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동적 조직문화가 유치원교사의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일 가치감의 매개효과 및 공감의 조절효과

        이미나 ( Mi Na Lee ),김민정 ( Min Jeong Kim ),정미라 ( Mi Ra Ch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2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경력몰입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협동적 조직문화와 일 가치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협동적 조직문화와 일 가치감의 관계에서 공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0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Baron과 Kenny의 인과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협동적 조직문화, 일 가치감, 경력몰입 간에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다. 공감은 하위변인 중 관점취하기와 개인적 고통에서만 각 변인 간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협동적 조직문화와 경력몰입의 관계에 있어 일 가치감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협동적 조직문화가 일 가치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공감(관점취하기)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culture on career commitment, with a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work values and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Three hundred one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survey data was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collaborative culture, work values, and career commitment. As for empathy, perspective-taking and personal distress were the only variables tha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ly, the mediation effect of work values in relation to collaborative culture and career commitment was verified. Thirdly, empathy(perspective-tak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culture and work valu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재취업 베이비부머의 진로자본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 일 가치감의 조절효과

        이명하(Lee Myungha),김고은(Kim Goeun)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4

        이 연구는 재취업 베이비부머의 진로자본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일 가치감에 대한 인식이 이를 조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퇴직후 재취업한 1차 베이비부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그 영향력과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재취업한 베이비부머의 직무착근도는 3.58점(5점 만점)이었고, 진로자본은 재취업한 직장의 직무착근도를 높였다. 또한 베이비부머가 인식하는 일 가치감은 진로자본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였다. 즉, 이전 직장으로부터 축적된 진로자본이 부족하더라도 새로운 일에서 인식하는 일 가치감이 높으면 재취업한 직장에서의 직무착근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 가치감을 중심으로 베이비부머들이 재취업한 직장에서 오랜 시간 잔류하며 고용을 유지할 수 있는 실천적인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capital of re-employed baby boomers on job embeddedness, and to determine whether perceived value of work controls thi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baby boomers who re-employed after retiring from a major job in Seoul, and the impact and moderating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job embeddedness of re-employed baby boomers was 3.58 points, and career capital increased the job embeddedness of re-employed workplaces. In addition, the perceived value of work by baby boomers adjusted the influence of career capital on job embeddedness. In other words, even if there is little career capital accumulated in the previous job, if the perceived value of work by the new job is high,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job embeddedness in the re-employed job.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baby boomers to stay for a long time in re-employment and maintain employment focusing on perceived value of work.

      • KCI등재

        20대 청년층의 이직의도유무에 따른 일가치감 비교와 이직의도의 영향요인 분석

        이지은,한애리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3 직업과 자격 연구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경기침체에 따른 좋은 일자리 부족 현상으로 인해 취업 당시부터 이직의도를 가질 수 밖에 없는 현재 청년층의 일에 대한 정서적 상태를 확인하고, 이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일가치감(perceived value of work)은 자신의 일이 가치 있고 조직 내 자신이 필요하다는 인지적인 평가와 긍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포함한 일에 대한 경험적 심리 상태를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일에 대한 정서적 상태인 일가치감을 업무의 중요성, 과정의 효율성, 결과의 유용성, 비전의 실현성, 사회적 인정으로 분류하였고, 이직행위 측정의 여러 가지 한계점을 고려하여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활용하고 있는 이직의도(turnover intention) 변수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개편된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YP) 2021의 1차년도 자료의 임금근로자 4,992명을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PSM)을 실시하여, 이직의도가 있는 대상자 261명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 261명을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52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직의도유무에 따른 일가치감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일가치감’의 평균은 이직의도가 있는 집단이 이직의도가 없는 집단에 대비하여 낮은 수준이었으며,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위변인인 업무의 중요성, 과정의 효율성, 결과의 유용성, 비전의 실현성도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반면 사회적 인정은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가치감이 높고, 정규직이며, 월평균 급여가 높을수록 이직의도의 감소할 확률이 있었으며, 여성이고, 나이가 많으며, 근로기간이 길고, 수도권에 거주할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할 확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individuals' perceived value of work on job turnover, which is distinct from social issues such as the company's cost loss or individual career delay. In this study, the perceived value of work is categorized into the importance of tasks, efficiency of processes, usefulness of outcomes, achievability of vision, and social recognition. To measure job turnover intention, considering several limitations in its assessment, the researchers adopted the turnover intention variable commonly utilized in previous studies. To achieve this,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recently revised Youth Panel Survey (YP) 2021, focusing on 4,992 wage work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oup with turnover intentions,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turnover intention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ceived value of work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showed that turnover intention decrease when workers have high perceived value of work, permanent job and high monthly salary. While turnover intention increase when workers are female, older and have a longer working period and live in a metropolitan area.

      • KCI등재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과 일 가치감, 귀인성향, 학교 조직풍토의 관계

        성병환,정철영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3

        이 연구는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의 수준을 구명하고 일 가치감, 귀인성향, 학교 조직풍토와 전문성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며, 기존의 일 가치감, 귀인성향, 학교조직풍토 질문지를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다. 전문교과 교사는 수업 활동 영역과 생활지도 및 학급경영 영역에 대한 전문성이 높았고, 현장실습 지원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영역의 전문성이 낮았다. 성별, 교직경력, 학력, 연수참여 횟수, 직위, 학교의 위치, 계열, 설립유형, 학교규모, 입학성적 등은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천문교과 교사의 학교 조직풍토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의 행동은 헌신적 행동, 친교적 행동, 방관적 행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장의 행동은 목표지향적 행동, 관료지향적 행동, 인간지향적 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들은 교사의 헌신적 행동, 일 가치감, 연수 참여 횟수, 교직경력, 최종학력이었으며, 설명력은 35.8%였다. 특히, 교사 자신의 헌신적 행동과 일 가치감이 전문성에 중요한 요인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vocational teachers' expertise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expertise and perceived value of work, locus of control,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s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a researcher, which measured vocational teachers' expertise and other was improved from a previously used questionnaire of perceived value of work, locus of control,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ocational teachers' expertise in high schools was higher than average, their level of teaching and student guidance abilities was high, but their field practice support and the networks with communities were low. Teachers' sex, career, school career, study and training participation, position, the location of school, the type of vocational high school, the type of establishment, school scale, the entrance score of students was found to impact on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Second, in the light of organizational climates on teachers' behavior, the frequency of devoting activities was higher and that of on-looking activities was lower than average. In the light of organizational climates on the principal's behavior, the frequency of goal oriented activities was higher than average and that of human oriented activities was lower. Third, there were teachers' devoting activities, perceived value of work, study and training participation, teachers' career, school career as variables which influenced vocational teachers' expertise, and the explanation of the variables was 35.8%. Teachers' devotion and their perceived value of work were especially critical factors to their expertise.

      • KCI등재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일가치감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슈퍼비전의 조절효과 분석

        조영림(Younglim Cho),최수찬(Soochan Choi),이지선(Jisun L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1 No.-

        높은 동기적 순수성과 가치지향적 전문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의 일가치감은 이직의도 를 낮춰주는 주요 요인이다. 그러나 사회복지사는 전문성과 역할에 비해 비교적 열악한 조직의 지원으로 이직의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노동환경은 일가치감 또한, 적절하게 보유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를 보완한 대처자원으로 슈퍼비전을 조절변인으로 제시하여 일가치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슈퍼비전의 유용성을 살펴보므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고 일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지속적으로 보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7년 11월 1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조사한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381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프로그램 LoadUp을 활용하여 슈퍼비전 설문의 텍스트마이닝과 워드클라우드를 진행하였고, SPSS v25.0, PROCESS macro v3.2를 통해 기술통계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결과로는 첫째, 사회복지사의 일가치감이 이직의도 에게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슈퍼비전의 기능인 행정적 슈퍼비전, 교육적 슈퍼비전, 지지적 슈퍼비전은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연구모형의 검증 결과 행정적 슈퍼비전과 지지적 슈퍼비전이 일가치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에서 이직의도가 더 낮아질 수 있도록 부(-)적 조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이직의도를 낮추고 적절한 일가치감 보유와 질적 향상을 위한 조직지원 개선방안과 전문적 슈퍼비전을 위한 현장 슈퍼비전 보완방안과 질적 평가방법을 제언하였다. The perceived value of work of social workers who provide highly motivational and value-focused specialized services is a major factor in lowering turnover intentions. However, compared to their expertise and role, social workers are being treated inadequately, and with such environment showing no promise of sufficient perceived value of work, the turnover intentions are escalat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urnover by proposing supervision of social welfare as a resource to supplement. To achieve this, a survey for employees at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n was executed from November 14, 2017 to November 30, 2017. 390 result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Means of analysis included text mining and word cloud of supervision survey using LoadUp, descriptive statistics of key variables using SPSS 25.0, PROCESS macro v3.2,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conclusions deduced are as follows. First, turnover intention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social workers’ higher perceived value of work. Second, turnover intention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higher quality of supervision elements; Administrative supervision, Educational supervision and Supportive supervision. Third, verification of research model showed that out of Administrative supervision, Educational supervision and Supportive supervision, Administrative supervision and Supportive supervision reduced the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caused by perceived value of work. Based on these results I have proposed various means to intervene with social welfare for social workers to utilize in practicing social welfar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 일 가치감 및 대인관계가 간호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오재우,장현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2

        본 연구는 4학년 간호대학생들의 간호리더십, 소명의식, 일가치감, 대인관계능력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리더십 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C시와 D시에 소재하는 간호대학생 4학년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간호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명의식(β=.185 p<.01), 일가치감(β=.580, p<.001), 대인관계능력(β=.108, p<.05)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56.8%였다. 간호리더십 강화를 위해 전문직 지식과 간호술기 뿐만 아니라, 소명의식과 일가치감을 더하여 전문직으로서 지식과 소양을 갖추고 건강을 돌보는데 사회적 책임의식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a program that strengthens nursing leadership capabilities by confirming the degree of nursing leadership, calling, value of work,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4th grade nursing students, and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nursing leadership. This study surveyed 187 nursing students located in C and D cit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leadership were calling (β=.185 p<.01), value of work (β=.580, p<.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108, p<.05), and its explanatory power is 56.8%. In order to strengthen nursing leadership, not only professional knowledge and nursing skills, but also calling and value of work should be added so that they can acquire knowledge and knowledge as a professional and demonstrate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in taking care of their health.

      • KCI등재

        골프연습장 지도자들의 직업의식에 따른 일 가치감 및 직무만족감과의 관계

        김준석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nd supplement the quality of service for leader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alu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golf practice field leaders. Accordingly,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id-to-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and AMOS 22 program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ride in occup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job consciousness of golf practice field lead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value. Second, it was found that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perception, which are sub-factors of job consciousness of golf practice field lead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value-related emotions, which are sub-factors of work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 지도자들의 직업의식에 따라서 일 가치감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지도자들 서비스품질을 높이고 보완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권 소재 골프연습장에서 총 169부의 자료를 SPSS 26.0과 AMO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골프연습장 지도자들의 직업의식의 하위요인 인 전문성 인식, 직업에 대한 긍지가 일 가치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연습장 지도자들의 직업의식의 하위요인 인 자율성과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 가치감의 하위요인인 가치 관련정서는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임상치과위생사들의 일가치감 및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윤희숙 ( Hee Suk Yoon ),김영선 ( Yung Sun Kim ) 한국치위생학회 2007 한국치위생학회지 Vol.7 No.4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state of PVW among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its determinants, has polled 322 clinical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aegu, Kyung buk province, and Ulsan.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A SPSS 12.0 for Window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of PVW among the respondents was 3.43. 2. The area average of PVW determinants was as follows: job significance, 3.31, process efficiency, 3.42, product usefulness, 3.32, vision realizability, 3.53, social recognition, 3.23 and the total average, 3.36. 3. The married have higher PVW than the unmarried in all areas(p=.012, p=.008, p=.036, p=.007). 4. As for working experience, in the case of perceived self value, those having 1-2 years experience have the highest PVW(p=.000), apart from perceived self value, those having over 6 years experience have the highest PVW in all areas(p=.015, p=.001, p=.002). Relating to the task, those working in the patient consulting and managing part have the highest PVW, relating to the annual salary, those having over 25 million won have the highest PVW (p=.000, p=.000, p=.001, p=.000). 5. The relationship between PVW and PVW determinants, in all respects, is meaningful, so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determinants are, the higher PVW is. 6. The whole explanation variate of PVW determinants was meaningful in PVW, perceived self value, value fulfillment emotion, respectively representing 38.8%, 55.6%, 61.5% (pE.001). PVW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should be considered as a significant criterion of indivisu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improve effectually PVW of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there is need to establish culture in a system of hospital that redound to their social recognition.

      • KCI등재

        사회적 기업 구성원들의 일 가치감과 직무몰입에 대한 연구: - 심리적 소유의식과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정동섭 ( Dong-seop Chung ) KNU기업경영연구소 2018 기업경영리뷰 Vol.9 No.4

        In modern organizations, work value, which is a concept related to values and occupational mind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not only in business but also in academic researc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ocial enterprise that pursues both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work value sens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role of the corporation, considering the social value that the work has. In the case of employees of social enterprises,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variables such as psychological ownership and job engagement on actual job commitment is very insufficient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alue and the job commitment of Korean social enterprise employees. This paper also examined whether psychological ownership is positively mediate the above relationship. In addition we address the moderating role and moderated mediation role of job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job commitment. By using a crosssectional data, with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217 Korean social enterprise employees, main hypotheses were tested.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has shown that work valu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job commitment of Korean social enterprise employees. The results has also found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alue and job commitment.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job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mediating role of job engagement was found.

      • KCI등재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 일가치감과의 관계

        김요섭(Yo-Seb Kim),오지원(Ji-Won Oh) 한국보건복지학회 2023 보건과 복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기관 조직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일가치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2019년 전라북도 지역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45개 시설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에 사용한 모든 변수에 유효한 응답을 한 287명을 분석하였다. 최종분석모형에서 투입된 변수 중 집단적 조직문화, 개발적 조직문화, 주관적 경제 상태가 일가치감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복지사의 일가치감은 조직문화가 관계 중심적이고, 가족적인 분위기를 중시하는 집단적 문화일수록, 외부환경에 대한 창의적 대응과 조직발전이 강조되는 개발적 문화일수록 높아지고, 주관적 경제 상태가 좋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라북도 내 사회복지기관에 한정된 한계가 있으나, 사회복지사의 주요한 요소인 일가치감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on social workers perceived value of work, targeting social workers at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senior welfare centers. In 2019, 287 people who gave valid responses to all variables used in the analysis were analyzed using survey data targeting social workers at 45 facilities, including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in Jeollabuk-do. Among the variables input in the final analysis model, collective organizational culture, development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affected the sense of work value. It has been verified that social workers perceived value of work increases as the organizational culture is relationship-centered and a collective culture that values familial atmosphere, and a developmental culture that emphasizes creative responses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the better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is, the better.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Jeollabuk-do, it suggests a plan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o improve the perceived value of work, which is a major element of social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