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현정(Kim Hyeon Jeong),이태상(Lee Tae S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가 설정한 변인 간의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 과를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다문화 수용성의 하 위 요인들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문화 수용성의 3개 하위 요인들인 공감, 관계지향성, 개방성 그리고 다문화 수용성 전체와 자아존중감의 5개 하위 요 인들인 또래관계 관련 자아존중감, 가정 관련 자아존중감, 전반적 자아존중감, 학교 관련 자아존중감, 부모관계 관련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 관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다문화 수용성의 관련 변인들에서 자아존중감의 또래관계 관련 자아존중감 변인은 다문화 수용성의 개방성, 전반적 자아존중감 변인 은 다문화 수용성의 공감, 개방성, 그리고 다문화 수용성전체, 학교 관련 자아존중감 변인은 관계지향성, 부모관계 관련 자아존중감 변인은 공감, 자아존중감전체는 관계 지향성에 대한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개별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students self-esteem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t elementary school level.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9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2 metropolitan provi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correlationship existed on the variables of self-esteem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self-esteem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혜진(Hye-Jin Kim),홍혜영(Hye-Young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 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KCYPS) 중에서 초등학교 1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6차년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6차년도의 학년은 초등학교 6학년 고등학교 3학년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6과 고3의 자아정체성,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공동체의식, 다문화 수용성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기분석을 통하여 자아정체성과 공동체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정체성,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부분매개와 완전매개모형을 비교 · 분석한 결과 청소년 전체와 초6은 부분매개모형이, 고3은 완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 초기에는 자아정체성의 형성이 다문화수용성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고, 청소년 후기에는 공동체의식이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발달에 따른 자아정체성 정립과 공동체의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적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between Ego-identit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Struatural analysis is performed with six - year panel survey data of elementary school 1st grade students and middle school 1st grade students from 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 The subjects of six - year panel survey data are the six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seni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differences in Ego-identity, sense of communit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between the six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seniors. Second, they are related. Third,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Ego-identity and sense of community have an a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ourth, partial mediating effect is suitable for whole youth and sixth grader and complect mediation effect is suitable for high school seniors. In early adolescents, Ego-identity plays a direct role in multicultural acceptance. But in late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plays a direct role in multicultural acceptance. Base on these results, for improving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It has suggested educational programs that helps to enhance Ego-identity and sense of community.

      • 가족,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8차)를 중심으로

        오서진(Oh, Seo Jin) 한국여가복지학회 2021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다문화가정의 시대에서 중요한 개념인 다문화수용성과 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자아존중감을 주요 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다문화수용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영향요인인 사회적지지도 통합하여 고려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내 다문화가정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다문화수용성,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에 따른 다문화수용성과 그 안에서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의 지지는 자아존중감(β=.618, p<.001)과 다문화수용성(β=.251, p<.001)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자아존중감은 다문화수용성(β=.168, p<.001)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속변인인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이 떨어져(2단계: β=.251, 3단계: β=0.147) 가족의지지와 다문화수용성과 갖는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지지는 자아존중감(β=.479, p<.001)과 다문화수용성(β=.227, p<.001)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자아존중감은 다문화수용성(β=.150, p<.001)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속변인인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이 떨어져(2단계: β=.227, 3단계: β=0.155) 부모의 지지와 다문화수용성과 갖는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multicultural acceptance, which is an important concept in the rapidly growing era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respect, a variable that significantly affects that, were set as major variables. In addition, regard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ocial support, an important influence factor, was also intended to be integrated and considered. S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 of self-esteem,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by families and parent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hypothesis te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upport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self-esteem(β=.618, p<.001) and multicultural acceptance(β=.251, p<.001). In addition, when independent variables and parameters were injected at the same time, self-esteem was shown to have a static (+)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β=.168, p<.001). And, because the independent variable s influenc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has decreased(Model 2: β=.251, Model 3: β=0.147), self-esteem has been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Second, parents support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self-esteem(β=.479, p<.001) and multicultural acceptance(β=.227, p<.001). In addition, when independent variables and parameters were injected at the same time, self-esteem was shown to have a static (+)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β=.150, p<.001). And, because the independent variable s influenc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has decreased(Model 2: β=.227, Model 3: β=0.155), self-esteem has been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uppor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공감능력과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

        이정아(Lee Jung Ah),이윤정(Lee Y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생 4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공감능력과 다문화 수용성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과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어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공감능력도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과 다문화수용성의 하위요인 간에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어,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다문화수용성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감능력과 다문화수용성간에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어,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는데, 공감능력이 자아존중감에 비해 다문화 수용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타인의 입장과 관점을 수용하고 이해하며 그들과의 의사소통 및 이타적 행동까지 포함하는 공감능력이 자아존중감보다 다문화 수용성을 설명력이 있는 요인임이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전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에서 부족하였던 초등학생의 내재적 인 변인을 찾아 그 영향력을 알아봄으로써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을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empathy and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and the self-esteem and empathy aims to investigate how it affects you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Gyeonggi material grades 5-6 elementary school children study more than 450 people to verify the problem was analyzed 407 of those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seriously. Data processing analysis of this study was process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9.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echniques as a basis for validation studies problems. In addition, the child s self-esteem, empathy,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empathy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were subjected to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irs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as follows multcultural factors all thre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Secondly, it showed empathy and self-esteem of children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the most affected come from a previous students experience research mainly through foreign contacts and training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tudies and research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re not looking to influence the multicultural soluble in lacking in the typ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ind out by looking at the internal factors that impac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basis to create programs to increase cultural acceptability.

      • KCI등재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

        김희진,한영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1

        This research aims for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forty eight children who are 4 or 5 years ol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overall tendency of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hildren graded the highest score for empathy among subordinate positions of moral self, compensation, interests about good emotion with parents, sensitiveness about violating rules in the order named. On the other hand, children graded the lowest score for guilty conscience and emotional anxiety after violating rules.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showed the average of 15.38(SD=9.35) on a scale of 24.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got a better grade than that about one's sel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their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confession, one of the moral self's subordinate moral positions, seems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mong the total of children's moral self's mark and their subordinate positions, confession, compensation, and interest about other people's misconduct seem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As a result of analyzing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former seems to posses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one subordinate factor among the latter's types.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만 4세, 만 5세 유아 48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도덕적 자아,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의 관계에서 도덕적 자아의 하위 도덕적 차원 중 고백이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자아 총점과 도덕적 자아의 하위 차원 중 고백, 보상, 타인비행관심이 정서조절능력 총점과 정서조절 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도덕성을 한 가지 측면으로 분리한 개념이 아닌 통합적 개념으로서의 도덕적 자아를 연구해야 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유아의 도덕교육과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도덕성 연구와 도덕성 교육에서에서 유아의 정서발달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다문화수용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재학,윤춘모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peer attachment of adolescents would affect their multicultural acceptance through the medium of aggression, and whether their ego-resilience would produce any protective effects to act as a buffer of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The 7th-year data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for the panel of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 first-grade in high school as of 2016 were utilized. Out of all the data from 2,378 students, the data from 1,979 students were analyzed except some that didn't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or were uncomple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s ascertained that the peer attachment of the teenagers exerted a direct influenc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n other words, the adolescents who were more attached to their peers were found to be more receptive to multiculture. Second, the peer attachment of adolescents was found to have had an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through the partial medium of aggression. Third, it's discovered that the ego-resilience of the teenagers buff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even moderat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that peer attachment had on multicultural acceptance through aggression at the same time. A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ego-resilience produce buffering effects as a protective factor, the roles of it is of great importance, and various programs and psychoemotional support are necessary to bolster the ego-resilience of teenagers to improve their multicultural receptivity.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공격성을 매개로하여 다문화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그 영향관계 안에서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이를 완충할 수 있는 보호효과성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중 초등학교 4학년 패널 7차년도 데이터(2016년, 고등학교 1학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전체 2,378명중 무응답을 제외한 1,979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또래애착은 다문화수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또래애착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다문화수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애착은 공격성을 부분매개로 다문화수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또래애착은 다문화수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단순히 공격성과 다문화수용 간의 관계를 완충할 뿐만 아니라 또래애착이 공격성을 거쳐 다문화수용에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까지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또래애착이 다문화수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통해 다문화수용력을 높이기 위한 실천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 자아탄력성이 보호요인으로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자아탄력성 역할이 중요하며 청소년의 다문화수용력을 높이기 위해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심리·정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전망적 효과에 관한 연구

        정승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4 장애와 고용 Vol.24 No.1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이 미래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전망적 효과연구이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실시한 3차-5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3차년도와 4차년도에 조사된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가 각각 2년 후와 1년 후인 5차년도에 조사된 자아존중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3, 4차년도 장애수용이 5차년도 자아존중감 수준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3차년도의 장애수용이 4차년도의 장애수용을 매개하여 5차년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2012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에 참여한 청각장애인 506명이었다. 분석방법은 AMOS 7을 이용하여 장애수용의 종단적 측정 동일성과 타당도, 자아존중감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전망적 효과 및 매개 효과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3차년도에 조사된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가 2년 후인 5차년도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차년도 장애수용이 1년 후인 5차년도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3차년도 장애수용은 4차년도 장애수용을 매개하여 5차년도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d the prospective effec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on self-esteem of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This study uses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from 2008 to 2012. Information o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comes from in the 2010 and 2011 waves, while information on self-esteem comes from the 2012 wave. This study analyses a direct effec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in 2010 and 2011 on self-esteem in 2012. It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in 2011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in 2010 and self-esteem in 2012. The result shows that acceptance of disability in the third and fourth wave predicts subsequent self-esteem in the fifth wave, respectively. It also shows that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in the third wave has the an indirect effect on selfesteem in the fifth wave mediated by acceptance of disability in the fourth wave.

      • 노인의 죽음수용 정도와 죽음준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김민주 ( Kim Min Ju ) 한국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회(구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9 기독교 사회복지 Vol.1 No.-

        인간은 노인이 되면서 과거와 현재, 미래를 통합하며, 자신의 전 생애를 후회 없이 받아들이고 자아통합을 이루며, 긍극적으로 죽음에 대한 공포도 없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노인들이 자신의 죽음을 수용하는 정도와 죽음 준비가 자아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이들의 자아통합감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거주하면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남녀노인 514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죽음수용 정도, 죽음준비도, 자아통합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죽음수용 정도에서 중립적 수용, 접근적 수용은 자아통합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탈출적 수용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준비 정도에서 심리적 죽음준비는 자아통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으로 죽음을 인정하고 받아들임을 통해 자아통합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물리적 죽음준비와 사후죽음준비는 노인들의 자아통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죽음과 관련하여 이들의 자아통합감을 높이기 위하여서는 물리적 죽음준비와 사후준비보다는 심리적 죽음준비를 체계적으로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심리적으로 죽음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인 수용을 단계적으로 받아들이는 죽음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노인들의 자아통합이 향상될 것이며, 나아가 노인들의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Humans should integrate their past, present, and future, accept their whole life without regret, and integrate their ego, and be in a state which does not ultimately fear death. This study analyzes effects of elderly’s death acceptance degree and death preparation on self-integration and suggest resolution which can increase their self-integration. Subjects of this study are 514 elderly, who reside in Jeollabuk-do, and uses Senior Welfare Center. The results are like these after conducting survey about degree of death acceptance, death preparation, and self-integration. First, in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neutral, and approached acceptance in degree of death acceptance has positive effects, and escaped acceptance has negative effect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in degree of death preparation, psychological death preparation positively affects in self-integration. It is also shown that self-integration is increased by accepting and acknowledging death psychologically. Third, it was revealed that physical death and after life preparation does not validly affect elderly’s self-integration. Therefore, psychological death preparation should be provided rather than physical and after life death preparation, to increase self-integration related to elderly’s death. Death education which can embrace understanding about psychological death and realistic acceptance can develop self-integration. Furthermore, life qualify of elderly’s lives can be increas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구조적 관계

        박재홍 ( Jae Hong Park ),노성향 ( Sung Hyang Rho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4 다문화와 평화 Vol.18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 그리고 사회적 위축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이중문화수용태도가 사회적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사회적위축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9차년도에 해당하는 자료 중 주요변인의 결측치를 제외한 95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AMOS 24.0,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중문화수용태도는 사회적위축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사회적위축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와 학교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문화관련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이중문화에 대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교육, 그리고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등의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attitude,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among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set the social withdrawal of multicultural youth as a dependent variable, examined the impact of bicultural attitude on social withdrawal,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attitude and social withdrawal.In this study, data from 959 people, excluding missing values for key variables, were analyzed from the 9th year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data constr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SPSS 27.0 and AMOS 24.0 programs were us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examine mediation eff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bicultural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social withdrawal.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attitude and social withdrawa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to systematically operate multicultural-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for youth in local communities and schools, develop and educat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bout bicultural attitude, and develop and operate programs to improve youth self-esteem.

      •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와 정서노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박미영 ( Park Mi-Young ),김은혜 ( Kim Eun-Hye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정서노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정서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은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 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과 범위는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기관의 보육교직원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문항과 대상자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및 가설검증을 위하여 사회과학조사프로그램인 SPS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정서노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회복탄력성은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회복탄력성은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를 높이고 정서노동을 낮출 수 있는 긍정의 심리적 자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는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보육교직원의 정서노동을 낮추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보육교직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태도를 기른다면 보육교직원의 정서노동을 낮추고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목적에 따른 기대효과는 보육교직원의 정서노동 요인을 해소하고, 자아 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를 높여줌으로서 보육교직원의 정신건강 증진과 심리적 안정, 건강한 삶의 질로 기관에서 긍정적 정서를 촉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s of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and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process of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fluencing their emotional labor. The subjects and scope encompass childcar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in Seoul Special City,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After conducting a survey with them, the investigator performed statistical treatment for collected data with the social science research program SPSS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survey items and subjects and hypothesis testi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had significant causal relations with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silience can be a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 to increase their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ower their emotional labor. Secondly, their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significant causal relations with their resilience, which indicates that childcare teachers need to enhance their resilience in order to reduce their emotional labor. Finally, resilience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s of their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ir emotional labor. If childcare teachers develop an attitude of increasing their resilience, it will help to reduce their emotional labor and promote their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objectives of the study, its findings are expected to generate such effects as resolving the emotional labor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and promoting their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us serving to facilitate positive emotions as institutions through mental heal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ealthy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