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자철학에서 정신의 존재론적 지위 -존재론적 연관구조가 드러내는 어떤 질서를 중심으로

        윤천근 ( Youn¸ Cheun-gue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1

        장자의 존재론은 인간의 바람직한 삶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장자는 자연적 존재만이 진실로 자유롭다고 말한다. 소요하는 존재는 자연 속에 깊이 들어서 있는 존재이다. 존재의 자연성이란 총체적 세계 속에 이미 들어 있는 존재의 양상이다. 장자의 총체적 세계 속에는 기가 들어차 있고, 장자의 모든 세계는 하나하나의 기의 복잡한 연관을 통하여 구성된다. 하나의 기는 이미 존재성과 존재력을 갖추고 있는 이 세계의 유일한 구성요소이다. 그 하나의 기는 세계 속에 놓인 요소이므로, 이웃한 다른 기들과의 관계를 갖게 된다. 하나의 기는 총체적 연관을 통하여 1차적존재양상인 전체세계를 떠올려 놓는다. 전체세계는 무무와 혼돈의 존재성을 갖고, 모든 변화양상을 전개하여 나가는 존재력을 갖는다. 전자는 총체적 세계의 물질양상이고, 후자는 총체적 세계의 정신양상이다. 물질양상은 기의 연관된 구조가 드러내는 현상적 모습이고, 정신양상은 기의 연관된 구조가 갖추어 내는 감응의 질서 또는 흐름이다. 양자는 안과 밖으로 서로 통합되어 있다. 이 점은 총체적 세계에서도 그러하고, 총체적 세계의 내부에서 다양하게 갖추어지는 무수한 부분적 연관구조인 2차적존재양상의 경우에도 그러하다. 2차적존재양상은 일정한 부분적 연관구조를 갖춘 것들인데, 만물 같은 것도 이에 해당한다. 이것들은 단순하게 말해서 2중적 구조 속에 놓인다. 총체적 세계의 연관구조를 바탕으로 하고, 자기 존재성을 직접적으로 구현하는 부분적 연관구조를 또 갖추어내는 것이다. 이 부분적 연관구조 속에서는 자체에 대한 감응과 조화의 집중을 통해 의식이 생산될 수 있는데, 이 의식이 자의식의 단계로까지 발전하면 스스로의 존재영역을 재창조하여 제3의 존재양상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의식이 주도하는 존재양상은 개별자의 정신을 갖게 되는 것인데, 이것은 자아, 가치, 명예 같은 것을 만들어 내어, 자연존재를 인위존재로 변모시켜 낸다. 이것은 존재의 자유를 향유하기 어렵게 한다. 장자는 이런 문제를 의식이 만들어 내었으므로, 의식이 자연존재가 진실로 바람직하다는 것을 깨달아서 인간을 총체적 자연세계 속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고 주문한다. 소요하는 즐거움이란 어떤 개별존재가 사적 정신현상을 통해 얻게 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개별존재가 자신이 이미 속하여 있는 총체적 자연 세계 속에 놓임으로써 저절로 향유되는 것이다. Chang-Tzu’s ontology indicates an advisable life for humana. Chang-Tzu says that only natural beings are truly free. The concept of living happily ever after joyfully is something deeply embedded in nature. The nature of existence is an aspect of existence which is held already across the whole world. Chang-Tzu's whole world is full of Chi[氣], which the Chinese say is the basic component of the world, and the world of Chang-Tzu is composed with complex one by one connections between Chi. A single unit of Chi is the only component in the world that already has the properties of matter and the working force of matter. One unit of Chi has a one by one relationship with other neighboring units of Chi, because they are already elements placed across the whole world. One element of Chi composes the whole world, the primary aspect of existence, through an overall connection. The entire world has the presence of MooMoo[無無] and Chaos, and has the presence of power to unfold all the changes. The former is the material aspect of the total world, and the latter is the mental aspect of the total world. The material aspect is the phenomenal appearance of the associated structure of the Chi, and the mental aspect is the order or flow of the associated structure of a Chi. The two are integrated inside and outside. This is the case in the whole world, even in the case of a secondary aspect of existence, a myriad of partial associations that are diverse within the overall world. A secondary aspect of existence has certain partial connections in whole world, that is the case of the everything. These are simply placed in a duplex structure. It's based on the overall world's associated structure and has a partial associated structure that directly implements self-presence. Within this partial structure of association consciousness can be produced through the concentration of sensitivity and harmony unto itself. If this consciousness develops to the level of self-consciousness, it can reinvent its own realm of existence and move on to a third aspect of existence. Consciousness-driven aspect of being is to have the spirit of the individual, this creates things like self, value, and honor, transforming natural beings into artificial beings. This makes it difficult to enjoy freedom of existence. Chang-Tzu thinks that the consciousness created this problem truly, therefore only consciousness can bring man back to the whole natural world. The state of living happily ever after joyfully does not emerge by any individual being’s mental phenomenon, but a certain individual being is itself enjoyed by being placed in the whole natural world to which it already belonged.

      • M. 하이데거의 예술철학과 교육

        임태평 ( Lim Tae-pyeung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5 No.1

        M. 하이데거의 철학은 크게는 전기와 후기 철학으로 구분되고 그의 전기 철학이 그의 주저인 『존재와 시간』(1927)에서 비롯된 존재론적 철학이라고 한다면 그의 후기 철학은 전후(戰後) 그의 『예술작품의 근원』(1935)과 “인문주의에 관한 서한”(1947)에서 비롯된 그의 예술철학이다. 그의 전기의 존재론적 철학이 그의 후기의 예술철학으로의 변조(modulation)의 특징이 되었던 것은 무엇인가? 하이데거의 ‘예술철학’은 또 하나의 하이데거의 철학으로의 변조 없이는 이해하기 난해한 주제이다. “모든 존재자는 존재 안에 있고 존재는 존재자이다.” 이 두 명제 중에서 스타이너는 첫째 명제를 다음과 같이 영역한다: “All being is in Being”. 여기서 ‘being’은 ‘존재자’인 반면에 ‘Being’은 ‘존재’이다. 이렇게 번역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간단한 문제는 하이데거의 철학의 이해의 첫 단추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초적인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는 첫째, ‘하이데거의 철학과 기초 존재론’에서는 하이데거의 철학을 전회를 중심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1. 현상학과 실존주의, 2. 형이상학과 존재론을 각기 고찰하고 둘째, ‘존재론적 진리와 예술’에서는 존재론적 진리와 예술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하이데거의 “예술작품의 근원”을 중심으로 1. 예술작품과 현상학, 2. 존재론적 진리와 예술을 각기 분석 및 고찰하며, 그리고 마지막으로 ‘존재론적 예술과 교육’에서는 1. 존재론적 교육개념을 도출하여, 2. 존재론적 예술과 교육을 1) 기술(technē)로서 교수와 2) 예술(art)로서 교수/학습으로 세분하여 각기 차례로 고찰하므로, 결론에서는 본고에서 논의 및 고찰한 것에서 얻은 결과에서 오늘날 우리의 교육현실에 시사하는 바를 추론하는 것이다. It was long been customary to distinguish the early Heidegger of the 1920s from the later Heidegger of the 1930s, 40s, and 50s, Just as we now distinguish the early Heidegger of Being and Time from the later Heidegger of “The Origin(Source of the Work of Art.” In the early work, Heidegger gave Phenomenology an existentialist' orientation which gained it international acclaim. But In the thirties, Heidegger's thinking underwent its famous 'turn'(Kerne) from a phenomenology of human existence to a phenomenology of language which stressed the priority of the word of Being over the human subject. This second phase of Heidegger's Philosophy has been identified ...with his works on Holderin and Nietzsche. Heidegger's later work “The Source of the Work of Art” was written by Heidegger in 1935. It marks a modulation from the technical, even systematic engagement with traditional metaphysics in Sein und Zeit to the 'poetics' of Heidegger's later approach. Heidegger revised Husserl's phenomenological method so that it might properly respond to the question of Being. He re-opened the Husserl's brackets and let existence back in. But existence was now to be understood neither as mere subjectivity nor objectivity, but as a fundamental openness to the Being of beings(Kearney, 1986: 30). I will conclude with a brief synopsis of four themes which arise out of Heidegger's Philosophy of art and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Teaching/Learning). To sum up: 1. Heidegger's Philosophy and basic fundamental Ontology: 1) Phenomenology and Existentialism, 2) Metaphysics and Basic Ontology 2. Ontological Truth and Art: 1) Ontical Truth and Ontological Truth, 2) Ontological Truth and Work of Art. 3, Ontological Education and Art: 1) Ontological Education, 2) Teaching as Ontological Art, (1) Teaching as Techne; (2) Teaching as Art, 4. Conclusions: Heidegger's Teaching as Ontological Art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Teaching/Learning); All authentic teaching, like all authentic art, is the letting be happen of the advent of truth(as unconcealedness), as the truth of authentic art, is the letting be happen of what is(Gȫtz, p. 9).

      • 하이데거의 존재물음과 ‘있다’의 근본의미

        구연상 ( Gu Yeon-sa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존재론 연구 Vol.26 No.-

        우리는 “존재”라는 번역어가 서양 전통 형이상학의 근본 물음인 ‘있는 것으로서의 있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뿐 아니라 하이데거의 근본 물음인 ‘있음의 의미(뜻하는 바)는 무엇인가?’와 같은 물음을 마름질하는 데 알맞지 않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에 대한 증거로 크게 세 가지 사례가 제시 되었다. 첫째, 만일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신 존재 증명’과 ‘신의 본질 해명’을 서술하기 위해 “존재”라는 번역어를 쓴다면,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있음의 사실’로부터 ‘가짐의 상태’를 거쳐 결국 ‘있는 실체’로 잘못 넘어가기 쉽다. 둘째, 토마스의 존재론적 차이는 ‘있는 것’이 있음을 ‘나누는 갖는 것’이라는 사실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데, “존재”라는 낱말은 그 자체로 이러한 ‘나누어 가짐’을 나타낼 수 없고, “하다”라는 동사의 도움을 빌려야만 분사가 될 수 있다. 셋째, 하이데거의 존재물음은 ‘있는 것의 있음’과 ‘있음의 있는 것’ 사이의 공속적 관계를 올바로 파악하는 게 중요한데, “존재”라는 낱말은 이러한 관계를 담아내는 데 많은 장애 요소가 있다. 우리는 하이데거가 제시한 “sein”의 여러 보기 문장들을 우리말로 바꾸어 봄으로써 “존재”라는 번역어 대신 “있다”라는 우리말이 그 뜻과 쓰임새에서 보다 옳고 바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확신에 기초하여 우리는 하이데거 철학의 핵심 낱말인 “Sein”에 대한 우리말 번역어로 “있음”을 선택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있다”라는 낱말의 근본 의미를 확정하기 위해 그 낱말의 어원적 의미들(가짐, 머묾, 차지함, 나타남)을 살폈고, 그 가운데 ‘나타남’이 다른 의미들에 비해 ‘가장 앞서고’ ‘가장 근원적인 것’으로 과감하게 확정했다. 우리는 이러한 확정의 올바름을 보이기 위해 “나무는 있다.”라는 글월을 분석했고, 그로써 “있다”의 근본 의미는 ‘나타남-이어나가기’임을 밝혀냈다. In this article, I pointed out the current translated word, ‘존재(Being)’ has a limit to clarify “What does ‘being’ mean as it is?”, which i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estern conventional metaphysics, as well as “What is the meaning of ‘Being’?”, the basic question of Martin Heidegger. I explained this by giving three specific examples. Firstly, using the word ‘존재 (Being)’ can be dangerous because it has a possibility for us to misinterpret ‘there is something’ as ‘something possesses something’ and as ‘something substantial exists’, when we use the term ‘존재(Being)’ to demonstrate the ‘ontological argument’ and the ‘existence of God’. Secondly, in the aspect of the ontological difference of Thomas Aquinas, it is considering ‘there is something’ as ‘sharing a state of being’ that makes the differences. The term ‘존재(Being)’ itself, however, is insufficient to express such a meaning in detail so it has to be changed into a participle form by the verb ‘하다(do)’. Thirdly, when it comes to Heidegger’s question of ‘Being’,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common properties between “Being of entity(Sein des Seienden)” and “Entity of Being(Seiendes des Seins)”. The term ‘존재(Being)’, however, has many limitations to be used for showing the relation clearly. For these reasons, then, I tried to illustrate that the term ‘존재(Being)’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current term ‘existence’ so as to convey the exact meaning of ‘Sein’, a keyword of Heidegger’s philosophy. To demonstrate this, I switched several sentences presented by Heidegger, in which ‘Sein’ was used, into Korean. Through this proces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being(있다)’ should play a role as a substitute for ‘existence(존재)’, the term which is now being used as the translated word of ‘Sein’. Lastly, in order to ensure the basic meaning of ‘존재(Being)’, I explored some words such as having, remaining, occupying and appearing from the aspect of the etymological meanings. After that, I determined ‘appearing’ has the most initiative and ultimate feature of all. To verify the determination, I drew the fundamental meaning of ‘존재(Being)’ is ‘appearing and keeping connected’, from an example sentence, ‘A tree is.’

      • 비트겐슈타인과의 비교 속에서 살펴 본 하이데거의 ‘존재 의미’

        박현정 ( Park Hyeon-jeo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8 존재론 연구 Vol.18 No.-

        하이데거 사유는 시종일관 존재 물음이지만, 전회이후의 존재 물음이 ‘존재 진리’ 물음이라면, 전회이전의 것은 ‘존재 의미’ 물음이다.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 의미를 물은 하이데거 초기 사유의 고유한 권역과 그 한계를 조명하였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존재 의미’를 “의미’’의 일반적 용례에 따라 오해하고 있다. ‘존재 의미’에 대한 오해는 단순히 “의미”라는 한 날밀의 오해에 그치지 않으며, 나아가 하이 데거가 철저한 물음에 부치고자 했던 형이상학적 ‘존재’ 개념과 하이데거 ‘존재’ 개념을 무차별적인 것으로 만듦으로써 하이데거 초기 사유의 고유성을 훼손하고 있다. 이런 독해는 의식과 존재의 관계가 강한 회의에 부쳐지고 명목론에 대한 극복이 긴급한 철학적 문제가 된 이후, 명백히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나타난 하이데거 초기 사유를 부당하게도 초월론적 전통 속에 가두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반 형이상학적 사유를 통해 통상적인 ‘의미’ 개념을 명시적으로 문제 삼은 비트겐슈타인의 사유를 발판으로, 우선 하이데거 초기 사유의 기본적인 반 형이상학적 기획을 명료화하고자 한다. 또한 비트겐슈타인 자신은 묻지 않았던 ‘존재’ 물음이 하이데거에게서 왜 불가피한 것이었는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존재론’으로서의 하이데거 사유의 고유성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하이데거 초기 사유에서 ‘존재 의미’는 단순히 “존재”라는 낱말의 분명한 인식에 공헌하기 위해 물어진 것만은 아니다. 근본적으로 ‘존재 의미’ 는, 하나의 존재자로서 다루어진, 존재자성 또는 현전성으로서의 존재에 맞서, 존재의 시간적인 성격을 철저히 규명하기 위해 물어진 것임을 드러내고 ‘존재 의미"란 곧 ‘가능성으로서의 근거’를 뜻함을 밝히게 될 것이다. Heideggers Denken bewegt sich auf einem Weg, worauf es um das Sein geht. Aber auf diesem Weg gibt es eine Kehre, in welcher sich sein frühes Denken von seinem späten unterscheiden. Wie wir wohl wissen, fragt Heidegger in seinem frühen Denkweg nach dem ‘Sinn des Seins’ und in seinem späten Denkweg nach der Wahrheit des Seins’. Heideggers Kritiker haben wohl den Reichtum und die Grenze des frühen Denkenwegs erörtert, lassen aber meiner Meinung nach die Deutung des ‘Sinnes des Seins’ unerörtert bleiben. Und zwar ist sie von der phänomenologischen Tradition und zugleich der sprachanalytischen Tradition verkannt. Heute fragt sich demnach die Überwindung des Subjek-Objekt Schemas von Heidegger und verstärkt sich die nominalistische Fassung vom heideggerschen Denken. Solche Erfassung, in welcher Heideggers Denken in die traszendentale Tradition zugeordnet wird, ist aber offensichtlich das Resultat der Verkennung des eigenen Denkwegs von Heidegger. In dieser Arbeit werden die Kritiken, daß Heidegger die phänomenologiesche Tradition aufgegeben hat und in die aristotelische Ontologie wieder eingegangen ist, und daß Heideggers Denken den Charakter des augustinischen Urbildes von der Sprache hat, kritisch betrachtet. Nach dem frühen Denken von Heidegger wird der ‘Sinn des Seins’ weder in der Fragestellung, worin das Sein vom ‘Bewußtsein’ sich unterscheidet, noch in der Gestalt des Sinnes von dem ‘Sein’ gefragt.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er “Sinn des Seins” erörtert durch und durch im Horizont der Zeit und zwar in der Unterscheidung vom Sein als ‘Seiendheit’ oder ‘Anwesenheit’. Der Sinn des Seins is der Grund als die Möglichkeit.

      • KCI등재

        하이데거의 트라클 시에 대한 해석

        박유정(Yu-Jeong Park)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2 No.-

        이 글은 트라클 시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을 정리한 것이다. 전회 이후의 후기 하이데거는 예술, 특히 시의 문제를 가지고 존재사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그가 거론하는 시인들 중 휠더린과 릴케, 게오르게에 대한 연구에 비해 트라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고, 게다가 색깔의 이미지를 가지고 존재의 장소론을 논의하는 트라클 시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에 하이데거 시론 중 존재사유의 문제를 가장 색채감 있게 서술하고 있는 트라클 시론을 정리하게 된 것이다. 하이데거는 『언어의 도상』의 「시에서의 언어」에서 트라클 시에 대한 해석을 한다. 트라클의 시 〈영혼의 봄〉의 한 구절, 즉 “영혼은 지상의 나그네 이다”를 가지고 영혼이 겪는 존재사건의 도정을 추적한다. 여기서 하이데거는 영혼이 존재를 찾아 떠나는 한에서 영적이고, 그런 한에서 정신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푸른 들짐승”이라고 규정한다. 푸른 들짐승인 영혼은 그 “푸름”이라는 색채가 보여주듯이 밝음과 어둠 양자를 함축한 이중성을 가지고 있고, 그로써 그것은 영적인 죽음을 감행할 수 있는 “세상을 등진 사람”이다. 세상을 등진 사람은 존재의 죽음을 감행할 수 있는 까닭에 영적인 정신을 지닐 수 있고, 그로써 그는 황금빛 얼굴의 엘리스, 즉 아직 태어나지 않은 미래 세대의 후손이며, 그의 죽음에의 여행은 금빛 거룻배를 타고 수레국화다발을 지나 존재의 그윽한 장소로 데려다 준다. 이 그윽한 장소가 곧 시작과 사유가 공속하는 존재의 장소인 것이다. 이러한 장소의 본질, 즉 장소의 장소성을 자리매김하는 것이 바로 어떠한 설명도, 명증도 아닌 ‘자리밝힘’(erortern)이고, 그러한 자리밝힘의 사유인 것이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존재의 자리를 자리밝히는 데서 시작과 사유의 근원이 되는 언어의 본질이 드러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존재의 자리밝힘은 존재에 대한 사유이다. 자리밝힘이 이렇게 존재사유이기 때문에 그것은 대상에 대한 근거율을 추구하는 ‘설명적 밝힘’(erklaren)도 아니고, 그러한 근거의 사태 자체의 드러남을 기술하는 ‘명증적 밝힘’(erlautern)도 아니다. 전통형이상학이 설명적 밝힘의 방법론을 사용하였다면, 그러한 존재-신론적 형이상학의 한계를 현상학은 명증적 밝힘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였다. 의식주관의 선험적 관념론에서 명증적으로 자명한 사태자체라는 개념으로는 자신의 존재론적 기반까지 기술할 수 없었기에, 현상학의 명증적 밝힘은 자리밝힘의 사유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하이데거는 주장한다. 왜냐하면 존재의 자리를 주목하는 이러한 자리밝힘에서 비로소 우리의 존재이해 속에 있는 존재가 자신을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리밝힘의 사유에서 존재는 자신의 장소를 역사적으로 말해주는 사건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하이데거의 트라클 시론은 단순한 문학론이나 문학 비평을 넘어서 기존의 형이상학적 사유에 대한 도전이고 그 극복에 대한 고뇌이며, 나아가 새로운 존재론에 대한 치열한 모색이며 그 방향 제시였다고 할 수 있다.

      • 하이데거에 있어서 실존론적 공간해석의 현대적 의의

        강학순 ( Kang Hak Soo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6 존재론 연구 Vol.14 No.-

        오늘날 전개되는 사이버문화 속에서 전통적인 공간개념에 대한 도전과 그리고 그것의 급진적인 해체의 위기 가운데, 공간 개념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 요청된다. 왜냐하면 공간은 시간과 함께 인간의 삶과 존재의 근원적인 지평이다. 우리는 개별 존재자를 그것의 공간성을 배제하고 그 존재를 생각할 수 없으며, 공간의 의미는 그것의 존재의미와 직결된다. 따라서 공간의 위기는 인간존재 및 사물존재의 정체성의 위기를 불러온다. 이런 점에서 인간의 존재방식을 근본적으로 해체하고 변화시키는 가상공간의 도전과 위협 속에서 고유한 인간존재와 세계와 관련된 근원적인 공간의 존재론적 위기와 상실에 대한 물음은 피할 수 없는 우리 시대의 철학적 과제로 여겨진다. 이러한 시대를 앞서 내다보면서 “공간”의 존재를 중요한 철학적 문제로 부각시키면서 자신의 존재물음과 결부시켜서 주제화시킨 이가 하이데거이다. 그는 이미 『존재와 시간』에서 공간에 대한 전통 존재론이 간과한 문제 지평을 현상학적으로 노정시키고 있다. 물론 후기-하이데거에 있어서는 전향적인 방식으로 공간에 대한 존재사유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전기-하이데거의 공간에 대한 실존론적인 논의에만 국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 이유는 오늘날 공간개념이 지나치게 탈인간화되고, 탈세계화되고, 탈역사화되었다고 보여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공간이 지닌 인간적 차원과 실존론적인 차원을 부각시켜보려는 것이 필자의 의도이다. 더욱이 오늘날 공간문제에 대한 철학적 물음이 긴요하고, 하이데거의 공간에 대한 철학적 논의가 시사하는 점이 많은데 비하여, 이 주제를 다룬 논문이 드문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고는 이 주제를 통해 전기 하이데거의 공간논의가 시사하는 동시대적 의의와 한계를 드러내고자 한다. In der Krisensituation, welche die herausfordernde und radikale Transformation und Destruktion des traditionellen Raumbegriffs fordert, bedarf es, uber den neuen Raumbegiff d.h. 'cyberspace in network' kritischeweise zu uberlegen. Denn der Raum spielt wie die Zeit als der ursprugliche Horizont des menschlichen Lebens und Seins eine große Rolle. Wir konnen uns das einzelne Seiende ohne seine Raumlichkeit nicht vorstellen, und sogar die Bedeutung des Raums hangt mit dem Sinn des Seins zusammen. Deshalb erfolgt m. E. die Krisis der Identitat bezugliche des Meschenwesens und Dinge aus der Krisis des Raumbegriffs. In diesem Zusammenhang gilt es fur eine unvermeidbare und notwendige phliosophische Aufgabe, uber die Raumproblematik in der heutigen Krisis des urspruglichen Raumbegriffs zu fragen. Heldegge hat schon in 『Sein Zeit』versucht, den Raumbegriff angesichts seiner Seinsfrage philosophisch zu thematisieren. Er stellt dessen Horizont der Problematik mit der phanomenologische Methode heraus, welcher der traditionellen Ontologie fehlt. Diese Abhandlung versucht zu zeigen, wie Heidegger den Raumbegriff in Bezug auf seine existenziale Anaytik des Daseins auslegt. Weil der heutige Raumbegriff m. E. den Charakter der Ent-menschlichug, Ent-weltlichung und Ent-Historisierung hat, beabsichtige ich, hier eine menschliche und existenziale Dimension des Raums in den Vordergrund zu stelllen. Zum Schluß wird diese Abhandlung uber die Bedeutung und Grenze des Raumbegiffs bei Hedegger betrachet.

      • KCI등재

        가브리엘 마르셀의 존재론적 신비

        조관제 ( Kwanjae Cho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1

        가브리엘 마르셀은 그의 철학적 사유는 두 가지 관심들에 의하여 지배되어 왔다고 말한다. 그중 하나는 ‘존재에 대한 요청’이고 다른 하나는 ‘개별적 존재들에 대한 ‘관심’이다. 이는 다시 각각의 개체성에 의하여 파악 된 존재들과 그들을 묶어주는 신비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다. 마르셀에 있어서 존재한다는 것은 존재에 참여한다는 것이다. 고립된 실존의 경험 같은 것은 없다. 마르셀에 있어서 형이상학은 존재에의 갈망의 표현으로 존재의 신비를 밝히는 것이다. 존재론적 신비로 가는 구체적 접근들은 사랑, 희망, 성실 같은 충만함의 가치들의 설명 가운데에서 존재론적 요청에 따라 이루어져야한다. 전체 자아가 하나의 충만함의 원천으로 회귀함 이 없이는 형이상학적 사유는 불가능하다. 사랑과 성실은 타인의 영속성과 절대적 가치에 대한 인정 즉 타인의 존재에 대한 인정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충분히 발전된 사랑 안에는 영원한 지속에 대한 요구가 있다. 희망은 본질적으로 창조적인 힘에 대한 하나의 호소로서, 희망은 자신을 앞으로 내던지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절대적인 것을 위하여 절대적으로 물러나는 것이다. 타인의 현전으로부터 유래하는 하나의 호소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성실은 영원한 것에 대한 인식이다. 그것은 존재론적인 항구성을 나타낸다. 수응의 개념은 타인에 대하여 열린 마음과 겸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대인관계나 신과의 관계에 있어서나 정신적인 면을 새로이 일깨워야 한다. 마르셀은 철학을 정신의 요청에 의하여 존재의 신비나 초월의 경험에 대한 조명 같은 궁극적인 실재에 대한 구체적 접근으로 간주한다. 그의 철학은 전 철학적 단계의 형이상학적 예비연구에 머무른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진지하다는 느낌을 준다. 마르셀은 철학의 근원에는 존재론적 겸손의 태도가 있어야 된다고 한다. 이는 마르셀이 존재의 가치를 흡수하고 전개해 나가는 기초이다. Gabriel Marcel says his philosophical thought as a whole has always been dominated by two interests which may at first seem contradictory; the first of these is what I shall call the exigence of being; the latter of these is the obsession with beings taken in their individuality but also affected by the mysterious relations which link them together. For Marcel, to be is to participate in being. There is no such thing as an isolated experience of existence. It seems that he accepted the view a priori that the more we are able to know the individual being, the more we shall be oriented a grasp of being as such. Metaphysics is, for Marcel, the expression of the appetite of being and the elucidation of the mystery of being. Concrete approaches to the mystery of being, that is, of certain data which are spiritual in their own right, such as love, hope and fidelity should be analys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ontological exigence. No metaphysical thought is possible without a conversion of the whole self to a source of fullness. Love and fidelity imply an absolute vow that can only be made in the light of a recognition of the eternity and absolute value of the other, that is of the being of the other. Within love as it is fully developed, there is an exigence for perenniality. Hope is essentially an appeal to a creative power. To hope is not to thrust oneself forward, but to retire absolutely in favor of an absolute. As a response to an appeal that arises from the presence of the other, fidelity is the recognition of something permanent. It is the idea of an ontological permanence as opposed to the permanence of an essence or a formal arrangement. The notion of availability is the idea that we should approach other human beings with an openness and humility. We need a reawakening of all that is spiritual in humanity, including our sense of the transcendent, both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 our relationship with God. It is clear that Marcel envisions philosophy as a matter of concrete approaches to the ultimate reality, involving the illumination of the mystery of being and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ce by the exigence of spirit. Consideration of these has led some to relegate Marcel’ thought to the domain of the pre-philosophical discussions or speculative mysticism. However, his philosophy seems to be authentic. Marcel believes that there should be an ontological attitude of humility in the depth of philosophy.

      • KCI등재

        중국어 동태존재문과 구문변화

        남양우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人文論叢 Vol.61 No.-

        중국어 존재문은 정태존재문과 동태존재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둘은‘NL+VP+NP’ 라는 동일한 형식을 가지지만, 의미적으로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의미적 차이점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宋玉柱(1982)가 ‘动态存在句’ 라는 용어를 사용한 후로, 이 둘을 존재문이라는 동일한 범주로 보는 것에 대해 별다른 문제제기 없이 줄곧 宋玉柱(1982)의 관점을 따라 왔다. 이 문제는 구문적 시각을 바탕으로 동태존재문이 정태존재문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다고설명할 때 해결할 수 있다. 본고는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먼저 통시적 관점에서 정태존재문과 동태존재문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말뭉치 자료의 분석 결과, 정태존재문이 동태존재문보다 역사적으로 먼저 출현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다음으로 Traugott&Trousdale(2013)의 구문변화 개념을 통해 정태존재문에서 동태존재문으로의 확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구문변화는 한 구문의 내부적 측면에 변화를 주는 변화로서, 형식상의 변화없는 의미상의 변화 혹은 의미상의 변화없는 형식상의 변화이다. 동태존재문은 형식상의 변화없이 의미상의 변화만 있으므로 구문변화로 볼 수 있다. 즉 동태존재문의 출현은 일종의 구문변화이다.

      • KCI등재

        수익자부존재신탁에 관한 과세문제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의 논의를 중심으로-

        황헌순 한국조세법학회 2022 조세논총 Vol.7 No.3

        In general, there are grantor, trustee, and beneficiaries in a trust. And the grantor transfer grantor’s property to the trustee to grant profits to the beneficiary. However, trust can b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a ‘contract between the grantor and the trustee’. So, the existence of a beneficiary is not essential in the establishment of the trust. In terms of the tax law, if there is a beneficiary fixed by the grantor when establishing the trust, the beneficiary will be deemed to have received profits from the grantor and bear the tax obligation. However, if there is no beneficiary, only grantor and trustee exist as trust parties. At this time, the grantor transferred and disposed of own property to the trustee, so grantor will no longer have a tax obligation with respect to the property. From the trustee’s point of view, the trust property is in trustee’s name, but trustee will argue that paying the beneficiary the profits generated through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trust property is the main task and only receiving remuneration. In other words, the trustee will argue that the trust property is formally in trustee name, but the trustee is not a real owner who can use, profit, or dispose of the trust property like own property, so there is no tax obligation. This paper review trust without beneficiary in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First, it will review the problems of the current regulations related to the judgment of the taxpayer. And this paper presents its own views through comparative legal review with foreign legal systems. First,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Act and the Tax Act, it is necessary to prepare provisions on the duration of a trust without beneficiary to prevent unnecessary tax delays and difficulties in evaluating trust property. Second, in the trust without beneficiaries under Article 33 (2) of the current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taxation on grantor did not reflect the Substance over form. In addition, since double taxation problems may arise in this regard, it is not logically reasonable for the grantor to give to the grantor, which should be solved by income tax. In addition, taxation based on Substance over form taxation should be promoted by referring to foreign concepts such as trust taxation in the United States. Third, if a beneficiary occurs after the trustee’s heir pays the tax, it is necessary to more clearly define. In this case, it is considered logically to give gifts from the grantor’s heir to a new beneficiary, not the grantor, and it is necessary to refer to Japanese legislation. Fourth, there is a need for taxation on trustees in a trust withot beneficiary. In terms of grantor taxation, it can also be seen in foreign legislation that grantor taxation can be recognized even if the grantor does not enjoy economic benefits. It is necessary to discuss trustee taxation in trust for the existence of beneficiaries by more actively referring to these thinking methods or criteria. It is expected that the above discussions will contribute to discussions on the literary interpretation and taxation method of the provisions on taxation in the trust without beneficiaries under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in the future. 일반적으로 신탁에는 위탁자, 수탁자, 수익자가 존재하며, 위탁자는 수익자에게 수익을 부여하기 위해서 수탁자에게 자신의 재산을 처분・이전하며, 수탁자는 그로부터 발생한 수익을 수익자에게 지급한다. 다만, 신탁의 설정은 ‘위탁자와 수탁자 간의 계약’에 따라 성립할 수 있으므로, 수익자 존재가 신탁설정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세법의 측면에서 보아 위탁자가 신탁을 설정할 때 수익자가 지정되어 있다면, 그 수익자는 위탁자로부터 수익을 증여받은 것으로 보아 납세의무를 부담할 것이다. 하지만, 수익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신탁당사자로서는 위탁자와 수탁자만 존재한다. 이때 위탁자는 자신의 재산을 수탁자에게 이전・처분했으므로 더 이상 당해 신탁재산과 관련해서는 자신에게 납세의무가 없다고 주장할 수 있다. 한편, 수탁자의 입장에서는 신탁재산이 자신의 명의로는 되어 있지만, 자신은 신탁재산의 관리・운용을 통해 발생한 수익을 수익자에게 지급하는 것이 주된 업무이며, 그에 대한 보수를 지급받을 뿐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즉, 수탁자는 신탁재산이 형식상 자신의 명의이지만, 수탁자 자신이 그 신탁재산을 자신의 고유재산처럼 사용・수익・처분할 수 있는 실질적 소유자는 아니므로 그에 대한 납세의무는 없다고 주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수익자부존재신탁의 경우 납세의무자 판단과 관련한 현행 규정의 문제점을 도출한 후, 이에 대해 외국의 법제도 등과의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 나름의 견해를 제시하는 바이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탁법과 세법의 관계를 고려하여 수익자부존재신탁에 관한 존속기간 규정을 마련하여 불필요한 과세이연 및 신탁재산 평가의 어려움을 방지해야 한다. 둘째, 현행 상증세법 제33조 제2항의 수익자부존재신탁에 있어서 위탁자에 대한 과세는 실질과세의 이념을 반영하지 못한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이중과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탁자가 위탁자에게 증여한다는 것은 논리상 타당하지 않으며 이는 소득세로 해결해야 한다. 그리고 미국의 위탁자신탁과세 등 외국의 개념들을 참고하여 실질과세에 입각한 과세를 도모해야 한다. 셋째, 위탁자의 상속인이 조세를 부담한 이후 수익자가 발생한 경우, 그 수익자는 누구로부터 신탁수익을 부여받은 것으로 볼지에 대해 보다 분명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위탁자가 아니라 위탁자의 상속인으로부터 새로운 수익자에게 증여가 행해지는 것으로 법률관계를 구축하여 과세하는 것이 논리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관련한 일본의 입법례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넷째, 수익자부존재신탁에 있어서의 수탁자에 대한 과세의 필요성이다. 위탁자과세에 있어서도 위탁자가 경제적 이익을 향유하지 않더라도 위탁자과세가 인정될 수 있다는 점은 외국의 입법례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사고방식 혹은 판단기준을 보다 적극적으로 참고하여 수익자부존재신탁 등에 있어서 수탁자과세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논의들이 향후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수익자부존재신탁에 있어서의 과세에 관한 규정의 문리해석 및 과세방식에 대한 논의들에 공헌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존재 맞이: 기억과 감사

        황경선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3

        Diese Arbeit behandelt ‘Was heißt Denken?’, die Heidegger in seinem Buch mit dem gleichem Namen als Theme anhobt. Wir untersucht ‘heißen’, ‘Denken’ und ‘Heißender’nach der Reichenfolge der Satzglieder, ‘Verb-Objekt-Subjekt’. ‘Heißen’ besagt im ursprünglichen Sinne ‘befehlen’, ‘anvertrauen’, ‘bergen’ und so weiter. Demgemäß ‘Heißen’ in der Frage ‘Was heißt Denken?’ meint diesen Sachverhalt : Etwas (Heißender) verweist uns allererst in das Denken und zutraut uns so unser eigenes Wesen. Heidegger sieht den Grundzug des Denkens in Gedächtnis und Dank. Gedächtnis besagt ursprünglich das unabläßige, gesammelte Bleiben bei...Es wird als “Wacht” durchgefahren. Und Die Wacht, die auch mit ‘schonnen’, ‘hüten’ und ‘wahren’ in Verbindung gesetzt wird, bedeutet ‘Wahrung im Wesen’, ‘Lassen etwas im seinem Wesen wahren’. Als das so verstandene ist Gedächtnis auch schon Dank. Heißender erweist sich als die Wahrheit des Seins. Das Sein braucht das Denken des Menschens als das Offene einer Lichtung. Es west als die Wahrheit nur in und durch Denken(Gedächtnis und Dank) des Menschen. Der Mensch kann zugleich sein eigenes Wesen(die Wächterschaft der Seinswahrheit) erreichen, indem er als das denkende Wesen zueignet sich dem Sein. Durch diese wechselseitige Herausforderung gehören Sein und Mensch zusammen. Dies geschieht in der Mitte des Heißen oder des geheißenen Denken. Und Sie sind im solchem Sinne identisch. Somit führt uns diese Arbeit schon zum Weg, der geht immer schon innerhalb des ganzen Verhältnisses von Sein und Menschenwesen(Ereignis). 하이데거에서 존재 맞이로서 사유의 문제를 환기하는 이 글이특히 논의의 실마리로 삼는 것은 Was heißt Denken?에서 다루는 기억과감사로서의 사유다. 여기서는 하이데거가 책의 이름이기도 한 ‘Was heißt Denken?’이란 물음을 통해 밝히는 사유와 그 ‘사유를 불러내는 것’인 존재의 특성 및 그 부름과 응답의 관련 방식 그리고 거기에 마련된 새로운 정주(定住)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불러 세움(heißen)’, 기억과감사, ‘사유하게 하는 것’인 존재, 존재와 인간의 함께 속함, 존재사건(Ereignis)의 순서대로 논의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heißen’이 근본적으로 ‘불러 세움’, ‘∼을 불러 그 본질에 맡김’을의미한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그것에 응하여 일어나는 사유란 기억과 감사로규정된다. 이 사유는 마음을 모아 간수하여 지킴으로 수행된다. 이때 지킴은사유거리를 그것의 고유함대로 있도록 놔두는 사태다. 즉 그것은 “본질로 있도록 지킴”이다. 인간은 ‘사유하게 하는 것’의 부름에 그와 같이 사유하는 지킴으로써 응대하면서 그 본질에 이른다. 그리고 그 ‘사유를 불러 세우는 것’이란자신의 열어 밝힘에서 존재자를 드러내며 인간 가까이 머무는 존재의 진리다. 이로써 하이데거의 물음이 정작 향하는 것은 존재가 사유, 즉 지킴을 불러세워 자신을 열어 밝히며 인간은 존재를 향해 자신을 바침으로써, 존재와인간이 함께 속하는 사태가 된다. 그 가운데 존재는 이윽고 진리로 머물고인간은 존재를 향해 사유하며 존재의 목자, 이웃이란 그의 본질을 얻는다. 오로지 사태를 좇는 현상학적 방식에 따라 진행된 이 논의는 최종적으로 하이데거가 존재사건으로 호명한 존재 진리 사태에 들어선다. 그것은 모든것이 하나로 어울리며 고유함을 얻는 곳으로, 우리가 대지에 새롭게 체류할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