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문학으로서의 이청준 문학

        김종회(Kim, Jong-hoi)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0

        ‘세계문학으로서의 이청준 문학’이란 논의는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에서 출발해야 한다. ‘한국문학의 세계화’라는 개념과 연접해 있는 이 논의 체계는 이미 많은 담론을 생산한 바 있고, 특히 근래에 와서는 문학 번역의 문제와 결부하여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글의 중심 목표는 작가 이청준과 그의 작품세계가 이룰 수 있는 세계화라는 명제이다. 한 작가의 작품을 평가하고 문학사적 의의를 확립하며 더 나아가 세계문학에 이르는 소통과 공유의 맥락을 이끌어 내자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이청준 문학의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고, 그 자체로서의 문학적 의의와 성과를 검토할 것이다. 이는 작가의 작품이 한국문학의 전체적인 구도 속에서 어떤 좌표를 점유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절차이다. 다음으로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현장에서 그 존재증명을 도모할 수 있는 논리, 국내에서부터 주목을 유발할 수 있는 문화산업적 전략, 그리고 세계적 소통을 향해 지금까지 이청준 문학이 번역되어 국외로 확장된 현황을 점검한 다음, 앞으로의 방향 설정에 대해 기술하려 한다. 그러자면 한국문학에서 대표적 작가로 인정받고 있는 이청준의 작품 세계를 다시 검토하고, 그 문학의 특징적 성격 및 다른 작가와 구별된 가치가 무엇인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어서 한국문학의 세계화와 그 확산의 방안을 살펴보아야 한다. 여기에서는 실제적인 방향 제시에 있어 글의 목표에 부합하는 전략적 방안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하나는 문화산업적 측면에서 국내의 이청준 문학에 대한 관심을 효율적으로 증폭하자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청준 문학의 번역을 활성화함으로써 언어의 벽을 넘는 독자 수용을 확대하자는 것이었다. 이청준 문학에 대해 12개 언어권에서 46권의 번역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그동안 이 작가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결코 허술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이 글의 논의는 바로 그러한 바탕 위에서 이청준 문학의 세계화를 구현해 나가자는 주장을 내포한다. 이청준 문학이 번역된 그 실상을 조명해 보면, 앞으로 이 사업을 어떻게 뒷받침 할 것인가에 대한 답안도 거기에 함께 있다. 좋은 작품을 창작하는 것은 작가의 몫이지만, 그렇게 창작된 작품의 가치를 구명하고 세상에 확산하는 것은 동시대에 있어서의 그 역할을 맡은 문학 일반의 책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Yi Chong-jun"s literary works in the context of world literature. It would be virtually impossible to discuss his works in terms of world literature without referring to a broader notion of ‘Korean literature as world literature’ or without considering the issue of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fact, a great number of studies have been published in recent years on the subject, generating much debate and compelling discours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ranslation practice. Indeed, translation plays an exceptionally crucial role in world literature. In World Literature and Translation Studies, Laurence Venuti defines world literature through translation, asserting that “world literature can not be conceptualized apart from translation”. Translated texts are discussed, transmitted, circulated, communicated and received by the international audience beyond cultures and across borders. As one of the most predominant modern Korean writers, Yi Chong-jun has attained a considerable world recognition. 46 of his literary works have been translated into 12 distinctive languages worldwide. We shall begin this study b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Yi Chong-jun"s works and by identifying his place in Korean literary history. Further, we shall bring to light the distinctive traits that set him apart from his contempories and his precedessors. A close and attentive reading of his works will allow us to discover dynamic and coherent literary creativity and intelligence, far reaching and far exceeding the national and local constraints. In this study, we present a cultural strategy to facilitate global transmission and expansion for Korean literature and to promote international circulation and reception for Yi Chong-jun"s literary works. David Damrosch concludes his book What is World Literature? by stating that it is “not a set of canon of texts but a mode of reading.” It"s not the canonic writing but the mode of reading which is far more important in the paradigme of world literature. Readers and the cultural consumers in general, we are also responsible for re-examining, re-defining and expanding Yi Chong-jun"s creative works.

      • KCI등재

        이청준의 아동문학 「이야기 서리꾼」과「봄꽃 마중」 연구 - J. 호이징하의 놀이이론을 중심으로

        이한영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2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play behaviors of Lee Chungjoon ’s children’s literary “storyteller” and “children of spring flowers” through the play theory of J. Huizinga. The existing debates are that Lee Chungjoon’s children’s literary works have focused on restoring our lost tradition. These discussions, however, overlook Lee’s literary character. In fact, Lee’s children’s literature can not be separated from Lee’s complex and profound literary world. Typically, in the Pansori fairy tale of Lee Chungjoon, the figures of each character are shown to be disguised. The realization of this equal world touches the realization of freedom that Lee Chungjoon has long desired to implement through his works. The realization of this freedom is manifested through the allegory technique that he used mainly in adult literature. He also used allegory techniques in children’s literature to manipulate the discourse of the times when he wanted to suppress writing. The realization of freedom through these allegories is revealed in his children’s literary “story-teller” and “spring flower reception”. In the former, realization of freedom through “horse” and realization of freedom through “play” in the latter. In “Story Frost”, the word is closer to the story, and what Lee Chungjoon ultimately pursued was the freedom of story. This characteristic can be grasped naturally through the theory of play under J. Huizinga. In the story-teller, the childhood experience in which the grandfather gains freedom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story is a frosty play. The act of derailment play becomes important. Deviation play is a marriage process to verify the wisdom of the bridegroom, but it is accepted as an amusing game for the children watching. In Lee Chungjoon’s children’s literature, we can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play. 본고는 이청준의 아동문학인 「이야기 서리꾼」과 「봄꽃 마중」 속 아동 인물들이 보이는 놀이 행위를 J. 호이징하의 놀이이론을 통해 살펴보려 한다. 기존 논의들은 이청준의 아동문학 작품들이 우리가 잃어버린 전통성을 복원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들은 이청준이 지닌 문학적 특성을 간과하는 것이다. 사실 이청준의 아동 문학도 이청준의 복잡하고 심도 있는 문학세계와 분리될 수 없다. 대표적으로 이청준의 판소리 동화에서는 각 인물들이 지닌 신분계급이 무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평등한 세계의 구현은 이청준이 오랫동안 작품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자유의 실현과 맞닿는다. 이러한 자유의 실현은 그가 성인 문학에서 주로 활용했던 알레고리 기법을 통해 발현된다. 그가 아동문학에서도 알레고리 기법을 사용한 것은 글쓰기를 억압하고자 했던 시대의 담론을 교묘히 비켜가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알레고리를 통한 자유의 실현은 그의 아동문학인 「이야기 서리꾼」과 「봄꽃 마중」에서 드러나는데 전자에서는 ‘말’ 을 통한 자유의 실현과 후자에서는 ‘놀이’를 통한 자유의 실현이 그것이다. 「이야기 서리꾼」에서 말이란 이야기에 더 가까우며 이청준이 궁극적으로 추구했던 것은 이야기의 자유로움이었다. 이러한 특성은 자연스럽게 J. 호이징하의 놀이이론을 통해 파악해볼 수 있다. 「이야기 서리꾼」에서 할아버지가 이야기가 지닌 체험을 통해 자유를 얻게 되는 유년시절의 체험은 바로 서리놀음이다. 「봄꽃 마중」에서도 탈선놀이라는 행위가 중요하게 부각된다. 탈선놀이는 신랑의 지혜로움을 검증하기 위한 혼인의 과정이지만 이를 지켜보는 아이들에게 있어서는 재미난 놀이로 받아들여진다. 이렇듯 이청준의 아동문학에서 우리는 놀이 행위의 특성을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이청준 소설의 윤리학 -탈근대적 민중공동체 복원을 향한 근원 사유

        김정아 ( Chung Ah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2

        이청준 소설은 한국의 소설에서는 드물게 서구의 인식론과 존재론에 고유한 개념과 문제들을 직접 소설의 주제로 끌어들여 천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질문들 안에서 이청준 소설이 제기하는 근본 질문은 공동체성이 훼손된 사회에서 개인에게 가능한 윤리적 선택에 대한 탐문이었고, 이는 근대적 시민성의 문제와 민중적 공동체 복원의 가능성을 동시에 물으며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탐문은 『이어도』나 『당신들의 천국』에서 특히 분명하게 나타난 것처럼, 종종 아포리아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아포리아로의 귀결은 존재론적 자유와 사회적 실천의 배리라는 문제가 이청준 소설이 지니는 고유한 난점인 동시에, 이청준이 이 난점 자체를 주제로 삼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청준 소설은 서구 관념론에 결합된 근대적 시민성에 대한 질문을 넘어 민중공동체 복원의 가능성을 묻는 질문으로 더 많이 향하게 되며, 훼손된 듯 보이는 민중 공동체 안에 여전히 내밀하게 전수되는 시와 노래와 이야기가 지닌 근원적 힘을 공동체 복원의 토대로 제시한다. 이러한 사유는 『인문주의자 무소작씨의 종생기』를 넘어 『신화를 삼킨 섬』에 이르기까지, 점점 신화적 근원 사유로 진전해가고 있는 듯 보인다. 『신화를 삼킨 섬』에서 이청준은 신화의식을 민중 공동체 복원의 근원적 힘으로 제시하는 동시에 권력이 민중 신화를 전유할 때 시민 사회에 대한 지배의 강력한 도구가 됨을 보여준다. 이 소설에서 이청준은 민중 신화가 가지는 양면의 기능을 병치하여 보여주면서, 여전히 개인의 윤리적 선택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개인이 자유와 비지배를 자신의 삶의 방식으로 취하는 윤리적 선택은 동시에 정치적 올바름의 실현이다. 이청준의 소설은 공동체라는 부질없는 환상의 끈덕짐에 대해 끈질기게 의혹과 혐의를 두고 있어 보인다. 그러면도 현실의 지배 질서에 저항하는 유일한 힘의 원천으로서 국가, 사회, 민족 이전에, 배면에, 그러한 이름들에 저항하며 존재하는 공동체 복원에 대한 꿈을 제시한다. 다만 공동체 또한 현실로 나타나거나 가시적이 된다면, 개인의 자유에 가하는 폭력성을 지니게 될 것이기에, 도달될 수 없는 꿈인 한에서만 공동체는 해방적 힘을 간직한다. 도달할 수 없는 꿈인 공동체는 이야기 혹은 미완의 신화를 통해서만 자기의 모습을 간간히, 일부만을 드러낸다. 『신화를 삼킨 섬』은 이러한 이청준의 사유가 집약된 작품이다. Lee Chung-jun`s Novels often show aporia at endings. It seem that the aporia came from his own problem that his ontological thought is contradictory to his ethics. His early novels presented the thematic problem that one`s quest for freedom is unavoidably as oppressive to the other. In his late novels, he focused on the matter of restoration of ex-modern people`s community. His last novel,『An Island which swallows myth』well demonstrates the originated thought about restoration of ex-modern people`s community, with questioning how a folk memory has become a myth, and how the dominant power abuses the myth for its own purpose. Every community has its myth as its origin, and the myth is the center which hopes, dreams, desires and ideals of the community members are gathered around. But the myth is created by associating mythos with logos and the myth itself is a product of a collective will which subordinates the individual will to. The myth which an community is founded on, get logic of identification to work and maintains as oppressive to community members. So, 『An Island which swallows myth』 implies an community has its liberating powers only when a dream of it will never be accomplished and it remains incomplete, as an abortive hero motive in folk narratives implies.

      • KCI등재

        한국전쟁의 원체험과 재구(再構)의 변주

        김지혜(Kim Ji-hye)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8 No.-

        본연구에서는이청준소설에나타난한국전쟁의원체험과그재구성의 변주를고찰하였다. 이청준은 한국전쟁을 유년기에 체험한 작가로서, 그의 문학에는 전쟁이라는 폭력적 상황과 그에 대한 공포가 음화로 남아 있다. 이러한 전쟁의 상처가 소설 속에서 ‘전짓불’모티프 등으로 변주되며 이청준 소설의 중요한 근간을 이루고 있다는 점은 널리 알려진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청준 소설 중 한국전쟁의 체험을 직,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초기 작품부터 후기 작품까지를 통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전쟁의 기억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모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초기작인 병신과 머저리 는 한국전쟁이남긴보이지않는상처를 다룬 소설로서전쟁체험 세대인 형과 어린 시절 전쟁을 겪은 동생의 상처를 대비하여 보여준다. 작가는 전쟁의 상처가 명확한 형과는 달리 명확한 상처를 알 수 없는 동생의 서사를 통해 유년기 전쟁 체험 세대에 대한 성찰을 시도한다. 또한 이청준은 소문의 벽 과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 등의 소설을 통해 1970년대 억압적인 사회를 비판적으로 그려낸다. 이 작품들에서는 어린 시절 한국전쟁 시기에 겪은 ‘전짓불’ 모티프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청준은 전짓불 모티프의 반복을 통해 전쟁 시기의 폭력성이 억압적인 사회에서 여전히 계속되고 있음을 고발한다. 즉, 이청준은 어린 시절 최초로 경험한 충격적 사건인 6․25의 원체험을 그 시대의 억압적 상황으로 변주고 있는 것이다. 이청준은 1990년대에 비로소 구체적인 한국전쟁의 문제, 즉 과거 폭력적 이념대립의 기억을 복원하고 그 갈등의 청산 문제에 접근한다. 가해자의 얼굴 , 흰옷, 지하실 등의 작품에서는 어쩔 수 없이 가해자와 피해자로 나뉘었던 전쟁의 기억을 떠올리며 그 기억을 통해 화해를 모색하고자 한다. 그는후기소설에서비로소유년기에겪은전쟁체험의기억을다시재구성함으로써그때의 갈등을 풀어내는 것이다. 이청준은초기소설에서어린시절한국전쟁을체험한세대에대한세대의식을보여주었다면, 중기 소설에서는 전쟁의 폭압적 상황을 당대의 억압적 사회 현실과 연결시킨다. 초기, 중기 소설에서는 한국전쟁의 충격적 기억을 제대로 재현해낸다기보다는 그때의 상황적 폭력성을 상징적으로 변주해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후기소설에서는 잊으려 했던 유년기에겪은폭력적상황과마주함으로써그때의대립과반목이낳은상처를용서와화해로 극복하고자 한다. 그는 과거의 고통스러운 기억을 복원함으로써 그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 전쟁의 상처를 다음 세대에게 남겨주지 않는 일이며, 그것이 전쟁을 체험한 마지막세대로서의 사명임을 말한다. 또한 이러한 한국전쟁의 원체험과 재구의 과정은 사회와 개인의 관계에 천착한 이청준 소설이 그 주제의 깊이를 더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하겠다. This study examined Lee Cheong-jun's literature, focusing on key word Korean War. It inquired into how shape is given to the memory of Korean War over time and how an understanding of this changed by analyzing work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revealed the experience of Korean War in Lee Cheong-jun's novels. Lee Cheong-jun is an author who experienced Korean war in his childhood. And horror of war remains as severe trauma in his literature. The scars of war in his childhood repeatedly play a variation in many novels of Lee. His early work The Wounded is a novel that deals with invisible scars left by Korean War. This work shows scars on elder brother belonging to generation that experienced the war and younger brother belonging to generation that didn't directly experience the war. The author tries to reflect on his generation through a narrative given by the younger brother who cannot know a definite scar, differently from the elder brother for whom the scars of war are definite. Besides, Lee Cheong-jun critically depicts the oppressive society in the 1970s through the novels such as The Wall of Rumor and An Unwritten Autobiography. The motif of 'electric light' experienced in the Korean War in his childhood is repeatedly shown in these works. Lee accuses the suppressive society of still continuing the violence in times of war through the repeat of electric light motif. That is to say, Lee Cheong-jun plays a variation on the original experience of Korean war(also known as 6․25), shock which he first experienced in his childhood, as suppressive situation at that time. Lee Cheong-jun approaches a specific KoreanWar issue, i.e.,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reconciliation issue for the first time in the 1990s. In the works such as Assailant's Face , White Clothes and The basement , he recalls the memory of war where people are forced to be divided into assailants and victims, and intends to grope for reconciliation through the memory. In his later novels, he reconstructs the memory of war experience in his childhood, and resolves conflicts at that time. He says that not leaving the scars of war the next generation through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is a task assigned to the generation who experienced the war.

      • KCI등재

        프랑스의 이청준 문학 수용에 대한 번역비평적 연구

        남윤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20 통번역학연구 Vol.24 No.3

        Yi Ch'ŏngjun (1939-2008)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He has been canonized in his native country, with his complete works already made available by two different publishers. He is also one of the most translated Korean authors in France.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French translations of Yi’s oeuvre in order to help map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in France and to explore its “horizon of expectations.” It was found that 31 works by Yi were translated into French between 1966 and 2014 (three novels, two novellas, and 26 short stories). A shift analysis of the translations reveals a large number of interventions by translators and editors, including changes in paragraphing, spaces added or removed between paragraphs, inversion of phrases and paragraphs, changes of discourse, and deletion of cultural elements. The problem with such mediation is that it can modify the aesthetic effect of a work. Rather than labelling these translations as being unethical, it is advised that they be plac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s reception in France. Nevertheless, because “the experience of the foreign” can evolve according to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retranslation of Yi’s works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어문학 : 이청준 소설에 드러나는 "반복" 연구 -「귀향연습」, 「별을 기르는 아이」, 「조율사」를 중심으로-

        문으뜸 ( Eu Tteum Mu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0 No.48

        반복은 이청준 소설에서 끊임없이 변주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본고는 이청준의 소설들 중 「귀향연습」, 「별을 기르는 아이」, 「조율사」를 통하여 이청준 소설에서 모종의 반복이 드러남을 밝히고, 그 반복의 이유를 정신분석학적 독법으로 해석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프로이트와 라캉은 ``fort-da`` 놀이를 통해 반복을 설명한다. 프로이트는 엄마의 부재라는 과잉 자극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놀이 상황에서 자극을 상징적으로 반복한다고 설명한다. 트라우마를 극복하고자하는 본능이 반복강박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라캉은 ``fort-da`` 놀이의 반복이 오히려 분리되지 않을까봐 생기는 불안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타자의 욕망의 대상에서 벗어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이 그런 놀이를 고안하게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욕망은 충족될 수 없다. 본고에서는 이 욕망의 충족 불가능성에 주목하여, 이청준의 소설에서 드러나는 반복이 거기서 추동됨을 밝히고자 한다. 이청준 소설에서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반복은 귀향과 탈향의 반복이다. 본 고는 「귀향연습」을 분석함으로써 엄마에 대한 욕망과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자 하는것이 귀향과 탈향을 반복하는 이유임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청준 소설에서는 사람 찾기의 종결을 유예함으로써 끊임없이 찾는 행위를 반복하는 양상을 보인다. 「별을 기르는 아이」는 이러한 모습을 잘 드러내고 있다. ``엄마``의 대신항으로서의 ``누나``를 찾는 행위를 종결하지 않으려는 주인공의 모습을 통해, 욕망의 대상을 찾는 과정이 욕망하는 주체로서의 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함을 설명한다. 「조율사」는 위의 두 반복을 모두 드러내면서, 소설의 완성을 유예하는 모습으로 반복을 변주하여 나타낸다. 소설의 완성이라는 욕망을 만족시키지 않으려는 주인공의 모습은, 이청준 작가의 다작을 설명하는 키워드가 될 수 있다. 결국 이청준에게 있어서 욕망의 만족을 유예하는 것이 그의 소설쓰기의 원동력임을 밝히는 것을 본고의 목적으로 한다. The repetition is the feature playing unceasingly a variation in of the novel of Lee Cheongjun. This study has meaning for translating a reason of the repetition into reading of psychoanalysis and clarifying some repetition hidden in his novel as `` The Gwi Hyang Yen Seub``, ``A child raising a star``, ``A tuner.`` Freud and Lacan explained a repetition through ``fort-da`` playing. Freud explained that a child who faces and want to overcome an absence of mother, excessive stimulation, repeats the stimulation symbolically in the playing situation that is in control of the child. The instinct that tries to overcome the trauma causes repetition compulsion, he said. Lacan explained that an anxiety child feels for not being separated raises the repetition of ``fort-da`` playing. The anxiety that child feels for not being able to escape from the other``s greed made such a playing. But, the greed could never be fulfilled. This study is to clarify where the root of the repetition of Lee Cheongjun``s novel comes from by understanding the impossibility of fulfilling this greed. The significant repetition in his novel is the repetition of the return of the Native and escaping home. By analyzing the Gwi Hyang Yen Seub,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 of the reason of repetition for homecoming and escaping home, and keeping a proper distance from the greed on a mother. And, also there is feature repeating the behavior for seeking the by postponing the end of looking for a person in his novel. A child rising a star shows this feature well. By the main character not giving up seeking the elder sister instead of a mother, it explains that the process of seeking the greed object keeps a position of the person who is seeking greed. A tuner shows two repetition of them above and the repetition by playing a variation with postponing the end of the novel. The keyword for his many works is the his effort for not fulfilling the greed as completion of the novel.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as for Lee Cheongjun, postponing fulfilling the greed is driving force of his writing novel.

      • KCI등재

        ‘우화시대’에 반영된 이청준의 형식적 실험

        주효주(Ju, Hyo-ju)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68 No.-

        본고는 이청준의 1980년대에 출간된 ‘꽁트집’을 대상으로 그것의 독특한 특징과 의미를 검토하고자 한다. ‘꽁트’는 소설의 다른 한 형식으로서, 꽁트의 대량생산은 1980년대는 우리 문학의 한 특징이었다. 이청준 역시 단편 중편 장편 소설과 더불어 ‘꽁트’로 꾸준히 창작을 해왔다. 1970년대부터 창작된 그 작품들은 1980년대에 『치질과 자존심』, 『사랑의 목걸이』, 『따뜻한 강』으로 엮여 출간되었다. 그런데, 이청준은 왜 ‘꽁트’라는 형식으로 꾸준히 창작을 해왔는가. 1970년대부터 창작, 발표되었던 ‘꽁트’들이 1980년대 세 권의 ‘꽁트집’으로 묶인다는 것은 그의 문학에서 어떠한 의미로 이해할 수 있는가. 이러한 물음들을 이해하는 데에, 형식과 내용에 대한 지젝의 논의는 매우 유용한 참조점을 제공한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어떤 형식적 절차는 (서사적) 내용의 어떤 측면을 표현하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겉으로 드러난 서사에서 배제된 내용을 나타내거나 표시하는 것으로서 파악해야 한다. 형식은 내용의 ‘억압된 측면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서사적 내용의 ‘전부’를 재구성하려면, 겉으로 드러난 서사적 내용 그 자체뿐만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 내용의 ‘억압된’ 측면의 대리물로 행위하는 형식적 특징들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는 이청준의 ‘꽁트’를 새롭게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1970-80년대 그의 ‘꽁트’들이 총망라되어 있는 『따뜻한 강』과 그중에서도 ‘Ⅳ. 우화시대’ 계열의 작품들에는 1980년대 이청준의 ‘꽁트’의 핵심이 집약되어 있다. 그 작품들은 ‘우화’의 성격을 잃지 않은 채로, ‘비논리적인 전제에 근거한 믿음과 그 믿음의 파국적 결과’라는 주제를 반복적으로 나타낸다. 이를 통해, 그가 ‘콩트’라는 형식을 선택하여, 그 형식을 일종의 실험으로 반복함으로써, 비논리적인 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포착하고, 선명하게 드러내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소설 소문의 벽 에서 진술 불가능성이라는 문제와 진술을 불가능하게 하는 원인 해명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면, 소설에서 직접적으로 표현되지 않은, ‘요새’, "근래‘, ’이시대‘에 해당하는 상황 그 자체에 초점을 두고 그것을 비논리적인 상황으로 규정하고, 대상화하여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는 작업이 ‘꽁트’라는 형식적 실험으로 이루어졌다. 더 나아가서, 1980년대의 세 권의 꽁트집 출간과 『따뜻한 강』의 ‘Ⅳ.우화시대’에서 반복적으로 보여준 형식적 실험은 이청준의 문학적 소임에 해당한다. 그는 자아실현을 가로막고 방해하는 당대의 비논리적인 상황 자체를 대상화함으로써, 자신의 문학적 소임을 다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와 같이, 그의 ‘꽁트’는 1970년대 그가 쓴 소설의 서사에서 직접적으로 표현되지 못한 ‘억압된’ 측면의 또 다른 배출구에 해당하므로, 그의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 소설과 더불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a unique feature and meaning of Lee Cheong-jun’s conte works in 1980s. Along with short novels, novella and novels, he created works of conte consistently. In 1980s, his conte works was published in The hemorrhoids and Self-respect, The necklace of love, The warm river . This paper raises questions that why he created consistently in the form of a conte and what is the meaning of Lee Cheong-jun’s conte works in 1980s. To understand them, Slavoj Žižek’s idea about form and content provides a useful reference point. According to it, we conceive a certain formal procedure not as expressing a certain aspect of the (narrative) content, but as marking or signaling that part of the content which is excluded from the explicit narrative line. So, if we want to reconstruct “all” of the narrative content, we must reach beyond the explicit narrative content as such and include those formal features which act as a stand-in for the “repressed” aspect of the content.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reconsider Lee Cheong-jun’s conte. The core of Lee Cheong-jun’s conte works in 1980s was implied in ‘Ⅳ. The Ages of Allegory’ of The warm river. Maintaining a feature of allegory, they shows same theme of a belief based on the irrational premise and its catastrophic consequences. This means that he chose the form of a conte to capture and reveal more clearly an irrational situation and he repeated constantly the form of a conte as a kine of experiment. Furthermore, it corresponds to the literary responsibility that he published three of conte works in 1980s and continued a formal experiment in ‘The Ages of Allegory’. Persisting in objectifying an irrational situation which hiders self-realization, he tried to fulfill his literary duty. Therefore, to understand Lee Cheong-jun’s literature, his conte needs to be dealt with on the same basis as his novel, for it is other outlet which acts as a stand-in for the “repressed” aspect of the content in novel.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 드러난 금기와 용서의 아포리아

        최현주 ( Hyun Joo Cho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4

        언표화된 담론의 질서로서의 금기의 기원과 기능을 한국소설사에서 일찍부터 포착해낸 이가 바로 소설가 이청준이다. 이청준 소설의 주요한 탐구대상은 한국 현대사회에서 작동하는 금기의 생성과 조직, 배치와 재생산에 대한 것들이었다. 그는 현실 공간에서 당대의 지배 권력과의 직접적 투쟁의 형태가 아니라 간접화된 문화양식으로서의 소설쓰기를 선택하여 현실 권력과의 가시적인 대결이 아니라 보다 근원적인 언어혹은 예술의 장에서 치열하게 금기와의 싸움을 수행해나갔다. 이청준 문학이 금기에의 저항과 쟁투였다고 한다면 그러한 금기와의 싸움은 언어와 담론의 질서에 대한 치밀한 탐구로부터 출발하였다. 즉 그의 소설이 언어로부터 시작해서 언어로 끝난다는 발화는 이청준 소설의 경계와 지평을 제대로 표상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그의 언어에 대한 집요한 탐구는 언어사회학 연작뿐만 아니라 그의 모든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변주된다. 결국 이청준은 자본주의 사회의 폭력성을 극복할 대안으로 언어를 매개로 한 소설 혹은 예술을 상정하고 미적 근대성을 구현하려했다. 이청준의 예술가 소설이 지향한 것은 패배와 복수,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을 넘어서는 것이었다. 그것의 궁극은 예술을 매개로 한 시대와의 화해와 용서였다. 그런 점에서 예술가소설에 나오는 패배한 예술가들은 타락한 시대에 대한 패배자로서의 복수를 지향한 것이 아니었다. 근대 사회의 금기 체계에 저항하기 위한 거점으로서 예술의 세계를 발견했던 이청준이 직접적인 대결과 저항이 아닌 화해와 용서로 나아간 점은 어떤 개념과 직관으로도 포착하기 어려운, 하나의 객관적인 총합으로 환원되지 않는다는점에서 아포리아적이다. It was the novelist Lee Cheong-jun that grasped the origin and functions of taboo as the order of locutionary discourse early in the novel history of Korea. In his novels, he focused his inquiry on the creation, organization, arrangement and reproduction of taboos that were working in modern Korean society. Instead of engaging in direct struggle with the ruling power of the times in real space, he chose to write a novel as an indirect style of culture and had fierce fights against taboos in the more fundamental linguistic or artistic venues rather than visible face-off with the real power. His literature presented his resistance and struggle with taboos, and his fights against taboos began with his minute inquiry into the orders of language and discourse. That is, the saying "Lee``s novels start and end with language" represents the boundaries and horizons of his works correctly. His persistent inquiry into language was in repeating variations across all of his works as well as the series Sociolinguistics. In the end, he introduced language-mediated novel or art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violence of capitalist society and tried to embody aesthetic modernity. In his artist novels, he was oriented toward a place beyond the dialectic between defeat and revenge and between the master and slave. Its ultimate point was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with an era via art. In that aspect, the failing artists in his artist novels did not seek evenge as losers in the degenerate days. Lee, who discovered the world of art as a base of resistance against the taboo system of modern society, moved toward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rather than direct confrontation and resistance, which is some sort of aporia in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with any concept and intuition and cannot be reduced to a single objective sum.

      • KCI등재

        이청준의 창작론 연구 (1) -``진실의 증거``를 향한 도정(道程)

        이미란 ( Mi Ran L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9

        이청준은 소설가가 주인공이거나 서술자인 ``소설가 소설``을 통하여 자신의 창작론을 표명해 왔다. 그의 소설가 소설은 ``소설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탐색의 노정이 담긴 소설들로서 창작론의 입장에서 볼 때 각별하게 논의할 점을 제시해 준다. 이 논문은 이청준의 창작론을 그의 대표적인 ``소설가 소설``인 소문의 벽, 『지배와 해방』, 「비화밀교」, 『자유의 문』, 『인문주의자 무소작 씨의 종생기』 등을 비롯하여 작가의 직접적인 어조가 드러난 산문, 대담 등 2차 텍스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논의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창작원리로서 이청준 문학을 해석할 수 있는 틀과 사유의 밑 바탕을 해석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이청준의 창작론이 진술 욕망과 좌절의 징후, 자유의 질서와 삶의 진실, 진실의 증거와 갱신 등으로 전개되어 나가는 과정을 읽었으며, 논의를 진행하면서 ``진실의 증거``라는 주요한 화두가 이청준의 초기부터 후기 소설에 이르는 동안 지속적인 고뇌의 깊이를 마련한 창작론의 대전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청준은 개인과 사회, 현실과 역사, 문학과 종교 사이에서 끊임없이 소설의 길을 탐색해 왔다. 이청준에게 있어서 ``진실의 증거``는 곧 자유의 질서를 획득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리고 그 진실이란 작가와 독자, 그리고 사회의 삶과 유리되지 않은 ``자유의 질서``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즉 작가가 소설 속에 담아내는 진실은 ``인간의 삶``과 유리되지 않는 것으로서 삶의 자유를 얻기 위해 진실의 증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rough what the creative writing theory of Lee Cheong-jun is and how it is embodied in his works. For this, his major works of fiction in which novelists play a narrator or a main character, The Wall of Rumors, Rule & Liberation, Secret Fire Esoteric, Gate of Freedom, The Life Story of Humanist Mr. Musojak and secondary texts from his prose works, lectures, symposiums are analysed. In The Wall of Rumors, through the story of a novelist who has the dread of making a statement, Lee Cheong-jun embodies his creative writing theory in which the novelist has the desire to make a true statement and fiction must be comprised of novelist`s free statements as well as present symptoms of the age`s crises. In Rule & Liberation, by showing the novelist`s lecture as it is, he reveals his creative writing theory. There, taking a step further, he writes that the novelist has a desire to present ``order of freedom``; research for the brave ways against inhumane systems and repression, and fiction is a work of broadening or maintaining life`s freedom by presenting actively the order of freedom. In Secret Fire Esoteric, through the story of a ritual not wanted to be revealed, he shows that the novelist`s statements can be restricted by not only social systems and repression but also excessive spiritualism. Because the novelist narrator sympathized with the spiritualist who disclosed that any truths or facts, when revealed, can be compromised with the mainstream, he felt restriction being placed upon the novelist`s free statements. In Gate of Freedom, by showing the contrast between two main characters, the novelist and the spiritualist, Lee Cheong-jun reveales a matter not resolved in Secret Fire Esoteric. In other words, fiction is the novelist`s free statement on truth, specifically it is a work trying to broaden or maintain practical freedoms and love based on morality, and it is only possible through sustained self-reflection and change. In The Life Story of Humanist Mr. Musojak, through the allegorical life story of the storyteller, Musojak, Lee Cheong-jun presents that fiction should be a story not separated from the real world, and it is possible when fiction reveals the evidence of the truth. Lee Cheong-jun has undergone a process to complete his creative writing theory of ``A Journey to the Evidence of Truth`` through his novelist`s works of fiction.

      • KCI등재

        서사적 ‘자기’ 창출과 사유의 네트워크

        이미영 ( Lee Mi-yo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51

        이 글은『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의 창작과 개제(開題), 출간에 이르는 시기를 중심으로, 당대의 인식론적ㆍ담론적 조건 속에 이루어진 사유의 교류를 통해 이청준 문학의 서사적 ‘자기’의 형상이 창출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 논의하려는 작가적 존재는 자신과 세상을 명확히 구분하면서 자율적 주체성을 연출하는 ‘개인’이 아니라 사회ㆍ문화적 기준과 담론이라는 콘텍스트의 그물망 속에 놓여 있는 ‘인간’에 가깝다. 이러한 ‘인간’의 자기인식, 그로부터 만들어지는 자기서사란 필연적으로 그가 속해있는 사회적 집단의 인식과 연동될 수밖에 없다. 이 글이 ‘1968년’의 한국에서 ‘사르트르’ 그리고 ‘앙드레 지드’라는 세계문학이 번역되고 의미화되던 문화사적 배경과 번역을 매개하고 담론을 주도했던 이들과의 교류 속에 있었던 이청준의 경험 전반을 고려하면서, 사르트르-(정명환)-이청준 혹은 (사르트르)-앙드레지드-이청준과 같은 선들이 교차하고, 교섭하는 양상에 주목한 이유는 그 때문이다. 이를 통해 1960년대 후반의 한국을 살아가는 지식인 작가이청준에게 접속되었던 ‘무엇’들이 그의 문학 속 ‘자기’ 창출의 조건이자 계기가 되었음을 논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 후반 이청준은 사르트르를 참조하며 ‘개인’과 ‘사회’ 사이에서 그의 문학이 감당해야 할 과제를 찾아 문학론을 정립해나간다. 한편, 1971년에서 72년 사이 이청준은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을 『젊은 날의 이별』로 다시 쓰는 과정에서 ‘전통’에 대한 인식을 재맥락화한다. 종합하자면, ‘선고유예’에서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으로의 개제(開題)로 상징되는 서사적 ‘자기’ 창출의 논리는, 당대 문인들에게서 공유되었던 새로운 문학을 향한 도약이라는 집단적 열망 속에서 세계문학을 자기화하는 경험을 통해 세워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을 서사적 ‘자기’인 ‘이준’이 기록하는 ‘열흘’이라는 시간이 갖는 의미를 중심으로 재독하였다. 작가는 텍스트 안과 바깥의 구분을 흐트러뜨리는 서사적 ‘자기’를 ‘4·19세대’로 탄생시키면서, 그의 미래가 그가 쓰는 ‘소설’과의 관계 속에서만 개시(開始)되도록 하였다. 이를 ‘자서전’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표명한 것은 서사적 ‘자기’가 희구하는 ‘새로운 시간’은 강고하게 닫혀있는 지금-여기의 현재와 과거를 연속적ㆍ인과적인 흐름으로 잇는 자서전이 아니라, 현재와 관계하며 새로운 미래를 도래하게 만드는 소설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청준의 소설을 문학과 사회의 관계맺음으로 읽고자 하는 이 글의 시도가 4ㆍ19세대 문학(인)의 형성의 의의를 안과 밖의 교섭으로 재구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ocusing on the composition, titular revision, and publication of the novel Ssuieojiji Anheun Jaseojeon (Unwritten Autobiography), this essay illuminates an exchange of ideas which shaped novelist Yi Chong-jun’s narrative self and locates this process within contemporary discourses and epistemological conditions. This essay understands the author not as an ‘individual’ characterized by autonomous subjectivity and a clear distinction between self and world, but as a ‘human’ within a network of sociocultural criteria and discourse contexts. This human’s sense of self, and the narrative self constructed from it, is inevitably interlocked with the episteme of the social group. Thereore, this essay draws attention to the cultural context of 1968, when Sartre and André Gide were translated and introduced to Korea as world literature, and considers Yi Chong Jun’s interactions with those who led the contemporary discourse and mediated such translations in order to delineate the complex lines of intersection and negotiation leading to Yi Chong Jun from Sartre (through Jeong Myeong Hwan) or Gide (beginning with Sartre). Through this discussion it becomes clear that Sartre and Gide, as encountered by Korean writers and intellectuals in the late 1960s, provided the conditions and occasion for the creation of narrative self in Yi Chong-jun’s writing. In the late 1960s the theory of engagement set out in Sartre’s What is Literature? resonated with Yi Chong-jun. When read with reference to this Sartrean context, “Gongbeom(The Accomplice)” and “Haengbogwonui Yesu(Jesus in the Orphanage)” express ethical concerns about the place and role of the narrative self caught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Also, in the process of rewriting Gide’s Strait is the Gate through the serialization of Jeolmeun Nalui Ibyeol(Youthful Partings) between 1971 and 1972, Yi Chong-jun gained new insights into the concept of tradition. After this experience of integrating world literature into the self, Yi Chong-jun changed the title of Seongoyuye (Suspended Sentence) to Ssuieojiji Anheun Jaseojeon, indicating that this encounter with Gide was an occasion which supplemented the logic of narrative self-creation. When read as a part of this process of self-perception, the meaning of the ten-day period recorded by the character Yi Jun in Ssuieojiji Anheun Jaseojeon becomes clear. The author creates a self which tears dow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worlds inside and outside of the text, allowing the future of that self to commence only in relation to the novel being written, such that this life unfolds atop the boundary which dislodges a ‘present’ life tightly closed-off within the here-and-now. This is expressed through a rejection of autobiography because the ‘new time’ hoped for by the narrative self is possible not through the form of autobiography, which connects the past and present in a continuous, causal flow, but through a novel that draws out a new future by relation to the present. This essay’s attempt to read Yi Chong-jun’s novel within its societal relations offers an opportunity to rearrange understandings of how the 4.19 generation of literature and writers developed in light of the rich inter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