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성 장애학생의 성별, 지적장애 유무, 장애정도, 학교(급)별에 따른 제한적 반복행동 특성 분석

        홍점숙,방명애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성별, 지적장애 유무, 장애정도, 학교(급)별에 따른 제한적 반복행동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자폐성 장애학생을 교육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이며, 특수교사 단체 SNS 등 정보공유를 통해 지원자표집하였다. 전자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773부 중 본 연구에 부합하지 않은 62부를 제외하고 711부에 대해 기술통계, 두 독립표본 t 검증 및 일원분산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제한적 반복행동은 상동행동, 제한된 관심, 동일성 고집, 변화거부, 감각관련행동, 강박행동, 자해행동 하위영역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자폐성 장애 여학생의 제한적 반복행동이 자폐성 장애 남학생보다 많이 나타났다.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 장애학생의 제한적 반복행동이 지적장애를 동반하지 않은 자폐성 장애학생보다 많이 나타났다. 중등도, 중도 및 최중도 자폐성 장애학생의 제한적 반복행동이 경도 자폐성 장애학생보다 많이 나타났다. 유치부 자폐성 장애학생의 제한적 반복행동이 중학교와 고등학교 자폐성 장애학생보다 많이 나타났고, 초등학교 자폐성 장애학생의 제한적 반복행동이 고등학교 자폐성 장애학생보다 많이 나타났다. 결론: 자폐성 장애학생의 제한적 반복행동은 성별, 지적장애유무, 장애정도, 학교(급)별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있다.

      • KCI등재

        자폐성 장애학생의 성별, 연령, 지적장애 유무 및 장애정도에 따른 민감반응과 둔감반응의 특성 분석

        홍점숙,방명애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총 Vol.38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성별, 연령, 지적장애 유무 및 장애정도에 따른 민감반응과 둔감반응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자폐성 장애학생을 직접 가르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이며, 특수교사가 속해있는 단체 SNS 등을 통해 지원자 표집을 하였고, 자폐성 장애학생의 민감반응과 둔감반응에 대해 교사평정을 실시하였다. 전자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773부 중 교사의 연령을 오기입한 2부를 제외하고 771부에 대해 두 독립표본 t 검증을 통해 자폐성 장애학생의 성별과 지적장애 유무에 따른 감각반응의 차이를 검증하였고,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자폐성 장애학생의 연령과 장애정도에 따른 감각반응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 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폐성 장애 여학생이 자폐성장애 남학생보다 민감반응과 둔감반응을 더 많이 나타냈다. 둘째, 8세 미만 자폐성 장애학생이 17세 이상 20세 미만 자폐성 장애학생보다 민감반응을 더 많이 나타냈으나, 자폐성 장애학생의 연령에 따른 둔감반응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지적 장애와 자폐성 장애를 함께 가지고 있는 학생이 자폐성 장애만 가지고 있는 학생보다 민감반응과 둔감반응을 더 많이 나타냈다. 넷째, 최중도, 중도 및 중등도 자폐성 장애학생이 경도 자폐성 장애학생보다 민감반응을 더 많이 나타냈다. 최중도 및 중도 자폐성 장애학생이 중등도 자폐성 장애학생보다 둔감반응을 더 많이 나타냈고, 중등도 자폐성 장애학생이 경도 자폐성 장애학생보다 둔감반응을 많이 나타냈다. 결론: 자폐성 장애학생의 민감반응과 둔감반응은 성별, 연령, 지적장애 유무 및 장애정도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있다.

      • KCI등재

        자폐성장애 학생의 학교(급) 장애정도 지적장애 유무 및 성별에 따른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특성 분석

        장역방,방명애,홍점숙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i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ccording to grade, severity level, presence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ender. The subjects sampled from 39 special schools in 17 school districts across the country were 671 students with ASD. One-way ANOVA, Schéffe tests, and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according to the grade of students with ASD. Seco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according to the severity level of students with ASD.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according to presence of intellectual disability in students with ASD. Fourth,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according to the gender of students with AS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장애 학생의 학교(급), 장애정도, 지적장애 유무, 성별에 따른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소속 39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자폐성장애 학생 671명을 편의군집표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불안, 우울 및 기분 검사(the Anxiety, Depression and Mood Scale)’와 ‘문제행동 목록(the Behavior Problems Inventory-01)’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자폐성장애 학생을 직접 교육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가 특정 자폐성장애 학생 한명에 대해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설문지는 우편과 이메일을 통해 발송하고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신뢰도, 평균,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석, 두 독립표본 t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학교(급)별에 따른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차이가 있었으며,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가 다른 학교(급)에 비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장애정도에 따른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지적장애 유무에 따른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차이가 있었으며, 지적장애를 수반하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정서행동문제가 지적장애를 수반하지 않은 자폐성장애 학생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성별에 따른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개인변인에 따른 자폐성장애 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을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보완,대체 의사소통 사용 자폐성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중학생의 이해 및 수용

        조희수 ( Hee Soo Jo ),한경임 ( Kyung Im Ha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의 종류에 따라서 자폐성장애 학생 에 대한 일반 중학생들의 정서·행동 측면, 인지 측면, 의사소통 측면의 이해 및 수용에 대해 성별, 연령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조사 분석 대상은 경 남에 위치한 중학교 2개교 12개 학급의 36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사용 자폐성장애 학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수용정도는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더 긍정적이었다. 둘째,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종류별로는 도 구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를 사용하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모습에 대한 이해 및 수용정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셋째, 태도의 하위 영역별로 볼 때 자폐성장애 학생 에 대해 정서·행동 측면, 인지 측면, 의사소통 측면에서 모두 보통 수준 이하의 이해 및 수용정도를 나타내었다. 넷째,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전반적인 측면, 정 서·행동 측면, 의사소통 측면의 이해 및 수용정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다섯째, 전 체적인 이해 및 수용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정서·행동 측면에서는 1학년보 다는 3학년이 보완·대체 의사소통 사용 자폐성장애 학생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ddress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an autistic student us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to supply basic data for inclusive education in middle schools. The subjects were 368 students from 12 classes in 1st and 3rd grades from two national middle schools in C city, Gyeongnam. Research was complemented after the subjects watched one of the videos viewing autistic students using unaided AAC and voice output AA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tal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an autistic student using AAC was below average more positive in girls than in boys, and more positive in voice-output AAC than in, unaided AAC. Second, emotional and behavioral attitude toward an autistic student using AAC was more positive in girls than in boys, in 3rd grade than in 1st grade, and in voice output AAC than in unaided AAC. Third,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gender and grade in perceptional attitude toward an autistic student using AAC. Perceptional attitude was more positive in voice output AAC than in unaided AAC. Fourth, communicative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an autistic student using AAC was higher level in girls than in boys, and in voice output AAC than in unaided AAC.

      • KCI등재후보

        자폐성장애학생의 생애단계별 지원방안 연구

        최혜승,박진영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논총 Vol.3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at kinds of knowledge and skills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acquire to use the support plan based on the life span of students with ASD. Method: El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2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5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4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FGI was followed by 5 pre-prepared open-ended question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coded and analyzed in 3 stages, and inter-researcher agreements were sought through a preliminary analyses. Results: The major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ASD diagnosis․evaluations had been conducted in the hospital during the early childhood and additional evaluations were needed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Second, the lower grades of students with ASD were, the more appropriate students with ASD were placed in the inclusive classroom. The educational placemen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degree of students’ disabilities. Third, the focus of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educational level and there were more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Fourth, it was foun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eferred to evaluate their students using observations and portfolio; further, these teachers reported difficulties in developing evaluation plans in regards to the learning objectives. Fifth, other than the field of education, other fields such as communication, sociality and behavior, were also in need of sup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ASD. Last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expert knowledge in the areas of diagnosis․evaluations, subjects, and supporting the everyday liv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the support plan based on the life span of students with ASD and develop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use the support pla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학생의 생애단계별 지원방안과 이에 따른 특수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총 11명의 특수교사(유아특수교사 2명, 초등특수교사 5명, 중등특수교사 4명)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에 참여하였으며, FGI는 사전에 준비된 5개의 개방형 질문에 따라 진행되었다. FGI 내용은 전사되어 3단계에 걸쳐 코딩하고 분석하였으며, 예비 분석을 통하여 연구자간 합의사항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결과로는 첫째, 자폐성장애 진단․평가는 대부분 유아기에 전문기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성장애학생의 학년이 낮을수록 통합환경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고, 보호자의 요구보다 학생의 장애정도에 따라 배치환경이 결정되어야 한다고 토로하였다. 셋째, 학교급별로 자폐성장애학생의 중점 교육영역에 차이가 있고, 장애정도가 심한 경우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서의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자폐성장애학생을 평가하기 위해 관찰, 포트폴리오 등의 평가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목표와 연계된 평가계획 수립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다섯째, 자폐성장애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의사소통, 사회성, 행동 등 교과지원 이외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가 진단․평가, 교과 및 다양한 생활지원 영역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자폐성장애학생의 생애단계별 지원방안 및 그에 따른 특수교사의 역량을 도출하는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폐성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 일반학생의 인식

        송민애,이승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gree of general students’ perceptions on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an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s(school levels, gender, family members/relative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 for understanding autistic disorder). To do thi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06 students(69 elementary schoolers, 69 middle schoolers, 68 high schoolers) who were in inclusive classrooms where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were integrated. Two hundred two questionnaires were returned(return rate: 98.1%) and 184 out of them were used for data analyses. The data analyse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a) General students’ perceptions on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were neither negative nor so positive. (b)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students’ perceptions according to 3 variables(school levels, gender, education for understanding autistic disorder) but not according to 2 variables(family members/relative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That is, elementary schoolers, girls, and students who received an education for understanding autistic disorder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s than middle/high schoolers, boys, and students who did not receive an education for understanding autistic disorder,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future related research and tasks.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생 인식의 정도와 관련변인(학교급, 성별, 장애를 가진 가족/친척 유무, 통합교육 경험 유무, 자폐성장애 이해교육 유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학급에서 자폐성장애학생과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생 69명, 중학생 69명, 고등학생 68명(총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한 결과 총 202부(회수율 98.1%)가 회수되었으며 그 가운데 184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연구문제별로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생의 인식은 부정적이지는 않지만 그다지 긍정적이지도 않았다. 둘째, 자폐성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생의 인식은 5개 관련변인 가운데 3개 변인(학교급, 성별, 자폐성장애 이해교육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2개 변인(장애를 가진 가족/친척 유무,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즉, 중학생/고등학생보다 초등학생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자폐성장애 이해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받은 집단이 더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와 연계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 및 과제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른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 분석

        성경선(Sung, Kyungsun),방명애(Bang Myongye)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른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이 자폐성 장애학생이고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에 대한 자료수집이 교사평정에 의해 실시되었다. 자폐성 장애학생을 교육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특수교사 단체의 SNS 등 정보공유를 통해 지원자표집하였다. 전자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630부 중 1부를 제외하고 629부의 설문결과에 대해 두 독립표본 t 검증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의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성별에 따른 생각의 원리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교급별, 자폐성 장애의 정도, 동반 장애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성별에 따른 사회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교급별, 자폐성 장애의 정도, 동반장애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은 학교급별, 자폐성 장애의 정도, 동반장애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있고,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 간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theory of mind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29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of teaching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data on the theory of mind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collected through an electronic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s and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implemented for analyzing the data. Results: First, the theory of mind competence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varies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Second, the social anxiety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varies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mind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onclusion: The Thoery of mind and social anxiety in students with ASD differ among groups according to gender, school level, level of ASD, and accompanying disability.

      • KCI등재

        초임 특수교육실무사의 자폐성 장애학생 통합지원 경험에 관한 이야기

        정은혜 ( Eun Hye Jeo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4

        이 연구는 특수교육실무사가 자폐성 장애학생 통합지원을 하면서 겪는 여러 가지 경험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2명의 자폐성 장애학생 통합지원 경험과 관련한 자서전 내러티브를 작성하였으며 연구자는 작성된 내러티브 텍스트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와 통합교육 지원 경험에 관한 담화 형식의 비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내러티브 텍스트와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특수교육실무사는 자폐성 장애학생의 특성으로 인한 교수·학습지원방법으로 오감표현, 감정적 교류, 사회성 향상 등에 초점을 두어 지원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새로운 상황에 대해 역할혼동이 있었으나 나름대로의 신념을 가지고 불안감에서 벗어나고자 하였고, 자폐성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으로 인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육실무사는 인간관계 측면에서 무엇보다 통합학급 교사 스타일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통합학급 교사의 반에 소속되어 있는 자폐성 장애학생도 학급의 일원으로 동등하게 생각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육실무사는 만족도 측면에서 통합학급 교사의 무관심에 서운하기도 하지만 자폐성 장애학생을 지원하면서 작은 변화와 기대감이 있기 때문에 작은 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다른 어떤 직종보다 장애학생을 지원하는 일이기 때문에 경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처음 하는 일로써 특수교사를 많이 모델링한다고 하였다. 후속연구로는 특수교육실무사가 장애학생을 원활히 지원하기 위한 교육지원청 차원의 지원 및 관리, 다양한 형태의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earning various experiences of a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during integrated support on autistic disabled students. A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who gives integrated support to 2 autistic disabled students attending 1st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write a narrative autobiography and participated in an interview for this study. The result was drawn by narrative inquiry qualitative analysis. The researcher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of the study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and narrative text. First,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was doing its best to support the teaching/learning of the autistic disabled student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istic disabled students and focusing on the expression using five senses, emotional exchange and improvement of sociality. There was certain role confusion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because everything is new, however,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was trying to relieve its concern with certain belief.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believes that it is important to learn the style of integrated class teacher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elation. Th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wished that the autistic disabled students in the class of integrated class teacher would be also treated as equal students. Third,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was not so satisfied with the indifference of integrated class teacher; however, it also feels small satisfaction because there is small change and expectation in supporting autistic disabled students. Th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was aware of career importance because the job is supporting disabled students. Th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sai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 is frequently taken as work model. As future study in relation to this study, a study on the support/management of District Education Office for better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to disabled students and a study on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were suggested.

      • KCI등재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비교

        장역방,방명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n the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non-experimental comparative study. The subjects sampled from 7 special schools were 79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rated the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s of 79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implement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internalized problem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e 5 subscales parents perceived the depression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ore seriously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externalized problem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별에 따른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1개교, 광주광역시 1개교, 세종특별자치시 1개교, 경기도 1개교, 전라북도 2개교, 전라남도 1개교, 총 7개 특수학교에서 79명의 자폐성장애 학생을 편의군집표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독립표본 t검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전체 내면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모두 강박행동을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였다.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면화 문제의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폐성장애 학생의 우울 특성에 대해 부모가 교사보다 더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전체 외현화와 각 하위영역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모두 상동행동을 가장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였다. 이 연구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자폐성장애 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폐성장애 학생의 고등학교생활 경험에 대한 어머니의 관점

        서인순,김건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3

        This study investigated experiences of school life of adolescents with autism in special classes of general high school as seen from a maternal perspec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mothers and their children with autistic enrolled in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es. Topics derived through the data analysis were alienation in schools oriented towar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tudents getting hurt, expectation and disappointment in regar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burden of excessive concern, and worries about sad children who lacked friends. The mothers were unfamiliar with, and skeptical of, curriculum that focuses on college entrance exams, and they were having a hard time with the circumstances of their alienated children. Also, they were always anxious while their children were in high school and stated that they felt heartbreaking anger, for various reasons. They expressed discomfort about their difficult relationship with special education and homeroom teachers and the inappropriate school environment for students with autism. Also, they stated that unnecessary kindness and excessive concern are becoming obstacles to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autism. It was interpreted that students with autism want friends in a relationship with students in general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mprovements in high school education are needed for students with autism to have friendship with their peers. 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되어 있는 자폐성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을 어머니의 관점에서 알아 본 것이다. 이에 일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되어 있는 어머니 3명과 그들의 자폐성장애 고등학생 자녀를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주제들은 입시 위주의 학교에선 소외와, 상처받는 아이들, 특수교사에 대한 기대와 섭섭함, 과잉배려의 부담감, 친구바라기 하는 안타까운 아이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입시 위주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낯설고 조심스러웠으며 그 속에서 소외된 자녀들의 처지를 힘들어 하였다. 또한 자녀가 고등학교 생활을 하는 동안 늘 불안하고, 여러 가지 이유로 억장이 무너지는 분노가 일어날 때도 있다고 하였다. 특수교사와 담임교사와의 어려운 관계와 자폐성장애 학생인 자녀에게 열악한 학교 상황들의 불편함을 호소하였다. 또한 자폐성장애 자녀들에게 불필요한 친절과 과잉배려로 아이들의 교육에 오히려 걸림돌이 된다고 하였다. 일반 학급의 또래 학생과 관계에서도 자폐성장애 학생들이 일방적으로 친구바라기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것은 자폐성장애 학생들의 고등학교 교육에 대한 많은 개선이 요구 되고, 특히 자폐성장애 학생들이 일반 학급의 또래 학생들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