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 작업치료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심재훈,차태현,오덕원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3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작업치료사들의 임파워먼트, 직무특성, 직무몰입 그리고 직무만족의 특성과 상호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경력 1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4개의 부분으로 총 6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문항, 임파워먼트 12문항, 직무만족 20문항, 조직몰입 15문항)를 이용하여 수집된 임상 작업치료사의 특성별 임파워먼트의 차이, 그리고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59.24였고 임파워먼트 요소로서는 의미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차이는 성별, 교육수준, 근무형태, 총 근무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은 임파워먼트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임상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가 증가할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 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관계되며, 이는 일부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치료사의 직무 관련 스트레스와 만족도 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 향상 전략을 연구하는데 있어서의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교정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교정공무원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학범,오세연 한국치안행정학회 201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9 No.1

        최근 교정 조직은 다양한 교정 처우에 대한 요구 증가, 교정시설의 민영화, 청소년 범죄의 급증 등 다양한 대내·대외적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교정조직 구성원의 질적 수준 향상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교정조직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의 하나로 학계에서는 임파워먼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정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 교정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리더십의 효율적 방안을 제시하고자하였다. 리더십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리더십 유형을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으로 분류한 후, 이 두 가지 유형의 리더십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거래적 리더십 유형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거래적 리더십의 하위척도 중 조건적 보상은 임파워워먼트의 모든 변수에 유의미한 것으로 조건적 보상이 증가할수록 의미성, 능력, 자기결정력, 영향력의 임파워먼트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거래적 리더십의 하위척도 중 예외적 관리는 임파워워먼트의 하위척도 중 능력에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 유형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척도 중 카리스마는 의미성 임파워먼트에, 개별적 배려는 영향력 임파워먼트에 각각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 유형에 따른 임파워먼트의 분석 결과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모두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증가할수록 임파워먼트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 correctional organization has fac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nges ; increasing desires of various correctional treatment, privatization of correctional equipment and growing juvenile crime. So social asks for the quality-improvement of the correctional organization officer have been increasing and various ways for the effective correctional organization have been focused. In connection with this situation, the academic world has been interested in the empowerment to manage organization effectiv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he leadership of the correctional manager effect on empowerment. Consequently this study will offer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correctional empowerment. This study divides the leadership into the transformational and the transactional and proves the effects of these two types of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 We can show that first of all, the outcome which analyzed the influence of leadership types to empowerment showed that Contingent Reward type of Transactional Leadership's subscale is relevant to all variables of empowerment. And as Transactional Leadership increases, significance, ability, self-determination and influence of empowerment also rise. Second, the result which analyzed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ype to empowerment showed that charisma of Transactional Leadership's subscale is relevant to significant empowerment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to influence empowerment. Third, the analysis result of empowerment according to Leadership type showed that both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relevant as a variable having the influence to empowerment. And as them increase, empowerment is also increasing, especial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the bigger influence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to empowerment.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에서 임파워먼트 (Empowerment) 접근의 현황 및 과제

        양옥경,최명민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6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 No.2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계에서 임파워먼트접근이 어떻게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지 그 현황을 파악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임파워먼트와 임파워먼트 접근에 대한 국내&#8228;외 연구들을 고찰해 본 결과, 국내에서 임파워먼트에 대한 이념과 실천의 괴리, 실천의 제한성, 개입내용과 평가도구의 불일치 등의 문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과 그 현황을 좀 더 깊이 있게 탐색하기 위하여, 임파워먼트를 적용하고 있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조사, 임파워먼트모델 적용 사례분석, 그리고 임파워먼트 접근을 수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대상의 서면인터뷰 등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실제로 한국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임파워먼트는 미시차원에만 머물러 있으며, 임파워먼트를 단편적으로만 이해하거나 그 본질을 놓치고 있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구체적 실천으로 적용하기에는 모호하고 어려운 접근으로 인식되어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 임파워먼트접근의 현주소는 도전과 시행착오를 통해 적응해 가는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임파워먼트접근의 토착화를 위해 교육, 연구, 실천의 현장에서 임파워먼트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다각적인 접근 및 상호 교류가 요구된다.

      • KCI등재

        종합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용민 ( Kim Yong-m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분야에서 개인요인, 직무요인, 조직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준다고 제시한 변수들을 통제하여 임파워먼트가 개인요인·직무요인·조직요인과 직무만족사이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매개변수인 임파워먼트를 검증한 후 직무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임파워먼트 강화방안에 대하여 함께 제시하고 있다. 본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를 하였다. 문헌고찰은 크게 임파워먼트의 개념, 구성요소, 모델과 더불어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중점적으로 문헌고찰을 하였다. 둘째, 실증조사를 하였다. 개인요인, 직무요인, 조직요인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요인, 직무요인, 조직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임파워먼트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 직무요인, 조직요인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요인, 직무요인, 조직요인 각각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요인, 직무요인, 조직요인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요인은 개인임파워먼트, 관계임파워먼트, 환경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요인은 개인임파워먼트, 관계임파워먼트, 환경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요인은 개인임파워먼트, 관계임파워먼트, 환경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임파워먼트와 관계임파워먼트는 개인요인·직무요인·조직요인과 직무만족사이에 부분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임파워먼트는 개인요인·직무요인·조직요인과 직무만족사이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looks into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empowerment. By controlling the variables such as individual factors, job performance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we are going to figure out if they have an effect on empowerment (individual empowerment, relationship empowerment, environmental empowerment). We will also find out that the empowerment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these factors and work satisfaction. This study will then present ways of strengthening empowerment to promote work satisfaction. The research is composed of literature survey and demonstration. In the case of demonstration, the mediating effect is verified through regress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is presented that the factors - individual,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 have an effect on work satisfaction. Second, individual factors, job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are found to influence empowerment (individual empowerment, relationship empowerment, environmental empowerment). Third, empowerment - individual empowerment, relationship empowerment and environmental empowerment - affects work satisfaction. Fourth, empowerment (individual empowerment and relationship empowerment)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actors (individual factors, job performance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and work satisfaction. However, environmental empowerment does not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m.

      • KCI등재후보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과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나기현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0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2 No.4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at the impact of the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rning effect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work situation and contribute to grope for making a rational and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perceived organizational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rning effect. 2. As the correlation analysis, 1)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powerment(psychological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in students. 2)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effects and empowerment(psychological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in students. 3. As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p<.05) was found that two predictors -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empowerment - with the criterion variabl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rning effects. The influence of the two predictor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explained as 73%(r2) like to learning effects as 74%(r2). 본 연구는 임파워먼트를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의 임파워먼트로 구분하여 조직몰입과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조직의 효과성과 조직에 대한 충성심 제고 등을 위한 조직관리전략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실증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제외한 조직의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그리고 학습결과의 평균에 있어서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및 학습결과간의 상관관계가 조직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및 학습결과간의 상관관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셋째, 조직몰입과 학습결과에 있어서 분산의 대부분은 독립변수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의 임파워먼트에 의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조직몰입이나 학습결과의 분산의 양에 있어서 모든 경우,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직의 임파워먼트보다 상대적으로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대학경영자가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내구성원들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원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높이는 방안이 선행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학내구성원들의 이탈율을 감소시키고 재학생의 등록률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내구성원들이 조직의 임파워먼트를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직의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개발 및 개선 그리고 설치가 요구된다.

      • KCI등재

        교사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동향과 전망 및 과제

        김민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최근의 교사 임파워먼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전망과 과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연구 동향의 고찰 관점은 연구 시기와 주제 및 각 연구에서 채택된 주요 변인들, 그리고 연구결과이다. 이 과정에서 외국 연구물을 먼저 살펴보고, 국내 연구를 검토하였다.교사 임파워먼트 연구는 주로 그 개념과 구성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그리고 이에 따른 결과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주요 검토 대상들은 학교장 리더십과 교사 임파워먼트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의사결정 참여와 교사 임파워먼트, 교사 헌신과 임파워먼트, 그리고 교사 임파워먼트와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교문화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임파워먼트가 교사 행동 연구의 새로운 관점이자 전략적 목표가 될 수 있지만, 우리나라에서의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교사 임파워먼트 연구 저변이 외국에 비해 미약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안하였다.일천한 우리나라의 교사 임파워먼트 연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학회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 임파워먼트 관련 요인을 설정을 다변화 하여야 할 것이며, 학교 환경요인도 심각하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연구 접근도 양적 위주에서 질적 접근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연구 결과의 활용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교사 임파워먼트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연수 프로그램의 운영이 절실하다.

      • KCI등재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형성에 초점을 둔 ‘청소년의 이해’ 단원의 교육내용 선정 및구성: 한・미 가정과 교과서 비교를 중심으로

        서민지,이수희,손상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xt and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and American 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building adolescent empowerment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the textbook. An in-depth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Korean and American home economics textbooks. We analyzed the text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 on three levels of empowerment: Micro, Meso, and Macro.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Korean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levels of empowerment were off-balance (Individual Empowerment: 55%, Group E: 37%, Organizational E: 8%). The educational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were described at the Meso-level. In the case of the American textbooks, the result show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E(43%), GE(40%), and OE(17%) were relatively balanced. Therefor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American textbooks were described at the Macro-level. Second, the learning activities in the Korean textbooks put a greater weight on IE at 66%, followed by GE at 25%, but OE at 9% only.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textbooks were presented at the Meso-level, but that the three levels of empowerment were significantly off-balance. In the case of the American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comparatively well balanced at IE(36%), GE(40%) and OE(23%). Therefore, learning activities in the American textbooks were presented at the Macro-level.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of self as an adolescent' unit, to build adolescent empowerment at the Macro-level.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형성 관점에서 한・미 가정과 교과서의 서술과 활동과제를 검토하고, ‘청소년의 이해’ 단원의 대안적틀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미 가정과 교과서 ‘청소년의 이해’ 관련 단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연구내용은, 임파워먼트 형성을 위한 세 가지 관점-Micro 관점, Meso 관점, Macro 관점에서, 교육내용이 어떤 관점에서 서술되고있는지 그리고 활동과제가 어떤 관점에서 제시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교육내용 서술을 검토한 결과 한국 교과서의 경우, 임파워먼트 형성과 관련한 전체 교육내용 중 개인 임파워먼트범위의 교육내용이 가장 많이 서술되고 있었으며(55%), 다음으로 집단 임파워먼트 범위의 교육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었다(37%). 그리고 조직 임파워먼트 범위의 교육내용이 가장 적은 비중인 8%를 차지했다. 이를 통해 한국 교과서는 임파워먼트 세 범위의 서술 비중이 균형을 잃고 있으며, 교육내용은 Meso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미국 교과서의 경우, 개인 임파워먼트 범위43%, 집단 임파워먼트 범위 40% 그리고 조직 임파워먼트 범위 17%로, 교육내용이 상대적으로 균형을 이루어 서술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미국 교과서는 다소 미흡하지만 교육내용이 Macro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교과서의 활동과제를 검토한 결과 한국 교과서의 경우, 임파워먼트 형성과 관련한 전체 활동과제 중 개인 임파워먼트 범위의활동과제가 가장 많이 제시되고 있었으며(66%), 다음으로 집단 임파워먼트 범위의 활동과제가 다루어지고 있었다(25%). 그리고 조직임파워먼트 범위의 활동과제가 가장 적은 비중인 9%를 차지했다. 이를 통해 한국 교과서는 임파워먼트 세 범위의 활동과제 비중이심각하게 균형을 잃고 있으며, 활동과제가 Meso 관점에서 제시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미국 교과서의 경우, 개인 임파워먼트범위 37%, 집단 임파워먼트 범위 40% 그리고 조직 임파워먼트 범위 23%로, 활동과제가 비교적 균형을 잘 이루어 제시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미국 교과서의 활동과제는 Macro 관점에서 제시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Macro 관점에서 임파워먼트를 형성할 수 있는 ‘청소년의 이해’ 단원의 대안적 틀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on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ok-hyang Lee(이숙향),Kyung-hwa Lee(이경화)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on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ascertain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4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sim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on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level of empowerment was divided between upper and lower groups with a standard deviation (SD) according to the mean (M),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afterwards.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was found to affect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 the difference of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higher when the level of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 .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it is expected that childcare, quality education services and the internal motiv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be enhanced through the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에 따라서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0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사효능감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임파워먼트 수준을 평균(M)을 기준으로 표준편차(SD)의 범위로 상, 하 집단으로 분류한 뒤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볼 때 유의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의 차이를 보면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이 상일 때 교사효능감 및 조직몰입이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보육교사가 임파워먼트를 가지게 된다면, 이로 인해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도 영향력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보육교사들과 원장들에게 임파워먼트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 임파워먼트에 대해 잘 인식을 못하고 있으며 임파워먼트가 주어지지 않는 점에 대하여 재조명하고,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로 인하여 어린이집의 보육, 교육의 질적 서비스가 높아지고 보육교사의 내적동기를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감각장애학교 교사의 임파워먼트 특성 비교

        정진자,왕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0 시각장애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eacher empowerment of sensory disorder(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disorder) school in Korea and China.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9 teacher of sensory disorder school special of Korea and 92 teacher of sensory disorder school special of China.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eacher empowerment scal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First, from a comparison about an empowerment of sensory disorder school teachers of Korea and China, the level of the whole teacher empowerment was relatively high. The teacher of Korean and Chinese showed high recognition about self-efficacy of a subordinate realm. Second, from the difference by a disorder realm, the visual impairment teacher of Korea and Chinese showed high recognition whole teacher empowerment than hearing disorder teacher. Chinese teachers are high recognition whole teacher empowerment in visual impairment and Korean teachers are high recognition whole teacher empowerment in a hearing disorder. Third, from a whole empowerment of the difference by a sex, female teachers perceived higher whole teacher empowerment than male teachers. Chinese teachers are higher than Korean teachers in a self-efficacy for maleㆍfemale teachers all from a self-efficacy of a subordinate realm of an empowerment and female teachers perceived higher self-efficacy than male teachers. Forth, from the difference by an age, the teacher of Korean showed high recognition about whole empowerment as high and Chinese teachers are higher in order 20’s, 40’s, 50’s, 30’s. In a subordinate realm of an empowerment, teachers of all ages were higher in self-efficacy. In the specialty, Chinese teachers are higher than Korean teachers in all ages from a self-efficacy of a subordinate realm of an empowerment. Fifth, in according to special education career, there is no difference in a whole empowerment but Korean teachers are higher in order more than 25s, under 11-16s, 6-10s, 16-25s, 5s and Chinese teachers are higher in order under 5s, 16-25s, 6-10s, 11-16s, more than 25s. In a subordinate realm of an empowerment, teachers of all career were higher in order self-efficacy, autonomy, decision making. Based on the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First, as this study is the study conducted targeting sensory disorder school teachers of Korea and China, there are limitations conducted targeting School Teachers of Jeonbuk and Kwangju in Korea. Thus, a study targeting national sensory disorder school teachers in the future should be conducted. Second, the study to observe a teacher empowerment of sensory disorder school teachers and other disorder type teachers must become accomplished.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감각장애학교 교사의 임파워먼트 특성을 살펴보고 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국의 감각장애학교 교사 총 109명과 중국의 감각장애학교 교사 총 92명을 대상으로 교사 임파워먼트 질문지를 통해 얻어낸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 교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모두 높으며, 임파워먼트의 하위 영역에서 한국과 중국의 교사 모두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다. 둘째, 장애영역에 따른 교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에서 한국과 중국 모두 시각장애학교 교사가 청각장애학교 교사에 비해 임파워먼트가 높고, 시각장애는 중국의 교사가, 청각장애 교사는 한국의 교사가 높다. 셋째, 성별에 따른 교사 임파워먼트에서 남자 교사에 비해 여자 교사의 임파워먼트가 높았다. 넷째, 연령에 따른 교사 임파워먼트에서 한국의 교사는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임파워먼트가 높았고, 중국의 교사는 20대가 임파워먼트가 높았다. 다섯째, 특수교육 경력에 따른 교사 임파워먼트에서 한국의 교사는 25년 이상이, 중국의 교사는 5년 미만의 교사 임파워먼트가 높았다.

      • KCI등재

        LMX, 과업성과, 적응성과에 대한 심리적·구조적 임파워먼트 효과

        원희정(Won, Heejung),박경옥(Park, Kyungok) 한국비서학회 201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여성이 지각하는 조직 내 임파워먼트 수준과 임파워먼트 유형별 상사와 부하 간 관계 및 직무성과에 대한 영향력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실효성 있는 여성인력활용에 기여하고자, 조직내 파워와 임파워먼트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여겨지는 여성 비서직근로자와 여성 사무직근로자 248명을 대상으로 상사부하교환관계(LMX), 과업성과, 적응성과에 대한 심리적·구조적 임파워먼트의 영향력 차이를 비교·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 내 여성 사무직근로자와 여성 비서직근로자의 심리적·구조적 임파워먼트 지각수준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으며, 두 임파워먼트 유형 모두 여성 사무직근로자의 지각수준이 여성 비서직근로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상사와의 교환관계(LMX)에 대한 심리적·구조적 임파워먼트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구조적 임파워먼트는 여성 사무직근로자에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여성비서직근로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업성과와 적응성과에 대해서는 두 직군 모두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조직 내 같은 여성근로자라도 직군에 따라 심리적·구조적 임파워먼트 지각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각 직군에 따라 조직 내 관계 및 성과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영향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조직 내 여성인력의 임파워먼트 지각과 활용에 대한 실증적 정보를 제공하고 여성인력 활용방안 마련에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ares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tructural empowerment on leader-member exchange (LMX), task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within two female employee groups consisting of general office workers as well as administrative secretaries considered to have more accessibility on power and empowerment in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248 participants demonstr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tructural empowerment between the two female workgroups. Additionally, the general office workgroup perceived greater empowerment than the administrative secretarial workgroup. Structural empowerment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LMX for female office workers, while psychological empowerment significantly affected task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of both general office workers and administrative secretaries. The study finds differences in perceived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empowerment for female workers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s, which results in differences in effects of empowermen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female workforce’s perception of empowerment and its effects on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