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상의 「날개」와 연구의 방향성

        김종회(Kim, Jong-Hoi)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4

        이상의 문학은 소설을 비 소설화하고 난해하게 시를 쓰며 다다이즘, 심리주의적 경향, 무의식 상태의 기술, 모험과 좌절의 표현, 과다한 실험성을 내보이는 등 한마디로 부정과 파괴와 가치 전도의 대명사 같은 것이었다. 이는 당대의 문단과 문학인들에게는 하나의 격렬한 충격일 수밖에 없다. 이 글에서는 그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이상의 대표적인 작품 「날개」를 면밀하게 살펴보고, 그 연구의 두 가지 방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그의 시대와 작품세계, 「날개」에 대한 분석에 이어 이상 및 「날개」 연구가 어떤 논의 구조 위에 서 있으며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논의하였다. 지금까지 이상의 작품에 관해서는 수없이 많은 평자들의 논의가 있어 왔고 또 그러한 논의는 오늘날까지 연장되어 끊이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그동안의 문학사적 평가 및 연구사도 대단한 분량과 다양성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를 개괄적으로 요약해 보면, 이상이 독특한 개성을 가진 문학인이었으며, 현대시 또는 현대소설의 세계와 영역을 확충하는 의미 있는 문학사 업적을 남기었고, 그러한 사실이 문예사 조적인 측면에서는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심화를 가져왔다는 점, 그리고 시적 리듬이나 소설적 기법에 있어서도 파괴적인 변형을 통해 새로운 지평을 일구어 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러 논자들의 글을 두루 살펴본 결과 이상 문학에 대한 평점은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으로 대별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김윤식을 비롯하여 문학사회학의 창을 통해 이상을 진단한 논자들은 그의 문학사적 역할과 기여를 인정하면서도 그 미덕을 부각시키는 것보다는 자폐적 문학 공간이 내포하는 부정적 측면과 넘어서지 못한 한계를 더 노출시켜 논의를 진행했다. 반면에 황패강을 비롯하여 신화문학론의 견지에서 이상을 연구한 학자들은, 이상이 새로운 삶을 촉발시키는 희망적 전망을 내보이고 있다는 제의적 관점의 설정과 더불어 이를 긍정적 측면에서 검토해 나갔다. 이 글에서는 이상의 문학을 논의하면서 시대 및 사회적 환경, 그리고 생애사적인 문제, 문예사조적인 문제 등이 어떻게 작품에 영향을 미치거나 반영되어 있는가를 살펴보고 또한 그의 문학을 논의한 많은 평자들의 시각과 관점을 일반론, 시론, 소설론, 기타의 순서에 따라 검토해 보았다. 아울러 그의 문학이 오늘날까지 문제시되는 것은 세계를 보는 태도의 독특함과 강렬성 때문이란 판단 아래, 이 문제를 발전시켜 나갈 이상론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서도 일정한 토대를 세워 보았다. Lee Sang"s literature represented denial, destruction, and inversion of the literary values in which novels and poetry are out of their traditional format as well as displaying Dadaism, psychological trend, unconscious skill, risky and frustrated expression, and excessive experiments. It had been a rupture and shock to the literary circle of the time. This article, under such a critical mind, examined the leading novel of Lee, 「The Wing」, in details and two directions of studying it. For the very purpose, analysis on his generation, literary world, 「The Wing」itself along with the proper state of reading Lee and 「The Wing」was discussed. Till now, there have been numerous discussions on Lee Sang"s works and continued as of today. Reviewing the previous criticism and researching history, in massive quantity and diversity, Lee was a literary figure with a unique character who left a meaningful asset for broadening the domains of modern poetry and novels. This fact brought the deepening of modernism in Korean literature in the aspect of literary trend. Also, the destructive transformation in poetic rhythm and fictional technique has opened a new era from the evaluation of critics. The general classification is either positive or negative on Lee Sang"s literature after the inspection of different disputants. Kim Yoon-Sik, representing the former perspective, used the standpoint of literary sociology which acknowledged Lee"s role and contribution to sociological literature. Yet the autistic space shown in his works and unovercamed limitation were highlighted. On the contrary, Hwang Pae-Kang and other scholars from the perspective of mythological literature respected Lee for triggering new life and hope which could be a positive factor. This article examining Lee Sang"s literature took a close look at the generational, societal, and personal condition, including literary trends, and their influence all together on his writing. Different viewpoints and perspective in the order of general, poetic, fictional, and other theories were also discussed. Admitting his peculiar and intense attitude on universe, the new Lee-Sang-ism and direction for the future study was built within.

      • KCI등재

        이상(理想)세계의 판타지적 표현연구 -풍속화와 팝 아트의 차용을 중심으로-

        서기환 동서미술문화학회 2019 미술문화연구 Vol.14 No.14

        For Confucian schools that formed the basis of East Asian philosophy, idealism was to reduce desire through various methodologies to attain the state of ideal humanity found in saintly or noble people. In Buddhism, idealism was to cut off desire itself to become Buddha or Bodhisattva, attaining true awakening, enlightenment, nirvana, and Buddha-dom. Genre painting in Korea, which depicted real lifestyles and sexual desires of the populous, which arose due to the denial of classicalism and the advent of self- complacent aesthetics of the Late Joseon Era, reflects the changes to such idealism, which came to focus more on the human desire reaching for realistic benefits. In European Philosophy, the idea of the good was proposed by the Greek philosophers Plato and Aristotle, giving rise to two thousand years of rule by logocentrism that argued for control of desire, a sub-concept, by logos, a higher concept. In the twentieth century’s capitalistic society, idealism was associated by material, and desire was no longer something to be restrained and oppressed to actualize idealistic values. After Second World War, pop art was developed to wholly accept the modern humanity depicted by their daily lives and popular culture, which instigated change in idealism in the West as well.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such Korean genre painting and Western pop art, investigating works that express idealism in fantastical methods and analyzing their idealism, contents, sculptural attributes, and expressive techniques, with the objective to reveal the significanc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of the series of works. Such contemplation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cross-sections of life within family structure represent the basal human desire in Korean genre painting, and that idealism was expressed using elements and composition of pop art, which gives symbolism to motifs and enabling fantastical composition and expression. Idealism is an important topic that penetrates the overall artistic work of the researcher, encompassing desires such as “intending to do something,” “wanting something,” and “expecting or anticipating,” as well as other meanings such as “hope,” “wish,” “utopia,” and “dream.” 이상(理想)은 동양철학의 근간인 유가(儒家)에서는,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욕망을 줄이거나 없애 성인(聖人)・군자(君子)같은 이상적 인간을 성취하는 것이었고, 불가(佛家)에서는 욕망 자체를 끊어내고 없애 정각(正覺)・해탈(解脫)・열반(涅槃)・성불(成佛)에 이른 이상적 존재인 부처[佛陀]와 보살(菩薩)이 되는 것이었다. 조선후기 의고주의(擬古主義)의 부정과 자득미학(自得美學)의 출현으로 인해 대중의 현실생활과 본성[性]의 욕망을 그린 풍속화(風俗畵)는, 이전시대와 다르게 ‘현실적인 이(利)를 추구하던 인간의 욕망’이 중시되는 이상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서양철학에서는 그리스시대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선(善)의 이데아(Idea)’가 이상으로 제시된 후, 하위개념인 욕망이 상위개념인 이성(理性, logos)에 의해 통제되고 제어되어야 한다는 로고스 중심주의(Logocentrism) 철학이 지난 2천 년간 지속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이상은 ‘물질(物質)’이 되었고, 이상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욕망은 더 이상 절제하고 억압되어야하는 것이 아닌 시대가 되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일상과 대중문화 같은 현대인의 모습을 그대로 수용하고자 하는 팝 아트(Pop Art)가 등장함으로써, 서양도 새로운 이상의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풍속화와 팝 아트를 차용하여 판타지적 표현으로 창작한 연구자의 작품에 담겨있는 이상(理想)과 화의(畫意), 조형적 특성 및 표현기법 등을 분석하여, 이들 일련의 작품들이 갖고 있는 의의와 특성, 미적가치를 구명(究明)하는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가족(家族)안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단면들은 풍속화가 담고 있는 인간본성의 욕망에 투영하고 있고, 그 이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팝(Pop)적 요소와 구성법을 차용해 모티프(motif)의 상징성을 부여하여 판타지적으로 구성표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은 연구자의 작품 전반을 꿰는 주요한 주제로서, ‘하고자 하다’, ‘바라다’ ‘기대하거나 원하다’의 욕구(欲求) 또는 욕망(欲望)을 나타내는 의미와 ‘희망’, ‘바람’, ‘유토피아(Utopia)’, ‘꿈’ 등의 의미도 함께 포괄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 이상동기 범죄자의 유형 및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안상원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19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2

        이 연구는 이상동기 범죄자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이상 동기 범죄의 개념과 원인, 유형 등을 학문적으로 명확하게 규정하였다. 둘째, 이상동기를 가진 전체 범죄자의 판결문을 분석하여, 객관적인 유형을 제시하여 범죄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이상동기 범죄자의 선고형량 특성에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여 범죄자 형량의 실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상동기 범죄자와 선고형량의 특성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범죄자 특성은 개인적・사회적・범죄행동으로 구분하고 선고형량 특성은 양형결정과 형량결정 요소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상동기 범죄자의 유형화를 분석하 였고, 유형화된 이상동기 범죄자 특성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2-STEP 군집분석과 교차통계분석 등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분 석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판결문에서 적합한 사례 등을 제시하였다. 이상동기 범죄자 유형은 2-STEP 군집분석 기법을 통해 변수의 성격을 고려하여 총 64회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상동기 범죄 유형은 ‘화풀이에 의한 범죄자’, ‘이유 없는 범죄자’, ‘정신병에 의한 범죄자’의 3가지로 분류 되었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결과에 따라 이상동기 범죄자의 유형 및 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동기가 불분명한 범죄행동을 ‘이상동기 범죄’라는 범죄학적 용어로써 학술적인 개념이 도출 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약물이상반응 감시 현황: 단일기관 10년 자료 분석

        박수빈 ( Soo Been Park ),문미라 ( Mira Moon ),김현화 ( Hyun Hwa Kim ),박가윤 ( Ga-Yoon Park ),강동윤 ( Dong Yoon Kang ),이주연 ( Ju-yeun Lee ),조윤숙 ( Yoon Sook Cho ),강혜련 ( Hye-ryun Kang ),조상헌 ( Sang-heon Cho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4

        목적: 의약품의 적절한 사용에도 불구하고 약물이상반응(ADR)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약물이상반응과 중대한 이상사례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에 2010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보고된 약물이상반응 평가자료를 분석하였다. 약물 사용과 이상사례 발생의 인과성은 세계보건기구 웁살라 모니터링센터(World Health Organization-Uppsala Monitoring Centre, WHO-UMC) 인과성 평가 기준을 기반하여 확실함(certain), 가능성 높음(probable), 가능성 있음(possible)으로 평가된 사례들만 분석에 포함하였다. 연령, 성별, 증상 발생 시기, 중증도 및 위중도 그리고 약물이상반응, 중대한 이상사례의 신체기관계 분류가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총 49,955건의 약물이상반응 평가지가 가능성 있음, 가능성 높음, 확실함으로 평가되었다. 위장관계 증상(25.9%)은 전체 보고 건수에 비해 중증(2.6%)의 비율이 낮았던 반면, 혈액학적 질환(6.6%)은 중증(39.2%)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약물이상반응 중 10.2%가 중대한 이상사례로 평가되었으며, 양 극단의 연령대에서 중대한 이상사례의 비율이 높았다. 신체기관계 분류로 분류하였을 때는 전신 질환이 가장 많이 보고되었으며 그 뒤로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가 많았다. 항암제와 항생제가 중대한 유해사례의 의심약제로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가장 흔한 중대한 이상사례였다(6.5%). 결론: 중대한 이상사례의 비율은 신체기관계 분류와 약제 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양 극단의 연령대에서 중대한 유해사례의 비율이 높았으므로 어린이와 노인에서는 잠재적인 중대한 유해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Despite proper use of pharmaceuticals, adverse drug reactions (ADRs) can lead to problems related to patient safet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DRs, particularly serious adverse events (SAEs), in a single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Methods: Spontaneous ADR report data collected from 2010 to 2019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assessed. Causa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Uppsala Monitoring Centre criteria. Age, sex, onset, severity, seriousness, and system organ class (SOC) of ADRs and SAEs were analyzed.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49,955 individual case safety reports were assessed as possible, probable, or certain. Although the number of gastrointestinal ADR reports was high (25.9%), severe cases were uncommon (2.6%). By contrast, the number of hematologic disorders was low (6.6%) but 39.2% of them were severe. Among ADRs, 10.2% were assessed as SAEs, the proportion of which was high at extreme ages and in males. Body as a whole-general disorder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OC for SAEs, followed by skin and appendage disorders. Antineoplastic agents and antibiotics were the most common causative agents of SAEs and ADRs. Anaphylactic reaction was the most frequent SAE (6.5%). Conclusions: The proportion of SAE differs according to SOC and drug.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AEs in children and older adults because the rate of SAEs is significantly higher at extreme ages. (Korean J Med 2021;96:341-351)

      • KCI등재

        이상(李箱)의 초기 시에 나타난 상형문자적 상상력

        김흥년(Kim, Hung-nyun)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39

        이상의 작품은 시, 소설 할 것 없이 거의 전기적(傳記的) 내용을 바탕으로 쓰였다. 그러니 시와 시, 시와 소설, 소설과 소설 간에서도 일관된 텍스트-상관성이 발견된다. 이런 텍스트-상관성은 이상의 시에서 풀기 어려운 상징적 기호를 해석하는 데 무척 요긴하다. 따라서 이 소론은 이상의 소설에 나오는 결혼 전의 이야기와 그의 초기 시를 비교해 △나 ▽같은 도형의 상징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했다. 건축 기사인 이상의 별난 투시벽(透視癖)이 그의 소설과 시 간(間)에도 작용한 듯하다. 그의 초기 시는 그의 결혼 전 이야기의 ‘조감도(鳥瞰圖)’같이 그려졌다. 이상의 시에 나온 △나 ▽은 마치 글자처럼 의미 작용을 한다. 따라서 필자는 이상의 시에 나타난 이런 상상력을 상형문자적이라 부르고자 한다. 이것이 단순한 타이포그래픽(typographic) 상상력이 아니라는 증거가 바로 「異常한 可逆反應」이라는 시(詩)다. 이상의 초기 시에서 상형문자적 상상력을 발견한 이 소론으로 필자는 이상의 결혼 전 연애사까지 덤으로 건질 수 있었다. 또한 필자는 이상이 1930년경 몸소 겪은 식민지 조선의 신여성론(新女性論)을 간과할 수 없었다. 이상의 초기 연애사는 필자에게 대뜸 키에르케고르의 『유혹자의 일기』까지 생각나게 했다. △나 ▽은 이상의 초기 여성관이 지닌 그런 ‘유혹자’의 모순적 감정의 상징이다. 이 소론으로 이상의 초기 시나 결혼 전 이야기에까지 무차별적으로 가해지던 프로이드식 범성욕주의적 해석은 지양돼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상(李箱)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든 연애에 서투른, 꽁뜨(Comte)가 말한 그런 ‘형이상학적’ 소시적(少時的)은 있기 마련 아닌가? 누구나 이상이 쓴 ‘유혹자의 일기’가 죽음을 위장한 ‘金칠’인 줄 모르는 것도 아니지 않는가? Most LeeSang’s works were written based on his biographical story without distinction of poems and novels. Therefore is consistently found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m and poem, between poem and novel, between novel and novel. Such intertextuality is very useful in interpreting the symbolic signs of LeeSang’s poems which is hard to understand. So this treatise compared LeeSang’s early some poems to his some novels derived from the unmarried life story, in order to reveal the symbolic meanings of signs such as △ or ▽. Architect LeeSang’s eccentric projecting habit seemed to work also between his poems and his novels. His early some poems were drawn as bird’s-eye view of the novels telling his times before marriage. In LeeSang’s poems, △ or ▽ makes significations like alphabets. I hope to call consequently LeeSang’s poetic imagination as hieroglyphic. A poem 「Strange reversible reaction」 is an evidence that LeeSang’s poetic imagination is not only typographic. This treatise found LeeSang’s hieroglyphic imagination in his early some poems. It told me about LeeSang’s early romances also. I could not overlook the feminism of colonial Korea in 1930’s. LeeSang experienced it lively. LeeSang’s early romances novels even reminded me of Kierkegaard’s 《Diary of a Seducer》. △ or ▽ symbolizes ‘a seducer’s ambivalence that LeeSang’s early view of womanhood evolves. This treatise could order the freudians to abstain their pan sexualism interpretations indiscriminately applied to LeeSang’s early some poems and his early romances novels. Isn’t it ordinary that everyone as well as LeeSang has his clumsy boyhood in love that Comte called as ‘metaphysical stage’? Is there anyone who doesn’t know that LeeSang’s diary of a seducer is the golden fakery of his death?

      • KCI등재

        昭和帝?의 담론 공간과 李箱적 모더니즘 : 東洋의 表象으로서의 “?” 및 “복화술”과 “역도병”의 본질

        란명(蘭明)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2

        1930년대의 “지(知)”의 표상으로서 이상의 문학 텍스트는 어디까지 인식 가능한 것인가, 그리고 그 특징을 어떤 방식으로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것인가 등의 물음을 통해 이상 연구지는 문제 의식 뿐만 아니라, 연구 방법도 질문 받게 된다. 1930년대라고 하는 역사적 현장을 되돌아보면서, 이상 그 자체에 접근하기 위한 필수적인 방법 혹은 시점으로서 필자는 李箱과 昭和帝國의 매스 미디어와의 관계를 특별히 주목하고 싶다. 李箱문학 텍스트와 昭和帝國의 담론 공간의 관계는 개략적으로, 문학예술 전문지와 각종 작품집 그리고 시사 신문 및 대중잡지와 일반서적이란 두 가지의 테두리로 나눌 수 있다. 월경적인 시적 실험은 주로 전자와 깊게 관계되어 있고, 정치 역사적 문제에 돌진하는 경우는 대략 후자의 화제로부터 소재를 취하는 것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의 李箱연구에서는 전자가 주목받고 있지만, 후자 즉 李箱과 昭和帝國의 매스 미디어와의 관계 및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인식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개별 작품의 이해뿐 아니라, 이상의 시적 정신의 특징과 시적 방법론의 프로세스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상상력의 결여가 드러나고 있다. “?”연작시를 둘러싼 연구는 그 일례이다. 李箱연구에 있어서의 연약한 일면을 시야에 담아, 이 글은 동아시아의 정치 · 역사적 배경에서, 李箱적 모더니즘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 보다 유효하고 또한 필요한 사고 방법으로서 ‘李箱과 昭和帝國’이라고 하는 독특한 틀의 수립을 시도하려는 의도로부터 출발했다. 주로1930년대 昭和帝國의 담론공간에 비추고 구체적인 고증을 바탕으로 “?”연작시를 다시 읽으면서, 이 시작의 창작 계기, 개의 의미 구조, 특히 “복화술”의 프로세스와 “역도병”의 심층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연작시에서 “복화술”적으로 그려져 있는 1930 년대의 ‘동양’의 환영, 혹은 이상과 昭和帝國의 담론과의 갈등 또한 대치의 실태를 분명히 하고, 거기에서 이상적인 모더니즘의 특징을 포착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이상의 ‘거울’, 환상의 기표에 비친 주체 인식

        배선윤(Bae, Seonyun) 이상문학회 2020 이상리뷰 Vol.- No.16

        ‘거울’은 자기 반영의 도구이자 자기 소외의 속박이다. 인간주체는 끊임없이 거울을 통해 확인하는 이미지로 자아를 재구성한다. 하지만 거울로 확인하는 자아는 나르시시즘 단계에서 형성되는, 근본적으로 본질에서 소외된 환상이다. 이런 소외와 분열의 양상을 가장 전형적으로 거울에 담은 시인이 이상이다. 이상이 표현한, 주체 반영 속에서 확인하는 인간의 소외와 절망은 이상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다른 방향에서 해석될 수 있다. 인간이 언어적 존재이며, 본질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다는 라캉의 이론은 인간이 거울 앞에 서는 욕망과 절망의 본질을 설명해준다. 거울 앞에 서는 욕망을 실패함으로써 주체는 자기 본질에서 소외되고, 그 소외에서 분리로 나아갈 때 주체화를 이룬다. 이상은 거울이라는 기표로 주체가 어떻게 소외되어 분리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표현하고 있다. 말하는 주체로서 이상은 거울 앞에 서서 포착하는 자아상이 환상과 망상임을 인식한다. 이상의 시 쓰기는 곧 그 발견의 과정이다. 라캉이 말하는 거울단계는 인간이 최초로 통합된 자기를 발견하는 인생초기 발달단계이지만, 그 때 만나는 자아상은 상상계 속에서 만나는 허상이다. 이 허상에서 소외되고 분리될 때, 인간주체는 무의식의 주체로서 탄생하고, 윤리적 주체로 나아갈 수 있다. 이상이 짧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욕망과 절망을 오가면서 쓰기를 멈추지 못한 것은 이상이라는 인간주체가 곧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는 과정이었다고 해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he ‘mirror’ is a tool for self-reflection and a bondage to self-alienation. The human subject constantly reconstructs the ego with images that are checked through a mirror. However, the ego identified with a mirror is an illusion that is fundamentally alienated from the essence, formed in the narcissistic stage. Lee Sang is the most typical poet who portrays this aspect of alienation and separation in a mirror. However, if we change our perspective a little, the alienation and despair of human expressed by Lee, can be interprete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of Lee. Lacan’s theory that humans are verbal beings and must be alienated from their essence explains the nature of desire and despair that humans stand in front of a mirror. By failing the desire of humans to stand in front of the mirror, the subject is alienated from his essence, and when the alienation proceeds to separation, the subjectification takes place. Lee expresses how the subject is alienated and must proceed to separation with the signifier of the mirror. As the parlêtre(speaking subject), Lee recognizes that the ego-image captured by standing in front of a mirror is an delusion and phantasy. Poetry writing of Lee is a process of this discovery. Mirror Stage Lacan refers to is the early stage of life when humans discover their first unified self, but the ego-image encountered at that time is an phantasy that they encounter in the imaginary. When alienated and separated from this illusion, the human subject is born as the subject of the unconscious and can proceed as an ethic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at Lee’s failure to stop writing as he goes back and forth between desire and despair until end of his short life was the process of rebirth of a subject named Lee as an ethic subject.

      • KCI등재

        이상 시의 타이포그래피와 20세기 아방가르드 : 인쇄술과 문화적 액티비즘의 영향에 대한 고찰

        김지윤(Kim, Jiyoon)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이 논문은 이상 시의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연구이며 이상 문학에서의 시각 예술성에 대한 탐색이기도 하다. 이상은 많은 작품에서 타이포그래피적 실험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당시 현실에서 매우 획기적인 것이었다. 화가이면서 건축가였던 이상은 시각예술에 조예가 깊었고 문학뿐 아니라 다양한 예술 장르에 관심이 많았으며 인쇄술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있었다. 그는 활자의 형태미를 시의 새로운 속성이자 효과적인 표현기법으로 인식하였다. 20세기 모던 예술운동의 분위기를 이상은 창조적으로 받아들여 자신만의 ‘전위’의 길을 모색했고 작품 속에 직접 실험을 단행했다. 이 글은 이를 분석하기 위해 동시대 서구와 일본의 모던 아방가르드 예술운동과 관련된 논의를 살피고 경성고공에서 수학하던 시절의 분위기 및 당시의 전위 예술과 인쇄술에 대한 관심과 조예가 있었던 이상의 전기적 사실들을 점검하였다. 또한 당시 20세기 아방가르드의 모색과 겹쳐보며 이상의 작품세계가 당시의 타이포그래피 관련 동향과 동시대적인 사유를 어떻게 창조적이며 생산적으로 반영하고 있는가를 다양하게 조망해보려 했다. 이를 통해 인쇄술과 문화적 액티비즘의 영향을 고려하여, 이상 문학의 시각적 사고와 언어의 형태미를 구현하는 타이포그래피적 실험의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이상은 작품을 통해 자신의 시각적 사고와 세계관을 표현했으며 인쇄술을 활용해서 예술적 효과를 얻으려고 했다. 이상의 인쇄술, 타이포그래피 등을 통한 실험은 예술을 통해 창조할 수 있는 잠재성에 대한 모색이며 현재를 통찰하며 혁신할 수 있는 창조적 주체가 되고자 하는 욕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시적기법들은 당대의 관습에 도전한 것이며 인쇄를 통해 생각을 표현한다는 새로운 관념을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on the typography in Lee Sang’s poetry and an exploration of visual artistry in his literature. Lee Sang was an architect who majored in architecture from 1926 to 29 in the Gyeongseong engineering school of Architecture, and he also won the Joseon art contest by painting. It is natural that Lee Sang, a painter and architect, was well-versed in visual arts. Lee Sang conducted typographic experiments in his literary works. He was well versed in various genres of art, as well as literature, and recognized the formative beauty of type as a new attribute and effective expression technique of poetry. To analyze this, this article examined the atmosphere and the biographical facts of the time of learning in Gyeongseong engineering school of Architecture, and the art of avant-garde, the association of Japanese mavoyists demonstrated a unique way of realizing the generality of the time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printing and cultural activism, I examined the typography as a morphological beauty of language and the visual thinking in Lee sang’s poetry.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대동(大同)과 소강(小康), 이상과 현실의 이중주

        김기주 ( Kee Joo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儒學硏究 Vol.21 No.-

        이상사회를 제시하고 있는 다른 논의와는 달리, 『예기』 「예운」편은 추구해야 할 이상사회를 ``소강``과 ``대동``이라는 두 가지 형태, 즉 이중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상당히 특별하다. 그렇다면 다른 이상사회론과 구별되는 「예운」편의 이러한 이중성은 도대체 왜 생겨난 것이고, 그것이 가진 의미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상사회를 대동과 소강이라는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 「예운」편의 이상사회는 도대체 어떤 모습인가? 이러한 물음에 대해 이 논문에서는 세 가지 측면, 곧 『예기』나 「예운」편의 저술 혹은 편집배경, 「예운」편의 논의 구조, 대동과 소강의 내용적 특징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최종적으로 왜 「예운」편에서는 최선과 차선의 세계를 대동과 소강이라는 이중적인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각기 지향한 이상사회는 어떤 모습인지를 확인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예운」편의 이중적 구도가 갖는 기본적인 의미는 이상이란 결코 그것 자체만으로 실현되지 않는다는 점에 있음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현실과 뒤섞여 하나가 된 이상은 현실을 현실답게 하고, 이상과 뒤섞여 하나가 된 현실은 이상을 이상답게 한다는 것이 「예운」편의 정신이다. 소강은 이상과 현실이 만나는 긴장의 장이며, 이상과 현실이 조화롭게 들려주는 이중주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실과 이상(대동)이 만나는 것은 소강을 통해서다. 소강은 이상(대동)과 현실을 이어주는 매개이다. 현실은 소강을 통해서 이상(대동)에 접근하여 그것을 최대한 실현하려 하고, 이상(대동)은 소강을 통해 자신을 구체적이면서 제한적으로 드러내게 된다. Unlike other kinds of discussion dealing with Utopia, the section of 「Liyun」 in 『Liji』 is extraordinary in that it suggests Utopia in a dual way with two kinds of worlds, ``United Society`` and ``XiaoKang Society``. Then, how was such duality of 「Liyun」 differentiated from other Utopian theories created, and what is the meaning of it? Moreover, how does the Utopia look like, which is suggested in 「Liyun」 with two kinds of worlds, United Society and XiaoKang Society? Regarding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has researched separately into three parts: the background of writing or editing 『Liji』 and the section of 「Liyun」, the structure of discussion in 「Liyun」, and the content features of ``United Society`` and ``XiaoKang Society``. And lastly, this study has investigated why the section of 「Liyun」 suggests the best and the second best worlds dually with the kinds of ``United Society`` and ``XiaoKang Society`` and how the Utopia pursued by 「Liyun」 looks like. Through th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asic meaning of the dual structure of 「Liyun」, in fact, emphasizes a point that the ideal can never be realized by itself. In other words, the spirit of 「Liyun」 is that the ideal mingled and unified with the real makes the true reality and the real mixed and unified with the ideal makes the true ideality. XiaoKang Society is a tense field where the ideal and the real encounter and is the duet harmoniously played by ideality and reality. In this sense, the real and the ideal, United Society, get to meet through XiaoKang Society. XiaoKang Society is a medium connecting the ideal, United Society, with the real. Reality approaches to ideality, United Society, through XiaoKang Society and makes it come true in reality while the ideal, United Society, exposes itself limitedly as well as concretely through XiaoKang Society.

      • KCI등재

        이상(李箱)과 브라크(Braque)

        김미영 ( Mee Young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이 글은 이상의 그림과 문학에 나타난 큐비스트 브라크의 영향을 살펴, 이상문학이 갖는 현대성이 회화에서의 큐비즘적 요소들을 문학에 창조적으로 변용함으로써 가능했음을 보이려 한다. 건축가 출신의 화가기도 했던 이상은 「현대미술의 요람」에서 현대예술을 싹틔운 요람은 세잔느이며, 그 출발은 큐비즘임을 강조했다. ‘이상’이란 필명의 ‘상자 箱’자도 큐비즘의 큐브(cube: 상자)에서 온 것일 수 있다. 이상은 소설과 시에서 다시점적 구성을 하고, ‘파피에 콜레’나 ‘꼴라쥬’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숫자나 도형을 활용한 타이포그래피적인 시를 썼는데, 이들에서 브라크의 영향이 감지된다. 그의 월미도 삽화는 브라크의 그림과 흡사하고, 선전에 출품한 자(화)상은 실제 자신의 모습보다 브라크의 자화상을 더 닮아 있다. 브라크는 이상과 마찬가지로 건축가 출신인데, 세잔느의 획기적인 공간인식을 가장 지적으로 발전시켜 큐비즘을 창안한 화가이다. 이질적 소재를 이어 붙인 ‘파피에 콜레’를 최초로 시도하여 꼴라쥬 양식을 만들었으며, 건축가 출신 이라 촉각의 중요성을 간파하여 회화에 촉각적 리얼리티를 구현하였고, 투시도적 구도나 공간의 물질성도 회화에 도입했다. 이로써 브라크는 회화가 자연의 재현이나 모사가 아닌, 작가의 창조적 구성물임을 천명하여 추상미술에의 길을 열었다. 소설 <날개>, <지주회시>, <동해>, <종생기>, 연작시 <오감도>, <파첩>, <역단> 등에는 브라크의 실험적 시도들을 문학에 창조적으로 접목시켜 현대성을 구현한 이상의 모습이 담겨 있다. This article purposed to reveal how to success Lee Sang(李箱)``s literature to get modern specialities those are still useful. The conclusion is that his masterpieces are based on the techniques of creativities are from the formative arts, specially, cubist painter Georges Braque. G. Braque is the originator of cubism. He had worked on to develop cubism with Picasso. He was also created ‘papier colles’ and collage. He had put some letters or numbers on the paintings. Lee Sang(李箱)`` had borrowed from Georges Braque some skills of cubist expression, and he created transformation process of Braque’s in his consecutive poems & novels. For examples, <the Wing>, <Dong-Hae(童骸)>, <Gi-Ju-Hey-shi(지주회시)>, <O-Gam-Do(烏瞰圖)>, <Ruk-Dan-destiny or fortune(易斷)>, <Pa-Cheop(破帖)> are thoses. Also Lee Sang(李箱)`` had painted his self portrait and illustration of Wol-Ni-Do as like as G. Braque’s self portrait & painting, “Reclining Nude”(1925). That’s why Lee Sang(李箱)`` who is the best famous modernist writer in Korea could be a cubist in Korean modern literature, like as Braque or Cezanne in European fine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