claims that interreligious dialogue and cooperation for peace and justice is God’s mission and, further, that it is the public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종교간 평화’ 담론 연구 : ‘세계 종교간 화합과 평화에 관한 유엔 총회 결의문’을 중심으로

        문선애 한국평화종교학회 2017 평화와 종교 Vol.0 No.3

        유엔 총회는 ‘세계 종교간 화합과 평화에 관한 결의문’을 1981년부터 2010년까지 총 11회 에 걸쳐 채택하였다. 1981년에 채택된 최초의 결의문은 ‘종교나 본래 신앙으로 인한 모든 형태 의 비타협적 태도와 차별을 제거하는 선언’이었으며, 이후 2010년 유엔 총회에서 결의된 ‘세계 종교간 화합 주 행사’(World Interfaith Harmony Week) 선포가 그것들이다. 유엔 총회가 이렇게 다수에 걸쳐 결의문을 통과시킨 것은 세계 종교간 화합이 세계 평화와 직결되기 때문이 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유엔 총회의 결의문이 지닌 평화담론은 먼저 종교와 신앙의 자유는 인권에 기초하고 있으면 인권 그 자체임을 분명히 하는 것이었다. 다음 종교간 이해와 대화를 통해 종교간 존중 과 관용의 태도를 증진시킴으로써 종교간 갈등과 차별에 따른 폭력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유엔 총회의 결의문이 지닌 평화담론은 종교간 이해와 관용이야말로 세계평화를 이루는 길이 라는 점을 선포하는 것이다. 종교평화 없이 세계평화 없다고 하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는 것 이 유엔 총회의 결의문이라는 말이다. UN general meeting have settled the resolution of world religions’ peace and harmony through out 11 meetings from 1981 to 2010. The first resolution ‘abolished all prejudicial and uncompromising deeds that was based on any type faith or religion’ in 1981. Afterward those results have led UN general meeting to proclaim the ‘World Interfaith Harmony Week’ in 2010. UN general meeting had undergone multiple settlement sessions because it is inevitable fact that unity between the world’s religions is directly related to world peace. Such resolution incorporating peace discussions first based on human rights that relates to freedom of religions and faith and of course the human right its self. Its purpose is to reduce the conflict and prejudice among religions by gaining respect and tolerance through understanding and conversation. More importantly the peace resolution declare the point that these understanding and tolerance among religions is eventually leading to the world peace. The resolution from the UN general meeting distinctly proves religious peace must come first for the realization of world peace.

      • KCI등재

        아시아의 평화와 종교 간 대화

        황경훈(Hwang, Kyung Hoo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神學展望 Vol.- No.189

        아시아 가톨릭교회의 주교들은 1970년대 초반 스스로 협의기구인 아시아 주교회의연합회(이하 FABC)를 설립하고 종교 간 대화와 협력에 대한 여러 문헌을 발표해 왔다. 본고에서는 이들이 FABC를 통해 지난 40년 동안 수행해온 종교 간 대화와 활동을 연구함으로써 아시아에서 평화를 위한 종교 간 대화와 협력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왔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아시아 주교들의 이러한 노력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대화 정신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기에 본고에서는 기본적으로 사회와 타종교에 대한 공의회의 대화 정신이 어떻게 아시아 주교들에 의해서 계승, 발전되었는지에 중점을 두었고 그 한계와 방향도 제시하였다. 공의회 뒤 아시아 주교들은 처음으로 마닐라에 모여 ‘삼중대화’(Triple dialogue), 곧 아시아의 가난한 이들, 다양한 문화 그리고 위대한 종교 전통과의 대화를 제창함으로써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대화 정신을 아시아 상황에 맞게 구체적이고도 창의적으로 수용했다. 특히 이들은 1990년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열린 5차 총회에서 이 삼중대화와 ‘공동체들의 친교’(communion of communities)로서 기초교회공동체를 아시아 교회의 새로운 존재 양식(a new way of being Church in Asia)으로 규정했다. 이어 주교들은 1차 총회에서 공식으로 정식화한 삼중대화를 강조하면서, 교회의 복음선교사명 곧 선교란 아시아의 가난한 사람들, 다양한 문화와 타종교전통과의 대화임을 상기시켰다. FABC의 삼중대화는 공의회 정신을 아시아의 토양으로 (구체적으로) 뿌리내리려는 토착화라는 측면에서뿐 아니라, 평화를 위한 절박한 요청으로서의 종교 간 대화를 한층 더 발전시킨다는 실천적인 면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포함해 아시아의 많은 나라에 제대로 소개조차 되지 않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이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가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orts made by Catholic bishops in Asia who established the Federation of Asian Bishops’ Conferences(FABC) in 1974 and issued a lot of documents related to the realities facing the Churches and the societies in Asia for the past 40 years. During that period, the FABC committed itself especially to interreligious dialogue and cooperation so that it could suggest a relevant vision on harmony among various religions in Asia in order to achieve peace in the conflict-ridden continent. That was possible because of the spirit of dialogue highlighted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1962-1965). Recognizing it, this study moves forward to how the Council’s spirit of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and the world could be established and developed by Asian bishops, keeping in mind the awareness of their own limitations as well. After the Council, the Asian bishops convened their first meeting in Manila in 1970. They developed the idea of a ‘triple dialogue’, namely, dialogue with the poor, with various cultures and with the great religious traditions in Asia. Through them, Asian bishops creatively and concretely adopted the spirit of the Council, which very easily fits into the reality of Asia. In 1990, the Asian bishops met for the 5th plenary Assembly of FABC in Bandung. At this Assembly they advanced one step further by declaring the Basic Ecclesial Community(BEC) as a “new way of being Church in Asia.” This aspect added to the famous triple dialogue and the spirit of communion of communities was well expressed in the Council documents of Vatican Ⅱ. They put much emphasis again on the triple dialogue which are so close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in their life, so much so that they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short, FABC’s triple dialogue is worth getting much attentions and stress in terms not only of the local Church’s efforts for inculturation to concretize the Council’s spirit of dialogue to Asian soil but developing interreligious dialogue as an urgent task for peace in Asia. Despite that, such an important strategy for making peace in Asia formulated by FABC’s triple dialogue has been little known to many countries in Asia including Korea. In this sense, this study has created a meaningful contribution on how to establish harmony among the religions in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