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종, 역사를 고치다: 세종 20년 신개(申槩)의 상소와 무인정변(戊寅政變)의 재구성

        송재혁 ( Jae-hyeok Song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2 韓國 政治 硏究 Vol.31 No.1

        이 글의 목적은 무인정변(戊寅政變, 1차 왕자의 난)에 대한 정당화의 정치적 수사가 어떠한 변화의 과정을 거쳐 고정되었는지 추적하는 것이다. 1398년(태조 7) 8월 26일, 정변을 일으킨 이방원은 정변의 이름을 “무인정사(戊寅定社)”, 즉 “무인년에 조선의 사직을 안정시킨 사건”으로 부르며 정당화를 시도했다. 이후 정변을 정당화하는 수사로서 무인정변에 대한 기술은 점차 정교하게 변화하였다. 1447년(세종 29) 편찬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는 이러한 기술의 최종본이다. 『용비어천가』의 98장은 무인정변을 다루고 있는데, 『태조실록』 7년 8월 26일의 기록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세종은 재위 후반기에 무인정변과 관련된 기록들을 수정하였고, 『용비어천가』 98장은 이렇게 수정된 기록을 바탕으로 기술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정변에 대한 기록을 고정시킨 계기로 『세종실록』 20년(1438) 9월 25일의 한 기사에 주목한다. 이 기사는 신개(申槩)라는 인물이 올린 상소와 이에 대한 세종의 대응을 기록하고 있다. 신개는 상소를 통해 ‘병기(炳幾; 기미를 밝힘)’라는 표현으로 태종 이방원의 행위를 기술하는 것이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후일 누군가 정변을 일으킬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주장이었다. 상소를 받은 세종은 몇 개월간의 고민 끝에 일부의 대신들 및 승지들과 문제를 논의하고, 무인정변에 대한 기록을 수정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린다. 실록의 편찬자들은 전지적인 시점에서 몇 개월 동안 일어난 이 사건의 전말을 이 날짜의 기사에 모아서 기록해 두었다. 이 글은 신개가 상소에서 문제를 제기한 ‘병기(炳幾)’의 표현을 중심으로 무인정변의 기록이 변화하는 과정을 고찰한다. 세종 20년 신개의 상소를 중심으로, 『태조실록』의 무인정변에 대한 기록, 정종의 즉위교서와 선위교서, 제릉(태조의 첫째 왕비의 묘, 1404년), 건원릉(태조의 묘, 1409년), 헌릉(태종의 묘, 1422년)의 신도비문과 같은 비문들, 그리고 『용비어천가』에 기록된 무인정변에 대한 기술 등을 분석할 것이다. 당대의 대학자인 권근(權近), 변계량(卞季良), 그리고 집현전의 학사들이 이러한 문건들을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것들은 작성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태종과 세종, 그리고 주요 대신들의 합의를 거친 정치적 수사였다. Since the First Prince’s Rebellion in August of 1398, Joseon’s politicians were trying to find a more sophisticated way of justifying the political upheaval. It seems that the 98th chapter in the Songs of Flying Dragons to Heaven (or Yongbieocheonga, 龍飛御天歌), compiled in 1447 (29th year in Sejong’s reign), was the final version of the description. Making Songs of Flying Dragons to Heaven, King Sejong edited records of the First Prince’s Rebellion in Taejo Silok. This paper focus on the record of September 25, 1438 in Sejong Silok. The article contains Shingae’s petition and King Sejong’s response to it. In this petition, Shingae pointed out that there was a serious problem in describing Taejong Yi Bangwon’s behavior with the expression ‘byeong-gi (炳幾; revealing a sign)’. Shingae’s petition eventually led to the description of 98th chapter in the Songs of Flying Dragons to Heaven. In analyzing this case, I will track how the political rhetoric to justify the Yi Bang-won’s political coup had changed.

      • KCI등재

        5‧16군사정변 주도세력의 분화 요인

        홍준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0

        A study on the factors of differentiation of the leading forces of the 5‧16 military coup is an essential issue in understanding the divisions and conflicts within power at that time, and political changes. The 5‧16 military coup leading forces showed a consensus on awareness of the issue of corruption in the ROK Army, the problem of delayed promotion, and criticism of the existing political order, and they acted in harmony until they carried out a military coup and obtained power. However, the military coup leading force, which had a internal heterogeneity and was made up of loose combinations, caused severe internal divisions and conflicts after that. This article examines the differentiation factors of the military coup leading forces, along with factors according to the military career,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roles and contributions in the coup, and lack of clear agreement on political plan after military coup. And Kim Jong-pil’s strengthening of political influence has deepened the division within the military government. Kim Jong-pil gained influence through the KCIA and secretly established and carried out a plan to keep the military in power. As a result, the power structure was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pros and cons of Kim Jong-pil. It caused severe internal division, conflict, and political upheaval, and later the power order was reorganized centered on Park Chung-hee and Kim Jong-pil. 5‧16군사정변 주도세력의 분화 요인에 대한 연구는 군정기에 ‘반혁명사건’이라는 이름으로 벌어진 권력내부의 분열과 갈등, 그리고 당시의 정치변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5‧16주도세력은 당시 한국의 정치·사회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과 민주당정부에 대한 비판, 한국군의 부정부패와 진급적체 문제에 대한 불만 등에 대해 공명하여 군사정변을 일으켰다. 박정희는 정군운동을 선도하면서 정군파 장교들의 기대와 주목을 받았고 다양한 군 경력을 바탕으로 여러 인물들을 포섭, 규합하여 군사정변에서 지도적 역할을 하였다. 군사정변 세력은 민주당정부를 전복하고 정권을 획득하는 데까지는 일치단결했지만, 내부적으로 이질적인 성격이 강하고 느슨한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5‧16 이후 극심한 내부분열과 갈등을 겪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정권 획득’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성공을 장담하기 어려운 군사정변을 도모했던 사람들이 왜 서로 반목하게 되었는가에 대해 규명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5‧16주도세력의 분화 요인을 사관학교 기수 및 군 경력의 차이뿐만 아니라, 5‧16군사정변 당시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 김종필의 정치적 부상과 그에 따른 세력구도의 재편 역시도 5‧16주도세력의 분화를 가져온 요인들로 파악하였다. 군사정변 주도세력은 크게 육사5기 그룹과 8기 그룹, 만주군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이들은 출신배경과 군 경력 상의 차이뿐만 아니라 군사정변의 참여경위와 5‧16군사정변 당시 역할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5‧16 이후’에 대한 군사정변 세력 내부의 합의가 부재한 상황에서 김종필은 민정참여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해나갔다. 김종필은 중앙정보부를 통해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자신의 민정참여 구상에 걸림돌이 된다고 판단되는 세력과 반목하였다. 민정참여 문제에 대한 박정희의 불분명한 태도 역시도 군사정변 세력의 분열에 영향을 미쳤다. 김종필의 정치적 부상과 중앙정보부, 민주공화당 창당노선에 대한 다른 5‧16주도세력의 견제와 반감이 표출되면서 군사정변 주도세력의 분화는 더욱 심화되었고, 이는 극심한 분열과 갈등, 그리고 정치파동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육사 8기 그룹에 비해서 일체감이 약했던 다른 정변주체들은 ‘반김종필’을 매개로 일시적으로 연합하였고 5‧16주도세력의 구도는 ‘친(親)김종필 대 비(非)김종필’로 재편하게 되었다. 당시 권력내부의 갈등은 대화와 타협의 정치로 해소되지는 못했으며 결국 박정희‧김종필 중심의 권력재편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종결되었다.

      • KCI등재후보

        5·16군사정변 당시 북한의 인식 및 중국과의 의사소통 과정 연구 -중국 외교부 기밀 해제 문서를 중심으로

        학군환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1 북한학연구 Vol.7 No.2

        On May 16, 1961, Park Chung-hee led a military coup in South Korea which was so sudden and unexpected that it was difficult for anyone at the time to grasp the situation. China and North Korea proceeded swiftly to exchange information and ideas on the nature of the “sudden change in situation” in South Korea as well as its causes and background. Although China and North Korea viewed the event as “a thoroughly prepared reactionary fascist coup”, their analyses on the specific causes and background of the military coup differed. Using recently declassified documents of the Chinese Foreign Affairs Ministry, this article covers the Chinese and North Korean analytical processes and the exchange of information and ideas regarding the nature and reasons for the military coup. Although North Korea initially saw the military coup as a plot by the United States based on Park Chung-hee’s “Revolution Pledge,” they later believed a revolution by progressive forces in South Korea was highly possible based on intelligence that revealed that Park Chung-hee’s was a former member of South Korea’s Labor Party as well as United States opposition to the coup d’état. As a result, they prepared an announcement to support it. However as the situation progressed, North Korea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up could not have succeeded without prior backing from the United States which meant, in the North Korean view,that the US preemptively installed a new ruling force before the progressive forces within South Korea could overturn Chang Myŏn’s corrupt government. In other words, they saw the coup as a plot by the United States. Throughout this process, China respected the position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from beginning to end while keeping their own opinions to themselves and patiently observing the situation. Popular sentiment was sharply in support of North Korea. From China’s point of view, the 5·16military coup was ultimately led by anti-communist military forces within South Korea with the United States deciding to support it after the fact. The difference in opinion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can be readily seen. This article divides and examines the internal reasons why North Korea repeatedly shifted its understanding and judgment at the time of the military coup as follows: 1) miscalculations due to lack of information, 2)psychological influence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due to overestimation of the progressive forces in South Korea since the 4·19Revolution, and 3) the decisive role of ideological principles when making final judgments. In addition, China was internally able to be more objective because it was able to distance itself geopolitically from the situation in South Korea more than the North. In addition, China had more diverse routes and time to obtain and analyze information. While this may be the case, it can be argued that the reason why China, in terms of its foreign policy position, was able to express solidarity with North Korea’s position was because of the blood alliance they formed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primacy of ideology within a Cold War world. 1961년 5월 16일 한국에서 발생한 박정희 군사정변은 사태의 돌발성으로 인하여 당시로서는 그 누구도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기가 힘들었다. 남한에서 발생한 “군사정변”의 성격과 발생한 원인 및 배경을 두고 중국과 북한에서는 신속한정보·의사 교환을 진행하였다. 중국이나 북한은 모두 “주도면밀한 준비과정을거친 반동적인 파쇼 군사정변”이라는 견해에는 일치했으나 보다 구체적인 정변발생 원인과 배경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는 견해를 달리했다. 본고에서는 중국 외교부에서 최근 해제한 기밀문서를 중심으로 중국과 북한이 정변 성격과 이유에대한 분석과정과 정보·의사 교환과정을 정리하여 보았다. 북한의 경우, 최초에는 「혁명 공약」의 내용을 근거로 정변을 미국의 음모라고 보았으나, 뒤이어 박정희의 남노당 내력 등 신상 정보와 미국의 정변 반대 입장을 근거로 진보세력에의한 혁명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지지성명 발표를 준비한다. 그러나 사태가 진전됨에 따라 작전 지휘권이 있는 미국의 동의 없이 정변은 불가능하였다고 보며최종적으로 남한 내 진보 세력이 부패한 장면 정권을 무너뜨리기 전에 미국이 선조치를 통하여 새로운 지배세력을 교체하였다며 미국의 책동으로 그 성격을 규명하기에 이른다. 이 과정에 중국은 시종일관 북한 당국의 입장을 존중했으며,자국의 견해를 보류한 채 인내력 있게 사태를 지켜보았고 여론으로 북한을 대폭지지해 나선다. 중국의 경우, 최종적으로 5·16군사정변은 한국 내 반공 군사세력이 주도하였으며, 정변 발생 후 미국의 지지가 있었을 거라고 판단하고 있었다. 이는 미국의 책동이라는 북한 당국의 견해와는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북한이 사건 당시에 인식과 판단에 있어 번복을 거듭하였던 내적원인을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판단 오류와 4·19혁명 이래 남한의 진보세력에대한 기대가 판단과정에 끼친 심리적 영향, 이데올로기 원칙성이 최종 판단에 미친 결정적인 역할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중국의 경우에는, 그 이해관계에 있어서 북한보다 남한의 사태에 거리감을 유지할 수 있었던 점, 보다 다양한 루트를 통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정보를 입수 분석할 수 있었던 점에서 보다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었던 내적 원인을 밝혀 보았다. 그러면서도 중국이대외 선전에 있어서 북한과 일치한 입장을 표명할 수 있었던 원인은 한국전쟁을통한 북한과의 혈맹 관계와 냉전 체제 내에서의 이데올로기 원칙성을 우선적으로 내세웠던 데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5,16군사정변 당시 북한의 인식 및 중국과의 의사소통 과정 연구 -중국 외교부 기밀 해제 문서를 중심으로

        학군환 ( Qun Huan Hao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1 북한학연구 Vol.7 No.2

        1961년 5월 16일 한국에서 발생한 박정희 군사정변은 사태의 돌발성으로 인하여 당시로서는 그 누구도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기가 힘들었다. 남한에서 발생한 "군사정변"의 성격과 발생한 원인 및 배경을 두고 중국과 북한에서는 신속한 정보·의사 교환을 진행하였다. 중국이나 북한은 모두 "주도면밀한 준비과정을 거친 반동적인 파쇼 군사정변"이라는 견해에는 일치했으나 보다 구체적인 정변발생 원인과 배경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는 견해를 달리했다. 본고에서는 중국 외교부에서 최근 해제한 기밀문서를 중심으로 중국과 북한이 정변 성격과 이유에 대한 분석과정과 정보·의사 교환과정을 정리하여 보았다. 북한의 경우, 최초에는 「혁명 공약」의 내용을 근거로 정변을 미국의 음모라고 보았으나, 뒤이어 박정희의 남노당 내력 등 신상 정보와 미국의 정변 반대 입장을 근거로 진보세력에 의한 혁명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지지성명 발표를 준비한다. 그러나 사태가 진전됨에 따라 작전 지휘권이 있는 미국의 동의 없이 정변은 불가능하였다고 보며 최종적으로 남한 내 진보 세력이 부패한 장면 정권을 무너뜨리기 전에 미국이 선 조치를 통하여 새로운 지배세력을 교체하였다며 미국의 책동으로 그 성격을 규명하기에 이른다. 이 과정에 중국은 시종일관 북한 당국의 입장을 존중했으며, 자국의 견해를 보류한 채 인내력 있게 사태를 지켜보았고 여론으로 북한을 대폭 지지해 나선다. 중국의 경우, 최종적으로 5·16군사정변은 한국 내 반공 군사세력이 주도하였으며, 정변 발생 후 미국의 지지가 있었을 거라고 판단하고 있었다. 이는 미국의 책동이라는 북한 당국의 견해와는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북한이 사건 당시에 인식과 판단에 있어 번복을 거듭하였던 내적 원인을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판단 오류와 4·19혁명 이래 남한의 진보세력에 대한 기대가 판단과정에 끼친 심리적 영향, 이데올로기 원칙성이 최종 판단에 미친 결정적인 역할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중국의 경우에는, 그 이해관계에 있어서 북한보다 남한의 사태에 거리감을 유지할 수 있었던 점, 보다 다양한 루트를 통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정보를 입수 분석할 수 있었던 점에서 보다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었던 내적 원인을 밝혀 보았다. 그러면서도 중국이 대외 선전에 있어서 북한과 일치한 입장을 표명할 수 있었던 원인은 한국전쟁을 통한 북한과의 혈맹 관계와 냉전 체제 내에서의 이데올로기 원칙성을 우선적으로 내세웠던 데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On May 16, 1961, Park Chung-hee led a military coup in South Korea which was so sudden and unexpected that it was difficult for anyone at the time to grasp the situation. China and North Korea proceeded swiftly to exchange information and ideas on the nature of the "sudden change in situation" in South Korea as well as its causes and background. Although China and North Korea viewed the event as "a thoroughly prepared reactionary fascist coup", their analyses on the specific causes and background of the military coup differed. Using recently declassified documents of the Chinese Foreign Affairs Ministry, this article covers the Chinese and North Korean analytical processes and the exchange of information and ideas regarding the nature and reasons for the military coup. Although North Korea initially saw the military coup as a plot by the United States based on Park Chung-hee`s "Revolution Pledge," they later believed a revolution by progressive forces in South Korea was highly possible based on intelligence that revealed that Park Chung-hee`s was a former member of South Korea`s Labor Party as well as United States opposition to the coup d`etat. As a result, they prepared an announcement to support it. However as the situation progressed, North Korea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up could not have succeeded without prior backing from the United States which meant, in the North Korean view, that the US preemptively installed a new ruling force before the progressive forces within South Korea could overturn Chang Myon`s corrupt government. In other words, they saw the coup as a plot by the United States. Throughout this process, China respected the position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from beginning to end while keeping their own opinions to themselves and patiently observing the situation. Popular sentiment was sharply in support of North Korea. From China`s point of view, the 5·16military coup was ultimately led by anti-communist military forces within South Korea with the United States deciding to support it after the fact. The difference in opinion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can be readily seen. This article divides and examines the internal reasons why North Korea repeatedly shifted its understanding and judgment at the time of the military coup as follows: 1) miscalculations due to lack of information, 2) psychological influence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due to overestimation of the progressive forces in South Korea since the 4·19 Revolution, and 3) the decisive role of ideological principles when making final judgments. In addition, China was internally able to be more objective because it was able to distance itself geopolitically from the situation in South Korea more than the North. In addition, China had more diverse routes and time to obtain and analyze information. While this may be the case, it can be argued that the reason why China, in terms of its foreign policy position, was able to express solidarity with North Korea`s position was because of the blood alliance they formed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primacy of ideology within a Cold War world.

      • KCI등재

        논문(論文) : <풍(風)>,<아(雅)>정변론(正變論)의 발생(發生), 전개(展開)에 대한 고찰

        김수경 ( Su Kyung Kim ) 중국어문연구회 2013 中國語文論叢 Vol.0 No.60

        <風>·<雅>正變論是將社會政治作用與詩歌作品緊密聯繫起來的傳統儒家詩論體系之一。到漢代積極提出的<風>·<雅>正變論不僅在運用方式上因人而異, 而且在具體分析詩篇內容上也出現許多不合理之處, 故後來成爲大部分學者所批判的對象。後來<風>·<雅>正變論之所以在≪詩經≫學的歷史進程中未能持續發展, 第一就是因爲<風>·<雅>正變論本身不是從先秦文化來而是從漢代文化來, 第二就是因爲具體分析上顯得過於隨意。진管如此, 但我們仍然不能否認<風>·<雅>正變這一≪詩≫學命題隨著時代的變遷擴展到文學思想領域的槪念。據此, 本文認爲通過學者對正變的認識來瞭解他們的≪詩≫學觀或文藝意識還是有一定的價値。本文暫且不論<風>·<雅>正變論的合理性, 而著重探討學者們對<風>·<雅>正變論的具體認識來窺見他們對≪詩經≫正變論的認識與文學觀。本文針對≪詩經≫<風>·<雅>正變論而進行探討, 沒有涉及結合≪易≫正變等槪念的通變。對此, 可從령一個範疇的正變論進行考察。

      • KCI등재

        전환기 국정개혁의 환경요인 및 관리전략 분석: 구한말 갑신정변(甲申政變)의 경우

        김순양(Kim, Soon-Yang) 서울행정학회 202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구한말의 급박한 시대상황 하에서 총체적인 국정개혁을 시도하였던 갑신정변의 외부환경을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으로 구분하여, 외부환경의 특성, 정변세력들의 외부환경 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외부환경 관리가 갑신정변의 성패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늘날의 국정개혁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도 모색해 본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갑신정변 자체를 외부환경에 초점을 두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갑신정변을 구한말의 전환기에 젊은 관료들이 주도한 총체적 국정개혁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외부환경 관리전략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의 국정개혁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분석이론은 환경분석을 위해 개발된 SWOT분석의 외부환경 분석변수(기회요인, 위협요인)와 PEST분석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요인을 결합한 것이다. 분석자료는 관련 학술서적과 논문은 물론, 고종실록, 매천야록, 갑신일기 등 다양한 역사적 자료들을 활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external environments of the Gapsin Coup, actual conditions and underlying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external environments by the leaders of the Gapsin Coup, and the impact of the management of external environment on producing the results of the Gapsin Coup. External environments are categorized into opportunities and threats.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governmental reforms are also derived. Accordingly, the significances of this article are following two: One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Gapsin Coup itself, focusing on its external environments, while the other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governmental reform of the present time by analyzing the management strategies regarding external environments in the process of Gapsin Coup. Theoretical and analytical frameworks are established by integrating opportunities factor and threats factor in the SWOT analysis and the four environmental contexts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echnological factors in PEST analysis.

      • KCI등재

        고구려사에 보이는 ‘政變’과 역사적 의미

        김진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4 한국고대사탐구 Vol.46 No.-

        이 글에서는 고구려사에서 일어났던 정변의 양상을 살펴보고 각 정변이 갖는의미는 무엇인지 검토해 보았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300년 이전까지를 전기, 6세기 이후를 후기로 구분했다. 중기에는 정변 기사가 명확치 않아 제외했다. 정변의 발생 횟수는 전기에 비해 후기가 적다. 이는 국내전승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자료적 한계에 따른 것이다. 또한 전기에 비해 왕권이 안정되고 왕위계승원칙이 확고해진 것도 염두에 둘 수 있다. 아울러『隋書』와『舊唐書』에는 반역에 대해 엄격한 처벌을 가하였기에 법을 어기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했다. 이에 따라 모반 자체가 적었을 가능성도 예상된다. 정변의 명분으로는 초기에 天孫이라는 血緣과 武力이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민중왕대부터 ‘幼少’, ‘老衰’, ‘暴政’ 등을 내세우기 시작했다. 처음 신화에 가탁하거나 자격을 논했지만 점차 현실문제로 이어졌음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전기의 정변주도세력이 혈연적 성격이 강했다면, 후기에는 지연적 성격을 가진다. 이는 정치세력의 지형이 바뀌었음을 보여준다. 중앙집권적 고대국가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볼 때, 그에 따른 과제를 실천해 나간 태조왕・신대왕・고국천왕・창조리 정변 등은 긍정적인 면이 있다. 하지만 권력 쟁취에 몰입한 민중왕・차대왕・안원왕・추군과 세군・연개소문・연씨형제 정변 등은 혼란을 야기하였을 뿐 아니라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aspects of the political coup d'etats that occured in Koguryo history and examine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period before A.D. 300 has been termed the early period and the period after the 6th century has been termed the later period. The period in between has been excluded because records of coup d'etats are unclear. The number of political coup d'etats which occurred are more numerous in the early period compared to the later period. This is due to insufficient records during the later period. This can also be due to royal authority becoming relatively stabilized and the principles of succession to the throne becoming firmly establish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Suseo(隋書)』 and『Gudangseo(舊唐書)』, strict punishment for treason was imposed and the law was rarely violated. In the early period, political coup d'etats were justified by blood ties and force. In later periods, they were due to real problems such as the ruler being 'too young', 'senile', and 'tyrannous'. During the early period, the leaders of political coup d'etats had a strong blood-related character, whereas the leaders of coup d'etats of the later period had a strong territorial character. In the process of Koguryo's development into a centralized ancient state, King Taejo, King Shindae, and the Changjori coup d'etat, which dealt with the problems of the period, had a positive influence. However, political coup d'etats motivated by power struggles not only caused confusion but also had a negative influence. Examples include the coups of King Minjung, King Chadae, King Anwon, Chugun and Segun, Yeongaesomun, and the coup of the Yeon clan brothers

      • KCI등재

        송대(宋代) 두시학(杜詩學)의 정변론(正變論) 요술(述要)

        장후이링 ( Zhang Hui-ling ) 연민학회 2020 淵民學志 Vol.33 No.-

        송인(宋人)의 ‘정변(正變)’관념은 한유(漢儒)에서 비롯되었다. 그런데 논의의 중심이 원래의 의미에서 벗어나 시대와 시의 관계에 있지 않고, 시인의 성정(性情)과 시의 변체(辨體)에만 치중되었다. 송인은 두보(杜甫)의 도덕경지, 감정체험 등의 측면에서 두시(杜詩)를 평가하였고, 변체의 의미에서 두시를 여러 측면으로 탐색하고 변화시켰다. 또한 ‘정(正)’가운데 ‘변(變)’이 있다는 인식과 총괄 속에서 세밀한 논의를 진행함으로써 ‘정변론(正變論)’을 풍부하게 형성하였다. 이러한 사상은 두시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켰고, 고전시학(古典詩學)의 의미 또한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다. The concept of “legitimacy and change(正變論)”of the Song(宋) Dynasty originated from the scholars of Han(漢) Dynasty , but it changed its original connotation. From Du fu'(杜甫)s moral realm,emotional experience and other aspects, poets in Song Dynasty discussed Du poetries(杜詩)’ explorations and evolutions, and the legitimacy in his change. The “legitimacy and change” poetry theory emerges in their discussion. The theory deepened the congnition of Du poetry, and enriched the connotation of Chinese poetry.

      • KCI등재

        辛酉政變(1861)과 太后大權論

        김성찬(Kim, Seong-Chan) 부산경남사학회 2012 역사와 경계 Vol.82 No.-

        본 논문은 이른바 “太后臨朝稱制”로 표현되는 황태후의 독특한 비상대권의 전통과 그 관념이, 그 유사한 발생조건에서 태동한 辛酉政變(1861)에도 재연되는지, 만약 그렇다면 어떤 모습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며 정변 주역들을 몰아가는지 살펴봄으로써, 기왕의 연구시각으로는 간취하지 못한 신유정변의 새로운 사실들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신유정변은 신빙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수많은 자잘한 에피소드류의 逸話 稗史 자료가 넘치는 사건이라서, 통상적인 정치사적 연구로는 현재의 연구의 벽을 넘을 수 없다. 그런 미세한 부분들은 기왕의 연구에 맡기고, 등장인물들의 의식과 행동을 패턴화해주는 집단의식 혹은 정치적 명분(cause)의 시각에서 관련 개별사건을 재조명하고, 그들이 사용하는 용어와 리토릭(rhetoric)을 과거의 유사한 사건에서의 경우와 비교함으로써, “皇太后非常大權”이라는 전통과 그 사유가 이 시기에도 명백히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정치적으로 소외된(이른바 북경파) 자들 사이에서 “太后臨朝”와 황태후의 동정에 관심과 언급이 급격히 증대되었다. 누구보다도 慈禧太后 자신이 先帝가 임명한 합법적 顧命大臣들을 타도할 수 있는, 황태후대권 발동에 가장 적합한 죄목과 명분을 직접 발굴하고, 냉정히 정변에 적용하였다. 그가 결심하고 기본계획을 입안하자, 醇群王과 恭親王이 최고의 참모와 실력행사자로서 대신들을 끌어들여, 결국 하루아침에 황태후를 앞세운 연합정권 수립에 성공하였다.

      • KCI등재

        우애와 자애로 포장된 통제- 唐 玄宗의 諸王 관리 -

        김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硏究 Vol.- No.101

        통치기간을 ‘開元之治’라는 盛世로 평가받았던 玄宗은 역시 ‘貞觀之治’의 태종처럼 궁정정변을 거쳐 황제로 즉위한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 둘 다 諸王의 신분으로서 궁정정변을 일으키고 즉위한 이들에게 주어진 공통의 과제는 諸王이 또 다시 정변을 일으키지 않도록 단속해야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태종에 이어 현종시기 諸王에 대한 관리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태종시기 諸王에 대한 통제가 어느 정도 정비된 이래, 武則天 통치시기 ‘王’이라는 작위, 諸王이라는 존재가 예우만을 갖는 허상일 뿐 실질적 권력을 보유하지 못하는 지위였다. 臨淄王 隆基는 中宗 복위 후 일련의 정변과정 속에서 금군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비밀리에 羽林兵士들을 모았던 것처럼 禁軍을 활용하여 거사를 도모했고, 정변에 성공한 후에는 諸王에 대한 관리를 진행시켰다. 睿宗이 다시 즉위한 景雲 元年(710) 직후에는 현종의 형제들이 左右羽林軍 및 南衙 諸衛의 대장군직까지 맡아 皇權을 보위하고 있었다. 이는 太平公主 일파의 병변을 쉽게 끝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황제로 즉위한 현종은 형제들의 禁軍職을 파하고 태종 이래로 견지해 온 刺史職 또는 司空․司徒․太子少保와 같은 명예직을 부여했다. 태종시기부터 諸王을 자사직에 임명했던 관례를 계승하는 것이지만, 이들을 먼 지방으로 보낸다면 우애 깊기로 잘 알려진 현종에게는 모순적인 행동으로 보여질 수 있었다. 따라서 현종은 우애라는 美名 아래 형제들을 長安城 내에 함께 거주시켰다. 이 방법은 武則天 통치시기 현종 자신이 경험했던 바에 착안했던 것이다. 臨淄王 시절 자신과 그의 형제들에게 취했던 武則天의 五王宅은 일종의 가택연금과 같은 조처였고, 현종이 즉위 후 이를 그대로 이용한 것이야말로 분명 감시와 통제기능을 활용한 것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현종은 한정된 공간, 감시 가능한 공간을 우애로 포장하여 황제 자신도 왕래하며 형제들에게 마음껏 자유를 누리게 함으로써 통제의 테두리를 자연스럽게 설정하였다. 형제들을 함께 거주시키는 방법은 皇子․皇孫들에게도 적용시켜 十王宅 ․百孫院을 만들었다. 이들에게는 虛銜의 관직을 임명하고 함께 거주시키면서 宦官으로 하여금 감시하도록 했다. 이처럼 현종은 諸王을 황권에 대한 도전자․경쟁자로서의 성격에 주안점을 두고, 태종의 諸王 관리 방법 가운데 虛銜의 관직임명을 활용하는 한편, 형제들에 대한 우애와 자손들에 대한 자애를 내세워 함께 거주시키는 방법으로 통제했던 것이다. 이는 정변을 거쳐 즉위한 황제가 또 다른 정변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인 조처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형제들에 대해서는 지나칠 정도의 우애를 표현하고, 황자․황손들에게는 늘 가까이서 보살핀다는 자애를 내세워 그들로 하여금 갇힌 공간이라 느끼지 못하게 했다. 현종 통치시기 과장된 盛世를 묘사하는데 덧붙여진 황제의 ‘우애와 자애’의 이면에는 ‘감시와 통제’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었다. 황실의 울타리이자 황권에 대한 도전자도 될 수 있는 兩刃之劍의 諸王은 唐 前期의 궁정정변을 거치며 후자로서의 성격만 부각되어 통제의 대상이 되어 갔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