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한 인간유형으로서의 위버멘쉬

        이상범 한국니체학회 2019 니체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니체의 철학에 등장하는 위버멘쉬를 건강철학의 관점에서 해명하기 위한 시도이다. 위버멘쉬는 왜 건강한 인간유형일까? 그는 단지 자기 자신을긍정하고 극복하는 인간에 대한 명칭일까? 우리는 위버멘쉬를 하나의 철학적 개념으로 인식해야만 하는 것일까? 만약 위버멘쉬가 하나의 철학적 개념이라면 그것은 자유정신, 신의 죽음, 허무주의, 힘에의 의지, 영원회귀와 운명애 등과 같은니체의 철학적 개념들을 통해서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니체는 자신의철학에서 위버멘쉬를 단지 하나의 철학적 개념으로서만 제시하지는 않는다. 그는 오히려 위버멘쉬를 자기경멸, 몰락, 번개, 웃음, 춤, 자기구원, 자기긍정, 자기극복 등과 같은 비철학적 개념들을 통해 설명한다. 이렇듯 위버멘쉬의 존재론적해명과 그의 건강성을 실재의 관점에서 해명하기 위해서는 니체의 철학적 개념뿐만 아니라, 비철학적 개념들도 함께 살펴보아야만 한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하나의 철학적 개념으로 규정되어 왔던 위버멘쉬를 구체적 현실세계로서의 대지의 실천적 관점에서 해명하기 위한 시도이다. The present lecture aims to discuss the Übermensch in Nietzsche’s philosophy from the perspective of health philosophy. Why is the Übermensch the healthy type of person? Is he just a name over the self-affirming, overcoming human? Do we recognize the Übermensch only as a philosophical concept? If the Übermensch is a philosophical concept, it can be explained by 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Revelation, God is death, nihilism, the will to power, the eternal return and amor Fati(love of fate) etc. But Nietzsche does not present the Übermensch in his philosophy as a philosophical concept. Rather, he explains the Übermensch by the un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self-despise, down-going, lightning, laughter, dance, self-redemption, self-affirmation, self-overcoming, etc. To explain the ontological explanation of the Übermensch and his health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ty, one should not only explore Nietzsche’s philosophical concepts, but also his unphilosophical concepts. The present lecture aims to discuss the Übermensch, hitherto defined as a philosophical concept,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of the earth as the concrete world of reality.

      • KCI등재

        니체의 위버멘쉬와 고귀한 삶 그리고 정치

        최순영(Choi Soonyou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10 정치사상연구 Vol.16 No.2

        니체의 좋은 삶에 대한 견해는 이상적 인간으로서 위버멘쉬의 고귀한 삶과 그 대척점에 있는 천민, 종말인(der letzte Mensch)의 동물적이며 속물적인 삶의 대조에서 그 특징을 잘 알 수 있다. 니체에게 인간은 초월적이고 선험적인 불변의 본성을 가진 존재가 아니다. 니체는 인간을 힘에의 의지의 관점에서 위버멘쉬와 동물사이의 심연에 걸쳐져 있는 밧줄 위를 걷고 있는 양자 사이의 교량으로서, 과정적 존재로 파악한다. 니체는 기존의 목적론적, 기독교적, 선험적 인간관을 비판한다. 따라서 인간은 힘에의 의지의 상승과 퇴락에 따라 위버멘쉬로 상승할 수도 동물로 몰락할 수도 있다. 그는 『그리스 국가』에서 생존의 필연성으로서 노동의 수치성을 강조하며 희생과 잉여노동에 바탕한 문화의 본질에는 노예제가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국가와 인간은 단지 수호신(Genius)의 지속적인 생산과 준비의 도구일 뿐이며, 인간은 의식적 무의식적이든 수호신의 도구일 때에만 자신의 존재를 용납하여 존엄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니체는 현대적인 노동의 존엄과 인간의 존엄을 도구가 목적이 되어버린 전도로서 비판한다. 전도의 결과로서 현대인은 어떠한 존엄도, 권리도 갖지 않게 되었으며, 노동의 존엄은 오히려 인간을 노동의 수단으로 노예화 시켰다고 비판한다. 그러므로 니체는 문화의 본질에 필연적인 노예제를 은폐하는 현대적 인간의 존엄성과 노동의 존엄성을 전도된 가치로서 비판한다. 이러한 근거에서 니체는 현대적 정치이념과 문화를 비판한다. 니체는 힘에의 의지에 근거한 주권적 입법자로서의 개인의 자기에 대한 명령과 자발적 복종으로서의 자기규율을 강조한다. 이에 마땅히 따라야 할 자기복종으로서의 규율과 의무, 책임성이 부재한 부정적이고 반항적인 자유, 즉 사이비 자유에 기초한 자유주의를 니체는 비판한다. 니체가 노예를 자기명령에 복종할 줄 모르는 자라고 정의한 점은 의미심장하다. 그리고 또한 니체는 인간과 문화의 왜소화를 초래하는 정치적 평등에 기초한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비판한다. 양자는 인간현실에서 불가피하고, 찬란한 문화적 상승을 위해서 필수적인 귀족적 불평등과 특권에 대한, 약자인 군중들의 부정적이고 반동적(Reationar)인 힘에의 의지인 원한(Ressentiment)에서 비롯된 니힐리즘이라고 니체는 비판한다. 또한 니체는 공리주의를 냉정한 도구적 본성을 갖고, 인간을 유용성의 관점에서 평가하여 파편화 된 인간을 양산하는 노예적 가치라고 비판한다. 니체만큼 노골적으로 현대적 삶과 문화, 정치에 대해서 비판한 사람도 드물 것이다. 니체가 주장하는 위버멘쉬의 고귀한 삶, 위험과 실패를 무릅쓴 모험과 도전에 의한 자기극복과 힘에의 의지의 상승의 추구는 자기보전과 쾌적한 삶에의 안주를 지향하는 현대적 좋은 삶과 대조적이다. 니체의 비판은 정치적 무관심의 팽배, 자율적 규율과 시민적 의무에 기초하지 않은 권리의 남용, 민주주의의 보편화와 이에 따른 이데올로기로서의 민주주의의 구체성의 상실과 비판적 기능의 약화에 따른 민주주의의 위기, 아우라(Aura)의 상실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 기술복제 시대를 넘어 멀티미디어 문화상품화 시대에 사는 현대적 삶에 대한 비판적 사유의 계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현대적 삶과 문화, 정치에 대한 니체의 비판에 대해 깊이 숙고할 필요가 있다. 니체가 주장한 좋은 삶으로서 위버멘쉬의 고귀한 삶과 이와 대조된 현대적 좋은 삶과 문화와 정치에 대한 평가는 앞으로 보다 많은 토론과 논쟁이 요구되는 주제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니체의 위버멘쉬(Ubermensch) 개념과 무도적인간상(武道的人間像)

        이승훈 ( Seung Hoon Lee ),권태동 ( Tea Dong Kwon ) 대한무도학회 2014 대한무도학회지 Vol.16 No.1

        이 연구는 니체가 주장한 위버멘쉬 개념과 武道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人間像인 道人의 관계를 논의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니체의 전반적인 사상과 신체관을 살펴보고, 그가 위버멘쉬의 개념을 주장하게 된 배경을 제시하였다. 또한 위버멘쉬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을 파악하여, 동양적 사고와의 연관성이 있을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후 전통적 동양에 그 근원을 두고 있는 武道와 니체의 위버멘쉬의 접점을 찾기 위해 武道의 개념 정의를 선행하였다. 武道, 武藝, 武術등의 유사한 용어로 사용되는 것을 武道라는 하나의 포괄적 개념으로 구성하고, 각각이 모두 궁극적인 경지 추구를위한 방안으로 활용되는 수단으로 정의하였다. 武道는 수행이라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武藝는품새 등의 形을 추구하는 것이며, 武術은 상대와의 對鍊이나 比武등의 경쟁적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결과적으로 그러한 요소들이 궁극에 이르게 되면 동일한 경지에 오르게 된다는 萬流歸宗의 예와 같다. 이처럼 武의 길(道)을 통해 궁극에 이른 사람을 道人이라 할 수 있으며, 道人과 위버멘쉬의 개념을 비교·대조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단순히 위버멘쉬와 道人의 관계를 논의한 것에 머무르지 않고, 동·서양의 문화적 교류나 학문적 소통의 가능성을 제기하는 논변이다.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Ubermensch maintained by Nietzsche and an ascetic, a human character ultimately pursued in martial arts. To this end, Nietzsche`s overall thought and a view of human body were examined and the background that Nietzsche had maintained the concept of Ubermensch was presented. The specific concept of Ubermensch was understood and its correlation with oriental thought was discussed. The concept of martial arts was first defined to find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martial arts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orient and Nietzsche`s Ubermensch. Related terms similarly used were organiz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called martial arts and defined as a means utilized to pursue the ultimate stage. Moo-Do focus on self-discipline. On the other hand, Moo-Ye pursues the form of motions, while Moo-Sul emphasizes competitive factors such as sparring or competition with the other party. Consequently, it means that a person reaches the same stage if these factors reach the ultimate state. An ascetic can be a person who reaches an ultimate state in the martial way. The concept of an ascetic and Ubermensch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in this study. This study is an argume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Ubermensch and an ascetic is discussed an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exchanges and academic communica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s also presented.

      • KCI등재

        태권도 인성교육의 이상적 인간상 위버멘쉬

        빙원철 국기원 2022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3 No.3

        Purpose The problem is that taekwondo personality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as a show program based on commercialism without a clear philosophical reason for the ideal human image. Therefore, I would like to present Nietzsche's Ubermensch as a concrete practical philosophy to follow in the daily life of taekwondo personality education. Method This paper reinterprets the concept of ubermensch presented in Nietzsche's book, Thus Spoke Zarathustra, etc., as an ideal human image for character education in Taekwondo. Results As a practical philosophy to move from Taekwondo character education to the ideal human image, Ubermensch, first, ‘Becoming a person who maximizes the will to power!’ . Second, ‘Be yourself through camel, lion, and child!’ Third, it is 'Eternal return, becoming a lover of this moment!' The process of affirming and overcoming the repeated painful moments of Taekwondo training should be the character education of the Taekwondo practitioner, and this achievement should lead to inner strength in the practitioner's daily life. Conclusion It should be borne in mind that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the character of practitioners in the Taekwondo training process is an important process that does not lose the essence of Taekwondo. Educating not only martial arts excellence but also personal excellence through repeated Taekwondo training experience will be the work of moving on to a true ubermanche with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목적 태권도 인성교육은 명확한 이상적 인간상에 대한 철학적 사유없이 상업주의에 바탕을 둔 보여주기식 프로그램으로이뤄지고 있는 것이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태권도 인성교육의 일상에서 따라야 할 구체적 실천철학으로 니체의 위버멘쉬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니체의 저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등에 제시된 위버멘쉬의 개념을 태권도 인성교육의 이상적 인간상으로재해석한다. 결과 태권도 인성교육에서 이상적 인간상 위버멘쉬로 건너가기 위한 실천철학은 첫째, ‘권력에의 의지를 극대화 하는 자되기!’이다. 태권도 수련을 통해 고통과 좌절을 이겨내고 성공을 통해 자기상승의 욕구를 실현하는 것이 위버멘쉬가 지닌권력에의 의지의 지향성이다. 둘째, ‘낙타, 사자, 어린아이를 통해 나 자신이 되기!’이다. 겨루기, 품새, 격파의 태권도 수련을통해 낙타의 인내력, 사자의 가치창출, 어린아이의 긍정적 창조의 정신을 적용하여 위버멘쉬로 건너가야 한다. 마지막으로‘영원회귀, 이 순간을 사랑하는 자 되기!’이다. 태권도 수련의 반복된 고통의 순간을 긍정하고 이겨내는 과정이 태권도 수련자의인성교육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성취가 수련자의 일상에서 내면의 힘으로 이어져야 한다. 결론 태권도 수련 과정 속에서 수련자의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야 말로 태권도의 본질을 잃지 않는 중요한 과정임을명심해야 한다. 반복적인 태권도 수련경험을 통해 무도적 탁월성 뿐만아니라 인성적 탁월성도 함께 교육하는 것은 신체와정신의 건강성을 모두 지닌 진정한 위버멘쉬로 건너가는 작업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위버멘쉬와 그의 건강의 실존적 조건

        이상범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50 No.-

        본 논문은 니체가 자신의 철학에서 제시하는 위버멘쉬와 그의 건강의 실존적 조건을 해명하기 위한 시도이다. 니체는 자신의 철학에서 위버멘쉬를 건강한 인간유형으로 제시한다. 그렇다면 위버멘쉬와 그의 건강의 실존적 조건은 무엇일까? 그리고 그의 건강은 어떻게 증명될 수 있는 것일까? 니체는 위버멘쉬를 이상적 존재가 아니라, 실재로서 경험될 수 있는 감정의 존재로 제시한다. 니체에게 있어 위버멘쉬는 자기 내면의 힘의 느낌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실존적 상승과 성장의 상태에 대한 명칭인 것이다. 이때 정동은 인간이 자신과 자신의 삶을 실재로서 느낄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신의 삶을 실재로서 느낄 때 인간은 비로소 형이상학적 저편세계를 향하지 않게 된다. 이 감정은 결코 일시적일 수 없다. 니체에 의하면 이 감정은 자신의 운명 자체를 사랑하는 영원에 대한 긍정이다. 니체는 이 긍정의 감정을 행복이라고 명명한다. 나아가 그는 이 행복의 감정을 건강의 실존적 의미이자 그 조건으로 제시한다. The present lecture aims to discuss the overman and the condition of his existenzial health in Nietzsche's philosophy. In Nietzsche's philosophy, Nietzsche introduces the overman as the healthy person. What then is the overman and the condition of his existenzial health? And how can his health prove. Nietzsche presents the overman not as the ideal man, but as the human being of the affect, who can feel and experience it for himself. Overman is for Nietzsche the name of the state of existenzial rising and growth that one can experience through the power feeling of his inner being. For this reason, affect in human life has an important role that man can feel to himself and his life as reality. If one feels his life as a reality, one does not orient oneself as the metaphysical world. This affect can not be temporary. According to Nietzsche, this affirmation is the affirmation of eternity that one loves his fate in itself. Nietzsche calls this affect of affirmation happiness. Furthermore, he presents this affect of happiness as the existenzial sense of health and its condition.

      • KCI등재

        니체와 하이데거의 존재론 고찰 - 니힐리즘을 중심으로

        김경배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81 No.-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existence in Nietzsche’s and Heidegger’s thought of Being for the overcoming of Nihilism. In this purpose, I am going to take a thing apart Nietzsche's Übermensch and Heidegger's Dasein in turn. But I don't mean to put Heidegger's interpretation to Nietzsche’s thought of Being on the main end of my study. I am going to clear each of their thinking's the meaning of Being and elucidate Heidegger's the distinct question of Being which is overcoming the question of beings. Nietzsche and Heidegger inquire about the question of the meaning of Being distinct from a traditional metaphysics. Nietzsche thinks of 'Nihilism' as the historical movement and lay it down on the idea of value. He demands a new value for life up against a feeling of nothingness that the best value is worthless. Nietzsche denies a entire metaphysical tradition and claims that the whole of man have to become the world itself in order to set themselves as a builder of value. Because he thinks that all man must become Übermensch, that is, the answer for overcoming Nihilism. Nietzsche seeking Übermensch desires self-conquest through Will to power and that is the essence of his life. Heidegger considers Nietzsche's thought of Being as a typical nihilism. Because in Heidegger's view, the new values for human life made by Nietzsche are the radical re-presentation of a metaphysical value. Heidegger evaluates his idea about Being dually-in order words Nietzsche's Übermensch is the beings who enter primally into the truth of existence, although he was involved in the metaphysics's principle of beings; even so, Heidegger's the basic tone of argument takes that Nietzsche couldn't think the essential relation of 'Will to power' to 'Übermensch', the truth of Being itself. Heidegger, thus, asks about the fundamental meaning of Being for ‘an-wesen’ 이 글은 니체와 하이데거의 니힐리즘의 극복에 있는 존재사유에서 실존의 의미를 탐구한다. 이 목적에서 논자는 위버멘쉬(Übermensch)를 중심으로 니체와 하이데거를 교차 분석하고 각자의 ‘존재의 의미’를 밝히면서 존재자 물음을 극복한 하이데거의 존재물음을 해명한다. 니체는 니힐리즘을 역사적 운동으로 간주하고 가치사상에 입각해 해명한다. 종래의 가치가 무가치해진 허무한 감정에 직면하여 니체는 삶에 새로운 가치를 요청한다. 그리고 니힐리즘의 한 가운데로 뛰어든다. 니체는 새로운 가치 정립자로서 인간존재를 상정하기 위해 전통의 일체를 거절하고 인간존재의 모든 것이 세계 자체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니체는 인간존재가 ‘위버멘쉬’로서 존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위버멘쉬’를 추구한 니체는 끊임없는 자기극복의 의지를 의욕한다. 니체에게서 자기극복의 의지가 삶의 본질이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니체를 전형적인 니힐리즘으로 간주한다. 니체가 제시한 가치는 근본적으로 형이상학적인 가치의 극한적인 재현이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니체가 형이상학의 원리에 휘말려있지만, ‘위버멘쉬’는 실존의 진리에 최초로 진입한 존재라고 이중적으로 평가한다. 우리는 니체와 하이데거를 추적함에 있어서 이러한 이중적 평가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이데거의 기본적인 논조는 니체가 ‘힘에의 의지’와 ‘위버멘쉬’의 연관성을 본질적으로 사유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하이데거에게서 그 연관성의 물음은 존재 자체이다. 따라서 하이데거는 니체가 간과했던 존재의 본질적인 의미를 묻고, 존재의 자체의 현성을 위해 ‘무’와 연관지어 탐구한다.

      • KCI등재

        니체의 예술적 창조인 위버멘쉬

        이선 ( Lee S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감성연구 Vol.- No.22

        니체 철학에서 위버멘쉬는 가장 중요한 개념이지만 가장 오해받는 개념이기도 하다. 니체의 위버멘쉬는 인간이 신이 된 것이거나 신이 인간이 된 것이 아니라 신을 벗어난 인간이 인간을 넘어선 다른 어떤 존재를 창조한 것이다. 니체는 위버멘쉬의 창조를 단지 사유로서 제시한 것이 아니라 삶 속에서의 예술적 실천으로 보여준다. 그래서 이 글은 위버멘쉬의 창조를 사유와 현실로 구분하여 니체라는 철학자의 개념적 창조와 니체의 시인인 차라투스트라의 예술적 실천으로 다루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니체와 니체의 시인인 차라투스트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위버멘쉬를 예술적으로 창조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Übermensch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Nietzsche’s philosophy but is also what is most misunderstood. Nietzsche’s Übermensch is neither a human who has become God nor God who has become a human but is another being that has been created beyond human. Nietzsche is presenting this creative concept not only as an ideology but he is also displaying how it can be materialized in real life and therefore is at an advantage to be interpreted in Esthetic aspects. Consequently, this essay is to study the concept of Übermensch and how it can be laid out into the real life in two aspects of philosophy and esthetic; the conceptive creation of Nietzsche and the artistic creation of Zarathustra. The concept of Übermensch by Nietzsche has been studied countlessly as its popularity is well known, and this essay may not sound new, however, based off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ietzsche and Zarathustra, this paper will find the creative activities in the two different aspects of philosophy and esthetic which would then unveil and distinguish the attributes and remarks of the three characters and their relationships between and of Übermensch, Nietzsche and Zarathustra. For this reason, this essay would contribute in defining who Übermensch is and the accounts of him.

      • KCI등재

        칸딘스키의 추상예술론에 함의된 니체의 위버멘쉬(Übermensch)에 관한 고찰

        이인희(Lee, In-hee)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4 No.-

        본 논문은 칸딘스키의 추상표현주의와 추상예술론에 함의된 니체의 철학을 고찰함으로써 칸딘스키 추상미술에 담긴 존재론적 측면을 논증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칸딘스키는 추상미술의 선구자이자 추상표현주의를 통해 전통미술에 대한 해체와 전복을 시도한다. 이와 동시에 예술과 삶에 대한 정신적 전환의 깨우침을 준다. 이와 같은 칸딘스키의 창조적 시도는 내적 필연성을 통해 가능한데 그 배후에는 니체의 위버멘쉬가 자리하고 있다. 칸딘스키는 그의 저서에서 니체의 가치의 전도,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를 직·간접적으로 드러낸다. 예술에 대한 니체의 정의는 전통적 예술개념의 해체와 확장, 파괴와 창조에 있고 이는 삶의 법칙과도 연관한다. 칸딘스키의 예술론에 담긴 위버멘쉬의 형상은 추상표현주의를 통해 현현하고 이는 현대미술의 확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Kandinsky attempts to deconstruct and subvert traditional art through abstract art. At the same time, he gives an awakening of spiritual transformation to art and life. Kandinskys creative attempt is possible through inner necessity and behind it is Nietzsches Übermensch. In his writings, Kandinsky directly or indirectly reveals Nietzsches inversion of values, the will to power, and Übermensch. Nietzsches definition of art consists of the de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art, destruction and creation. It is also related to the laws of life.The form of Übermensch contained in Kandinskys art theory is expressed through the form of Abstract Expressionism, which ha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expansion of contemporary art.

      • KCI등재

        니체에게서 삶의 긍정 및 구원Erlösung과 위버멘쉬Übermensch

        김주휘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1 No.-

        It is well known that Nietzsche insists on the affirmation of life, and the subject of ‘affirmation of life’ is a familiar one in Nietzsche literature. We want to throw an unfamiliar light on this familiar subject, connecting the theme of affirmation with that of redemption, and insisting on the centrality of the theme of redemption in Zarathustra’s teaching of Übermensch. For Nietzsche, the redemption of human life means that its life is endowed with some meaning and its existence is positively justified. With this redemption, an active affirmation of life is possible, which means that we not only endure this life once but also request it for indefinite times. According to Nietzsche, for this kind of redemption and active affirmation we need an ultimate ground of meaning and only the excellence of life, that is, of ‘will to power’ can serve as this ultimate ground. Accepting the Greek way of identifying virtue with excellence, Nietzsche thought that life can justify itself at the ultimate form of life in Übermensch. Then, through Übermensch the way is opened for man to endow meanings on and justify its life. That is, Übermensch is not only the one who affirms its life, but also the very condition in which humanity can justify its life in general. With the goal and ideal of Übermensch accepted, the affirmation and redemption of an individual life depends on how it manages to create its own life in relation to this goal and ideal. According to Nietzsche, though we cannot go back to the past, we still can recreate it and change its meanings through working on the future. Only those who try to create a meaningful future and thus recreate the past could redeem and affirm their own lives. That is, for Nietzsche, to affirm and redeem one’s life means not just to change one’s attitude to life but to create and recreate it with the eye for Übermensch. 니체의 철학이 삶의 긍정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것은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고 니체에 관한 문헌들에게서도 긍정은 매우 익숙한 주제이지만, 본고에서는 이 주제를 조금 다른 각도에서 비추어 볼 것이다. 우리는 니체에게서 삶의 ‘긍정’이 갖는 능동적 성격을 강조하면서 이것이 ‘구원Erlösung’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고 보고, 인간의 삶의 구원을 위해 ‘위버멘쉬Übermensch’가 제안되는 배경을 검토한다. 니체는 초기부터 삶이 어떻게 구원될 수 있는가의 문제에 큰 관심을 기울였지만, 이 주제는 중요성에 상응하는 만큼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아왔다. 니체에게서 인간의 삶이 구원된다는 것은, 그 삶의 존재가 적극적으로 정당화되고 의미를 부여받는다는 것을 뜻하는데, 이를 통해 삶의 능동적 긍정, 단지 한 번의 삶을 감내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삶을 요청하고 무한히 반복할 것을 희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니체는 이러한 긍정과 구원을 위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삶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의미의 궁극적 원천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그 궁극적 의미의 원천은 바로 삶에 내재적인 이상으로서 탁월한 삶 자체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스인들에게 빚을 지고 있는 이러한 사유는 ‘위버멘쉬’의 제안으로 나타났다. 실존의 궁극적 형태인 위버멘쉬에게서 삶은 스스로를 정당화한다. 인간은 바로 이러한 위버멘쉬를 통해 삶 일반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것을 정당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버멘쉬는 스스로 삶을 긍정하는 자일뿐만 아니라, 보다 중요하게는 인간이 삶을 긍정할 수 있게 하는 조건이기도 하다. 이러한 삶의 긍정의 길을 받아들이게 되면, 개개인의 삶의 구원과 긍정은 저 탁월한 삶과의 관계 하에서 각자가 자신의 삶을 어떻게 창조해 나가는가에 달려 있게 된다. 니체는 시간의 불가역성에도 불구하고 미래적인 창조가 지나가버린 과거를 구원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시간 자체를 돌이킬 수는 없지만 과거를 재창조하고 그것의 의미를 바꿀 수 있다. 그리하여 오직 창조하는 자에게만 자신의 삶을 구원하고 능동적으로 긍정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

      • KCI등재

        황순원의 「곡예사」로 읽는 근대 성찰과 휴머니즘

        김원희 ( Kim Won-hee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9 No.-

        이 논문은 황순원 소설을 근대 성찰의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황순원의 단편소설 「곡예사」에 집중하여 휴머니즘을 탐구하였다. 「곡예사」의 독창성을 니체의 ‘위버멘쉬’에 이르는 세 단계 정신으로 들여다보면, 현실 초극의 휴머니즘이 새롭게 도출된다. 현대소설에서 근대 성찰의 의미는 한국 사회가 당면한 이분법적 갈등과 인간성 상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가치다. 본 논문의 의의는 황순원의 「곡예사」에서 천착된 피난살이 몸의 사유를 ‘위버멘쉬’의 현실 초극 의지로 논구함으로써, 작가 황순원의 실제 역사적 경험이 문학성을 어떻게 성취하며 독자의 공감대를 확장하는가를 구명한 과정에 있다. 니체는 ‘위버멘쉬’의 정신으로 근대 철학의 혁신을 설파하였다면, 황순원은 「곡예사」의 독창성으로 한국 문학을 통한 근대 성찰의 창조성을 성취한 셈이다. 「곡예사」를 “‘위버멘쉬’에 이르는 정신의 세 단계변화”로 분석하면, ‘가족부대’에서 ‘곡예단’으로 천착된 ‘몸’의 사유는 ‘낙타’의 인고와 같은 타자의식의 수용을 거쳐, ‘사자’의 분노와 같은 자기부정의 현실 저항을 넘어, 마침내 ‘아이’의 순수한 유희와 같은 자유의지를 발현하는 ‘위버멘쉬’의 혁신적 휴머니즘을 보여준다. ‘위버멘쉬’의 현실 초극과 맞닿는 황순원의 실천적이며 창조적인 휴머니즘을 통해 한국 현대 소설이 직면한 근대 성찰의 답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론적 접근으로 「곡예사」를 논구한 논문은 없다. 본 논문의 학술적 가치가 기대되는 이유다. This paper explored humanism by concentrating on Hwang Sun-won's short story "The Acrobat" in order to take a fresh look at Hwang Sun-won's novel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reflection. If you look at the originality of "The Acrobat" in the three stages of Nietzsche's ‘Übermensch’ the meaning of the creative and practical humanism in the real world is analyzed. In modern Korean novels, the meaning of modern reflection is an important valu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dichotomous conflict and loss of humanity that our society fac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said to be an exploratory process to trace back how Hwang Soon-won's actual historical experience could expand the consensus with literary originality by analyzing the reason of his body based on Hwang Soon-won's "The Acrobat" in the spirit of ‘Übermensch’. While Nietzsche advocated the innovation of modern philosophy in the spirit of ‘Übermensch’, By analyzing the narrative of "The Acrobat" as a "three-step change of spirit" leading to ‘Übermensch’ Hwang Soon-won's practical and innovative humanism, which touches the creation of ‘Übermensch’ was able to find answers to modern reflections facing Korean modern novels. There are no academic papers that have studied "The Acrobat" such a methodological approach. This is why academic value of this paper is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