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과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 간의 인과분석

        김성훈(Sung-Hoon Kim),신종훈(Jong-Hoon Shi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남·여 고등학교, 대학교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 의지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자기격려-낙담을 외생변인으로 설정하고, 자기관리,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운동지속의지를 내생변인으로 이론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남․여 고등학교, 대학교 농구선수들을 전수조사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총 450부의 표본을 수집하여 387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자기격려-낙담 척도, ASMQ 자기관리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EAQ 운동지속의지 척도를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Cronbach"s a 검사, t-test, 일원변량분산분석과 Scheffe의 사후검증, 상관분석, 중회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농구선수들의 성별, 소속별, 경력별, 팀 역할별, 시작동기별 자기격려-낙담,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 변인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격려와 자기낙담, 자기낙담과 대인관리, 훈련관리, 몸관리,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간에는 부적(-)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외의 모든 변수들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격려는 대인관리, 훈련관리, 긍정적 자아존중감 요인은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낙담은 대인관리, 훈련관리, 몸관리,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훈련 관리는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몸관리는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운동선수들의 경험이 높을수록 운동지속의지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a causal relationship among male · female high school, college basketball players’ self encouragement discouragement, self management, self esteem and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As for the subjects of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targeting male․female high school, college basketball players throughout the nation and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collected total 450 questionnaires through self-report method and used 387 sheets for final analysis. This study obtained following conclusions. First, variables of self-encouragement-discouragement, self-management, self-esteem,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differed significantly by basketball players’ gender, team they are belonging, career, one’s role in team, motive of start.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self-encouragement and self-discouragement, self-dis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body management, positive self-esteem, negative self-esteem and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are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and a positive(+) among all other variables. Third, selfencouragement affects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and positive self-esteem exerts an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and self-discouragement turned out to have an impact on interpersonal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body management and negative self-esteem. And training management affects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and body management was revealed to have an impact on negative self-esteem. Lastly, negative self-esteem turned out to have an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

        박은희 ( Eun Hee Park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5 패션 비즈니스 Vol.19 No.4

        본 연구는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유형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런 결과를 통해 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하고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친구스트레스, 시험스트레스, 경제스트레스, 가족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요인을 집단별로 분류한 결과, 사회관련 스트레스 중간집단(26.4%), 시험관련 스트레스 고집단(30.3%),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43.3%)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자아의식의 하위요인은 공적자아의식, 대인불안, 사적자아의식으로 나타났고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은 미용성형, 의복조화, 체중관리, 헤어관리, 건강관리, 피부관리, 식사관리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청소년들은 시험에 대한 부담감으로 스트레스가 높았고 그 다음이 친구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았다. 이때 원만한 친구관계의 형성이 사회성 발 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학교 안과 밖에서 관심을 가지고 이들을 이해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자아의식의 하위요인 및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에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여자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자아의식 중 공적자아의식, 대인불안, 사적자아의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이 사회관련 스트레스 중간집단보다 공적자아의식에서 높았고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이 시험관련 스트레스 고집단보다 대인불안에서 높았다. 또한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중미용성형, 의복조화, 체중관리, 헤어관리에서 유의한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이 사회관련 스트레스 중간집단보다 미용성형, 의복조화, 체중관리에서 높았다. 또한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이 시험관련 스트레스 고집단보다 헤어관리에서 높았다. 다섯째, 여중생과 여고생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의식 및 외모관리행동에서 차이를 보였다. 여중생은 친구스트레스, 공적자아의식, 의복조화, 헤어관리, 피부관리에서 여고생보다 높았고 여고생은 수업스트레스, 미용성형, 체중관리에서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여자청소년의 일상생활 속에서 느껴지는 스트레스의 차원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가 친구스트레스, 시험스트레스, 경제스트레스, 가족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라는 차원을 분석을 통해 도출함으로써 선행연구들과 비교 분석 할 수 있었다. 여자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 자신에 대한 관심의 방향이 내부로 향하는지 외부로 향하는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외모 관리행동과도 차이를 나타낸 것을 입증하였다. 인간은 살아가는데 적절한 스트레스를 가지고 그 스트레스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조금씩 감소하고 또 다른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가지게 되어 연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감소됨으로 인해 만족감을 느낄 수 있지만 스트레스가 연속적으로 되면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그러므로 청소년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파악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여자청소년들은 시험에 대한 부담감으로 스트레스가 높았고 그 다음이 친구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았다. 학교에서는 방과 후 수업으로 친구와 협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친구와 잘 지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즉 학교생활은 사회의 기초적 역할을 하는 작은 영역으로 미래 사회생활을 하는데 중요한 밑바탕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근거로 하여 학교에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청소년들을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예를 들면, 친구 생각하고 이야기 들어주기, 친구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기, 친구와 나눌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생각하고 실천하기, 선생님이나 부모님께서는 나에게 왜 이런 행동을 하도록 할까, 왜 학교에서는 우리를 규칙에 맞게 지내도록 할까 등을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자신의 존재적 가치를 느끼고 자신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을 일깨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로 인해 이들은 자아정체감이 발달되고 사회 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인지하게 되므로 학습에 대한 필요성, 진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매스컴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성형미인이 아름답다고 청소년들은 인지하고 있다. 인간의 외모는 모두 다르므로 자신의 개성을 살린 좋은 이미지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아름다움의 의미를 다양한 측면에서 볼 수 있도록 하고 외모는 가꾸고 관리함으로써 더욱 멋진 모습으로 변해진다는 것을 인지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다르므로 외모관리행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개인이 모여 사회를 이루므로 주변을 의식한다는 것은 자신을 의식한다는 것이다. 자신 안에 타인이 바라보는 나가 존재하므로 주변상황에 적절한 나를 만들기 위해 겉모습에 관심을 가지고 주변과 어울릴 수 있는 행동을 하게 된다. 이때 여자청소년의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게 되는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이 다름을 본 연구에서 밝힌 것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여자청소년으로 한정하여 실증조사를 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전체 청소년으로 확대 해석함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추후연구에서는 남자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여 스트레스 유형을 분류한 후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변인과 관련하여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tress into groups and analyze their differences in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77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living in Deagu metropolitan Cit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t-test, and t-test are all used for data analysis. Our findings show that stress developed due to several reasons: the categories are as follows into grades-related low stress, exam-related high stress, and society-related high stress. For the purposes of our study, we labeled self-consciousness as a combination of being socially and privately self-consciousness and showing signs of social anxiet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eals with esthetic plastic surgery, clothing harmony, weight management, hair management, health care, skin care, and meal management. Stress show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ub-variable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group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tress,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y grade. The students in seemed to recognize that their appearance can be improved by dressing up and managing their outwardly appearance. Teachers should educate students to have the variety of views on the meaning of beauty. In addition, schools need to develop programs to educate student about appearances, as the student’s interests differ due to the stress type of the adolescent.

      • KCI등재

        외모관리행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혜경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4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8 No.2

        현대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고, 사회구성원들은 외모를 가치나 평가의 척도로 활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차별 문제를 발생시키고, 이는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 더 나아가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와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이 매개작용을 하는가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총 498부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외모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 그리고 삶의 질 변수 간의 직접 효과를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외모만족도는 자아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쳐 외모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자아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아효능감은 삶의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쳐 자아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모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는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이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의 향상을 통해서 자아효능감이 높아지고 이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통해 외모관리행동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아효능감이 높아져야만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아효능감은 외모관리행동과 직접 영향관계가 있으므로, 일반 성인 여성들이 쉽고 간단하게 적용 가능한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이 구성되어야 하며, 자아효능감과 관련된 변수들에 대한 대처를 통해 자아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도록 각종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한다. In contemporary society, the appearance-oriented view (lookism)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social issue. Members of society, by utilizing physical appearance as a criterion for value and assessment, are instigating additional discrimination problems. This phenomenon impac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further extending its influence to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primari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nd proposes measures for enhancing women’s quality of life. The study analyzed survey data from 498 adult women resid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Results of analyzing the direct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revealed tha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exerts a positive (+) and significant impa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dditionally, an increase in appearance satisfaction was found to positively (+) influence self-efficacy. Moreover, a rise in self-efficac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 affects quality of life.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neith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nor appearance satisfaction directly impacts quality of life. The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revealed that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enhancing appearance satisfaction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leads to increased self-efficacy, which subsequently impacts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suggest that an elevation in self-efficacy is essential fo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o enhance quality of life. Since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t is imperative to develop variou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at are easily applicable for adult women and to devise strategies to increase self-efficacy by addressing related variables.

      • KCI등재

        생활체육 지도자의 멘토링 기능이 참여자들의 자기관리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석혁기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생활체육 지도자의 멘토링 기능이 자기관리 및 자아실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으며, 2019년 현재 강원도 영동권(강릉, 속초, 동해, 삼척)에 거주하며 각 대학 평생교육원, 지역 문화센터, 주민자치센터에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을 모집단으로 추출하였다. 첫째, 생활체육 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자기관리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경력개발은 정신관리에 심리・사회적은 훈련관리에 역할기능은 대인관리과 몸관리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자아실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경력개발은 인간성, 자발성, 자아실현 성에 심리・사회적은 인간성, 자기수용성, 자아실현성에 역할기능은 인간성, 포용성, 자아실현성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자기관리 및 자아실현의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보아 알 수 있듯이 생활체육 지도자의 멘토링 기능이 참여자들의 자기관리와 자아실현과는 밀접 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생활체육 지도자의 멘토링 기능은 생활체육의 참여자들로 하여금 긍정적이고 적극정인 자기관리를 통하여 생활체육에 지속적인 참여로 인해 자아실현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e mentoring function of life sports instructor on self-management and self realization and to live in youngdong - kwon (gangneung, sokcho, donghae, samcheok) in the self - governing center, subjects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were extracted as a populatio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self - management of sports instructor, it was found that career develop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and social training management and role fun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body manage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self - actualization of life sports instructor, career development has a tendency to humanity, spontaneity, self - realization, psychological, social, humanity, self - acceptance, self -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rd,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self - management, and self - realization of sports instructors.

      • KCI등재

        골프전공자의 자외선 유해성 인식 및 피부건강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선민,조상우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6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kin & health care behavior of golf majors affect their self-esteem through understanding the effect of UV on skin. Methods: A survey targeting 400 golf majors of Seoul and Chungcheongbuk-do was conducted to evaluate awareness of sunscreen and the effect of skin & health care behavior on self-esteem according to each athlete group. 344 surveys were analyzed and 56 improper responses were excluded.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including students majoring in golf, amateur players, and professional players,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kin & health care behavio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ed in each group in almost all features related with skin & health care behavior. Second, concerning hazard awareness of UV and awareness of sunscreen, distinct features were found out in each group: awareness on harmfulness of UV and skin problems such as pigmentation·freckle·age spot (p<.05); blackening phenomena·skin cancer·xeroderma (p<.01); and sunburn·red spot·blister·spot·burn (p<.001). Finally, questionnaires on skin & health care behavior were decomposed into self-management behaviors of skin, cosmetics selection & use, and lifestyl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 health care behavior and self-esteem in each group. Conclusion: As a result, cosmetics selection & use, and lifestyl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in golf students group (p<.05). Moreover, lifestyl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in professional players group (p<.05).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kin care behavior in daily lives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골프전공자들의 피부건강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서울특별시 및 충청북도 소재 골프전공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자외선차단에 대한 실태와 더불어 골프전공학생과선 수 군에 따라 피부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56명을 제외한 344명의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6월 1일부터 8월 20일까지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를 골프전공학생, 아마추어선수, 프로선수로 나누어 일반적 특성 및 피부건강관리행동을 분석하였다. 각 집단별 피부건강관리행동과 관련된 거의 모든 항목에서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각 집단별 자외선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자외선 차단제의 인지도를 알아본 결과, 골프전공학생과 아마추어선수집단, 프로선수집단간 자외선 유해성 및 색소침착·기미·주근깨·검버섯 등의 피부문제 유발(p<.05), 그을림 현상과 피부암 발생,피 부건조증 발생(p<.01), 자외선에 의한 일광화상·홍반·수포·반점·화끈거림 등(p<.001)에 대해서도 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의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 간 상관관계를 분석을 위해 피부건강관리행동 문항을 피부자기관리형태, 화장품 선택 및 사용, 생활습관으로 요인분류하여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골프전공학생 집단에서 화장품 선택 및사용, 생활습관이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5). 또한 프로선수 집단에서도 생활습관이 자아존중감 간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p<.05) 생활 속 피부건강관리행동 실천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골프전공학생 및 골프선수집단이 피부건강을 지키면서 꾸준히 훈련하고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피부건강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해 제안하는 바이다. 또한 골프전공자들의 각 집단별 자외선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를 토대로 자외선차단제의 사용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피부건강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각 집단별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여성의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오영진(YoungJin Oh),윤천성(ChunSung Youn) 한국뷰티산업학회 2006 뷰티산업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한국 여성의 외모관리행동, 즉 체중조절에 대한 관리행동, 미적외모에 대한 관리행동은 어떠한가와 자아존중감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문제 1의 한국여성의 체중조절에 대한 관리행동은 어떠한가에 있어서 항상 비만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가, 음식을 먹을 때 자주 칼로리를 신경 쓰게 되는가, 체중 조절을 위해 다이어트 식품을 구입할 의사가 있는가, 절식 혹은 단식 등으로 체중감소를 시도한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나이, 교육정도, 직업, 키, 몸무게의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한국 여성의 미적 외모에 대한 관리행동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있어서 거울을 보며 외모를 살피는가, 보다 나은 외모를 위해 성형수술을 고려하겠는가, 피부 관리 센터를 다닌 경험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3인 여성의 전체적인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존재하는가, 어 떤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결국 비만을 우려하고 칼로리에 신경을 쓰며, 체중조절을 위해 다이어트 식품을 구입할 의사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체중감소를 시도하고 몸매를 가꾸기 위해 매일 운동을 한다거나 외모에 민감하여 거울을 보며 모습을 살피고, 옷차림이나 머리모양에 신경을 쓰며, 피부 관리 센터를 다니고 외모 때문에 성형수술을 고려하기도 하는 등 의식 적인 행동 등은 전체적으로 자아존중감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marketing activities of cosmetics industry that are geared toward skin care management, and academic research on beauty studies by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steem of Korean women. This study specifically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are their behavioral pattern on weight control? 2. How do Korean women manage their physical appearance?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all appearance management and self-esteem of korean women? The statistical outcomes in relation to the behavioral pattern for Korean women s weight control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five variables that include age, education, profession, height and weight, they were very concerned about obesity and that they were willing to buy dietary foods for weight control and it showed the high level of interest in weight control as they have previously attempted to cut back on food consumption or skip meal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behavioral pattern of appearance management showed that most of the Korean women were sensitive in response to their appearance. lastly, the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omen s behavioral pattern of appearance management and their self-esteem indicated the differences were meaningful. based on this outcome, we can conclude that weight control and physical appearance have impact on the interaction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and self-esteem

      • 남성의 피부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민지(Min Ji Kim),김진숙(Jin Sook Kim),김정숙(Jung Sook Kim) 한국뷰티산업학회 2017 뷰티산업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직장인 남성의 피부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파악하여, 남성 피부시장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지역에 거주하는 직장인 남성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남성의 피부관리행동은 ‘관리상식’, ‘관리행동’, 관리방법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유능감’, ‘소속감’, 가치감 , 만족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부관리행동의 하위요인별 관리상식, 관리행동, 관리방법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별 소속감, 유능감, 가치감, 만족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직장인 남성들의 피부관리의 상식과 정보를 통해 인지하고 행동할수록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스로 하는 피부 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일깨워 보다 다양하고 기능적인 남성 화장품의 개발을 통하여 손쉽게 구해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피부지식이나 관리법을 교육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by figur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care behavior and self-esteem of male employees, and provide them with basic data to affect the revitalization of the men s skin care market.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339 male employees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or skin care behavior, ‘Management Common Sens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anagement Behavior’, and ‘Management Method.’ For self-esteem of male employees, ‘Efficac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Belongingness’, ‘Worth’, and ‘Satisfaction.’ Second, ‘Management Common Sense’, ‘Management Behavior’ and ‘Management Method’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fficacy’, ‘Belongingness’ and ‘Worth’, and ‘Satisfaction.’ Overall, male employees s perception and behavior of skin care through skin care common sense and information will help them improve their self-esteem. Consequently, the development of more various and functional male cosmetics needs various ways to help them be readily available by awakening them to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elf-skin care, and educate them on skin knowledge or how to care their skin.

      • KCI등재

        소비자 비만관리 행동에 있어 자아개념과 주관적 규범의 영향 및 자기통제감의 조절변수적 영향

        정형식,김영심 한국마케팅학회 2006 ASIA MARKETING JOURNAL Vol.8 No.3

        It is frequently observed that consumers' behavior and performance in their weight control are greatly affected by the degree of self-control by the consumers themselves. In other words, effective weight control behavior is only possible when the consumers invest a substantial amount of endeavors and self-control.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self-image congruence and subjective norm formed by self- concept reflected in weight control behavior on weight control attitude formation, actual behavior, and performance. For more in-depth research, rather than simply showing differences in performance based on self-control, the present study divided the subjects into high and low self-control groups for a comparative purpose.Based on empirical research employing general consumers and those who were engaged in an actual weight loss program at professional weight control centers as subjects,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or both high and low self-control groups, self-image congruence significantly affected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but not the actual weight control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weight control, the actual behavior must be preceded by the attitude. Second, subjective norm directly affected both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and behavior for the low self-control group while it affected the behavior only for the high self-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 that the lower self-control is, the more powerful the effect of referents is. Third, weight control attitude positively affected weight control behavior only for the high self-control * Professor, Division of Business, Chosun University 소비자의 비만관리 행동 및 성과는 소비자 자신의 통제정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관찰된다. 실제 비만관리 성과는 소비자 자신이 상당한 정도의 자기 노력과 통제를 투입해야만 달성된다. 본 연구는 자기통제감에 따른 단순한 성과의 차이만을 보기보다는 자기통제감을 고․저집단으로 분류하여 비만관리 행동상의 자아개념을 통한 자아이미지 일치감 및 주관적 규범이 비만관리의 태도형성과 행동 및 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 과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일반소비자와 실제 전문적인 비만관리 시설에서 비만관리를 하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는 첫째, 자기통제감 고․저집단 모두에서 자아이미지 일치감은 비만관리의 태도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만관리 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자의 비만관리 행동은 태도를 형성하지 않고는 직접적으로 행동을 이끌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자기통제감 저집단에서는 주관적 규범이 비만관리의 태도 및 비만관리 행동에 모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통제감 고집단은 주관적 규범이 비만관리 행동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통제감이 낮을수록 가까운 준거인들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자기통제감 고집단만이 비만관리의 태도가 비만관리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통제감 고․저집단 모두에서 비만관리 행동이 비만관리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자기통제감 고집단이 저집단보다 더 큰 영향력을 나타내 소비자의 비만관리 행동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통제감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자기통제감 저집단은 준거인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외모관리행동 연구

        이진영,위은하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5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general self-concept, academic self-concept, significant others self-concept and emotional-physical self-concept in relation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t goes on to show tha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such as styles in clothing, makeup, skin care, hair care, cosmetic surgery and body shaping, weight control management are strongly influenced by self-concept.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was also done in an effort to find ways of improving the self-concept of students through education as a part of the domestic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On average,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took part in this study showed low self-concept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hich indicates a negative image of themselves. This suggests that efforts need to be made so that students can see themselves in a positive way and improve their self-concept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 positive self-concept try to present themselves by keeping their skin clean and their hair attractive. They express their self-esteem and personality through fashion and by keeping and maintaining their clothing, shoes and bags. They also tend to show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ir studies and are more likely to understand and get along with others. The students who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ir bodies and emotions have a higher interest in clothing and try to express the image that they want for themselves. They are also less likely to change their bodies unnaturally through cosmetic surgery and body shaping. Appropriat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an help middle school students see themselves in a more positive way.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아개념, 즉 일반자아, 학문자아, 중요타인자아, 정의자아개념에 따라 외모관리행동인 의복스타일추구, 화장 및 피부관리, 헤어관리, 성형 및 체형보정, 체중관리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가정이나 학교 등의 생활 지도 현장에서 중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세대 간의 의견차가 보이는 영역이므로, 이 연구를 통해 중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가정교과교육을 통한 자아개념의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인 중학생들은 평균적으로 자아개념이 낮아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외모관리 행동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노력과 함께 외모관리행동을 통한 자아개념의 긍정적 증진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긍정적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중학생들은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나 헤어를 아름답게 손질하고 가꾸는 것 등으로 자신을 나타내려하며, 옷, 신발, 가방을 잘 갖추어 입고 깨끗하게 관리함으로써 스스로의 자존감이나 개성을 표현하려고 하였다. 또한 자신을 인식할 때 공부와 학업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이며, 중요시되는 타인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지각하고, 자신의 신체나 정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중학생들은 의복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자신이 추구하는 이미지를 나타내려는 행동이 높은 반면, 성형이나 체형 등 자신의 신체를 인위적으로 변경시키려는 행동은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외모관리행동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행동통제의 매개효과

        신정원 한복문화학회 2024 韓服文化 Vol.27 No.1

        청소년기는 2차 성징으로 인해 급격한 신체적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로 외모에 대한 관심과 고민이 증가하고, 이러한 신체적 변화는 자아정체감 확립과 연결되어 청소년의 주요 관심 주제가 된다. 현대사회에서는 외모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개인과 사회의 가치관이나 태도에 영향을 주게 되어 개인이나 사회의 미적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서 또는 자신의 정체성이나 가치, 개성 등을 표현하기 위해 외모관리행동을 한다. 특히, 청소년의 외모관리행동의 경우 헤어관리행동은 획일화된 교복의 틀 내에서 자신의 개성을 돋보이게 하는 주요한 표현수단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이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행동통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수도권 지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총 25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SPSS 2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청소년의 개인적 자아존중감은 헤어관리행동의 하위요인 중 헤어편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헤어개성과 헤어심미성 요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개인적 자아존중감이 헤어관리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지각된 행동통제가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행동통제 요인은 헤어관리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헤어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행동통제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개인적 자아존중감이 헤어개성, 헤어모방성, 헤어심미성 요인에 영향을 미칠 때 지각된 행동통제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dolescence is a time of rapid physical change brought on by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leading to heightened interest in and concerns about appearance. These changes are directly linked to self-identity development, making appearance a significant topic of interest for adolescents. Modern societ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shaping the values and attitudes of individuals and society. People engage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o meet individual or societal aesthetic standards and to express their identities, values, and individuality. For adolescents, hair management becomes a particularly significant means of expression, offering a way to assert individuality within the confines of standardized school uniforms.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adolescent hair management behavior, along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 online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conducted, with 250 responses analyzed using SPSS 28.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elf-esteem positively influenced their focus on hair convenience as part of their hair care behavior. Social self-esteem, in particular,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factors related to hair personality and aesthetics. Second, adolescents' self-esteem positively affected their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ver hair care. Thir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ositively influenced all sub-factors of adolescents' hair care behavior in the impact of adolescent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hair care behavior.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rough which adolescents' self-esteem affects hair care behavior,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effec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elf-esteem and the hair-related factors of personality, imitation, and aesth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