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온라인 상호작용을 병행한 유아요리활동 지도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요리 교수효능감 및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은미(Ko Eun-Mi),박순호(Park Soon-H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유아요리활동 관련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요리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해 온라인 상호작용을 병행한 유아요리활동 지도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 소재 대학의 3년제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2학급, 6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5주에 걸쳐 예비유아교사들은 생활주제에 따라 선정된 요리활동을 오프라인 및 온라인 상호작용을 통해 준비, 실행, 평가, 사후활동으로 확장해나갔으며, 그 결과 온라인 상호작용을 병행한 유아요리활동 지도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요리 교수효능감 및 요리 교수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 증진 및 교수태도 향상을 위해 온라인 상호작용을 활용한 수업모형을 제시하였으며,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다변화되는 교육현장에서 예비교사들이 온라인상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활용한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hildren's cooking teaching program with on-line interaction affects on the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at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Sixty-three preservice teachers who take early childhood cooking subject were selected from a college in Daegu, Korea. For 15 weeks, they participated in the interaction through on-line community between different groups and different cooking cases. The course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professional consultation and also four-professional gave a feedback through on-line community to the preservice teachers. The assessment tool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attiteude were used as both pre and post test and data were analyzed with paired-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teaching efficacy(P<.001). The teaching efficacy scores were different between the pre test(M=78.51,SD=6.13) and post test(M=82.16, SD=6.01).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teaching attitude (P<.001). The teaching attitude scores were different between the pre test(M=73.40,SD=8.49) and post test(M=77.67, SD=8.48). The results show that the development program with on-line interaction affected both the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 a kind of on-line teaching model that help improve the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 유아의 다중지능 향상을 위한 요리 활동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김혜란 ( Hye Ran Kim ),이경화 ( Kyung Hwa Lee ),서호찬 ( Ho Chan Se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4 뇌교육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유아기의 다중지능 발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적용해봄으로써 요리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 재한 S유치원의 만 5세 유아 30명을 무선 선정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15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도구는 만 3, 4, 5세를 대상으로 개발하여 표준화시킨 유아 다중지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사전·사후 검사로 t-test를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8주간의 요리활동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하여 볼 때 실험집단에서 유아들의 다중지능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구체적으로 언어 지능, 논리·수학 지능, 시각·공간 지능, 신체운동감각 지능, 음악 지능, 개인이해 지능, 자연탐구 지능에 각각 유 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요리활동은 유아의 오감을 모두 사용하는 최적의 활동으로 지식이나 기술 습득뿐 아니라 공감과 만족감을 맛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 있는 활동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유아 개개인이 지니고 있는 각자의 다 양한 지적 특성에 적합한 교육적 경험의 기회로 요리활동이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ha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 have tri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 during ch ildhood and find out whether or not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can be improved by such programs as cooking activities that have been produced and appli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basic materials that can provide young children with efficient programs. To attain at its gold of study, I have established the following assumptions and verified its effects. The targets of research were randomly selected from 5-aged 30 children of S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30 of them were arranged into a test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in this research were taken using inspection tools for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ed and standardized for ages of 3, 4, and 5 by Kyung-Hwa Lee. The collected materials have been processed using t-test to find out effect of pre and post-examination through t-test in order to verify significance between those two groups. These are summaries of the result carried out on this study. At first, cooking activities have had impact on children``s linguistic intelligenc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refore cooking activities having always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children``s linguistic intelligence. Second, cooking activities have had impact on children``s logics`` math intelligenc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refore cooking activities having always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children``s logics`` math intelligence. Third. cooking activities have had impact on children``s visual`` spacial intelligenc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refore cooking activities having always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children``s visual`` spacial intelligence. Fourth, cooking activities have had impact on children``s music intelligenc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refore cooking activities having always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children``s music intelligence. Fifth, cooking activities have had impact on children``s inter-personal intelligenc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refore cooking activities having always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children``s inter-personal intelligence. Sixth, cooking activities have had impact on children``s personal understanding intelligenc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refore cooking activities having always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children``s personal understanding intelligence. As a result of taking universal consideration of such results of the study, cooking activities is regarded as a worthy activity not only for acquiring knowledge or technology as an optimal activity that uses all of children``s five senses, but also for experiencing successive feeling and satisfaction. Accordingly, I hope that these cooking activities might be utilized as a educational opportunity from which children enjoy variou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 KCI등재

        방과 후 요리활동으로서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개념적 모형

        윤혜원(Yoon Hye-W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되는 방과후 요리활동을 컨텐츠기반에 의거하여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크게 다음과 같이 2가지로 설정하였다. 1. 방과후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요리활동 개발을 위한 틀을 어떠한가? 2. 영어 요리활동 개발의 틀에 의거한 방과후 유아 요리활동의 개념적 모형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EFL 환경인 우리나라에서 의사소통으로서 영어교육은 컨텐츠기반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피력하면서 방과후 영어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요리활동의 방향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출판사에 의해서 개발된 자료가 주로 문법번역식과 청화식 교육방법으로 이루어져서 비교육적인데 비하여 컨텐츠기반 영어교육의 자료는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육과정을 영어로 배우면서 영어도 습득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틀에 의거하여 방과후 요리활동의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사회 및 개인의 요구→프로그램의 목적→프로그램의 내용→교수 학습 전략 및 활동계획→프로그램 실시→프로그램 평가→프로그램 수정 개발로 전개하였다. 다음으로 요리활동 개발의 틀에 의거한 방과후 요리활동의 개념적 모형은 섞는, 열을 가하는, 얼리는, 꾸미는 요리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영어활동으로 BICS와 CALP의 영어능력 발달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였다. 즉, BICS에서는 요리순서 등 의사소통에 대하여, CALP에서는 요리의 이름, 재료의 이름, 재료의 이름, 도구의 이름 등 개념과 단어에 초점을 두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after school cooking activity that is connected to kindergarten curriculum and based on content-based. To meet The study purpos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et up two big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framework for the after school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f cooking program? 2. What is the conceptual early childhood after school English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framework? This study, the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tent-based after school program for EFL society like and recommended cooking activity for the after school program. The author of this study mentioned that most English texts by publishers are grammar-translation and audio-lingual methods which will hinder communicative English ability. Compared to these, the content-based program will do the job of acquisition of content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English ability both in BICS(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ve Skill) and CALP(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The author of this study drew up the framework for the after school English education of cooking program as "Need of an Individual and Society→ Program Purpose→Program Conten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Activity Plan→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Program Evaluation and Modification→ Final Product." Based on this framework, the author designed the conceptual cooking activities within four different types: cooking activities that are mixing, heating, freezing, and decorating. This study is limited to 12 activities to start. However, longitudinal after school cooking program should be designed in many different models.

      • KCI등재

        유아 요리활동 관련 국내연구의 동향분석

        양시내,국지윤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cooking activities for children. To that end, a total of 170 studies on cooking activities for children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database of Ris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criteria for year and type,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and content composition. First, studies on cooking activities for children have steadily increased since the 2000s, and there are many master's thesis. Second, the most research subjects were children, followed by teachers and parent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mainly used. Fourth, more practical research was conducted than basic research in the research topic and most of them deal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detail. Fifth, research on cooking activities was more active than integrated activities in content composition. This study is valuable with the perspective that it can provide directions on research related to cooking activities for children and provide basic data for children cooking program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 유아 요리활동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주제어 검색을 통하여 유아 요리활동 연구 총 170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발표연도 및 형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내용구성 별로 기준을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로 2000년대 이후 유아 요리활동 관련 연구가 증가하였으며, 발표형태로는 석사학위 논문이 주로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교사, 부모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 면에서 양적연구가 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넷째, 연구주제에서 기초연구보다 실천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세부적으로 교수학습방법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내용구성에서 단일 요리활동 연구가 통합적 활동보다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고 관련 요리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후보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이효신,신은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낮게 발견되는 특성 중의 하나인 주의집중 및 변별력의 향상을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유아들이 흥미를 가지는 매체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였으며,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이것은 요리활동으로 선정되었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요리활동을 통하여 발달지체유아들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PEP에 의하여 발달지체를 나타내는 유아 4명을 선정하였고, 독립 및 종속변인(주의집중)의 기능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기초선설계를 이용하였으며, 또 다른 종속변인(변별력)의 변화는 프로그램 적용의 전후검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4명의 연구대상은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라 급격한 주의집중 행동변화를 보임으로써 요리활동과 주의집중 행동의 기능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변별력은 4명 모두 상승된 점수를 나타내었는데 그중 유아 B가 가장 큰 상승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요리활동이 발달지체 유아들의 주의집중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향상된 주의집중 행동의 일반화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 중재 및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또한 변별력은 전후검사를 통하여 확인된 것이므로 미세한 행동의 변화를 측정할 수 없었음이 고려되어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 cooking program on the sustained attention and the visual discrim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enrolled in special kindergarten G, who scored below 50 developmental quotient on the Psycho-educational Test.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MBDAS)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cooking program on the sustained attention and discrim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this study, MBDAS was performed on sustained attention while the children were playing house. The 8 types of cooking 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a total of 15 sessions. It was included while the children were playing house for duration of 30 to 40 minutes everyday. The data collection for sustained attention was completed every 10 seconds intervals for 10 minute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 that the cooking intervention program was very effective in increasing sustained atten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a visual discrimination test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cooking activity on discrimin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contents of the discrimination test sheet were extracted from an existing test sheet and reorganiz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of this test demonstrate that the cooking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regards to discrimination and development of concepts. In summary, the cooking program prov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sustained atten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cooking program also positively influenced discrimination, specifically color, shape, and classification discri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need for developing an interesting, specific, well-structured curriculu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ich emphasized a variety of learning programs integrated within a cooking course.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