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Multilevel Multiple-Group Latent Profile Analysis of Instructional Practices in Science: Cross-national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 다층 다집단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한국과 일본의 과학교과 수업 인식 사례

        손윤희(Son, Yoonhee),홍유정(Hong, Yujung),박현정(Park, Hyun-Jeong),김전옥(Kim, Junok)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7

        이 연구에서는 Morin et al. (2016)에서 제시한 다집단 잠재 프로파일 접근법을 다층 모형으로 확장하고, 이를 실제 자료에 적용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유형을 구분하고 국가 간 비교하기 위하여, PISA 2015의 한국, 일본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다층 다집단 잠재 프로파일 분석(MMLPA)을 7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PISA 2015 예시 자료를 활용한 다층 자료 분석 시, 다층 잠재 프로파일이 단수준 잠재 프로파일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다층 잠재 프로파일의 형태적 및 구조적 유사성이 충족되었으며 두 국가에서 가장 적합한 모형은 4개 잠재 프로파일로 나타났다. 이후, 4~7단계에서는 잠재 프로파일의 분산 및 분포, 예측변수와의 관계, 평균이 두 국가 간 동일한 지 살펴봄으로써, 잠재 프로파일 특성의 차이가 국가의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이 학교에 내재한 다층 자료의 특성을 반영한 잠재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국가 간 다층 잠재 프로파일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는 접근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tend the multi-group latent profile approach proposed by Morin et al. (2016) to a multilevel context and to provide an illustration with real-world data. Specifically, multilevel multiple-group latent profile analysis (MMLPA) models were fitted following seven steps to classif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f instructional practices in science classrooms and to compare the latent profiles of two countries using Korean and Japanese data from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models fit better than single-level models. Second, configurational and structural similarity were satisfied for both countries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and the four-profile solution had the best fit. Third, the means, variances, and distributions of latent profil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predictors were similar for both countries, indicating that the differences across latent profiles could be attributed to the educational context of each countr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MMLPA can provide latent profile probabilities accounting for clustered data where students are nested within a school, enabling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profiles for Korea and Japan.

      • KCI등재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예측요인과 학업열의 분석

        이성원 ( Lee Sung Won ),주지선 ( Ju Ji Sun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2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여 예측요인을 살펴보고, 여가시간 활용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열의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학교 1학년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총 2,394명이다. 청소년의 여가시간으로 독서 시간, 운동 및 신체활동 시간, 매체 이용시간, 친구들과 노는 시간을 투입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에 대한 예측요인으로 개인, 가정, 학교 요인을 투입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업열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수는 3개로 나타났으며, 각 집단을 저여가 집단, 유희·오락 집단, 지식·활동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여가시간 활용 잠재프로파일에 대한 예측요인은 성별, 건강상태, 성적 수준, 부모의 비일관성, 학교생활 만족도, 친구 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시간 활용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학업열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업열의는 지식·활동 집단, 저여가 집단, 유희·오락 집단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사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을 사람중심 접근으로 분류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의 학업열의를 높이기 위한 여가시간의 활용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rive latent profiles based on adolescents’ leisure time use, examine predictive factors for each latent profile, and identify difference in academic engagement based on latent profiles of leisure time use. Methodology: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nd year of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of KCYPS 2018. And a total of 2,394 students were analyze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y inputting reading time,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time, media use time, and playtime with friends as leisure time of adolescent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inputting personal, family, and school factors as predictive factors for the latent profile.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academic engagement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Findings: The latent profiles based on adolescents’ leisure time us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low level leisure group, play/entertainment group, and knowledge/activity group. The predictive factors for the latent profile of leisure time use were gender, health condition, grade level, inconsistency in parenting attitud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engagement according to latent profile of leisure time use. Academic engagement was highest in the knowledge/activity group, the low leisure group, and the play/entertainment group in that order.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assified the adolescents’ leisure time use as a people-centered approach. And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use of leisure time to increase the academic engagement of adolescents.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유형 탐색

        김화록,김보현,박미경,이홍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8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childcare teachers with play support competence (PSC) and to describe each latent profile characteristic. Method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to a total of 338 childcare teachers who were working childcare center in metropolitan. We composed PSC of childcare teacher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competence, and analyzed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ir PSC level. We analyzed latent profile, which is a person-centered approach, and based on the results, we categorized the PSC profile of childcare teachers and defined their characteristic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we classified five PSC profiles: the ‘lowest PSC profile’, which had very low levels of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competence related to play support, was 4.14% of all childcare teachers, the ‘low PSC profile’, which had relatively low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competence levels, was 19.23% of all, the ‘medium PSC profile’, which had average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37.28% of all, the ‘high PSC profile’, which had relatively high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22.78% of all, and the ‘highest PSC profile, which had very high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16.57% of all.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various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PSC within the childcare teacher group, rather than considering the childcare teacher as the ‘cohort group’ in relation to PSC. We also suggest that customized approach considering the profi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PSC is requir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놀이지원역량 프로파일 유형별특성을 규명하여 놀이지원역량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수도권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인지적, 정의적, 실천적 역량으로 구분하고, 놀이지원역량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사람 중심적 접근(person-centered approach)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결과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인지적 역량, 정의적 역량, 실천적 역량의 상호결합 정도에 따라 5개로 도출되었다. 놀이지원 관련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모두 매우 낮은 ‘놀이지원역량 최저 집단’은 전체어린이집 교사의 4.14%,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비교적 낮은 ‘놀이지원역량 저집단’이 19.23%,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수준이 모두 평균수준인 ‘놀이지원역량 중집단’이 37.28%,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비교적 높은 ‘놀이지원역량 고집단’이22.78%,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매우 높은 ‘놀이지원역량 최고 집단’은 16.57%로 분류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놀이지원역량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교사를 단일집단으로 인식하기 보다는 집단내 놀이지원역량 수준에 따른 다양한 집단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고령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에 따른 유형과 주관적 건강 및 종합적 행동 경향의 차이

        임영명(Young-Myoung Lim),김아람(Ah-Ram Kim),박지혁(Ji-Hyuk Park) 대한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2 No.1

        목적: 중고령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를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s Analysis, LPA) 을 통해 잠재유형을 구분하고, 관련된 영향요인과 주관적 건강, 종합적인 행동 경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온라인 리서치 업체를 통해 중고령자 300명을 대상으로 건강 라이프스타일 가치체계(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주관적 건강(Self-Rated Health), 종합적인 행동 경향(Yonsei Lifestyle Profile-ABCD)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라이프스타일 가치체계 자료는 LPA를 실시하였으며,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의 영향요인은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종속변수의 차이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잠재프로파일은 가치체계 특성에 따라 3개로 분류되었다.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낮은 건강 가치체계 (Profile1)’, ‘높은 건강 가치체계(Profile2)’, ‘중간정도의 건강 가치체계(Profile3)’로 명명되었다. 잠재프로파일의 영향요인은 개인적 요인에서 교육 수준과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주관적 건강과 종합적 행동 경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고령자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가 건강을 추구하는 유형일수록 일상에서 더 건강한 방식의 행동을 채택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건강관리 측면에서 라이프스타일을 건강한 방식으로 증진시키기 위해 가치체계를 고려한 개입 방안 및 방향성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the value systems reflected in the healthy lifestyl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analyze differences in related influencing factors, subjective health, and comprehensive behavioral tendencies. Methods: 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Self-Rated Health, and Yonsei Lifestyle Profile-ABCD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rough an online research company. LPA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lifestyle value system dat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ed latent profiles,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assess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profiles. Results: Three latent profiles based on value system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Low Health Values System (Profile1),’ ‘High Health Values System (Profile2),’ and ‘Moderate Health Values System (Profile3).’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latent profiles.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ubjective health and overall behavioral tendencies among the profile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prioritize health in their value systems are more likely to adopt healthier behaviors in their daily live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value systems when design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directions aimed at promoting healthy lifestyles from a health management perspective.

      • KCI등재

        청년기의 가치관, 지식공유, 직업적응역량 유형에 따른 진로결정효능감 차이분석

        김경화,류정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24 취업진로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청년기의 가치관, 지식공유, 직업적응역량을 기초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잠재집단 간 청년기의 진로결정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G시 청년 491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효능감, 가치관, 지식공유, 직업적응역량 척도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기의 가치관, 지식공유, 직업적응역량 잠재프로파일 분석에서 3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으며 집단명을 ‘우수집단’, ‘평균집단’, ‘부진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가치관 하위요소 잠재프로파일 분석에서 4개의 집단이 도출되었으며 집단명을 ‘가치관 평균집단’, ‘물질 자아 추구 집단’, ‘가치 판단 취약 집단’, ‘감성 관계 무관심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지식공유 하위요소 잠재프로파일분석에서 4개의 집단이 도출되었으며 집단명을 ‘지식공유 추구 집단’, ‘지식공유 평균집단’, ‘지식공유 취약 집단’, ‘지식공유 무관심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넷째, 직업적응역량 하위요소 잠재프로파일 분석에서 3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으며 집단명을 ‘직업역량 우수집단’, ‘ 평균집단’, ‘직업역량 결여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각 집단 간 진로결정효능감 차이는 유의미했다. 본 연구결과는 가치관, 지식공유, 직업적응역량의 수준에 따라 청년들이 어떤 집단으로 유형화되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추후 청년기 대상 진로 및 취업 프로그램 구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potential groups and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based on young adults' values, knowledge sharing, and vocational competencies. It also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young adults' career decision effectiveness based on the type of potential group. For this purpose, 491 young adults in G city were administered the career decision effectiveness, values, knowledge sharing, and vocational competence scale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ee latent groups were derived from the potential profile analysis of values, knowledge sharing, and vocational adaptation competency in youth, and the groups were named 'excellent group', 'average group', and underperforming group. Second, four groups were derived from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values, and the groups were named 'values average group', 'material ego seeking group', 'value judgment weak group', and ‘emotional relationship indifference group’. Third, four groups were derived from the knowledge sharing sub-factor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he groups were named ‘knowledge sharing seeking group’, ‘knowledge sharing avering group’, ‘knowledge sharing vulnerable group’, and ‘knowledge sharing indifferent group’. Fourth, three latent group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latent profile of the sub-factors of occupational adaptation competency, and they were named 'excellent occupational competency group', 'average group', and 'occupational competency lacking group'. The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efficacy between each group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career and employment programs for young adults.

      • KCI등재

        대학생활 참여 유형별 재정(학자금) 지원 만족도 및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홍소정(Sojung Hong),심명정(Myungjung Shim),이윤수(Yunsoo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활 참여도에 따른 대학생 잠재프로파일을 식별하고, 프로파일별 재정(학자금) 지원 만족도와 대학생활 만족도 간 차이를 규명하는 데 있다. 방법 대학생 재정 지원, 대학생활 참여도, 대학생활 만족도 등을 조사한 한국장학패널(KOSAPS)에서 대학생활 참여도에 응답한 1,05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적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프로파일별 결과변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3단계 접근법이 활용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대학생활 중 교과 및 비교과 활동 참여도에 따라 4개의 프로파일(비교과 우선 프로파일, 교과 우선 프로파일, 참여저조 프로파일, 참여 활발 프로파일)이 분류되었고, 재정(학자금) 지원 만족도가 높아지면 비교과 우선 프로파일보다 교과 우선 프로파일이나 참여 활발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고, 참여 저조 프로파일보다 교과 우선 프로파일이나 참여 활발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의 프로파일별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참여 활발 프로파일이 가장 높았고, 교과 우선 프로파일, 비교과 우선 프로파일, 참여 저조 프로파일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형 진로지도 방안 및 고등교육 재정 지원 정책 수립과 관련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financial support and with college life between the latent profiles.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f 1,051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4th Korea Student Aid Panel Survey (KOSAPS) us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predictors and the differences in outcome variables between the latent profiles were examined using a 3-step approach. Results We identified four latent profiles: extracurricular programs preferred profile, curricular preferred profile, low participation profile, and active participation profile. We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financial support,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curricular preferred profile and active participation profile than other profiles.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he four profiles, the active participation profil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urricular preferred profile, extracurricular programs preferred profile, and low participation profil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분석학 관점에서 사이버대학생의 수강시간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분석

        윤정미 ( Jungmee Yoon ),장은정 ( Eunjung J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분석학 관점에서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사용하여 주차별 수강시간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사이버대학교에서 퀴즈, 과제, 기말시험을 시행한 총 97개의 신규제작 강좌를 표집하였다. 해당 강좌의 수강생 4,411명을 대상으로 개인정보가 삭제된 로그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주차별 수강시간을 지표변수로 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고, 최종 프로파일을 선정하였다. 학업성취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연속형 변수에 추천되는 BCH(Bolck-Croon-Hagenaars)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생의 주차별 수강시간 프로파일은 총 4개의 집단으로 나타났다. 수강시간 패턴의 특징에 따라 ‘초기집중형’, ‘균형형’, ‘체류형’, ‘시험집중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주차별 수강시간 프로파일 간 학업성취도 차이를 검증한 결과, 퀴즈, 과제, 기말시험, 최종성적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최종성적은 ‘균형형’이 가장 높았고, ‘초기집중형’, ‘시험집중형’, ‘체류형’ 순이었다.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의 주차별 수강시간 프로파일 집단을 바탕으로 향후 학습자 프로파일별 학습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고려할 사항을 시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weekly course-taking time profiles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in the perspective of learning analytics. To this end, a total of 97 new production courses that conducted quizzes, assignments, and final exam at A cyber university were sampled. Log data with personal information deleted were extracted from 4,411 students in the cours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weekly course-taking time as an indicator variable, and the final profile was sele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the BCH(Bolck-Croon-Hagenaars) analysis method recommended for continuous variables was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yber university students’ weekly course-taking profiles were found in four group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urse-taking time patterns, they were named as ‘initial concentrated type’, ‘balanced type’, ‘stay type’, and ‘test concentration type’.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profi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izzes, assignments, final exam. The final grades were the highest in ‘balanced’, followed by ‘initial concentrated’, ‘test concentrated’, and ‘stay’ types in ord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future learning support measures based on weekly course-taking time profiles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핵심 인재 역량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삼성꿈장학재단 교육소외 학생 교육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김소희(Sohee Kim),김영롱(Younglong Kim)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3 핵심역량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네 가지 핵심 인재 역량 – 지속도전, 능동학습, 진로개척, 사회기여 –의 응답 패턴에 따라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분류된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삼성꿈장학재단의 배움터 교육지원사업 2020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핵심 인재 역량의 응답 패턴에 따라 4개의 잠재집단이 분류되었다. 둘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잠재집단 별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분류된 잠재집단 유형에 프로그램 만족도, 교육포부, 경제상황, 거주지역, 가정구조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램 만족도의 경우, 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차상위 역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교육포부의 경우, 교육 포부가 높은 학생일수록 최상위 역량 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경제상황 변수에서는, 기초수급대상에 속하는 학생들이 일반 저소득층에 해당하는 학생들에 비하여 최상위 역량 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으며, 중소도시에 사는 학생들이 대도시에 사는 학생과 비교했을 때, 중간 역량 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한부모, 새터민, 시설, 조손가정에 속하는 학생들은 일반 가정에 속하는 학생들에 비해 중간 역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네 가지 핵심 인재 역량 응답 양상에 따라 산출된 각각의 잠재집단을 위한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사업의 계발 및 보급 뿐 아니라, 다각도의 관점에서 교육 소외 학생들의 핵심 인재 역량 향상을 위한 체계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classified potential latent groups according to core competency – sustainable challenge, active learning, career development, and social contribution. The potential latent groups were explored based on the responses for sub-scales of core competency, and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ed potential latent groups were investigated. For analysis, the data from the 2020 learning center project by the Samsung Dream Scholarship Foundation was used to conduc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First, four potential latent groups were detected according to the response patterns on core competency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Second,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for each latent group was confirmed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program satisfaction, educational aspiration, economic situation, residential area, and family struc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atent group classification. For program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students had, the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second competency group. For educational aspiration, the higher educational aspiration the student had, the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est competency group. In the case of economic situation, the students, basic pension recipi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highest competency group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low-income group. In addition, students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medium competency group compared to the students living in large cities. Finally, students in groups, living with single parents,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facilities, or living with grandpar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medium competency group than students living in a typical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fferentiated educational programs for each potential group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core competency. For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need for systematic support to improve the core capacity of underprivileged students.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유치원 교사의 교사 유아 상호작용 유형 및 예측요인

        박미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교사의 개인적 요인과 프로 파일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수도권 지역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409명을 대상으로 2024년 1월 10일-1월 31일까지 수행 되었다. 유치원 교사와 유아 상호작용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 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사-유아 상호작용 프로파일 유형을 확 인하고, 교사의 개인적 요인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상호결합 정도에 따라 4개 유형 으로 도출되었다.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모두 매우 낮은 ‘소극적 상호작용형’은 전체 유치원 교사의 5.62%, 전체 적인 상호작용 수준은 낮은 경향을 보이지만 정서적,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언어적 상호작용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언어적 상호 작용형’이 43.03%, 평균 수준의 상호작용을 보이고 있으면서 정서적 상호작용이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보다 다소 높은 ‘정서적 상호작용 중심형’이 26.41%,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모두 높은 ‘적극적 상호작용형’이 24.94%로 분류되었다. 교사의 개인적 요인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잠재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이 교사-유아 상호 작용 잠재프로파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유치원 교사를 단일집단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집단내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다양 한 집단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 개선을 위해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kindergarten teachers with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CI) an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sonal factors and T-CI profiles. Methods The survey fo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10 to January 31, 2024, targeting 409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in the metropolitan area. We composed T-CI of kindergarten teacher into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and analyzed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ir T-CI level. The types of T-CI profiles derived from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ere identified,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factors on the T-CI profil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we classified four T-CI profiles: the ‘passive interaction type’, which had very low levels of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related to T-CI, was 5.62% of all kindergarten teachers, the ‘non-verbal interaction type’, which had relatively low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levels, was 43.03% of all, the ‘affective interaction-centered type’, which had average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26.41% of all, the ‘proactive interaction type’, which had relatively high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24.94% of a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teacher's personal factors on the T-CI profile,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age, education, and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CI profil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various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T-CI within the kindergarten teacher group, rather than considering the kindergarten teacher as the ‘cohort group’ in relation to T-CI. We also suggest that customized approach considering the profi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CI is requir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존감 수준 및 안정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 및 학업적 자아개념의 차이

        박상현(Park Sa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에서는 개인 중심적 접근을 바탕으로 자존감 수준 및 안정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하위 유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하위 유형의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적 자아개념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G도에 중・소 도시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 5, 6학년 3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지 배부와 수합에 2주의 시간이 걸렸으며 최종 303명(남: 46.5%, 여: 53.5%)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고수준 불안정형 (7.9%), 긍정형(35.7%), 부정형(9.9%), 저수준 불안정형(46.5%)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도출된 유형별로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적 자아개념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적조절, 내사된 조절 등의 통제동기에서는 긍정형이 다른 유형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내적조절, 자율동기에서는 긍정형이 부정형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적 자아개념에서는 긍정형과 고수준 불안정형이 저수준 불안정형과 부정형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저수준 불안정형은 부정형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에게 긍정적인 유형과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self-esteem level and stabili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self-concept among profile groups.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303 primary school students(5 to 6 graders), four distinct profiles of self-esteem level and stabili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igh level-unstable profile(7.9%, high/unstable/middle), positive profile(35.7%, high level/stable/low), negative profile(9.9%, low/unstable/high), and low level-unstable profile(46.5%, low/unstable/middle). Observed differences i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dicated that the positive profile was positively related to autonomous motivation. While the high level-unstable profile, negative profile and low level-unstable profile was positively related to control motivation. Also, the positive profile and high level-unstable profile was positively related to high academic self-concept. Finall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self-esteem level and stabili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or our classroom setting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