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골반경사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이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송성인,강종호 중소기업융합학회 2017 융합정보논문지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앉은 자세에서 골반의 앞방향경사와 뒷방향경사에 따른 스마트폰의 사용이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를 알아보고 IoT 디바이스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건강한 20-30대 성인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골반앞방향경사와 골반뒷방향경사를 중재한 뒤 5분간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중앙 3분의 근전도 신호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앉은 자세에서 골반앞방향경사의 스마트폰 사용이 골반뒤방향경사와 비교하여 양측 목세움근(p<.001), 왼쪽 위등세모근(p<.001), 오른쪽 위등세모근(p<.002)의 %RVC 값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골반의 앞방향경사를 통한 앉은 자세가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을 유지하여 스마트폰 사용 시 발생하게 되는 전방머리자세를 방지하여 목과 어깨 주변의 부하를 감소시켜 %RVC 값이 유의하게 낮았다고 사료되며 향후 골반경사에 중점을 둔 새로운 자세교정 IoT 디바이스들이 개발되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scle activity of cervical erector spinae & upper trapezius while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terior pelvic tilt & posterior pelvic tilt in sitting position. & we also want to obtain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IoT devices. Fifteen healthy men & women aged 20-30 were enolled, After anterior pelvic tilt & posterior pelvic tilt in sitting position were adjusted, they used a smartphone for 5 minutes & EMG signal was measured simultaneously. We used median 3 minutes of measured EMG sign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sitting position, the use of smartphone in anterior pelvic tilt had significantly lower %RVC values in both cervical erector spinae (p <.001), left upper trapezius (p <.001) & right upper trapezius (p <.002) in comparison with posterior pelvic tilt. This means that anterior pelvic tilt make vertebrae maintain normal curvature & prevent forward head posture occurred while using a smartphone. It reduces loads around neck & shoulders, so that %RVC value is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future, new posture corrected IoT devices with an aspect of pelvic tilt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후보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어깨뼈 동적 안정화운동이 위등세모근, 큰가슴근 및 앞톱니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

        윤삼원,강종호 중소기업융합학회 2017 융합정보논문지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어깨뼈 동적 안정화운동이 위등세모근, 큰가슴근 및 앞톱니 근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건강한 성인 남성 15명이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 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적용 시 위등세모 근과 큰가슴근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앞톱니근의 활성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이를 통해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어깨뼈 동적 안정화 운동이 선택적으로 앞톱니근의 활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어깨뼈 동적 안정화 운동에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apular dynamic stabilization exercise(SDex) with electromyography(EMG) biofeedback on the upper trapezius(UT), pectoralis major(PM) and serratus anterior(SA) activities. Fifteen healthy mal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paired t-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showed, through EMG biofeedback, that EMG activity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UT, PM and increased in the SA(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SDex with EMG biofeedback is effective to selectively strengthen the SA. This article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article using SDex with EMG biofeedback.

      • KCI등재
      • 컴퓨터 작업 시 의자 등받이 위치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우,변승진,이경은,정소영,조주영,최원자,최찬양,김경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再活科學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컴퓨터 작업시 의자 등받이 위치가 근육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6명의 근골격에 문제가 없는 성인 남녀가 참가하였으며 대상자들은 등받이가 뒤에 있는 의자와 등받이가 없는 의자, 등받이가 앞에 있는 우리들 의자를 무작위로 배정하고 동일한 컴퓨터 작업을 실시하게 하였다. 실험 중, 표면근전도기를 사용하여 의자에 따른 위등세모근, 머리널판근 그리고 척주세움근의 근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등받이가 앞에 있는 의자는 허리 근육의 부담을 줄이지만 목근육에 부담이 늘어나고 등받이가 뒤에 있는 의자와 없는 의자는 허리근육에는 다소 무리가 가지만 목근육에는 부담이 덜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환자의 증상에 다라 컴퓨터 작업을 하는 동안 의자 등받이의 위치를 조절하여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checked and observed people's change of body muscle and muscle activity who do computer work on different chairs. We set three kind of chairs which one is a stool and another one is the back is fixed, and the other one is the back is fixed in front of chair. Subject : Accounting for 36 health men and women, we divided these people to 3 groups and put them on the three cases(position 1, position 2, position 3). We measured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Splenius Cervics, Erector Spinae from the groups by using surface electromyogram system. Methods : The standard of the electromyogram was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and we carried out 'one way anova' to compare muscle activity of three groups. Results : In position 1,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of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123.2821%, Splenius Cervics was 141.7526%, and Erector Spinae was 254.5233%. In position 2,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of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132.9395%, Splenius Cervics was 141.7526%, and Erector Spinae was 246.6540%. In position 3,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of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190.6487%, Splenius Cervics was 270.2332%, and Erector Spinae was 182.1021%. Both upper trapezius and Splenius Cervics muscle activity of position 3 group was higher than the others groups. In position 1 group, Erector Spinae muscle activity was hight than the other groups. And either was position 2 group's(p<0.05). Conclusion : Therefore the chair which is the back is fixed in front is more comfortable for waist muscle but it's not good for neck. And the other chairs are better in waist muscle but not in neck muscle. So far, when we do a computer work, it's prefer to sit on the group 1&2's chairs to reduce neck muscle's stress and sit on group 3's chair to reduce waist muscle's stress.

      • KCI등재

        컴퓨터 타이핑 작업 시 목과 어깨의 멀리건테이핑 적용효과 분석

        강정일(Jeong-Il Kang),박준수(Jun-Soo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는 VDT 증후군에 대한 테이핑의 예방효과를 검증하고 일상생활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성인 남성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표본 추출하여, 실험군은 어깨관절 정렬을 위해 비탄력 테이프를 적용하고, 대조군은 테이핑을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 근전도를 이용하여 목근육(목빗근)과 어깨 주위 근육(위등세모근, 앞어깨세모근, 중간어깨세 모근)들을 측정하여, 30분 간 타이핑 작업을 시행한 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룹 내 근활성도 변화는 실험군은 위등세모근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고(p<.001)(p<.01), 대조군은 모든 근육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p<.001), 그룹 간 변화는 위등세모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그룹 내 중앙주파수 변화는 실험군은 위등세모근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중앙주파수가 감소하였고(p<.01)(p<.001), 대조군은 모든 근육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중앙주파수가 감소하였으며(p<.05)(p<.001), 그룹 간 변화는 위등세모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따라서 타이핑 작업 시 어깨관절의 테이핑 적용이 어깨뼈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그 결과 어깨뼈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와 근피로도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테이핑 적용방법에 따른 효과를 좀 더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reventive effects of taping for VDT syndrome and present methods to improve work efficiency in everyday lives. To achieve this purpose, 30 male adults were randomly sampled and assigned into experiment group of 15 individuals and control group of 15 individuals. The experiment group were provided c-tape for shoulder joint alignment and the control group were not provided the tape, and neck muscl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shoulder muscle (upper trapezius, frontal deltoid muscle, and intermediate deltoid muscle) were measured by using electromyogram after typing on the computer for 30 minutes. As a result, in terms of changes in muscle activity within groups, experi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s other than upper trapezius, which led to increase in muscle activity (p<.001)(p<.01), and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muscles, which led to increase in muscle activity (p<.001), and in terms of changes between both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trapezius(p<.001). In terms of changes in median frequency within groups, experi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s other than upper trapezius, which led to reduction in median frequency (p<.01)(p<.001), and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muscles, which led to reduction in median frequency (p<.05)(p<.001), and changes between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trapezius (p<.05). Therefore, it was found that application of taping onto shoulder joint while typing on the computer improved stability in shoulder bone. This suggests that such an application has effects to maintain muscle activity and muscle fatigue of upper trapezius that contributes to stability in shoulder bone. Future studies need to verify the effects of taping more objectively.

      • 영상표시단말기 사용 시 머리굽힘자세가 어깨근육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유찬욱 ( Chan Uk Yoo ),조남정 ( Nam Jung Jo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상표시단말기 사용 시 머리굽힘자세(flexed neck posture)와 중립머리자세(neutral neck posture)에 따른 어깨근육의 근 활성도 변화를 알아 보기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근골격계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대학생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영상표시단말기 사용 시 표면 근전도 시스템을 이용하여 머리굽힘자세(자세1),중립머리자세(자세2)에서 위등세모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근전도 신호는 %RVC(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로 표준화하였고 두 자세간의 근 활성도를 SPSS 14.0을 이용한 짝비교 t-검정(paired t-test)을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세 1에서 위등세모근의 근 활성도 %RVC의 평균은 왼쪽이 4.6%, 오른쪽이 4.4%이었고, 자세 2에서는 왼쪽이 3.9%, 오른쪽이 3.5% 으로 나타났다. 위등세모근은 자세 1에서 근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 중립머리자세는 머리굽힘자세 보다 위등세모근의 근 활성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영상표시단말기 사용 시 중립머리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어깨근육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lectromyographic(EMG) activity of shoulder muscles while watching Video Display Terminal(VDT) with flexed neck and neutral neck posture. Methods : Sixteen students performed works with flexed neck posture(posture 1) and neutral neck posture( posture 2).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was measured in each posture. The EMG amplitude was normalized using the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RVC). A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the activity of each muscle in posture 1 and posture 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4.0. Results : The mean %RVC of the upper trapezius was 4.6%(left), 4.4%(right) in posture 1 and 3.9% (left), 3.5%(right) in posture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G amplitudes of both upper trapezius in posture 1(p<0.05). Conclusion : Muscle activity of both upper trapezius is increased in flexed neck posture. To reduce loading in the shoulder muscles during VDT working, the head must be maintained in neutral head posture.

      • KCI등재

        짐볼 크기에 따른 교각 운동시 몸통의 안정성이 목과 어깨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6 No.4

        This study is investigate muscle activity to neck and shoulder muscle activity on trunk stability during bridging exercise, using three gym balls of different sizes. Therefore, we compar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Rectus abdominis and Gluteus maximus used during bridging exercise, also the stressed muscles Sternocleidomastoid and Upper trapezius according to the height and ball sizes. 22 adults was selected in three groups based on their height. Each gym ball measuring 75㎝, 65㎝, and 55㎝ perimeter was placed under the ankle, maintaining the bridging exercise for 5 seconds per set, and then taking a one-minute break. Three sets were performed in this way. In the Group A,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in the Rectus abdominis and Upper trapezius at a ball size of 55㎝. In the Group B,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in the Gluteus maximus and Upper trapezius at a ball size of 65㎝. In the Group C,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in the Rectus abdominis and Upper trapezius at a ball size of 75㎝.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muscle activity using gym balls according to the height and 3 types of ball sizes. We was expected to be presented as basic data for various muscle activity study.

      • KCI등재

        목빗근에 대한 허혈성 압박법이 위등세모근의 만성 통증에 미치는 영향

        심지훈,박태성,강종호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2

        Recently, incorrect and unhealthy postures have become increasingly prevalent due to reasons such as smartphone use. Consequently, imbalanced muscle contraction occurs. In particular, if the oblique muscle is contracted, the accessory nerve will be compressed, causing ischemic pain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ain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this study applied the ischemic compression method to the accessory nerve capture point at the 1/3-point of the oblique cervical muscle. In this study, the ischemic compression method was applied to eight women twice a week for four weeks, and pain was evaluat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three weeks after application. The visual analogue scale, McGill Pain Questionnaire, and pressure dynamometer were used to evaluate subjects’ pai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reatment, and that the pain reduction was still effective three weeks after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indicating that the intervention on the accessory nerve compression point on the oblique cervical muscle was both effective and long-lasting for pain reduction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Future studies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subjects to check not only pain reduction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but also improvement of neck function. 최근 스마트폰 사용 등과 같은 이유로 잘못된 자세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근육들의 불균형 단축이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목빗근이 단축되면 더부신경이 압박되어 위등세모근의 허혈성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목빗근 1/3지점의 더부신경 포착점에 허혈성 압박법을 중재하여 위등세모근의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여성 8명을 대상으로 4주간 주 2회 중재하였고, 중재 전, 후 그리고 중재 종료 3주 후 평가하였다. 대상자들의 통증을 알아보기 위해 시각적 사상 척도와 맥길 통증 설문지 그리고 압력 통각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료 후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중재 종료 3주 후 역시 통증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목빗근의 더부신경 압박점의 중재가 위등세모근의 통증 감소와 지속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차후 연구에서 대상자를 늘려 위등세모근의 통증 감소뿐만 아니라 목의 기능개선도 확인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