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간주의 지리학 관점에서의 장소성 프로세스를 적용한 문학지리학 연구: 소설 「토지」 속 평사리를 중심으로

        김진영 ( Jean Young Kim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1 地理敎育論集 Vol.55 No.-

        본 연구는 "인간주의 지리학 관점에서의 장소성 프로세스"라는 소설 속 장소성 분석 모델을 제시한다. 장소성 프로세스는 인간과 경험의 양식, 물리적 환경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이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의미가 도출된다. 이 의미는 상호주관성, 충돌, 변화의 과정을 거쳐 축적되어 장소성을 대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박경리의 소설 「토지」 속 평사리 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장소성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평사리 주민들의 자연 종교"라는 장소성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a sense of place analysis model in a novel, which name is "sense of place process in the Humanistic approach." The proposed sense of place model is composed of three main factors: humans, modes of experience, and a physical environment. Interactions of these three factors draw various meanings of place. A representative sense of place comes from intersubjectivities of meanings, conflicts and accumulation of them. As a case study of the model, this research emprically investigated Pyeongsa-ri, the fictional space, in Kyungri Park`s novel, Toji. The analysis result suggested that a sense of place of Pyeongsa-ri is "the natural religion of Pyeongsa-ri residents."

      • KCI등재

        채만식 소설 『탁류』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박철웅 ( Chul Woong Park ) 한국지리학회 2021 한국지리학회지 Vol.10 No.2

        이 논문은 개항장 군산을 무대로 한 소설 채만식의 『탁류』에 대한 장소성 연구이다. 먼저, 문학지리학의 관련 이론과 장소성에 대한 이론들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접근방법은 소설 『탁류』에 묘사된 장소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장소를 선정한 다음, 물질적 환경, 인간 활동, 의미와 상징이라는 장소 요소를 중심으로 장소성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탁류』의 다양한 장소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금강은 탁류의 상징으로 그 역사성이 암시된 장소성을 보였다. 둘째, 항구로서 군산은 쌀의 생산량이 풍부하여 일제에 의해 ‘쌀의 군산’이란 상징성과 장소로서 ‘풍요성’을 갖게 되었지만, 반대로 ‘빈곤의 군산’이라는 장소성도 함축하고 있었다. 또한 일제 식민도시로서 거주민의 이질성에 의한 도시구조의 장소적 ‘이중성’을 노출하였다. 미두장은 공적ㆍ사적 장소로 합법적 도박 장소이면서 일부의 타락과 부패의 장소성을 보였다. 둔뱀이의 거주지는 이중적 거주성과 갈등과 애정이 교차되는 장소성을 갖는다. 집은 가정으로서 삶의 기초 단위로 편안과 안식처를 주지만 생명이 위협당하는 불안전성을 내포한다. 동시 미래의 희망적 장소성을 예견하기도 한다. 등장인물들이 모두 군산의 토착민이 아니고 이주민들로서 장소애를 형성하지 못하고 그들의 거주지와 집을 통해 부유하는 ‘장소상실’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장소성들은 객관적이고 논리실증주의적 지리학 접근으로는 밝혀지지 않는다. 따라서 문학적 접근에서 인간주의지리학 관점은 중요하다. 특히, 문학 텍스트의 직접적인 독해를 통한 장소성의 탐구는 문학과 지리학의 간극을 좁히는 상보성이 기대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ense of place in Chae Man Sik’s novel Takryu, of which the setting was the open port city of Gunsan. Primarily it reviewed theories of literature geography and discussions on the sense of place. It then selected key places by extracting place-descriptive texts in the novel. Subsequently the paper examined the sense of place in these places by analyzing principal elements of place including material environment, human activity, meaning and symbol.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umgang River was a symbol of turbidity which implied a historically chaotic world. Second, although Gunsan was symbolized as a rice-rich place because of its functioning as a Japan’s colonial base for food production, such symbolic representation was simultaneously contrasted with the ‘poorness’ of the city’s life-world. Also, the novel re-presented the contrast by illuminating dualistic urban structure of the colonial city in which heterogeneous people were resided. As a public and private space, Midujang is a public and private place, a place for legal and rotten gambling, but also shows placeleeness. Dwelling places have a duality of place where conflict and affection intersect. Homes, as a basic unit of life, provide comfort and shelter, but contains insecurity that threatens life. At the same time, it predicts the hopeful sense of place of the future. Finally, characters in the novel were described as not indigenous people of Gunsan but migrants who failed to have love for place or topophilia. Migrants’ floating placelessness was confirmed through dwelling and home. This research conclusive suggests that the sense of place cannot be well revealed from objective and positivist geographic approach. Therefore, a significant contribution could come from humanistic geographic approach in literary studies. It particularly emphasizes that the exploration on the sense of place through textual analysis of literature is expected to complimentarily close the gap between literature and geography.

      • 문학 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공간 논의에 대한 재고찰

        김진영 ( Jean Young Kim ),신정엽 ( Jung 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0 地理敎育論集 Vol.54 No.-

        문학 지리학은 지리학 연구에서 오랜 기간 주목을 받아왔으며, 특히, 지역지리, 인간주의 지리학, 급진주의 지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문학 지리학은 지리적 사고와 지식을 중심으로 한 지리적 관점에서만 제한적으로 문학 작품을 접근함으로써, 문학 작품에 대한 총제적 의미와 다양한 잠재적인 장점을 파악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문학이론에서의 공간 논의와 지리학에서의 공간 논의의 차이점이 확인되었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문학 지리학에 대한 정체성과 발전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문학 지리학의 발전을 위해 다차원적 공간 요소의 확인, 문학 작품속 공간 구성에 대한 내외 측면 고찰, 역동성을 가진 문학 작품 속의 장소감 변화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A great deal of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literary geography for a long time, and much researches has been implemented in the fields of the regional geography, the humanistic geography, and the radical geography. However, as the literary geography only approached to the literatures in the perspective of geography with the geographic thought and knowledge, it failed to catch the total meanings and various positive potentials of the literatures.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ssues of the space in the literature theories and in the geography have been identified, and based on it, the identity and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literary geography were suggested. Namely,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ry geography, the development plan was suggest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patial factors, the review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literature, and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changes in the sense of place in the literature.

      • KCI등재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박배균 ( Bae Gyoon Park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0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3 No.3

        이 논문은 최근 대안적인 지역개발의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장소마케팅 전략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장소마케팅 개념이 인간주의 지리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본질주의적 장소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어, 장소간 경쟁을 심화시키고, 장소를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영역으로 만드는 장소의 영역화를 결과할 가능성이 큼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장소마케팅이 바탕을 두고 있는 본질주의 장소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장소는 복잡한 권력관계 속에서 사회, 정 치, 문화적 과정에 의해 구성된다는 최근의 대안적 논의를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영역이 만들어지는 사회-정치적 과정을 소개하면서, 영역이 장소의 특수한 한 형태임을 강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소마케팅이 장소를 영역화하는 전략임을 논증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discuss the place-marketing strategy that has been widely seen as an alternative way of regional development for the last decade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it argues that the place-marketing strategy is highly likely to intensify the inter-local or inter-urban completion and to result in the territorialization of places because it is based on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that has been suggested by the humanistic geographers. In order to logically support my argument, I will critically review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and introduce an alternative notion of place, in which the place is seen as socially constructed through complicated power relations and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processes. Also, I will logically demonstrate that the place-marketing can be seen as a strategy for territorializing places by discussing how territory is socially and politically constructed as a particular form of pla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간의 주관성에 근거한 지리적 사고의 분류

        양병일(Yang Byung-i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적 사고를 이해하기 위해 실증적인 실험을 바탕으로 주관성에 근거한 지리적 사고를 분류하는 것이다. 인간주의 지리학의 인식론을 바탕으로 정의한 주관성에 근거한 지리적 사고는 다음의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로 경관에 대한 의도적인 의미부여는 경관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들을 특정의 정보에 관련시키기 위해 자신의 사고를 일정한 방향으로 인도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경관에 대한 미적인 의미부여는 아름다움이라는 미적 가치를 통해 경관을 경험하는 것이다. 세 번째로 경관에 대한 감정적인 의미부여는 경관이 불러일으키는 감정을 통해 경관을 경험하는 것이다. 네 번째로 경관에 대한 회상적인 의미부여는 경관을 함께 경험한 사람과의 인간관계가 경관의 의미에 반영되는 것이다. 다섯 번째로 경관에 대한 상상적인 의미부여는 직접적으로 경험한 적이 없는 경관을 마음속에 구성해 내는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categorize subjective geographical thinking based on the experiment. Five categories below were revealed in this study. Firstly, subjective geographical thinking of landscapes, based on intentions, is to associate various landscape’s information within specific intentions. Secondly, subjective geographical thinking of landscapes, based on aesthetic experiences, is to experience landscapes with values such as beauty. Thirdly, subjective geographical thinking of landscapes, based on emotions, is to experience landscapes with emotions triggered by direct and indirect information from the landscapes. Fourthly, subjective geographical thinking of landscapes, based on memory, is that social relationships are reflected on meanings of landscapes. Fifthly, subjective geographical thinking of landscapes, based on imagination, is to construct imaginatively visual images of landscapes that have never been experienced.

      • 장소성을 둘러싼 본질주의와 반본질주의적 이분법을 넘어서기: 하비와 매시의 논쟁을 중심으로

        황진태 ( Jin Tae Hwang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1 地理敎育論集 Vol.55 No.-

        본 연구는 서구 인문지리학계의 장소성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장소를 이해하는 본질주의적 접근과 반(反)본질주의적 접근간의 대립을 확인하고, 두 접근간의 상호보완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와 도린 매시(Doreen Massey)간의 장소성 논쟁을 주목한다. 하비는 장소를 정적이고, 불변하며, 장소의 특수성은 장소 내부의 역사적 결과물로 보는 반면, 매시는 장소는 역동적이고, 항상 변화하며, 장소의 특수성은 장소 스케일을 넘어선 상이한 사회적 관계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하면서 양자간의 접근이 대립하고 있다. 대안적으로 연구자는 하비와 매시의 장소성은 상호배타적이기보다는 각각은 시공간 상에서 발현되는 장소성의 다양한 측면들 중의 하나로서 즉, 상호 연동된 형태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이론적 작업은 인문지리학의 다양한 분야에 장소논의를 확장시킬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 줄 것이다. By critically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on the placeness in western human geography, this paper aims to deconstruct the essentialist and anti-essentialist dichotomy on the placeness, and ascertain the possibility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m. More specifically, I focus on the debate on the placeness between David Harvey and Doreen Massey. Harvey regards place as something fixed, static and unchangeable, and while characteristic of place is historically inherent production of inner place. On the contrary, Massey regards place as site of multiple identities and histories, and while she asserts that a uniqueness of place is defined by various interactions within and without place. Alternatively, I suggest that the placeness needs to be understood as one aspect of variegated placeness including Harvey and Massey s conceptions in concrete spatio-temporal context, rather than mutually exclusive relation between the essentialist and anti-essentialist approaches. In the future, borrowing the insights from deconstructing the dichotomy, it would be more fruitful to the field of human geography.

      • William Carlos Williams의 Paterson 연구: 도시 및 인물의 장소 정체성 분석을 중심으로

        윤찬희 ( Chan-hee Yu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7 地理敎育論集 Vol.61 No.-

        본 연구는 인간주의 지리학 관점에서 장소 정체성을 중심으로 William Carlos Williams의 Paterson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더욱 정밀한 분석을 위해 도시(장소의 정체성)와 인물(장소에 대한 정체성)로 구분하여 장소 정체성을 도출하였다. 도시 패터슨의 장소 정체성은 페세익 강과 개럿 산을 포함하는 ‘물리적 환경’이 ‘정부 주도의 산업화’로 나타나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소외와 단절’의 ‘장소의 의미’가 부여되면서 형성되었다. 한편, 인물 패터슨의 장소 정체성은 페세익 강에 도달하는 여정을 통해 실존적 외부성, 행동적 내부성, 감정이입적 내부성, 실존적 내부성을 순차적으로 획득함으로써, 보다 더 강한 유대를 느끼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This paper covers William Carlos Williams’ Paterson, focusing on the identity of place within the framework of Humanistic geography. Specifically, for more delicate analysis, the concept of identity of place in the study is divided into two separate parts; the city’s ‘identity of place’ and the character’s ‘identity with place’. The city Paterson’s ‘Identity of place’ has been formed throughout the process of ‘physical setting’ including Passaic river and the Garret mountain gaining its ‘meaning’ of ‘isolation and alienation’ by ‘government-led industrialization’ that represents ‘activity.’ The narrator Paterson experienced different degrees of ‘Identity with place’ through the journey to the Passaic river. He acquired sense of existential outsideness, behavioral insideness, empathetic insideness and existential insideness in a chronological order, which enabled Paterson to develop a deeper bond with the city.

      • 1970년대 한국사회에 나타나는 고향에 대한 토포포비아 연구: 김원일과 황석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박세희 ( Se Hee Park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3 地理敎育論集 Vol.57 No.-

        인간은 고향에 대해서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동시에 느낀다. 1970년대 한국사회에서는 전쟁과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해 고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다. 그리고 고향에 대한 양가적인 감정들이 만연하였다. 특히 고향에 대한 토포포비아는 당시의 여러 소설에 반영되어있다. 김원일의 소설에는 전쟁의 트라우마와 고향의 가난, 모성의 결핍으로 인해서 형성되는 고향에의 토포포비아가 나타난다. 한편 황석영의 소설에는 노스탤지어와 뿌리없음으로 인해서 생기는 고향에의 토포포비아가 나타난다. Humans have not only positive emotion but also negative emotion to their hometowns. In the 1970s` Korean society, there were so many discussions of hometowns because of Korean War and industrialization. And the ambivalent sentiments to hometowns frequently appeared. Especially, topophobia to hometown was reflected in the 1970s` novels. In Kim Won-il`s novels, there are topophobia to hometown formed by war trauma, poverty in hometown and lack of maternal instinct. Meanwhile, in Hwang Seokyoung`s novels, there are topophobia to hometown builded by nostalgia and rootles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