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학생과 가족을 위한 지원 방안 탐색 연구

        이상훈 ( Sang Hoon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정서·행동장애 학생과 그 가족을 위한 특수교육 및 관련 영역에서의 지원 내용과 방안에 대하여 국내외 관련법과 문헌자료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결과와 논의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특수교육대상자로서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정서및행동장애 학생과 정서·행동문제 학생의 수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특별한 교육적 중재를 포함한 포괄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는 대상으로서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개념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정서·행동장애학생들이 특수교육 대상자로서 특수교육법 뿐 만 아니라 관련법들에서 보장하고 있는 지원을 실질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법적 재개념화와 행정적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정서·행동장애 학생과 가족의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관련 영역 및 서비스 전문가간의 협력 필요성에 대한 상호인식과 제도의 개선, 각 전문가의 역할 수행에 관한 구체적인 정의, 서비스 전달체계 수립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e study reported here was to examine support strategies and system for students with EBD(Emotional and/or Behavioral Disorders) and their families. Based on considered results and arguments, the study proposes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 of students with EBD a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will have to expand because the number of students with EBD is increasing but the number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or behavior problems is increasing. Secondly, in order to receive a support guaranteed by special education law and the relevant laws, legal reconceptualizing and administrative adjustment is needed. Thirdly, to build a support system for EBD students and families, related areas and service specialists must recognize the needs for cooperation. Also the definition of their own role and efforts to establish a service delivery system is needed.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연구의 동향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를 중심으로

        양길석 ( Yang Kil Seok ),이상훈 ( Lee Sang Hoo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연구의 최근 경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가 발간하는「정서·행동장애연구」에 2010년부터 게재된 논문 697편을 전반기(2010년∼2014년)와 후반기(2015∼2020년) 그리고 전기(2015년∼2017년)와 후기(2018년∼2020년)로 구분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전·후반기 공통 핵심 키워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문제행동, 사회적 기술, 긍정적 행동지원 등이었다. 전반기의 정서·행동장애, 아스퍼거장애, 정서·행동 문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후반기의 우울, 청소년, 대학생 등의 키워드는 시기별 연구 경향을 나타낸다. 전·후기 핵심 키워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우울, 사회적 기술, 대학생, 문제행동 등이었고 전기의 회복탄력성, 문헌연구, 청소년과 후기의 긍정적 행동지원, 발달장애, 사회불안은 연구경향의 부분적 변화를 시사한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2018년 이후 게재 논문은 감소 추세이며 전체적으로 특수교육 분야 연구자들에 의해 학령기 아동들의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프로그램 관련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으나 최근에는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 의해 임상적으로 진단되지 않은 대학생과 성인의 우울이나 불안에 대한 이론·가설탐색 목적의 조사연구가 활성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정서·행동장애 특수교육대상자의 감소 및 위험집단에 대한 관심 증대, 학회 명칭 개칭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order to clarify the tend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o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BD), this study analyzed 697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20 in the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JEBD」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KSEBD).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by dividing papers into the first half (2010∼2014) and the second half (2015∼2020), and the second half was divide the former (2015∼2017) and the latter (2018∼2020) period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common core keywords in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were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DHD, problem behavior, social skills,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Core keywords in the first half were EBD, asperger disorder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SD, and core keywords in the second half were depressio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This shows the trends in research by period. Core keywords in the former and latter periods were ASD, ADHD, depression, social skills, college students, and problem behavior. Resilience, literature research, and PBS in the former periods and adolescent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ocial anxiety in the latter periods suggest partial changes in research trends. Second, from the aspect of content analysis,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for 「JEBD」has been decreasing slightly since 2018. Overall, experimental studies related to programs on ASD in school-age children have been mainly conducted b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However, recently, survey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ories and hypotheses about depression or anxiety in college students and adults who have not been clinically diagnosed tend to be activated by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 This can be attributed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ith EBD, an increase in interest in risk groups, and a change in the name of the KSEBD.

      • KCI등재

        독일과 일본의 정서·행동장애 교육 체제가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교육 발전에 주는 시사

        이재욱 ( Lee¸ Jae Woo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보다 정서·행동장애 교육이 먼저 실시된 독일과 일본의 정서·행동장애 교육체제를 통해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 교육 발전의 시사점을 얻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 번째로, 이 두 나라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정의를 사회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심인성에 의한 적응행동 곤란으로 보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정서·행동장애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두 번째로, 이 두 나라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진단은 외부기관과 협력하고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진단 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세 번째로, 교육적 배치에 있어서, 이 두 나라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학급이나 교육지원센터와 단기치료센터가 운영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서·행동장애 학생이 특수학교, 특수학급, 통합학급에 주로 배치되어 있어, 다양한 학급이나 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네 번째로, 교육과정을 보면 이 두 나라에서는 분리형교육과정이나 일반교육 과정의 보완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이 나라들의 사례를 참고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독일에서는 학부-대학원 연계 과정과 2년 이상의 교육 실습과 수습 교사 생활을 거치고 나서 정서·행동장애 교사 자격증을 부여하는 교사 양성 체계를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연수나 대학원 과정을 통해 정서·행동장애 학생 지도 능력을 갖춘 교사 양성이 가능하다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gain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EBD) in Korea by analyzing the education system of students with EBD in Germany and Japan.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 in both countries, the definition of EBD is regarded as difficulty in applying adaptive behaviors due to interaction with the social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seems that we should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map by specifically identifying the cause of EBD in Korea. Second, in both countries, the diagnosis of EBD conducts by cooperating with out of school education, counseling, and support, linked with educational programs, and reflecting educational, med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It is also necessary to introduce such a diagnosis method in Korea. Third, in the educational placement, various types of classrooms, educational support centers, and short-term treatment centers were operated in these two countries. In Korea, students with EBD are mainly assigned to special schools, special classrooms, and integrated classrooms, so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install various types of classrooms or institutions. Fourth, for students with EBD, the two countries operate separate curriculums or supplementary curriculums for gen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EBD by referring to the examples of these countries in Korea. Finally, German teacher-training system for EBD teacher certificates requires more than two years of educational practicum and probationary teaching, and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linked courses. In Korea, it is not possible to do it like Germany, but in reality, it is possible to train EBD teachers through various training or graduate courses.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미시체계 변수에 따른 정서전염과 공감 수준 분석

        이연희,황순영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support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rough an analysis of emotional contagion and the level of empathy based on the microsystem variable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Method] Accordingly, 28 elementary schools and five welfare centers in Busan, South Gyeongsang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surveyed 306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distributed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children's microsystem variables, emotional infection and the level of empathy. The data on the collected microsystems, emotional contagion, and the level of empathy were performed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NOVA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motional contagion and the level of empathy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re usually higher than normal. In addition,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in academic performance, gender, and home environment variables in fathers' jobs, mothers' jobs, family atmosphere, family types, and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in terms of teacher age, close friend sex, and number. [Conclusion] Therefore, existing support measures that were primarily concerned with emotional support for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should be expanded to microsystems around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should explore specific and broad emotional support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hildre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전염과 공감 수준을 미시체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방법] 이에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 경기도의 28개 초등학교, 5개 복지관에서 정서ž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306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미시체계 변수 관련 문항과 정서전염과 공감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아동의 미시체계와 정서전염, 공감척도에 관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과독립표본 t-test, one- 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전염과공감 수준은 일반아동보다는 낮은 수준이었으나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인 특성변수에서는 학업성취도와 성별, 가정환경 변수에서는 부직업, 모직업, 가정분위기, 가족형태, 학교환경 변수에서는 교사연령, 단짝 친구 성별, 친구와의 활동정도, 친구 수에서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결론] 따라서 주로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개인의 정서적 중재 위주로 제공되었던 기존 지원들이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 주변의 미시체계로 그 관심을확장시켜 아동의 환경적 특징을 고려한 구체적인 정서지원이 다각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독일 “정서와 사회 발달” 영역 특수교육지원 체제

        강옥화 ( Ok Hwa K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교육과학기술부, 2012b)의 제정과 함께 기존의 정서장애라는 용어가 정서·행동장애라는 용어로 대체되면서 우리나라 정서·행동 장애 영역 특수교육지원 체제의 개선과 발전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아 교육지원 관련 통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이러한 기대와는 달리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아 교육지원 자원이 전반적으로 축소되고 있지 않나 하는 우려를 갖게 된다. 독일에서도 정서·행동장애 관련 용어 및 정의에 대한 논의들 및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지원 체제 개선에 대한 노력들이 꾸준히 있어 왔다. 특히 1994년 독일 상임 문교부장관회의가 ``정서와 사회 발달 영역 특수교육지원요구``라는 표현을 도입하면서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시도되었으며, 이는 정서·행동장애아 교육지원 체제의 발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독일에서 정서·행동장애와 관련해 어떤 용어와 정의가 사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분리교육에서 통합교육에 이르기까지 정서와 사회 발달 영역 특수교육 대상자의 교육지원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 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 영역 특수교육대상자 교육지원의 발전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The term ``emotional disturbance`` is changed into the term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the law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etc``.(2007) in Korea. The expectation is growing that this change will help improve special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Korea. But as recent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show, the expectation is not fulfilled. In contrast, there are worries about general reduction of special education and support resources. In Germany, the term and defini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have been debated by many people. Based on this, it has been tried to improve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People attempt a new understanding of these disorders, especially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term ``special needs in the field of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Permanent Conference of the Ministers for Education and Cultural Affairs of the Lander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1994). This has certainly a wid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for the students in German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ase of Germany to make a suggestio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Korea. The critical research issues of this study include the term and definition, education and support system(from separate to inclusiv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education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field of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in Germany.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정서,행동장애 개념정립

        정대영,신윤희,이상훈,이효신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2013 No.2

        본 연구는 정서·행동장애의 개념인 정서·행동장애의 선정기준(법적정의), 진단, 분류, 명칭, 교육적 정의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정서·행동장애 전문가 11명에게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도록 함으로써 의견을 수집하였다. 5개 주제에 따른 하위범주로 선정기준(법적정의)에는 정서·행동장애의 범위, 학습상의 문제, 기준 및 정도의 모호성, 용어의 모호성, 문화 및 환경적 고려, 공존장애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진단에는 진단영역에 대한 인식과 포함되어야할 진단 영역, 진단평가절차에 대해, 분류에서는 분류방식과 대안적 분류방식, 명칭에서는 명칭의 적절성, 교육적 정의에서는 교육적 정의에 필요성으로 나누어 범주화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 정서·행동장애 선정기준에서는 예방적 특수교육과 현장성을 반영하여 특수교육대상자의 범위확대와 더불어 특수교사의 역할과 역량을 늘리자는 의견이 있었으며, 선정기준에서 학습상의 문제에 관한 항목은 정서·행동적 문제를 먼저 항목으로 배치하고 그 다음에 학습상의 어려움을 항목으로 두되, ‘교육적 수행’을 상위에 배치함으로써 특수교 육대상자가 과소 판별되지 않게 하자는 의견이었다. 또한 기준 및 정도의 모호성과 문화 및 환경적 고려가 있어야 하며 공존장애를 인정하는 의견이 있었다. 정서·행동장애의 진단에 있어서는 진단이라는 용어대신 판별로 대치하자는 의견과 함께 진단영역을 정서영역, 행동영역, 교육적 수행영역으로 두고 진단 평가절차도 다관문절차를 우리나라에 맞게 모델화하여 교사의 역할과 각 기관의 기능을 세부적인 지침으로 마련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정서·행동장애 분류에서는 분류방식에서는 대안적 분류방식(정도와 지원에 대한 분류방식)보다는 교육적 분류로서 외현화와 내재화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서·행동장애의 명칭과 교육적 정의에 있어서는 대치될 용어에 대해 합의점은 없었으나 용어의 혼란을 줄이기 위한 통일된 용어사용과 법적 정의를 교육적 정의화 하되 세부적인 내용은 지침으로 두어 해석을 제시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정의와 출현율의 개념 및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3

        특수교육에 있어 어떤 장애의 정의와 출현율은 그 장애를 이해하고 중재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정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서행동장애의 경우 아직까지 합의된 정의가 없을 뿐 아니라 출현율도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정서행동장애 관련문헌들에서는 특수교육 관련법에 명시되어 있는 법적 정의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두 가지 주목해야 할 문제점이 있다. 첫째,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있을 수 있는데 국가가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이라는 행정적 목적을 가지고 설정한 법적 정의를 사용하는 것은 정서행동장애를 이해하고 중재하는 데 한계를 가져올 뿐 아니라 출현율에도 영향을 주어 출현율이 낮게 산출되는 결과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 둘째, 근래 아동 및 청소년들의 정서행동문제가 다소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예방 및 조기중재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데 정서행동장애의 정의로 법적 정의를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최근의 동향과 괴리감이 있다. 이와 같은 두 가지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의 설정 목적에 따라 정서행동장애 정의를 법적 정의, 임상적 정의, 교육적 정의의 세 가지로 제안하고 각 정의에 근거하여 출현율도 세 가지(법적 정의에 근거한 출현율, 임상적 정의에 근거한 출현율, 교육적 정의에 근거한 출현율)로 제시하였다. 이처럼 정서행동장애 정의와 출현율 개념을 체계화하는 것은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출현율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special education, definition and prevalence of a disability are important basic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ing the disability. But in the cas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EBD), not only are there differing purposes of definitions, but there are also diverse reports on prevalence. In turn, a legal definition which is found in special education laws tends to be generally used in related references; however, there are two noticeable problems in using a legal definition as the definition of EBD. First, the use of a legal definition which is created by a government with a administrative purpose of identifying students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may lead not only to limitation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ing EBD but also to low prevalence of EBD. Second, the use of a legal definition seems far from the recent trend to focus on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o deal with these two problems, this study proposed three kinds of definitions(legal definition, clinical definition, educational definition) which are different in purposes and based on the definitions, presented three kinds of prevalencies(prevalence based on the legal definition, prevalence based on the clinical definition, prevalence based on the educational definition). This systematization of the definition and prevalence of EBD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e to efficient use of the diverse definitions and prevalence estimates of EBD.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정의에 대한 대안적 모형 연구: Freud의 성격구조론과 이이(李珥)의 심성론을 중심으로

        정용석 ( Yong Seok Chu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Freud의 성격구조론과 이이의 심성론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 정의에 대한 대안적 모형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Freud의 성격구조론과 이이의 심성론을 검토하여 도출된 결론을 보면, 첫째, Freud의 성격구조론에서는 ego가 id를 통제하지 못하거나 superego에 의해 ego가 비난받음으로써 정서 및행동 문제가 발생하며, 이것은 주로 비의식에 의한다. 둘째, 이이의 심성론에서는 정서가 칠정(七情)으로 개념화 되며, 意가 자극에 적절한 정서적 반응(天理)을 선택하지 못하고 부적절한 반응(人慾)을 선택함으로써 정서적 문제가 발생한다. 셋째, ‘장특법’의 정서·행동장애 정의는 Freud 이론에 기초한 추론적 분류체계에 의한 것으로 제안되는 반면에 Freud 이론은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 전문가의 학적 토 대와 부합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의 정서·행동장애 정의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모형과, 이이의 마음구조 및 정서에 대한 개념을 고려한 정의 모형이 적절한 것으로 제안된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향후 정서·행동장애 정의에 대한대안적 모형을 구축하는데 있어 필요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현재 ‘장특법’의 정서·행동장애 정의는 우리나라의 학적 토대와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재검토되어야 하며, 둘째, 정서·행동장애 정의 모형 산출과정에서 한국의 정서·행동장애 전문가들의 학문적 풍토와 한국학적 심성론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explored alternative definition mode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through studying both Freud`s structural theory of personality and a confucian, Yi Yi`s theory of mind.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sidered that pathological problems in Freud`s structural theory of personality are derived from two forms, one is caused by id and the other is superego. And the present definition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in Korea was affected from it. Second,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happen indesirable emotional response in Yi Yi`s theory of mind, if ui(意) select iyog(人慾), while not cholri(天理). Third,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an alternative definition model considering both descriptive-behavioral classification and Yi Yi`s theory of mind, with abandoning definition model of Freud`s structural theory of personality or descriptive-inferal classification.

      • KCI등재

        학습장애 위험아동,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아동, 일반아동 간의 행동적 특성 비교

        김자경 ( Ja Kyoung Kim ),강영심 ( Young Sim Kang ),안성우 ( Sung Woo Ahn ),박재국 ( Jae Kuk Park ),황순영 ( Soon Young Hwan ),강혜진 ( Hye Jin Ka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학습장애 위험아동,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아동, 일반아동 간에 행동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대학 장애진단·평가센터로 의뢰된 아동 중, 검사 결과에 따라서 학습장애 위험집단, 정서·행동장애 위험집단,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집단, 일반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네 집단에 대한 문제행동과 적응행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위험 유형에 따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내재화 문제행동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 외현화 문제행동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네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장애 위험 유형에 따라 적응행동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적응행동 총점과 개념적 적응행동, 사회적 적응행동, 실제적 적응행동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네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장애 위험 유형별로 문제행동과 적응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학습장애 위험집단에서는 문제행동 총점과 적응행동 총점, 그리고 내면화 문제와 적응행동 모든 하위영역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행동장애 위험집단에서는 문제행동 총점과 적응행동 총점, 그리고 외현화 문제와 사회적 및 실제적 적응행동 하위영역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집단과 일반집단에서는 문제행동과 적응행동 간에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집단은 학습장애 위험집단이나 정서·행동장애 위험집단과는 구별되는 이질적인 집단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공존장애 집단과 단일집단에 대한 행동 중재를 제공할 때 차별적인 접근방법으로 이뤄져야 하며, 특히 학습장애 위험아동과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행동영역에 대해 교육계획을 수립할 때 문제행동 유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LD), emotional/behavioral disorder(EBD), learning disabilitie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and norma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 children who were referred for LD or EBD diagnosis to the Center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They were grouped into children at-risk for LD, children at-risk for EBD, children at-risk for LD with EBD, children without academic or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K-CBCL Test was used to measure the problem behavior characteristics for them. KISE-SAB was used to measure the adap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in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in the adaptive behaviors. Third,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n the total problem behavior and adaptive behavior,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at-risk for EBD.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n the total problem behavior and adaptive behavior,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at-risk for LD. But, there are no correlations between problem behavior and 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at-risk for LD with EBD and normal childre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ren at-risk for LD and EBD have differ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by problem types.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various behavioral characteristics when developing education plan for different groups.

      • KCI등재

        정서ㆍ행동장애학생 교육과 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한 과제 및 전망

        박명화 ( Park Myong Hwa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정서ㆍ행동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 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교육과 지원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고 도출된 문제의 해결을 위한 과제 제안을 통해 정서ㆍ행동장애학생의 교육을 전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ㆍ행동문제를 가진학생 수는 크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는 정서ㆍ행동장애 학생 수는 감소하고 있다. 이는 장애 표찰이라는 낙인효과로 인한 진단기피, 진단기준의 모호함, 학생정서ㆍ행동특성검사의 우선관리군 학생들에 대한 특수교육대상 진단의 음성오류 내지 누락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아울러 정서ㆍ행동장애 명칭, 사회ㆍ문화적 요인 등을 고려한 진단기준 및 진단도구, 진단과정의 자기보고 추가, 주기적인 재평가를 통한 특수교육과 일반교육간의 수평적 이동을 과제로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적 배치의 문제는 정서행동장애의 90%가 통합교육을 받고 있으므로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공동책무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전문성 신장 문제로 공동책무성을 다하기 위해 교사양성과정과 재교육과정에 정서ㆍ행동문제에 대한 행동지원은 물론 학업지도에 대한 교육의 보급ㆍ확대를 제안하였다. 넷째, 지원서비스의 문제는 보건의료행위인 치료지원은 특수교육법에, 교육 및 발달적 지원인 발달재활서비스는 아동복지지원법에 명시되어 있는데 법체계의 재정비를 통해 지원영역 및 지원경로를 개선하고 정서ㆍ행동장애학생의 지원 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to propos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by suggesting tasks for solving the probl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number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number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who are selected for special education has decreased. This point was pointed out to the problem of the voice error or omission of the diagnosi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the priority management group of the diagnosis avoidance, the ambiguity of the diagnostic standard, and the studen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est. In addition, I proposed th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through self-report addition of diagnosis criteria and diagnostic tool considering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nam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nd periodic reevaluation. Second, the problem of educational placement is that 90% of the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are integrated education, so they proposed the joint responsibility of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Third, in order to fulfill the collective responsibility due to the problem of specialization of the special teacher and the general teacher, it suggested the support for the behavior of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the retraining course as well as the dissemination and expansion of education instruction. Fourth, problems of support services are defined as special education law for health care, support for educ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for children is defined in the Child Welfare Assistance Law.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legal system, Suggesting ways to expand the support of students with behavioral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