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전주의 도시 매트릭스의 구축

        황진태(Jin-Tae Hwa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서울 강남으로 상징되는 한국의 발전주의 도시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강남이라는 물리적 공간을 넘어서 강남 따라하기를 하는 지방도시에 주목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신문기사를 비롯한 담론분석, 현지답사와 부산 센텀 시티와 마린시티 거주자를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강남 따라하기를 통하여 한국사회에서 소위 “강남문제”는 강남이란 물리적, 상징적, 행정적 경계를 넘어서 작동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즉, 강남뿐만 아니 라 “X의 강남”이 형성되는 공간인 지방도시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각 지방도시 들이 지향하는 도시모델이 강남 따라하기가 아닌 보다 평등하고,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탈발전주의적 도시를 만들기 위한 인식론적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not only Gangnam but also cities outside Seoul that attempt to follow the Gangnam model are deeply involved in Korean developmental urbanism. It examines discursive materials such as newspaper articles, newspaper advertisements and online debates as significant sources of information showing how certain districts are materially and discursively constructed by diverse actors in the national capital and in other cities.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lasting up to two hours reveals local residents’ imagined geographies. The article emphasizes that the so-called “Gangnam problem” should be understood as existing beyond the physical, symbolic and administrative boundaries of Gangnam, in cities that follow the Gangnam model. This study helps to provide an epistemological foundation for more equitable, sustainable and de-developmental urbanism.

      • KCI등재

        신자유주의 도시에서 '도시에 대한 권리'의 실현

        황진태(Hwang, Jin-Tae) 한국공간환경학회 2010 공간과 사회 Vol.34 No.-

        도시에 대한 권리의 논의는 도시에 대한 권리의 제도화에 초점을 맞춘 법적 요구와 기존 도시공간의 급진적 재편에 초점을 맞춘 도덕적 요구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최근 국제기구와 도시정부들에서는 법적 요구의 측면에서 도시에 대한 권리의 제도화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화에 초점을 맞춘 경향은 도덕적 요구를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논문은 해치맨 프로젝트를 사례로 도시에 대한 권리의 이론적, 실천적 발전 방향을 법적 요구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법적 요구와 도덕적 요구 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 위치시켜 도시에 대한 권리를 사유해야만 기존 신자유주의 도시공간을 대체할 대안적 도시공간의 생산 가능성이 있음을 강조한다.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the ‘Right to the City’ have been mainly divided into two claims. One is a legal claim focusing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Right to the City’, while the other is a moral claim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urban space. Recently, global institutions and city governments have been seek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ight to the City’ on a legal claim basis, which can downsize the importance of a moral clai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aechiman project, I problematize the tendency that a legal claim has priority over a moral one since this tendency blocks the possibility of radical reshuffling of the neo-liberal cityscape. Therefore I propose the alternative approach that regards the ‘Right to the City’ as the continuing interaction between a legal claim and a moral claim for the production of the alternative urban space.

      • KCI등재

        도시권의 측면에서 바라본 광장의 정치

        황진태(Hwang, Jin-Tae)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1

        기존 사회운동 연구는 사회운동과 공간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 미약했던 상황에서 광장의 정치는 공간의 존재와 역할을 환기시켰다. 여기서 공간을 강조하는 것은 광장을 지키는 것 자체가 목적이 되는 공간물신론을 지향하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현재의 광장에 대한 정치 논의가 공간물신의 함정에 빠질 우려가 높다고 본다. 공간물신의 함정에 빠진 광장의 정치는 광장의 정치에 내포된 해방적 힘을 지배세력이 선택한 특정 공간에서 소모시키는 자위로 끝날 수 있다. 도시권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첫째, 광장의 정치를 통하여 사회운동에 있어서 공간의 중요성을 밝히고, 둘째, 광장의 정치의 목적이 물리적 공간인 광장을 지키는 것으로 한정될 때 광장의 정치의 해방적 힘은 축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며, 대안적으로 광장의 정치와 도시권의 다중 스케일적 접근을 제시한다. With study of the South Korean social movement to date has been pay little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movement and spaciality, it is meaningful that politics of agora give rise to stir up the importance of space. However, emphasizing the space is not orient to the spatial fetishism that regards upholding the agora per se as the object of politics of agora. I thought it is likely that existing debate on politics of agora could be trapped spatial fetishism. Because of this, protesters can pour out meaninglessly their movement energy into the particular space like agora selected by ruling forces, while paradoxically the power of ruling forces can be stronger. In this article, I was informed by recent contribution to the Right to the City. Then I attempt to reveal the facts below. First, the space is important to develop social movement such as politics of agora. Second, when the object of politics of agora is confined to defend agora as a physical space, it could shrink the emancipating power of politics of agora. Alternatively, I suggest that the politics of agora and Right to the City should be considered in light of the multi-scalar approach to avoid spatial fetish trap.

      • KCI등재

        여성주의적 지리과 통일교육을 위한 인스타그램 활용방안 모색

        황진태(Hwang, Jin-Tae) 한국지역지리학회 202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여성주의적 지리과 통일교육을 위한 교육자료이자 교육매체로서 인스타그램의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최근 국내 지리교육학자들은 반공교육이 아닌 평화교육으로서 지리과 통일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평화교육으로서 지리과 통일교육은 새로운 북한자료 확보와 학습자의 흥미와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매체의 확보가 관건이다. 최근 해외학계에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교육적 효과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관련 연구자들은 학습자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면서 친숙한 매체인 SNS를 교육매체로 활용한다면 학습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필자는 북한연구에서 기존 텍스트 기반 자료(문헌자료, 구술자료)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이미지 기반 SNS인 인스타그램을 활용하여 북한의 공간을 탐색하는 제안을 한 바 있다.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가 기대되는 인스타그램을 이용하여 새로운 북한자료에 접근할 수 있다면 지리과 통일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육매체로서 적극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필자는 평화교육으로서 지리과 통일교육을 보다 성공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지리과 통일교육에 내재한 남성중심의 젠더 맹점을 인식하고, 이러한 맹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성주의 지리학을 접목한 ‘여성주의적 지리과 통일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plore the use of Instagram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geography curriculum from a feminist perspective. Recently published articles suggest the necessity of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geography curriculum. For a successful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it is crucial to acquire new data about North Korea and a new method to encourage students" participation.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s an educational media recently began to grab the attention of Western academia because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special affinity for the SNS can enhance their learning effect. On the other hand, I suggested that the powerful function of Instagram as a mobile photo-sharing site will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ext-based data such as literature materials and interview materials in the study of North Korea. Based on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Instagram, it should be considered as an educational medium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geography curriculum. Last but not least, I strongly recommend that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geography curriculum should embrace a feminist perspective in order not to marginalize women in unification discourse.

      • KCI등재

        한반도 에너지 전환의 개념화를 위한 시론

        황진태(Hwang, Jin-Tae)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1

        본 시론은 ‘예상되는 미래’를 예상하기보다 ‘바람직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한반도 공간의 미래상의 일부로서 한반도 에너지 전환을 개념화하고, 한반도 에너지 전환이라는 미래 만들기의 상상력을 촉진하고자 앙리 르페브르가 제시한 ‘도시적인 것’의 사유를 전유한다. 기존 도시 에너지전환 논의는 도시의 성장을 가능케 한 비도시 지역에 배치된 자원 매장지, 발전소, 송전선 등이 갖는 공간성과 비도시와 도시 간의 관계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대안적으로 본 논문에서 필자는 도시적인 것의 사유를 통해 비도시 지역에 대한 관계론적 이해가 어떻게 남한과 북한을 아우른 한반도의 에너지 전환을 촉진할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지를 탐색한다. 한반도 공간을 도시적인 것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사회학적, 지리학적 상상력은 동북아시아 냉전구도가 낳은 분단체제 하에서 고착화된 국가 중심의 하향적 거버넌스의 관성으로부터 벗어날 전환의 계기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반도 에너지 전환의 구체적인 전략으로 북한의 화석연료 매장지를 도시녹색공유지로 규정하고, 땅 속에 내버려 둘 것을 제안한다. Inspired by the concept of Henry Lefebvre’s urban society, I attempt to conceptualize the Korean Peninsula energy transition as a desirable future, not an expected future. The current debate on urban energy transition has tended to downplay the spatial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and the non-city where resource extraction sites, power plants and power cables are placed for the growth of the city. Alternatively, by emphasizing urbanizing urban energy transition sensitive to the critical role of the non-city area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urbanization, it promotes the future wave of the urban energy transition. I expect that the new sociological and geographical imagination that sees the Korean Peninsula as an urban will make a crack on Korea’s static division system and its resultant top-down governance for a successful transition. As a concrete strategy, I suggest keeping North Korea’s fossil fuels in the ground under the logic of urban commoning.

      • KCI등재

        민영의료보험에 따른 의료이용 차이와 도덕적 해이에 기초한 보장범위 선택 문제

        황진태 ( Jin-tae Hwang ),서대교 ( Dai-gyo Seo ) 한국보험학회 2018 保險學會誌 Vol.113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의료비의 급속한 증가 추세가 실제 필요한 의료서비스 수요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의료서비스를 과다하게 제공받으려는 부분도 포함되어 있는 것인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대상으로 민영의료보험 가입자와 비가입자 간 의료이용행태 차이와 도덕적 해이에 기초한 민영의료보험 가입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개인의료비 지출을 종속변수로 두고 의료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민영의료보험 가입으로 개인의료비 지출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입원 및 외래횟수를 종속변수로 두고 분석한 결과, 민영의료보험 가입이 외래방문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도덕적 해이에 기초한 의료이용자의 의료보장범위 선택에 대한 분석에서 도덕적 해이와 건강리스크에 대한 모수를 추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다만, 의료이용자의 도덕적 해이에 기초한 민영의료보험 가입 여부는 명확하지 않았다. In this paper, we examine why in recent years a rapid increase in medical utilization has arisen in Korea: a pure increase in demand for medical care or overexploitation of medical resources associated with private health insurance. To do so, using Korea Health Panel over the period 2008-2013, we empirically investigate the causal effects of buying private health insurance policies on medical utilization and the purchase of them based on moral hazard. We find that buying private health insurance would have a causal effect on an increase in medical utilization. In particular, it increases the number of times being outpatients. Furthermore, we estimate the parameters representing moral hazard and health risk, and then find that the two types of estimators are both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zero. However, it is unclear that there exists the purchase of private health insurance on moral hazard.

      • KCI등재

        정보통신기술의 활용과 제조업의 기술적 효율성 간관계에 대한 분석: 패널모형을 중심으로

        황진태 ( Jin Tae Hwang ),박해선 ( Hae Sun Park ),서대교 ( Dai Gyo Seo ) 한국응용경제학회 2013 응용경제 Vol.15 No.2

        본 연구는 제조업 분야의 개별 기업 데이터를 기초로 확률적 경계 접근법을 사용하여 각 생산요소들이 생산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러한 분석과정에서 얻어지는 기술적 효율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2005∼2007년까지 전자거래진흥원이 조사한 『e비즈니스 현황조사』를 기초로 하였다. 분석결과, 표본기간 동안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업의 기술적 효율성이 비ICT기업의 기술적 효율성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CT자본을 많이 사용하는 생산방식이 해당제조기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기업들을 기술적 효율성의 실적 그룹별로 구분하여 ICT자본 비중의 추이를 동태적으로 관찰한 결과, 기술적 효율성이 높은 그룹에서의 ICT자본 비중이 기술적효율성이 낮은 그룹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빨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조업 내 음식료품, 화합물·화학제품, 전자부품 등 업종 모두 기술적 비효율 성이 시간이 지나면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부품 등 업종이 음식료품, 화합물·화학제품 업종보다 ICT자본 집약적인 업종으로 나타났다. Together with the stochastic frontier model, we investigate how ICT capital, non-ICT capital, and labor would affect the value added using 2005-2007 firm data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n provide the firms` resulting technical efficiencies. In this paper, we find that the technical efficiencies of ICT firm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ICT firms. In addition, the businesses that have high technical efficiencies appear to be noticeable in an increase in fraction of ICT capital. On the other hand, all the degrees of technical inefficiency for food and beverage business, chemical compound and products business, and electronic parts and display, sound, (tele)communication equipments business would decrease over time. In addition, the last business appears to be more ICT-capital intensive than the first two businesses.

      • 장소성을 둘러싼 본질주의와 반본질주의적 이분법을 넘어서기: 하비와 매시의 논쟁을 중심으로

        황진태 ( Jin Tae Hwang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1 地理敎育論集 Vol.55 No.-

        본 연구는 서구 인문지리학계의 장소성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장소를 이해하는 본질주의적 접근과 반(反)본질주의적 접근간의 대립을 확인하고, 두 접근간의 상호보완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와 도린 매시(Doreen Massey)간의 장소성 논쟁을 주목한다. 하비는 장소를 정적이고, 불변하며, 장소의 특수성은 장소 내부의 역사적 결과물로 보는 반면, 매시는 장소는 역동적이고, 항상 변화하며, 장소의 특수성은 장소 스케일을 넘어선 상이한 사회적 관계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하면서 양자간의 접근이 대립하고 있다. 대안적으로 연구자는 하비와 매시의 장소성은 상호배타적이기보다는 각각은 시공간 상에서 발현되는 장소성의 다양한 측면들 중의 하나로서 즉, 상호 연동된 형태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이론적 작업은 인문지리학의 다양한 분야에 장소논의를 확장시킬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 줄 것이다. By critically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on the placeness in western human geography, this paper aims to deconstruct the essentialist and anti-essentialist dichotomy on the placeness, and ascertain the possibility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m. More specifically, I focus on the debate on the placeness between David Harvey and Doreen Massey. Harvey regards place as something fixed, static and unchangeable, and while characteristic of place is historically inherent production of inner place. On the contrary, Massey regards place as site of multiple identities and histories, and while she asserts that a uniqueness of place is defined by various interactions within and without place. Alternatively, I suggest that the placeness needs to be understood as one aspect of variegated placeness including Harvey and Massey s conceptions in concrete spatio-temporal context, rather than mutually exclusive relation between the essentialist and anti-essentialist approaches. In the future, borrowing the insights from deconstructing the dichotomy, it would be more fruitful to the field of human geography.

      • KCI등재

        한국의 국가와 자연의 관계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연구를 위한 시론

        황진태(Jin-Tae Hwang),박배균(Bae-Gyoon Park)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3

        본 논문은 국가와 자연이 각각 독립적이고, 자연을 인간의 손길로부터 떨어져 신성한 것으로 간주하는 근대적 인식을 비판하는 “국가-자연의 정치생태학” 논의를 차용하여 한국에서 나타나는 국가와 자연의 복잡성을 관계적, 과정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시론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내사회과학에서의 국가와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생태주의, 신진대사균열론, 자연의 사회적 구성론, 녹색국가론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들 논의에서 국가와 자연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누락되었음을 지적한다. 이어서 대안적인 관점으로 국가-자연의 정치생태학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끝으로 국가-자연의 정치생태학적 접근이 한국의 자본주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mplexities of the state-nature relations in Korea by emphasizing the complex processe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state and nature. In doing so, it relies on the literature of “political ecology of state-nature” which problematizes the conventional modernist views on nature assuming the dualistic separation between the state and nature. First, we critically review the existing Korean literature on the state-nature relation (e.g., the ecologism, the metabolic rift theory,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nature, the green state thesis, etc.) and argue that these studies significantly lack the recognition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state and nature. Second, we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seeing the state-nature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logy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state-nature relation. Last, we conclude that the political ecology approach to the state-nature can deepen our understandings of the Korean capitalist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리슈만편모충은 어떻게 ‘하나의 유럽’에 균열을 가했는가?: ‘인간 너머의 위험경관’의 시각에서 바라본 코스모폴리타니즘의 한계

        황진태(Jin-Tae Hwang),김민영(Minyoung Kim),배예진(Yejin Bae),윤찬희(Chanhee Yoon),장아련(Aryun Chang)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3

        본 연구는 ‘인간 너머의 위험경관’의 시각에 기반하여 인간과 비인간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오늘날 유럽사회가 ‘하나의 유럽’을 구축하기 어렵게 만드는 균열과 긴장을 밝히고자 리슈만편모충증 논란을 탐색한다. 구체적인 연구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과 비인간(nonhuman)의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인간 너머의 지리학의 시각에서 리슈만편모충증을 발병하게 한 다중적 원인과 발생경로를 파악한다. 둘째, 유럽사회에서 발생한 관련 전염병의 원인을 난민으로만 귀속하려는 특정한 위험경관이 정치적, 사회적으로 구성되었음을 밝힌다. 결론적으로 유럽사회가 지향해왔던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실현을 위해서 인간은 인간중심주의로부터 벗어나 인간과 비인간 사이에 벌어져 있는 인식론, 존재론적 틈을 줄여나가려는 긴 여정을 밟아야 하며, 그 여정에서는 비인간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특정 사회집단을 타자화하려는 인간 내부의 비인간성에 대한 성찰이 요구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Through the lens of more-than-human riskscapes,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European society has a difficult time constructing ‘One Europe’ due to unexpected human-nonhuman interactions beyond anthropocentrism such as a controversy surrounding leishmaniasis disease in Europe after Syrian refugees. Detailed research focuse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more-than-human perspective that recognizes the world that is incessantly composed by dialectic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nonhuman actors at multiple scales, we track the causes and spread of the disease. Second, we ascertain that a dominant riskscape that attributes the cause of the disease to Syrian refugees alone is politically and socially constructed by particular social forces. Consequently, we argue that the concept of more-than-human riskscapes must be considered carefully for realizing cosmopolitanism while recognizing not only nonhuman actors but also the aspect of less-than-human geographies within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