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표성과 한국어 접속표지 습득

        진염민(Chen, Yan-min)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6 No.-

        이 논문은 중국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표성과 한국어 접속표지 습득의 관계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 Croft가 제시한 구조 기준(structural criterion)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접속표지 유표성을 판정하는 기준을 삼았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서 유표성을 더 유표적, 덜 유표적, 유표성에 차이가 없음 이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연구의 결과, 접속표지 습득에 있어서 언어 내의 제약이 따르지 않는 경우, 모어와 목표어 간의 유표성 차이가 높을수록 습득의 어려움이 크고 오류 발생의 가능성이 높다. 모어와 목표어 간의 유표성 차이가 없으면 습득이 쉽고 오류 발생의 가능성이 작다. 접속표지가 언어 내의 제약이 따르는 경우, 접속표지 습득의 난이도가 모어와 목표어 간의 유표성 차이와 관련될 뿐만 아니라 목표어 내의 문법적 제약과 관련이 있다. 언어 내적인 제약성을 갖는 것은 학습자에게 습득에 곤란을 겪게 된다. 문법적 제약이 많을수록 습득의 어려움이 크고 오류 발생의 가능성이 높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examines Markedness and its influence on Conjunctive Markers acquisition through error analysis of composition that wrote by Chinese students. Since the principle of markedness was first proposed by the Prague School of Linguistics in 1930s, the term "markedness" was embraced by many researches areas. In the course of this process, A notion of markedness developed a multiplicity of sometimes widely diverging senses in the literature. And criteria for markedness is different. Greenberg enumerates 8 criteria for morphosyntactic categories. According to zero value criteria, the markedness degree of Korean and Chinese Conjunctive Markers was grossly divided into three groups: most markedness, more markedness and the same markedness. Difficulty degree of these three groups is predicted by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And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fficulty degree of acquiring Korean Conjunctive Markers is consistent with markedness degree in no target language"s constrains.

      • KCI등재

        러시아어 자음무리 단순화 연구

        김신효(Kim Shin Hyo)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자음무리 단순화 과정에서 탈락하는 자음은 유표성 서열이 낮은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음의 유표성 서열(markedness hierarchy)을 밝히는데 Archangeli (1984)에 의해 제시된 미명시이론(Underspecification Theory)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러시아어 자음의 유표성 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조음자 마디 미명시에 의한 유표성, 자질 값 미명시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공명도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등을 이용하였고 그 결과를 제약으로 만들어 최적성이론에 의해 자음무리 단순화를 분석하였다. 조음자 마디 미명시에 의한 유표성 서열에서는 [+anterior] 자질을 가지는 무표적 설정음(Unmarked Coronal)인 (/ t /, / d /, / s /, / z /, /n/, / l / / r /, / c /, / ?/)를 가장 무표적인 음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자질 값 미명시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서열에서는 완전명시에서 명시된 13개의 자질 중 미명시 도표에서 전혀 명시되지 않은 / t /를 가장 무표적인 자음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공명도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서열에서는 가장 공명도가 낮은 무성폐쇄음(voiceless stop)과 파찰음(affricates) 즉, / p /, / t /, / k /, / c /, / ?/ 등이 가장 무표적인 자음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3자음 무리 단순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묵음화 현상은 CLUSTER [UPF], CLUSTER [UAF]등 2가지 제약이 최적형을 결정하는데 대부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CCC, CLUSTER [OCP], CLUSTER [SONORITY]. MAX-IO 제약은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чувство와 같은 4자음 무리, безмолвствовать와 같은 5자음 무리는 CLUSTER [UAF]+ 라는 추가적인 제약을 통해 최적형을 도출 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동일한 환경에서 묵음화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 자음무리들과 형태소 경계에서 묵음이 되는 자음 무리와 통시적인 자음무리 단순화과정에 대해 본 논문에서 도입한 3가지 자음 유표성 서열 결정 기준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음절내 위치가 자음무리 단순화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자음 유표성을 결정하는 추가적인 기준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오류 분석을 통한 중국인 초급 학습자 ‘-는데’ 습득 양상 연구 유표성 차이를 중심으로

        진염민 국제언어문학회 2013 國際言語文學 Vol.- No.28

        이 논문은 중국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가 생산한 작문 텍스트의 ‘-는데’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설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는데’의 의미 기능에 따라 사용 빈도는 ‘대조> 배경>상세 설명>이유제시’ 순으로 나타났다. 오류 비율은 ‘이유 제시>배경>상세 설명> 대조’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자가 ‘-는데’를 수행함에 있어서 오류를 범하는 원인을 한국어와 중국어 간의 유표성의 차이로 설명하기 위하여 ‘-는데’의 의미 기능을 ‘상세설명’, ‘배경’, ‘대조’, ‘이유제시’로 나누어 L1과 L2의 유표성 차이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한국어 ‘-는데’에 대응하는 중국어와의 유표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는데’의 의미 유형에 따른 유표성 차이 순서는 ‘배경>상세설명>대조, 이유제시’이다. 또한 Greenberg가 제시한 8개 통사․형태론적 유표성을 판정하는 기준 중의 영형태 기준으로 ‘-는데’와 ‘-는데’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의 유표성 정도를 판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는데’의 유표성이 높은가 낮은가가 습득의 어려움에 영향을 주는지, ‘-는데’의 오류가 모어와 목표어 간의 유표성 차이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ole of Difference in Markednes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through error analysis of the Chinese learners, who learn Korean. This paper compares the Korean and Chinese ‘-neunde’'s markendness difference and analyzes ‘-neunde’'s types of errors by the Korean learner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n this paper, ‘-neunde’ is divided into the description, background, antagonistic, causal four categories in accordance with the semantics. According to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the error rate of ‘-neunde’ will be background>description>antagonistic, causal. but the students’ corpus display order of the error rate is causal>background> antagonistic>description. The results prove that the level of difficulty in second language learning lies in markedness difference if following clause does not have mood constraints.

      • KCI등재후보

        The Status of Markedness in Phonology

        이학문 미래영어영문학회 2011 영어영문학 Vol.16 No.2

        언어 보편적으로 또한 언어 특수적으로 비대칭의 패턴이 존재한다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없다. 비대칭의 언어학적 표현으로 유표성(markedness)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그 용어가 널리 중요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 논문은 음운론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는 유표성의 지위와 역할을 연구한다. 유표성의 역사, 영어와 한국어에서 유표성과 동화, 그리고 유표성의 위계에 관하여 이론적 문제점 등이 논의된다. 유표성의 개념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확대되고, 발전되어 왔다. 그래서 유표성의 특징은 명확하지 않다. 유표성은 음변화와 위계에 비추어보면 보편성과 언어특수한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난다. 유표성은 음운론에서 중요한 지위를 지니고, 그것의 재정의가 상대성(relativity)을 기초로 재정의 되어야 함을 논쟁한다.

      • KCI등재

        連結語尾의 意味 關係와 韓國語敎育에서의 連結語尾의 配列 樣相 硏究 -有標性에 基盤한 連結語尾의 意味 關係를 중심으로-

        홍윤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4

        이 논문에서는 有標性을 기반으로 한국어 連結語尾의 意味 關係를 분석하였다. 同等/類似 關係, 時間 關係, 對立 關係에 속하는 연결어미가 고유의 意味 關係를 가지는 것은 有標性에 의한 分化의 결과임을 논의하였고 條件 關係, 因果 關係, 期待 否定의 關係에 속하는 연결어미 역시 有標性에 따라 고유의 意味 關係를 실현한다고 보았다. 분석 결과, “-고(동등/유사) ⟹ -고(계기) ⟹ -자마자(즉각적 계기) ⟹ -(으)ㄴ 후에(계기) ⟹ -기 전에(계기) ⟹ -(으)면서(동시) ⟹ -어서(계기) ⟹ -지만(대립) ⟹ -는데(대립) ⟹ -(으)면(조건) ⟹ -어서(인과) ⟹ -(으)니까(인과) ⟹ -(으)ㄴ데(배경) ⟹ -기 때문에 ⟹ -(으)ㄴ 덕분에(인과) ⟹ -는 바람에(인과) ⟹ -어서 그런지(인과) ⟹ -어도(기대 부정)”와 같이 有標性에 따른 연결어미의 配列 順序를 선정하였다. 韓國語敎材 5種 30卷을 대상으로 연결어미의 배열 순서를 추출해 有標性에 기반한 연결어미의 배열순서와 비교 분석한 결과, 일부 일치하는 부분이 있지만 조건 관계의 연결어미와 인과 관계의 연결어미를 배열하는 순서 등 여러 항목에서 차이를 보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eanings of connective endings based on the markedness and the learning stage arrangement of them in 5 diffe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First of all, I assert that the marked- ness labels the meanings of connective endings as equality or similarity, time, confrontation, condition, cause and effect, and denial of expectation, etc. An analysis of the markedness of the connective endings shows that ‘-고’(equality or similarity) should be arranged in the first place, then ‘-고’ (opportunity), ‘-자마자’(immediate opportunity), ‘-(으)ㄴ 후에’(opportunity), ‘-기 전에’(opportunity), ‘-(으)면서’(simultaneity), ‘-어서’(opportunity), ‘-지만’ (confrontation), ‘-는데’(confrontation), ‘-(으)면’(condition), ‘-어서’(cause and effect), ‘-(으)니까’(cause and effect), ‘-(으)ㄴ데’(background), ‘기 때문에’(cause and effect), ‘-(으)ㄴ 덕분에’(cause and effect), ‘-는 바람에’(cause and effect), ‘-어서 그런지’(cause and effect), and lastly ‘-어도’(denial of expectation). Finally, I present the learning stage arrangement of the connective endings in 6 diffe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learning stage arrange- ment partly has point of similarity between connective endings based on the markedness and them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However, the arrangement of connective endings related to condition, or cause and effect based on the markedness is different from the arrangement of them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 KCI등재

        ‘유표성’을 통한 음악에서의 의미 고찰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 111의 1악장을 중심으로-

        이현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7 음악교육공학 Vol.- No.30

        This paper looks into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behind music through the basis of ‘markedness’ theory by Robert Hatten. Hatten's markedness originates from linguistic studies, and is obtained through conflict. Among two notions that exhibit a conflicting relationship, the one concept that shows a particular meaning is considered ‘marked.’ Similarly, markedness in music is produced through such opposing values, and through this, one can find the particular meaning in the a piece of music. Furthermore, it elicits a discourse which ultimately is an interpretation of the music. As a matter of fact, Hatten's musical interpretation is exhaustively based through a hermeneutic approach and does not utilize the Schenkerian theory. However, even though Hatten's theory focuses mostly on the extroversive analysis, it's difficult to explain without introversive analysis. Hatten, in his works, mentions that Shenker's Theory explicitly shows the voice leading principle. As such, Hatten's theory stands out on the musical surface, specifically the foreground, but because it discusses the importance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tonality instead of overlooking them, this paper will suggest strategic markedness at multiple structural level including the foreground by utilizing Schenkerian sketches. This is expected to be valuable in drawing the meaning of nonstructural pitches and showing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music. 본 연구는 음악 의미와 해석에 관한 것으로 해튼의 ‘유표성’ 이론에 기초한다. 해튼의 유표성은 언어학에서 기원한 것으로 ‘유표적’이란, 대립관계의 두 가지 개념 중 특정한 의미를 띄는 하나의 개념을 일컫는다. 음악에서의 유표성 또한 이 같은 대립의 가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음악작품에서도 특정 의미를 발견하고 좀 더 나아가 음악의 해석 즉, 담론을 이끌어낸다. 사실상 해튼의 음악분석은 철저히 해석학적 접근에 기초한 것으로 쉔커의 분석체계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음악 외적 의미에 집중하는 해튼의 이론일지라도 음악의 내적 분석과 따로 떼어 설명하기란 어렵다. 해튼은 저서에서 쉔커 이론이 성부진행 원칙을 분명하게 드러낸다는 점을 언급하였는데, 해튼 이론이 음악 표면 즉, 전경층에서 많이 부각되고 있지만 조성의 구조와 기능을 간과하기 보다는 오히려 그것들의 중요성을 논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쉔커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전경층을 비롯한 다양한 층위에서 전략적 유표성을 제시할 것이며, 이는 비구조적 음고들의 의미 도출과 조성의 구조적 기능 해석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유표성 차이 가설의 시각에서 한국어와 내몽골어 자음체계 대조 및 습득 순서 예측

        수홍 ( Xiuhong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교육연구 Vol.14 No.2

        이 논문은 陸丙甫, 金立鑫(2015:30-31)에서 제시된 언어유형론적 음운 함축관계에 근거하여 한국어와 몽골어 자음체계의 공통성과 특수성을 제시하였다. 이 기초에서 허용(2010: 313-314)에서 제시된 “자연성 여부, 빈도성 여부, 복합성 여부, 습득의 용이성 여부” 등 기준 중에서 “빈도성 여부”를 이용하여 한국어와 몽골어 자음 유표성을 제시한 다음 Eckman(1977)의 “유표성 차이 가설”(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MDH), “구조 일치성 가설”(Structural Conformity Hypothesis)에 근거하여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습득 순서와 한국인 학습자의 몽골어 자음 습득 순서를 예측하였다. The paper first analyzes the previous studies on comparing Korean and Mongolian consonants. Then, the paper indicates the universal and individuals in Korean and Mongolian consonants system, according to the implicational universals of phonics in linguistics typology proposed by Jin lixin (2015: 30-31). This paper discusses the markedness of Korean and Mongolian consonants system based on the "frequency" in standards such as "naturalness, frequency, complexity, easiness in acquisition" proposed by Heo Yong(2010:313-314). Finally, based on Eckman's (1977)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MDH", "Structural Conformity Hypothesis", the paper predicts the order in which the Mongolian acquires Korean consonants and the Korean acquires Mongolian consonants.

      • 유표성 차이 가설의 시각에서 한국어와 내몽골어 모음체계 대조 및 쌍방향 습득 순서 예측

        수홍 ( Xiuhong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교육연구 Vol.14 No.1

        이 논문은 한국어와 몽골어 모음을 대조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 한계점을 지적하고 金立鑫, 陸丙甫(2015:28)에서 제시된 언어유형론적 음운 함축관계에 근거하여 한국어와 몽골어 모음체계의 공통성과 특수성을 제시하였다. 이 기초에서 허용(2010: 313-314)에서 제시된 "자연성 여부, 빈도성 여부, 복합성 여부, 습득의 용이성 여부" 등 기준 중에서 "빈도성 여부"를 이용하여 한국어와 몽골어 모음 유표성을 제시한 다음Eckman(1977)의 "유표성 차이 가설"(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MDH), "구조 일치성 가설"(Structural Conformity Hypothesis)에 근거하여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습득 순서와 한국인 학습자의 몽골어 모음 습득 순서를 예측하였다. The paper first analyzes the previous studies on comparing Korean and Mongolian vowels and points out the shortcomings. Then, the paper indicates the universal and individuals in Korean and Mongolian vowels system, according to the implicational universals of phonics in linguistics typology proposed by Jin lixin (2015: 28). This paper discusses the markedness of Korean and Mongolian vowels system based on the "frequency" in standards such as "naturalness, frequency, complexity, easiness in acquisition" proposed by Heo Yong(2010:313-314). Finally, based on Eckman's (1977)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MDH", "Structural Conformity Hypothesis", the paper predicts the order in which the Mongolian acquires Korean vowels and the Korean acquires Mongolian vowels.

      • KCI등재

        Case in German and Korean

        송석희 한국독어학회 2008 독어학 Vol.17 No.-

        본 논문의 목적은 독일어와 한국어의 구조격이 서로 대응 가능한가를 각 언어의 격현상인 격통합(Case syncretism)과 격교체(Case alternation)에서 2단계의미론 (Two-level semantics) 시각으로 비교해 보는 것이다. 독일어의 4가지 격 표지 단어 das/die/den/der은 서로 간에 유표성(markedness)의 격 기능을 보여 주면서 동시에 한편으로는 고유 격표지 기능이 사라지는 중화(neutralization) 경향을 띠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한국어의 격교체 현상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난다. 한국어의 격조사 i/ga/eul/reul/ekey/ui은 고유 격 표지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서로 간에 교체 현상이 일어난다. 두 언어 간의 이러한 유사 격 현상을 2단계의미론으로 고찰할 때, 이들 격이 지닌 단계적 유표성 “주격(Nominative)<대격(Accusative)<여격(Dative)<소유격(Genitive)”이 잘 포착이 되고 한편으로 이들 격이 보여주는 중화 특성은 2단계의미론의 격정의 자질인 [±hr, ±lr]의 차원성을 통하여 파악이 되어 진다. 결국, 이론적 시각에서 볼 때, 독일어의 주격, 대격, 여격, 소유격을 표현하는 das/die/den/der와 한국어의 주격, 대격, 여격, 소유격을 나타내는 i/ga/eul/reul/ekey/ui이 점진적 유표성과 동시에 중화 경향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들 격은 서로 상응 한다.

      • KCI등재

        관계절 내 전치사구 삭제와 보류 현상의 중국어 제 방언에서의 실현 양상

        정혜인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101 No.-

        Focused on not allowing preposition-stranding in the relative clauses of Chinese languages, the study demonstrated the strategies for avoiding prepositional stranding in the relative clause of Chinese dialects. Based on the 28 Chinese dialects researched, the following features were found. 1. When the object of a preposition is relativised, preposition-straining was not permitted in the researched dialects. 2. Deletion and retention of preposition structure was used as a strategy for avoiding prepositionstranding in the researched dialects. 3. There were no dialects which only use deletion of preposition structure or retention of preposition structure in the researched dialects. 4. In all the dialects investigated, each of the two strategies(deletion strategy and retention strategy of preposition structure) was used to avoid preposition-stranding. 5. The strategies which were used according to prepositions in the researched dialects had a certain regularity. The fifth characteristic reveals that the usage of two strategies in Chinese dialects is not a random or disorderly phenomenon, but a phenomenon of regularity, which can be explained. Finally, the strategy for avoiding preposition-stranding according to prepositions in each dialect revealed the semantic hierarchy of prepositions. This was consistent with semantic hierarchy of oblique in the 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 which was suggested in 정혜인 (2015). 본고에서는 중국어 방언에서 보이는 관계절에서의 전치사 좌초 회피 현상과 사용 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사된 중국어의 여러 방언에서 전치사의 목적어가 관계화 될 경우 전치사 좌초(preposition-stranding)는 허용되지 않았으며, 전치사 좌초 회피 전략으로 전치사구 삭제 전략과 전치사구 보류 전략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들 방언에서 전치사에 따라 사용되는 전략은 유표성의 위계를 지녔는데, 이러한 전치사 좌초 회피 전략의 유표성에 근거해 전치사의 어법의미의 유표성 위계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