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현 ( Hyun Seo ),김현 ( Hyun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음악개념과 음악교육에 대한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유아기는 음악적 능력 발달의 결정적 시기이며 유아의 음악적 능력은 음악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고 이해한 음악개념을 능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음악교육을 통하여 증진된다는 연구를 고려해 볼 때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구성된 프로그램은 만 5세 유아에게 12주간 총 24차시를 적용하였으며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표현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표현능력 발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음악개념이 음악교육에 활용될 수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뿐 아니라 음악개념에 내재된 교육적 가치를 기초로 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effects a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had on the early music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of children. To this end, a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Early childhood is considered a critical period of musical skill development, which helps young children understand musical concepts as well as express them actively, and can be developed and promoted through music education according to research.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could be important. An organized program was given to 5-year-old children for a total of 24 times over 12 weeks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program measuring the musical recognition and musical expression abilities of young children``s abilit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musical recognition and musical expression abilities in young children.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in music education and applicable to music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educational value inherent in musical concepts.

      • KCI등재

        음악개념에 기초한 음악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적 반응의 변화과정 탐색

        김현(Kim, Hyun),서현(Seo, Hy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음악개념에 기초한 음악활동을 개발·적용해 봄으로써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적 반응의 변화과정을 탐색하여 보고 그 변화가 갖는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위치한 S유치원 만 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음악개념에 기초한 음악활동을 24회 실시하였고 활동에 따른 녹화자료, 관찰일지, 교사와의 비형식적인 면담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활동 초기에는 유아들이 음악개념을 서툴게 만나면서 ‘음악개념에 흥미를 갖지 못하기’, ‘음악개념 자체를 이해한다는 것을 어려워하기’, ‘의미 없이 소란스럽게 떠들며 표현하기’가 나타났다. 활동 중기에는 유아들이 음악개념을 알아가면서 흥미를 갖게 되어 ‘신체나 악기로 다양하게 표현하는 것을 시도하기’, ‘음악개념의 특징에 흥미를 갖기’, ‘음악개념의 특징을 활용하여 즐기기’가 나타났다. 그리고 활동 후기에는 유아들이 음악개념을 조화롭게 활용하며 창의적 표현을 즐기게 되면서 ‘음악활동에 집중하기’, ‘조화롭게 활용하기’, ‘창의적인 표현을 즐기기’가 나타났다. 활동 후기로 갈수록 유아들은 음악개념을 이해해가면서 음악개념의 특징에 흥미를 갖게 되었고, 음악개념을 신체나 악기로 다양하게 표현하거나 음악개념의 특징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면서 음악을 즐기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음악개념이 음악교육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토대로 유아음악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음악개념과의 연계에 있어 다각적인 방법을 심도 있게 확대시켜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study investigated Early Children’s musical reactions by developing and applying musical activities based on music concept and examin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study involved 20 five-year-old early children of S Kindergarten in G city and Music activities based on music concept were performed 24 times. Records of the activities, monitoring records and teachers’ non-formal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indings showed that early in activities, early children awkwardly met music concept and showed ‘Not have an interest in music concept’, ‘Unable to understand music concept itself’ and ‘Loud-talk with no meaning’. Middle in activities, early children were getting to know and interested in music concept as showing ‘Try to express variously by their bodies or instruments’, ‘Interested in music concept’ and ‘Take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concept as enjoying it’. Late in activities, early children got to harmoniously take advantage of music concept and enjoy creative expression like ‘Focus on musical activities’, ‘Harmonious utilization’ and ‘Enjoy the creative expression’. Early children became interes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concept and express music concept variously by their bodies and musical instruments with using musical characteristics, as they did these activities and understood music concept.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result suggested music concept could be used in music education on early children and continue to expand in depth in order to promote the educational effects of music activities.

      • KCI등재

        음악적 자아개념 문헌고찰을 통한 유아기 음악경험에의 함의

        김지언(Jee-Ean Kim)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7

        본 연구는 음악적 자아개념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유아기 음악경험의 중요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들을 재인식함으로써 유아기 음악경험에 주는 함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음악적 자아개념에 앞서 위계적 구조의 최상위에 있는 자아개념의 정의와 발달, 특성, 구조에 대해 탐색하였으며, 일반적 자아개념의 요인과는 별개로 예술적 자아개념과 관련된 분석을 도출해 내었다. 다음으로 예술적 자아개념 전체와는 구별되는 음악적 자아개념과 그 형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함의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악적 자아개념은 개인의 음악적 능력과 음악관련 행동에 대해 자신이 지각하는 것을 통합하는 개념으로 일반적 자아개념과 같이 다면적이고 위계적인 구조를 가진다. 음악성취, 음악의 내면화,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적 자아개념은 또한 음악적 경험과 그에 대한 해석, 중요타인으로부터의 평가, 자신의 음악적 흥미에 영향을 받으며, 개인의 음악적 행위의 방향, 강도, 지속성을 결정짓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의 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 about music self-concept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n early childhood music experience by re-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xperience and major factors influencing it. For this, a search for definitio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self-concept at the top of hierarchical structure was conducted. This derived analysis and discussion related to artistic self-concept away from factors of general self-concept. Next, the study presented an analysis about the music self-concept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whole artistic self-concept and variables mainly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self-concep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Music self-concept is a concept that integrates what one perceives about individual musical ability and music-related behavior. It has a multi-faceted and hierarchical structure like general self-concept. The music self-concept that affects music achievement, internalization of music, self-esteem, and social self-concept is also influenced by musical experience and its interpretation, evaluation from other important people, and musical interest of oneself. Music self-concept is the factor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strength, and persistence of individual musical actions. Based on the research,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 개념과 음악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음악적 개념 인식의 매개 효과

        최정아(Choi, Jungah)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0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5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 개념과 음악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음악적 개념 인식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총 127명이고, 연구 도구는 Philips(2002)의‘음악적 자아 개념 척도’와 방은영, 박찬옥(2005)의‘음악교수 효능감 검사 도구’Kim과 Choy(2005)의‘음악적 개념 인식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SPSS Statistics 27.0을 이용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 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Sobel의 Test(1982)를 사용하여 재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는 첫째, 음악적 자아 개념과 음악 교수 효능감 및 음악적 개념 인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음악적 자아 개념의 하위 요인 중 가창, 흥미와 음악교수 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 결과 기대감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서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음악적 자아 개념 전체와 음악교수 효능감 전체와의 관계에서 음악적 개념 인식의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적 자아 개념의 하위 요인 중 자신감과 연주는 음악교수 효능감전체, 그리고 음악교수 능력 신념과의 관계에서 음악적 개념 인식의 매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와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 인식이 어떠한 매개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들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등의 재교육시 음악활동이 교수학습방법에만 비중을 두는 것이 아니라 음악적 개념과 같은 이론적인 부분을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musical concep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in music and the efficacy of music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were 127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private kindergartens in K province, and the research tools were SCIM(Philips, 2002), MTEBI(Bang & Park, 2005), and Self-perception on Musical Content Knowledge Scale(Kim & Choy, 2005).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7.0 according to the three-stepmediated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 by Baron and Kenny(1986), and re-verified using Sobel Test(1982). As a resul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elf-concept in music’and ‘music teachingefficacy’, all factors except‘ singing’,‘ interest’, and‘ resultant expectation’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musical concept’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all self-concept in music’and the ‘the overall music teaching efficacy’and among the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therewere partial and complete mediating effects among them.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deal with theoretical parts such as musical concepts, rather than focusing on teaching and learningmethods in the re-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s.

      • KCI등재

        ‘음악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수업 실행 및 효과

        장은주,곽진이 한국육아지원학회 2023 육아지원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교사양성과정에서 ‘음악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실행하고, 예비유아교사의음악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21년과 2022년 1학기에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수강한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97명이었다. 본 연구를 위한수업 내용은 음악교육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구성하였고,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음악 개념 이해 측정도구’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음악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수업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검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음색, 박·박자, 리듬, 셈여림에 대한 이해 수준은 낮았고, 빠르기, 음높이, 멜로디, 화성에 대한 이해 수준은 높았으며, 음악 개념 간 이해 수준의 편차가 컸다. 사후검사 결과, 8개 음악 개념에 대한 이해 수준이 모두 높았으며, 음악 개념 간 이해 수준의편차가 적었다. 사전, 사후검사의 이해 수준을 비교한 결과, 8개 모든 개념의 이해 수준이 높아졌으며, 음색, 박·박자, 리듬, 셈여림, 멜로디, 화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이해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있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mplement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Musical Concepts’ during teacher training and to assess its impact on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The participants included 97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in Gyeonggi-do, Korea. They took the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las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nd 2022. The course content was developed by analyzing literature related to music education, and the effect of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Musical Concepts’ was evaluated through pre-tests and post-tests using ‘The Tes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before the course (pre-tes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tone color, beat, rhythm, and dynamics, while their understanding of tempo, pitch, melody, and harmony was high. There was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level of understanding among these musical concepts. After completing the course (post-tes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all eight musical concepts had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deviation in understanding between these concepts was reduced. A comparison of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understanding for tone, beat, rhythm, dynamics, melody, and harmon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Musical Concepts’ has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달크로즈의 이론을 적용한 음악 개념 이해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하나영 ( Na Young Ha ) 한국달크로즈유리드믹스학회 2010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Vol.4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음악 교육과정과 달크로즈의 음악교육 이론을 토대로 음악 개념 이해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사들이 음악 개념 지도를 하는 데 있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음악 개념의 정의와 중요성, 달크로즈의 음악교육 방법을 관련 문헌이나 선행 연구논문에서 고찰한다. 음악 개념 이해력의 향상도를 알아보기 위해 달크로즈의 34단계, 교육과정 내의 교과서 제재곡을 중심으로 음악 개념 이해도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음악 개념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 사후 검사지를 작성한다. 사전 검사지를 통해 현재 학생들의 음악 개념 이해도를 측정하고, 달크로즈의 이론을 적용한 수업 모형을 단계별로 20분씩 총 20차시로 개발한다. 수업 적용 후 사후 검사지를 통해 음악 개념 이해도 향상 정도와 태도 변화를 측정한다. 본 연구는 수원에 위치한 Y초등학교 4학년 학생 총 33명을 대상으로 한다. 사전 검사지로 학생들의 음악 개념 이해도를 측정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데 2010년 3월부터 일주일에 네 번씩 총 5주에 걸쳐 적용하며 수업 시간과 아침 자율학습 시간을 활용한다. 적용이 끝나면 사후 검사지 측정 후 SPSS로 통계를 내고, 음악 개념 이해도의 향상 정도를 측정한다. 음악 개념 이해도와 더불어 음악적 태도 변화도 알아본다. 이에 따라 음악 개념 이해도 향상과 음악에 대한 태도 변화를 통계처리하였다.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통계처리 한 후, 성별과 성적에 따라 음악 개념 이해도와 태도 변화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통계처리하였다. 통계처리 결과 전체 학생들의 음악 개념 이해도가 향상되었고, 성별에 따라서는 남녀 학생 모두 향상되었으나 그 정도는 남학생이 더 컸다. 상위 학생과 하위 학생들 모두 음악 개념 이해도의 향상이 있었고, 그 정도는 하위 학생이 더 컸다. 또한 음악적 태도 역시 사전보다 사후에서 좀 더 긍정적이고 자신감을 보임으로 음악적 태도가 점차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보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달크로즈의 이론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음악 개념 이해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학생들이 신체 활동을 통해 즐겁고 적극적인 태도로 음악 개념을 받아들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적용됨으로써 자연스러운 음악 개념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신체 활동을 하면서 학생들의 반응에 변화가 있었다. 어색해하고 부끄러웠던 학생들이 점차 자신감을 갖게 되면서 재미를 느끼게 되었다. 학생, 교사 일지에서 보이듯 신체 활동을 통한 음악 학습이 개념 이해의 향상은 물론이고 학습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lessons·learning information to practical use effectively for teachers to teach the Music concept by development·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its effect for improvement of Music concept comprehension based on Music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4th grade and Dalcroze`s Music education. First of all, it is examined the definition and importance of Music concept, Dalcroze`s Musical education method from related literature or previous thesis. In order to check the improvement progress of Music concept comprehension. Music concept comprehension improvement program is developed based on Dalcroze`s 34 levels, textbook theme music in the curriculum and before after check list is made out. Music concept comprehension of current students is checked by before check list and class model applied with Dalcroze`s theory is progressed 20 minutes in total 20 times. After applying it to the class, music concept comprehension progress and attitude is measured through atrer check list. This study is proceeded with 33 students in 4th grade from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uwon, Korea. Music concept comprehension of students is measured through before check list and developing program is applied to the class time and morning self-control class 4times per week for 5weeks. Once application of program is done, after checking the check-list, statistics is analysed by SPSS and music concept comprehension improvement progress is measured. Also, it is checked how musical attitude of students is changed. Accordingly, statistics is analysed by music concept comprehension improvement progress and attitude change about music. After statistics of all students is done, statistics of music concept comprehension and attitude change by gender and school score is process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statistics, it is found that music concept comprehension of all students is improved and in terms of gender, both girls and boys are improved, but the boys show higher improvement. Both high scored students and low scored students show music concept improvement, but low scored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improvement. Additionally, after application of program, musical attitude is more positive and confidence.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It is found that program in application of Dalcroze`s theory influences the music concept comprehension improvement in positive way. Music concept class should be processed b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problem which students can accept the music concept in pleasant and active attitude through physical activity. There is change on the reaction of the student by various physical activity. Students who felt embarrassed and shy are getting confident and pleased. As being shown on the students, teacher`s report, music study through physical activity influences positively to improve the concept comprehension and study attitid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및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와 음악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최정아(Choi Jeong Ah),권수현(Kwon Su Hyun),유주연(Ryu Joo-ye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및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와 음악교수 효능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에 위치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201명이었으며, 연구 도구는 Svengalis(1978)가 개발하고 Philips(2002)가 수정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 Kim, Lee, Kwon과 Park(2011)이 개발한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 실제이해 측정 도구’,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하고 방은영, 박찬옥(2005)이 수정한 ‘음악교수 효능감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 념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교수 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 음악교수 효능 감은 대체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 전체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음악교수 능력에 대한 신념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이 더 큰 영향력을 미쳤고, 결과에 대한 기대감은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만이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1) examin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2)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nd influence among them.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0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in Gyeongnam, Korea. The measure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Concept in Music Scale (SCIM), the scale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MTEB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were about the average, besides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Thir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lf-concept in music and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mong the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the belief of music teaching ability' and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had more influence on 'the beliefs of music teaching ability'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was the only influential factor on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 KCI등재

        유치원 교육현장에서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실행과 어려움

        박유리,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6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over the practices of teaching musical concepts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ir accompanied difficulties. The study focused on 13 teachers who taught 4 to 5-year-old children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Each participant went through a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ers were implementing activities about musical concepts through daily routines and group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y were also transferring misconceptions to children by using wrong musical concepts during their implementation or provided biased education by concentrating on only one or two music activities.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activities with musical concepts have come from the teachers’perceptions that the value of music activities is to simply have fun, their unstructured perception towards music education contents, and their low responsibility for music education. In addition, another difficulty in implementing music activities stemmed from the teachers' lack of confidence and low efficacy of the teachers towards music education, as well as their difficulties in connecting musical concepts to music activities.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어 려움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공·사립 유치원에서 만 4~5세를 담임 하고 있는 교사 13명이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각 교사와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후 전화나 e-mail을 통해 추가적 인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치원 현장에서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의 실 행은 자연스러운 일과 및 놀이와 집단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음악활동 전개과정에서 잘못된 음악적 개념을 전달하거나 편중된 음악적 개념을 지도하고 있었다.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 실행의 어려움은 음악활동의 가치는 단 지 즐거움이라는 교사의 인식, 음악교육내용에 대한 비체계적인 인식, 음악교육에 대한 소홀한 책임의식과 같은 교사의 가 치관 및 인식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음악교육에 대한 확신 및 자신감 부족과 음악적 개념 지도의 어려움과 같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낮은 교수효능감 또한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 실행의 어려움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 KCI등재

        『論語』의 音樂論 - 음악의 교화 작용과 상보적 예악 개념에 대한 검토 -

        조정은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2 No.-

        음악의 교화 작용과 상보적 예악 개념은 『순자』, 「악론」과 『예기』, 「악기」에서 강조되는데, 『논어』를 해석할 때 이러한 개념을 적용하는 것은 후대의 음악관으로 전대의 음악관을 해석하는 문제를 낳을 수 있다. 『논어』에서 음악이 지닌 도덕적 가치를 인정할 여지는 찾을 수 있지만 음악을 백성 교화의 통치 수단으로 보는 시각은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음악의 교화 작용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예로써 구분하고 음악으로 조화를 이룬다는 상보적 예악 개념도 제기되기 어렵다. 예악 개념은 『논어』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하지만 이때 음악은 예의 제도에 포함되는 의례성이 짙은 음악이란 점에서 예에 부속된 개념에 가깝다. 음악의 교화 작용과 상보적 예악 개념을 도입하여 『논어』를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음에도 『논어』의 음악 관련 구절은 이들을 전제로 해석되곤 한다. 자유의 무성 통치에 관한 『논어』17.4, 자로의 슬 연주에 관한 『논어』11.15, 그리고 예악이 언급되는 『논어』13.3과 17.11은 음악의 교화 작용과 상보적 예악 개념이 후대 시각일 가능성을 생각할 때 이들 개념을 배제한 독해가 더 설득력을 지닐 수 있다. The concept of the edifying effect of music and the concept of the complementary function of ritual and music, which are emphasized in the "Yuelun" chapter of the Xunzi and the "Yueji" chapter of the Liji, would not be valid in the Lunyu, considering a possibility that those concepts are established after the Lunyu. Even though music seems to be perceived from an ethical viewpoint in the Lunyu, it is difficult to claim that the Lunyu acknowledges the edifying effect of music. If this effect of music is not a valid concept, the complementary function of ritual and music is not also applicable to the Lunyu. The concept of ritual and music appears to first gain significance in the Lunyu; however, music is not discussed as a complementary counterpart of ritual but discussed as a subordinate concept of ritual, in the sense that music is mainly portrayed in the context of a ceremony where music is under restriction of ritual. In spite of the questionable validity of understanding the Lunyu based on the edifying effect of music and the complementary function of ritual and music, these concepts are presumed when interpreting some of the passages of the Lunyu, such as Lunyu 17.4, 11.5, 13.3 and 17.11. Those concepts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in order to understand those passages; moreover,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those concepts emerging after the Lunyu, more convincing interpretation of the Lunyu can be made by maintaining distance from those concepts.

      • KCI등재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장애영유아 담당교사의 인식과 실제

        윤혜진(Yoon, Hye-Jin),정대영(Jeong D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들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이들의 인식과 실제 수준 간의 차이 및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장애 영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25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2018년 3월 5일부터 15일까지 2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에 비해 실제 수행 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의 실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 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준 간에는 매우 높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실제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직 영유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실천적인 현직연수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established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iming to analyze difference and relation between the cognition of teachers who take car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in a decisive period of musical development, on music concept based education, and the actual level.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250 teachers who take car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the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Gyeongnam. This research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research derived following conclusion. First, a difference appeared between the level of cognition on music concept based music education and the actual level. Second, a significant relation appeared between the cognition of music concept based music education and the actual level, and the cognition of music concept based music education display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material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actuality of teaching activity of music concept based music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difference of the actuality of music concept based music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music experience and characteristic and for the efficient teacher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