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운동재활분야의 융·복합적 활성화 방안

        조경환(Kyoung-Hwan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8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뉴노멀 시대에 스포츠산업 현장의 융·복합 분석, 운동재활분야에서의 융·복합적 분석을 통해 미래 활성화 방안을 종합적으로 모색하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방법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한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뉴노멀시대에 스포츠산업 환경을 분석하고 스포츠산업의 융·복합 분석, 그리고 운동재활분야의 융·복합적 활성화 방안을 종합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스포츠산업 차원에서 운동재활분야의 융·복합적 육성 전략을 수립한다. 이는 보건 및 체육부문 등 정부부처간의 협업을 통해 운동재활-ICT 융·복합 모델뿐만 아니라 운동재활-관광-ICT 융·복합 모델 개발과 적극적인 재정 지원을 의미한다. 둘째, 융·복합적인 사고방식으로의 전환과 함께 이를 위한 운동재활분야의 교육경쟁력을 확대, 강화한다. 운동재활 및 관련 전공자 개인의 ICT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체계 정비 그리고 융·복합 창업교육 등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운동재활 및 관련 분야에 실용적이고 산업 현장 중심의 융·복합 기술 적용을 통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뉴노멀 시대에 따른 위기 극복과 함께 운동재활 융복·합 기술 창업에 대한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운동재활 및 관련 상업 집적이 가능한 중장기적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이는 운동재활분야의 산업 거점 및 단지 조성을 의미하며, 산·학·관 협동의 R&D 중심의 클러스터 조성, 지역 인프라와의 시너지 효과의 극대화, 자생적 수익 발생 구조 현실화의 기능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convergent and combined analysis of the sport industry and exercise rehabilitation in the era of New Normal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evise a comprehensive plan for future activation.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mainly by analyzing the environment of the sport industry in the New Normal era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by carrying out convergent and combined analysis of the sport industry to present a convergent and combined activation plan for exercise rehabilitation comprehensively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a strategy of promoting exercise rehabilitation in convergent and combined ways at the sport industry level. This means development of a convergent and combined exercise rehabilitation-tourism-ICT model as well as a convergent and combined exercise rehabilitation-ICT model through collaboration among ministries, including those of health and spor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vert into a convergent and combined way of thinking and extend and reinforc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area of exercise rehabilitation. That is, it is necessary to refine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for reinforcing personal ICT competence of exercise rehabilitation majors and relevant ones and provide convergent and combined business commencement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different type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by applying practical, convergent and combined skills based on the industrial field to exercise rehabilitation and relevant areas. Efforts should be made to overcome any risk in the era of New Normal and support business commencement with convergent and combined skills for exercise rehabilit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make mid- and long-term clusters where exercise rehabilitation and relevant businesses can be accumulated. This means building an industrial hub and complex for exercise rehabilitation and requires making an R&D-based cluster with industrial-academic-governmental collaboration, maximizing the synergy effects with local infrastructures, and fulfilling the function of realizing a spontaneous profit-generating structure.

      • KCI등재

        과학소설에 기반한 융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유리(Yu, Ri ),김시정(Kim, Si-jeong)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3 No.-

        4차 산업 혁명의 사회 구조 속에서 교육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고 있고, 따라서 지금까지의 교육 현장과는 차별화되는 변화가 요청된다. 이에 융합 시대에 걸맞은 융복합교육 논의와 관련하여 각 교과에서의 교육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지속되고 있지만, 구체적 방법의 모색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과 과학의 융합교육에 초점을 두어 융합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환에서 과학소설을 활용해 과학적 사고력과 문학적인 상상력의 교차 지점에서, 문학과 과학 교과의 융합적 교육의 가능태를 모색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각각의 교과를 분절적으로 학습하였을 때 소실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논증할 필요가 있는바, 이를 과학소설 ‘눈먼 시계공’을 중심으로 상세화하였다. 즉 ‘눈먼 시계공’의 문학교육과 과학교육 차원에서의 의미를 밝히고, 과학소설에 기반한 실제의 수업 단계 및 방안과 중점 교육 요소를 밝혔다. 이러한 융복합교육적 연구를 통해 국어(문학)교육에서 지금까지 장르문학의 하나로 저평가되었던 과학소설의 위상을 제고함으로써 교육론적 지평을 넓힐 수 있고, 학습자에게 과학적 사고에 기반한 문학적인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과학교육의 입장에서는 합리적 사고를 기초로 하여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데 더하여, 과학소설을 통하여 미래과학 기술의 발전 양상을 추체험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문학의 성찰적 기능을 과학적 지식에 융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융복합적 교육은 그 의의를 평가받을 수 있다. I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ole of education is being more important than ever and this situation is requiring changes, which differ from the field of education so far. Although there are active discussions on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convergence era and studies on convergence education in each curriculum, there is still a shortage of discussions on specific convergence educa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education in literature and science. As one method, there study presents an example of literature and science curriculum convergence using science fictions at a crossing of scientific thinking skill and literary imagin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something lost when each curriculum is learned segmentally and discussed, focusing on a science fiction, ‘The Blind Watchmaker’.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Blind Watchmaker’ in literature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fiction-based lesson stages and methods, and central education elements. This study can broaden the prospect in literature education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show scientific thinking-based literary imagination by re-considering a science fiction, which has been underrated as one of genre literature so far. Moreov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inking skills in science curriculum, based on rational thinking. In conclusion, science fictions can re-enact aspects of future science technology development, contribute to reflective functions of literature and expand awareness of learners through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science curriculums.

      • KCI등재

        융복합 교양교과목 <포스트 코로나 시대 : 메타인지 행복학>의 개발 연구

        윤미영(Yoon Mi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코로나19는 세계와 인간 존재를 지탱해온 가치, 사상, 패러다임을 뒤흔들었다. 학교가 문을 닫고, 국경이 단절되고, 경제가 무너졌다.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미래를 준비하는 대학생에게 코로나19라는고통의 시기를 도약대로 삼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슬기롭게 맞이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현실적당면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대학생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 제시, 즉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혼돈의 시대를 극복할 기준과 가치관 정립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교양교육 차원에서 강좌로 개발하여 실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며 모든 인류가 해결해나가야 하므로반드시 학제 간 융복합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 강좌의 영역은 주제에 대해 학제적으로 다양하게 접근할 수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조건에 부합한 ‘융복합 교양교과목’으로써 구체적인 목적과 방향, 교과목 운영방안, 담당교수 및 주차별 상세 강의안을 제시하였다. 본 교과목은 다양한 분야의 학제적 접근과체험적 활동을 통해 코로나19라는 시대적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자극하고 나아가 의식적 전환과 실천적 행동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도록 그들의 잠재적 재능을 일깨워 문제해결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이 융복합교과목 <포스트 코로나 시대: 메타인지 행복학>은 교양교육의 적합한 교육을 위한 대안적 모델이 될 것이다. COVID-19 has disrupted the values, ideas and paradigms that have supported the world and human existence. Schools closed, borders cut, and the economy collapsed.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rona pandemic, it is a realistic task to present a direction to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the future so that they can wisely meet the post-corona era by using the time of COVID-19 as a jumping off point.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for college students to move forward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of COVID-19. It is a program for establishing standards and values to overcome the chaotic era of the corona pandemic, and has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t as a course in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Since Corona 19 is a global problem and all mankind must solve,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is required. The field of this course has the optimal conditions for an interdisciplinary and diverse approach to the subject. As a ‘convergence liberal arts subject’ that meets these conditions, this study presented a detailed purpose and direction, course operation plan, professor in charge, and detailed lecture plan for each week. This course stimulates students interest in the contemporary task of COVID-19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and awakens their potential talents to bring about a change of consciousness and practical behavior. By inducing participation, this convergence curriculum will become an alternative model for appropriate edu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후보

        고인골 자료로 본 청동기시대 한반도 주민의 삶과 죽음

        방민규 ( Pang Min Kyu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고인골의 발굴현황과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이를 통해 청동기시대 한반도 주민의 삶과 죽음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어 한국인 기원문제와 관련된 고조선 주민들의 신체적 특징을 살펴보는데 있다. 고고학·인류학 분야의 중요한 연구대상인 고인골 자료는 고고학과 만나 과거 사회의 고인구와 장송의례 등을 밝혀냄으로서 옛사람들의 생활과 문화, 사회조직, 관습 등 과거 사회문화를 복원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준다. 한반도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고인골 자료는 남한에서 고인골이 출토된 유적으로 황석리 고인돌 유적, 정선 아우라지 유적, 춘천 중도 유적, 진주 대평리 어은지구 유적, 창원 진동리 유적, 영월 연당 쌍굴유적 등이 있다. 북한에서는 함경북도 웅기군 굴포리 서포항유적, 무산 범의구석 유적, 회령군 남산리 유적 등지에서 출토된 고인골들이 있다. 현재까지 한반도에서 고인골이 출토된 사례는 매우 소수에 불과하고, 또한 정식으로 인골에 대한 분석연구가 시도된 사례도 드문 편이다. 따라서 이들 유적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의 인골들은 매우 소중한 체질인류학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한반도 청동기시대 한반도 주민들의 생물인류학적 특징은 머리뼈의 계측값을 통해 머리뼈높이·길이 지수에서 보이는 높은머리형과 위얼굴 너비·길이 지수의 가운얼굴형이 많다는 점이다. 또한 평균신장은 현대인과 비슷하여 키가 큰 편으로 이전 시기인 신석기시대와 큰 차이를 보여준다. 고조선 주민들의 체질인류학적 특징은 요녕·하북지역에서 출토된 머리뼈의 높이는 한반도와 길림지역에서 출토된 머리뼈보다는 높으며, 현대 한국 남자의 높이와 차이가 없다. 그러나 머리 길이·높이 지수에서 볼 때, 요녕·하북지역 그리고 한반도에서 출토된 머리뼈들은 모두 현대 한국인처럼 높은머리를 나타낸다. 반면에 현대중국과 일본인들은 가운머리를 지니는 것으로 보아 높은머리는 고조선이래로 한반도 주민들의 머리뼈에서 보이는 가장 두드러진 체질인류학적 특징을 나타낸다. 고고학 유적 출토 고인골 자료의 활용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는 이제서야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고고학의 목표인 과거 사람들의 문화복원을 위해 고인골은 학문연구 자료대상이기 이전에 예의를 갖춰 다루어야만 한다는 인식을 공유 하고, 다음으로 자료의 효과적인 연구조사와 성과를 높이기 위해 고고학자뿐만 아니라 인류학 여러분야의 전문가들 그리고 유전학자, 생화학자 등의 협력과 인식의 공유를 통한 융·복합 연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The constitutional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constantly shown in the Bronze Age human bone materials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ranging from the Bronze Age to the modern Koreans are the high head type of height·length Index and middle face type of upper face width·length index and other indices have somewhat lasted to modern Korean men.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Gojoseon period, skulls excavated in North-eastern China were found to be more similar to those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than other surrounding groups and representative constitutional anthropological features of the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are determined to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Bronze Age after the New Stone Age because the skulls of the Bronze Age are not tha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ew Stone Age. The constitutional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ojoseon people are as follows: The height of skulls excavated in Liaoning·Hebei Provinces is higher than those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Jilin Province and is not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modern Korean men. Given head length·height index, however, all the skulls excavated in Liaoning· Hebei Provinces and the Korean Peninsula show high head as shown in those of modern Koreans. On the other hand, given that modern Chinese and Japanese have the middle head, the high head has represented the most remarkable constitutional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skulls of the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since Gojoseon.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people who lived in Jilin Province and the Korean Peninsula had the high head with short hair like modern Koreans while skulls excavated in Liaoning Province mainly have the high head with long hair and skulls excavated in Hebei Province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modern Korean men. It can be seen that all the people who lived in Liaoning Province·Jilin Province·Hebei Province an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Gojoseon period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head and are not that morphologically different from modern Koreans. But, a controversy about the territory of Gojoseon and the limits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insufficient number of excavated human bones require comprehensive research with related studies such as constitutional anthropology, genetics and archeology etc.

      • KCI등재

        호모 콩코르스를 지향하는 융복합적 성서교육모형 연구

        최은택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del of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as a new biblical education model required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urrent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expected to provide human life with crises as well as opportunities.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prepare for a more positive and hopeful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model of biblical education. This paper proposes a new biblical education model through the following method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a brief history of biblical education and challenge tasks of biblical education. Also, this paper delves into reviewed the new human imag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ra on the basis of theological perspective, especially of the theology of trinity and post-humanism and argues convergence education as an appropriate educational theory. This thesis, finally, proposes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model. The model of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consists of educational purpose, goals, method, contents, environment, and evaluation. First of all the purpose of the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aims at a convergence human, “Homo Concors”, a human required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the goal is to cultivate a convergence human, Homo Concors through Relationality, Sharing equally(Equality), Openness, Networking, Creativity and Operation with(Cooperation). Besides, this study takes project-based learning as the contents of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At this time, the target age is confined adolescence. Also, it present how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valuation can be organized 본 연구는 인공지능시대 새로운 성서교육 모델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성서는 기독교 신앙교육의 가장 중요한 토대이자 기독교 공동체의 유지와 존속에 중요한 기반이기에, 성서교육의 방식에 있어서는 시대적 변화가 있을 때마다 적절한 변화가 요구된다. 융합혁명의 시대로 이해될 수 있는 인공지능시대는 융합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융합적 인간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융합적 인간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와 신학적 이해가 필요한데, 사회적 삼위일체론적 관점과 비판적 포스트 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시대를 이해하고, 사회적 삼위일체론적 원리에 기반을 둔 새로운 인간상, 곧 호모 콩코르스를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융복합적 성서교육의 구체적인 모형을 수립해 보았는데, 그것은 각각 교육목적과 목표, 교육방법과 내용, 환경과 평가를 제시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특별히 교육목적은 인공지능시대에 요구되는 인간상인 호모 콩코르스를 지향하는 것으로 세웠고, 목표는 콩코르스(CONCORS) 용어를 가지고 7가지, 곧 융합성(Convergence), 협력성(Operation with/Cooperation), 연결성(Networking), 창의성(Creativity), 개방성(Openness), 관계성(Relationality), 평등성(Sharing equally/Equality)의 역량들을 강화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Larmer, Mergendoller, Boss가 제시한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 Based Learning)을 활용하였고, 내용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시대에 요구되는 새로운 성서교육의 모형으로서, 융복합적 성서교육의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 KCI등재

        한반도 청동기시대 동물문양에 나타난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융복합 디자인의 역사적 분석-

        김향원 ( Kim Hyang-won ),최인숙 ( Choi In-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5 No.-

        이 논문은 디지털 시대 융합 디자인의 제반 특성(구상과 추상, 형태와 프레임, 글과 그림, 장르와 장르의 융합)은 디지털 시대에만 국한된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논증한다. 현대 디자인은 산업 시대에 만들어져 독특한 분야의 영역을 구축한 것이 아니라, 각 지역의 오랜 소통의 역사 속에서 축적된 결과물이다. 이런 이유로 한국의 디자인 경향 또한 스키타이족 이래로 한반도로 유입해 들어온 북방민족의 미의식과 생활환경이 투여된 문양의식이 축적되어 나타난 결과물이다. 이 논문은 한반도 청동기 문양의 사례(동검, 마구, 토기의 동물문양)를 두고, 당대 문양이 조형적으로 어떻게 구성된 것이며, 그 특징을 기술했으며, 이 기술을 통하여, 첫째, 청동기 시대의 문양은 선과 면, 형태의 반복과 대칭을 통하여 이미 근대적인 디자인 소통을 이루고 있으며, 둘째, 리얼리즘의 도상 이미지를 따르지만 실제로는 추상적인 스타일을 가하여 리얼리즘이라는 근대 미의식과 추상성이라는 후기 근대적 미의식을 융합한다는 점을 밝혔다. 즉, 청동기 시대의 문양은 반복과 대칭의 아리스토텔레스적 고전의식 혹은 근대의 수학적 디자인 경향을 드러내며 아울러, 도상의 존중과 극복으로 특징 지워지는 근대 미의식마저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 문양의 융합 양상이 지닌 세부적인 특성은 민족의 이동과 정착한 지역마다 다를 수 있지만, 현대 융합적 디자인의 특성이 특정 시대의 고유한 경향이 아니라 인간의 의식이 삶과 생활문화 속에서 오랜 시간 동안 축적시켜 왔던 보편적 특징이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시대의 디자인을 지역과 역사적 전통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시도는 잘못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has ventured to propose that a contemporary design tendency to convergence (intercommunication between figures and abstraction, shape and frame, letters and images, various genres) is a kind of universal human creation competence rather than temporary or technological one. The Korean design is too originated and generated of some historical accumulation which are made by Skitai and north-branced peoples` lifework and aesthetic. Historical documents and texts analysis are used to illustrate the above points. This historical study can be investigated from figurative and artistic expressions in animal illustration in the age of Bronze and can explain its some characters in style. Firstly, illustration of Bronze age reveals its modern character in repetition which supports a communication; when outward, it reaffirms and stresses the important role of symmetric one.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for the people in this age as well as works, design was already utilitarian and modernized. Secondly, illustration of Bronze age reveals its realistic character in iconization of natural things which supports a representation; when outward, it reaffirms and stresses the important role of s abstract one.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this design was already aristotelian and classical. These main characters of the illustration show that our contemporary aesthetic and design in Digital age is not in its unique industrial and modern historical course, but also in our universal tradition which is actually performant. In this respect, we cannot judge that modern and contemporary design aspect is separated from our aesthetic and life works historically accumulated.

      • KCI등재

        조선시대 양명학에 관한 연구의 과거, 현재, 미래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김세정 ( Kim Sea-je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2 No.-

        1970년대부터 시작한 조선시대 양명학에 관한 연구는 지난 50년간 양적인 면은 물론 질적인 측면에서 괄목할 만한 눈부신 성과를 이루었다. 필자는 지난 50여 년간의 연구 성과를 모아 <조선시대 양명학 관련 연구 문헌 목록>을 제작하였다. 이 목록에 수록된 자료는 저서 78권, 원전 번역서 46권, 외국문헌 번역서 2권, 박사학위논문 97편, 석사학위논문 213편, 학술논문 1,287편을 포함 총 1,719종에 달한다. 이 방대한 자료에 대한 분석을 몇 단계로 나누어 진행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전체적인 윤곽을 조망할 수 있는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관한 연구 성과물과 관련한 목록에 수록된 자료들(저서 16권, 박사학위논문 8편, 학술논문 93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살펴보았다. 총 16권이 간행된 저서 부분은 크게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기틀을 마련한 시기인 1980년대,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심화 시기인 1990년대와 2000년대,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국제화시기인 2010년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반부는 양명학의 전래와 수용과 전개라는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면, 후반부에서는 이러한 연구 내용과 더불어 조선시대 양명학과 성리학의 교섭과 융섭을 다룬 연구가 많아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저서의 주제와 관점과 내용이 다양화되고 심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을 다룬 박사학위논문의 경우에는 8편으로 양적으로 많은 편은 아니지만, 철학은 물론 역사학, 정치학, 종교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박사학위논문이 나옴으로써 조선시대 양명학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해줌과 아울러 조선시대 양명학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한국양명학 연구 기반을 풍성하게 만들어주었다고 하는 점이 주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총 93편이 간행된 학술논문의 경우는 크게 3시기로 나누어 살펴봤다. 첫 번째 시기는 1980년대까지에 해당하는 시기로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토대 마련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시기는 1990년대로써 조선시대 양명학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시기는 2000년대와 2010년대로써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성숙기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관한 괄목할 만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첫 번째로 총론에 해당하는 조선시대 양명학 전반을 조망하는 연구 작업에 각론에 해당하는 개별 양명학자에 대한 연구 성과 및 시기별·분야별 연구 성과들을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다. 두 번째는 조선시대 양명학 전반을 다룬 연구 성과물이 대체로 철학 분야에 치중되어 있는 바, 문학과 사학과 철학 분야에서의 균형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다. 그래야 조선시대 양명학을 입체적으로 그려냄으로써 조선시대 양명학의 진면목을 제대로 드러낼 수 있다. 셋째,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는 오늘날의 시대문제와 관련하여 보다 적극적인 논의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 양명학자들이 보여준 수시변역(隨時變易)과 권도(權道)의 주체성과 시대정신, 실심(實心)과 감통(感通)의 애민정신과 실천정신을 온전히 계승하고 현실에 맞게 되살리는 것이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which started since the 1970s has achieved amazingly remarkable results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during the last 50 years. The author has collected those achievements and made a “List of Works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e works in that list include 78 books, 46 translations from original texts, two translations from foreign works, 97 doctoral dissertations, 213 master's theses, and 1287 academic papers, totaling up to 1719. The author intends to carry out the analysis of that huge compilation in several stages. In this paper as the first stage, the author considers a part of writings contained in that list (15 books, seven doctoral dissertations, 94 academic papers) which are related to the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at can draw a general outline of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at, the author makes some evaluation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at research and the outstanding problems that must be resolved. In those works, 15 published books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time of publication: the 1980s when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established its first base, the 1990s and 2000s when that research developed, and the 2010s when that research was internationalized. While the first half of them provide a foundation to the research on the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i.e. the introduction, reception and development of Yang-ming studies, in the second half we can see that the research focuses more on the negotiation and interconnection between Yang-ming studies and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subjects, viewpoints and contents of those books show the diversification and improvement. For the doctoral dissertations on the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it can be said that those eight dissertations are not much in quantity, but the variety of academic areas they are in - philosophy, history, politics, religious studies, literature, etc.-shows that the main results they obtained are the consideration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from various aspects, the profound knowledge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enrichment of the base for the research on Korean Yang-ming studies. For the 93 academic papers, they can be divided into 3 parts according to their publication time. The first one is the papers published until the 1980s when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started to be established. The second one i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1990s when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was regularly carried out. And the third one i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2000s and 2010s when that research reached maturity. Despite the remarkable results, the research on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still has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Firstly, the results of research according to the time and domain, and the research on each scholar of Yang-ming studies must be reflected in the research showing the outline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Second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at focused much on the philosophical aspect must be balanced among all philosophical, literal, and historical aspects. Only so can Yang-ming studies be fully described and their true character be shown. Thirdly, it is necessary to advance arguments about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connection with problems of the present era. The ultimate aim should be that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must completely succeed and revive, in the present reality, the self-control and independence and the spirit of time that were showed in ‘variation according to time (隨時變易)’ and the ‘way of adaption (權道)’, the spirit of loving the people and the spirit of practice that were showed in the terms of ‘sincere mind (實心)’ and ‘empathy (感通),’ i.e. the spirit of Yang-ming studies that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manifested.

      • KCI등재

        인공지능시대 융복합교육을 활용한 성서교육의 가능성 연구

        최은택(Eun-Taek Choi)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10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The current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expected to provide human life with crises as well as opportunities. One of the crises i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cause errors or be used for crimes causing a lot of damages to human being. In add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can replace many human jobs. This might be a crucial issue since it can lead to new classifications between those who are able to work and those who are not. At the same time, however, beneficial opportunities can be given. In the future,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offer human life convenience. Thi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lso new jobs can be created. As such,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 two-sided personality. It can be clearly argued that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lready arrived and it will bring about lasting and drastic social changes in the future.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prepare for a more positive and hopeful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model of biblical education. To this end, this article is conducted as followed; This article, first of all, expounds the brief histor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era, thereby suggesting the way that the biblical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towards in this artificial intelligence epoch. This paper, also, introduces convergence education as a method of biblical education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suggests theological possibilities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point, this study purports potentiality of the biblical education targeting convergence values, and then posits its tasks for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build theological basis of the biblical education in accord with convergence value and propose of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by employ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 KCI등재

        융복합시대의 관광지 문화마케팅에 관한 연구

        윤영혜(Yoon, Yeong Hye),김미성(Kim, Mi Seong),강화(Kang, Hwa),윤유식(Yoon, Yoo Shi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2

        본 연구는 산업생산의 시대가 가고, 문화생산 시대가 도래하며 융복합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점차 문화마케팅의 중요성이 늘어나며, 이를 브랜딩에 적용해 성과를 올리고 있다는 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분야에서 융복합적 성격의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되는 문화마케팅요인이 브랜드 태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방한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여 문화마케팅요인에 따른 세분집단별 관광지 브랜드 자산 및 태도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 문화마케팅 요인을 확인할 설문지 작성 및 배포와 분석을 통해 해당 집단을 저관여인식집단, 고관여인식집단, 중관여인식집단 총 3개로 군집화하였다. 둘째, 세분시장별 브랜드 태도를 확인한 결과 관광지 브랜드 태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특히 군집 2가 높은 값을 보이고, 군집 3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세분시장별 브랜드 자산인식의 차이에서는 관광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기존 선행연구를 지지하며 본 연구의 가설로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문화마케팅의 관광 분야 적용이 적고, 관광지 대상으로 확대가 필요한 시점에서, 요인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했다는 특징을 가지며, 각 세분 시장별 브랜드 태도와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 측면에서 의미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focusing the growth of importance of cultural marketing and its successes by applying to branding in a phase in which the cultural production era has arrived after the industrial production era.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effect of cultural marketing, which are used as marketing strategy in the tourism field, on brand attitude and awarenes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brand equity and attitude in accordance with the cultural marketing factors by survey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question on the possibility of market segmentation in accordance with cultural marketing factors; the market segments were classified as Cluster 1 general involvement perceived group, Cluster 2 high involvement perceived group, Cluster3 middle involvement perceived group. Second, i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brand attitude among the segments; Cluster 2 showed high brand attitude and Cluster 3 showed average level on brand attitude. Third, it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brand equity including perceived quality,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of tourism destin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market segments in accordance with cultural marketing factors of tourism destination and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gments by brand attitude and brand equity. This coul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 that various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to generate positive results on brand equity and brand attitude and cultural marketing strategies is also needed to increase foreign tourists’ awareness of thes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 KCI등재

        비대면 소비시대의 라이브커머스 이용 동기가 융·복합적으로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곡옥빙,YANWENYA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4

        본 연구는 비대면 소비 시대가 도래하면서, 소비자들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이 어려워짐에 따라 업체들이 소비자 접점을 확장하기 위해 라이브커머스를 강화하면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소비시대에 라이브커머스 이용 동기에 대해 규명하고, 라이브커머스 이용 동기가 라이브커머스 소비자의 이용만족도와 재이용 의도에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 연구하는 것이다. 만족도는 라이브커머스 이용 동기와 재이용 의도에 어떠한 매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라이브커머스 이용 동기와 소비자 행동의 인터랙티브한 결합이 융·복합적으로 적절히 매칭되었을 때 재이용 의도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결과도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의 라이브커머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자기기입식 방식을 활용하여 2021년 9월 8일부터 동년 10월 8 일까지 한 달 간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SPS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한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 회귀분석 결과, 라이브커머스 이용 동기 하위 요인- 4 - 중 ‘직접 검수의 대체 가능성’, ‘상호작용의 쾌락성’, ‘트렌드 추구성’ 요인은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중에 ‘직접 검수의 대체 가능성’, ‘트렌드 추구성’이 재이용 의도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만족도에서 라이브커머스 이용 동기 하위요인 중 ‘직접 검수의 대체 가능성’과 ‘트렌드 추구성’은 재이용 의도의 영향 관계에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브커머스 이용 동기 중 ‘트렌드 추구성’은 소비자 트렌드의구조적인 변화를 야기할 것이고 새로운 융·복합과정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활동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라이브커머스 판매자가 소비자의 이용 동기에 대한 인식을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온라인 판매업 매출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미래 라이브커머스 산업의 발전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