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예치료활동의 한국유아교육과정에의 적용

        김정신 ( Jung Shin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1

        오늘날 우리사회는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 등에 따른 급격한 변화로 인간성과 도덕성의 상실과 같은 많은 사회문제가 야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많은 학자들은 인간을 건강한 발달로 이끌기 위해 심리치료나 상담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스트레스 해소에 노력해 왔다. 특히 유아기는 모든 발달영역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로 이 때 형성된 가치관과 태도는 이후의 삶의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예방적 차원의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근래에는 그 대책의 하나로 유아기부터 올바른 인격형성과 사회성 확립을 위해 바른 행동과 가치관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되면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자연친화 교육으로서의 원예치료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친화적 접근으로서의 원예치료활동은 아직은 일방적인 식물에 대한 지식이나 환경에 대한 정보취득 등의 단편적인 지식주입 및 관찰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벤트성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일회성 활동으로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의 정서적 안정과 발달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원예치료프로그램과 교사의 인식 및 실천 부족으로 인하여 원예치료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 원예치료활동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원예치료활동의 전반적 실태와 효과 및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관련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원예치료활동내용이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원예치료 활동을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 원예 치료활동의 내용을 원예식물의 종류, 원예식물 건강하게 키우기, 원예식물의 활용, 기타 원예활동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별로 적용 가능한 원예치료활동 내용을 선정한 후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분석·제시하였다. 유아기는 정서적 감수성이 민감하여 자연이나 원예치료활동의 교육적 효과가 가장 뛰어난 시기이며, 이 시기에 형성된 가치관과 태도는 그 이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아기에 자연에 관심을 가지고 체험하며 이에 대한 바른 태도를 기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보육 및 유아교육 기관이 아파트단지나 상가밀집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자연과 접할 수 있는 바람직한 환경을 조성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이며, 자연환경에 인접한 기관일지라도 환경에 대한 관심을 교육실제에 적용 하려는 의도적인 노력이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선행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호기심 많고 활동적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활동은 신체적, 정서적, 사회·도덕적, 인지·언어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다양한 학문영역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원예치료활동 통하여 유아는 이러한 다양한 지식을 통합할 수 있다. 즉 원예치료활동은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목표로 하는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등 각 생활영역의 다양한 목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유치원 교육과 정이 추구하는 통합교육에 적합하다고 하겠다. 원예치료활동은 유아들의 자연친화적 태도,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년기부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비장애인은 물론 장애인들의 정서적 안정에 매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으며 부정적인 정서인 불안과 우울의 정도도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원예치료는 그 활동을 통해서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나아가 또래들과 함께 살아가는데 필요한 규칙이나 질서를 학습함으로써 사회성을 향상시켜 또래들과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본 연구결과는 치료 목적의 부차적 활동으로 병원이나 재활원 등에서 주로 행해지던 원예치료의 적용범위를 유아교육현장으로 확대·도입함으로써 원예치료효과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여 원예치료활동을 유치원 교육과정에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을 인간과 공존하는 대상으로 인식하고 그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갖출 수 있는 다양한 원예치료활동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유치원 교육의 목표인 유아들의 전인적인 발달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oday``s rapid changes along with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the increase of nuclear family have arisen many of social problems such as people``s loss of humanity and morality. A large number of scholars who are aware of those problems have made efforts to achieve well-being and relief of stress-which lead to sound development of human-by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Early childhood, especially, is an important time when the primary developmental areas are formed. Since an infant``s value and attitude formed in this age can influence greatly to the attitude of the lest of his life, it can be said that a preventive program is very necessary. As one of the measures, it is recently believed that forming fine behavior and value is essential for establishing upright personality and sociality. Accordingly, the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as a part of Nature Friendly Education in the fields of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draws attention. However, current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as a natural friendly way in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drill only fragmentary knowledge-such as unilateral teaching of certain plants or environments - or merely organize programs of natural observation. Moreover, most of them are not constant but designed to be one-off programs. Lack of divers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hich to be adopted in the field of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teachers`` awareness make the constant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impossibl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condition and effectiveness of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in the field of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how it is related to the 7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by reviewing existing researches which are related to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for children. Analysing how the conten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is related to the 7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detail will contribute to applying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to the field of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divided the contents of children``s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into four domains-type of the plant, raising the plant well, making the use of the plant, and other horticultural activities-then collected some contents of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appliable to each domain, and fin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the 7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early childhood is the time when natural or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can be performed most effectively since it is when one``s emotion is sensitive. Also, since one``s value and attitude formed in early childhood influence to the lest of his life enormously,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n interest toward nature, experience it, and have a fine attitude toward the nature in this time. However, the realities are not supportive. Most of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re located in apartment complexes or office districts so that there are difficulties to create a nature-experiencing environment. Besides, although an institute is located near natural environment, it rarely makes a conscious effort to apply the environmental interest to the actual classroom. According to the existing studies,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among very curios and active children had positive effect on physical, emotional, socio-moral and cognitive-linguistic development, as a result, made their whole development possible. The existing studies also assert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is highly related to diverse fields of studies, so that children can integrate diverse knowledge through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In other words,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are highly related to the objects of the 7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the objects of each life areas such as Healthy Living Area, Social Living Area, Representative Living Area, Linguistic Living Area and Exploratory Living Area-so that it can be said that the activities are suitable for integrated teaching, the kindergarten education``s goal. Thus, the studies revealed that the gage of anxiety and depression which is negative emotion drastically decreased by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showed that i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nature-friendly attitudes, scientific attitude and inquir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is very effective in emotional relief of the handicapped as well as normal people from early childhood to adulthood. Horticultural therapy also offers chance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peers as the activities encourage emotional relief and improve one``s sociality by teaching rules or certain orders necessary to live with peers in harmony. The result of this study offers primary materials which avail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unitively appliable to kindergarten curriculum by increasing the awarenes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by expanding and introducing the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s application range-which used to be limited to secondary activities with therapeutic purposes in hospitals or rehabilitation facilities - to the field of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in the near future the fields of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ill fully understand the value of the nature and the importance to consider the nature as the coexisting object with human, and will offer diverse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constantly. This will promote children``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nature more effectively and encourage children``s whole development, the goal of kindergarten education in the long run.

      • 원예작업치료의 치료적 가치에 관한 문헌 고찰

        김미영,정희승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11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The therapeutic values of horticultural occupation were accepted in the various fields of socio-horticulture comprising horticultural therapy (HT). To enhance the values, approaching with the medical professionalism and developing the relate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as required. For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occupational therapy (OT) and horticultural science, this study was focused on establishing of the theory of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HOT) introducing horticultural activities as the means of OT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t. Hoticultural occupation in the psychiatric treatment of the initial work done with the task to start as recognition of the therapeutic value, but the development of the area is now a psychiatrist who is Free.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services, and horticultural environment for patients to recognize the needs of customers and the expansion of the region is required for the horticultural operations research. Discussion leading to a research paper, the first task-based horticultural therapy history of mental tasks in the context of modern society looked at gardening-oriented therapeutic activities. Second, the effectiveness of horticultural operations and treatment of the theory and applied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ctivity programs have seen gochalhae. Finally, with the spirit of gardening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y through a discussion paper seeking mental occupation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horticulture as a way to have a larger area of expertise, which is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원예작업의 치료적 가치는 사회원예의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원예 작업의 치료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학적 전문성 강화와 활동 프로그램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재활 전문분야인 작업치료와 원예학의 학제 간 연구의 일환으로, 치료적 활동으로서의 원예작업치료에 대한 이해와 실제적 시도를 위한 연구를 다루었다. 초기 작업치료는 정신과에서 원예작업을 통한 작업의 치료적 가치가 인정되면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정신과 전문영역으로 발전되지 못한 실정이다. 원예작업은 인간의 활동을 촉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목적있는 활동의 대표적 예로 일상생활에서부터 여가활용까지 적용이 가능하여 노령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현대사회에 더욱더 그 필요성과 연구가 요구된다. 작업치료 의료서비스의 발전을 위해서, 원예적 환경과 활동에 대한 환자고객의 요구를 인지하고 그 영역의 확대를 위한 원예작업 연구가 요구된다. 선행 연구 논문을 고찰하여, 첫째, 원예작업을 기초한 정신작업치료의 역사와 근대사회의 맥락에서 원예 중심의 치료적 활동을 살펴보았다. 둘째, 원예작업의 효용과 치료이론의 적용 및 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를 고찰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원예작업을 이용한 정신작업치료의 발전을 모색하는 연구논문 고찰을 통해서, 정신작업치료의 방법으로서 원예작업치료가 전문영역으로 확대되는데 기초 연구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안제준,박율진 한국전통조경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performance improvement of horticultural therapy garden. In order to achieve a therapeutic purpose, the gardening activity held by the trained horticultural therapist. Moreover, horticultural therapy is ‘a medical model’ for the treatment and basic premise of the research was set, as horticultural therapy garden is characterized area to support activities of patients and horticultural therapist functionally and efficiently. For this study, three times of Delphi and AHP techniques were proceeded to export panels who were recruited by purposive sampling. Through these techniques, it was possible to deduct the evaluation indicator which maximizes the performance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garden. The evaluation items were prioritized by typing and stratification of the indicator. The results and discussions were stated as followings. Firstly, a questionnaire of experts was conducted to horticultural therapists and civil servants who were in charge of horticultural therapy. As results(horticultural therapists: 87.8%, civil servants: 75.2%),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both positions have the high recognition and agreed on the necessity of horticultural therapy. Secondly, Delphi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order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 for performance evaluation. After Delphi analysis, total 34 of evaluation element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garden by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results. Thirdly, AHP analysis of each evaluation indicator was conducted on the relative importance and weighting. Moreover, the results showed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nd in order of ‘plan of the program’, ‘social interaction’, ‘sustainable environmental’, and ‘universal design rul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exports from the university and research institute evaluated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while horticultural therapists chose ‘plan of the program’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urthly, the total weight was used to develop weight applied evaluation indicator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garden. The weight applying to evaluation index is generally calculated multiply the evaluation scores and the total weight using AHP analysis. Finally, ‘the evaluation indicator and evaluation score sheet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garden’ was finally stated based on the relative order of priority between evaluation indicators and analyzing the weight. If it was deducted the improvement points for the efficiency of already established horticultural therapy garden using the ‘weight applied evaluation sheet’, it is possible to expand it by judging the importance with the decision of the priority because the item importance decided by experts was reflected. Moreover, in the condition of new garden establishment,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suggesting way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nd in setting the guidelines by understanding the major indicators of performance improvement in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본 연구는 치료적 목적의 달성을 위해 훈련받은 치료사(Horticultural Therapist)가 실시하는 원예활동에 대상자가 참여하는 치료(Therapy) 의 공간으로서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원예치료는 대상자의 치료를 위한 ‘의학모형’이며원예치료정원은 대상자와 원예치료사의 활동을 기능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특성화된 공간임을 기본 전제로 설정하였다. 연구의수행을 위해 의도적 표집에 의해 모집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차례의 델파이(Delphi)기법과 AHP기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고, 각 평가지표들을 유형화, 계층화하여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치료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과 원예치료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관련 공무원 75.2%, 원예치료사 87.8%로 두 직군 모두 원예치료정원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원예치료를 실시함에 있어서치료정원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예치료정원 성능평가를 위한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총 3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두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총 34개의 원예치료정원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요소가 도출되었다. 셋째, 가중치가 적용된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계층분석기법을 적용, 각 지표별 상대적 중요도및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상위요인에서는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프로그램의계획과 활용’, ‘사회적 상호작용’, ‘지속가능한 환경’, ‘보편적 디자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원예치료정원 성능평가를 위한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하여 종합가중치를 활용하였다. 평가지표의 가중치 적용은 평가점수에 AHP를 이용한 종합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평가지표들 간의상대적인 우선순위를 토대로 가중치와 변환점수를 분석하여,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및 평가점수표’를 최종작성하였다.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표를 활용하여 기존에 조성된 원예치료정원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개선점을 도출할 경우, 전문가의 의견에따른 항목별 중요도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사항별 중요도를 판단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개선할 수 있으며, 원예치료정원의 신규조성 시에도 계획단계에서 원예치료 활동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방안으로 주요 지표를 미리 파악함으로서 가이드라인이 설정이나기타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우울감소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박경희,김은숙 한국예술치료학회 2015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A중학교 1학년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우울검사와 자살생각검사를 실시한 후 우울점수가 16점 이상이면서 다른 상담프로그램이나 치료를 받지 않는 학생 18명을 선별하여 원예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우울, 자살생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 지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A시에 소재한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우울검사와 자살생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우울점수가 중증우울에 해당하는 16점 이상을 획득한 여학생 가운데 18명을 선별하고 실험집단 9명에게는 원예치료 집단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의 9명에게는 학습지도를 각각 90분씩 8회기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에 우울검 사와 자살생각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본 연구를 통해 원예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실시 후 우울점수에 대해 비교집단은 평균 5.56이 낮아진 반면 실험집단은 18.11 낮아졌고, 자살생각 점수에 대해서는 비교집단은 0.67점 낮아진 반면 실험집단은 11.22점이 낮아져서 원예치료 집단 프로그램이 우울과 자살생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 램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과 자살생각으로 어려움을 겪는 여자 중학생을 위한 예술 치료적 접근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의의와 성과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effective therapeutic approach to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The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horticultural group program targeting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depression and suicidal test which were held to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ose with 16points or more on the test were distinguished as severe depression symptom and they became the candidate of horticultural therapeutic group program.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horticultural therapeutic group program, preliminary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Out of selected candidates, 9 subjects participated in horticultural therapeutic group program while the comparative group, the other 9 subjects, rewied the lessons.. Each conducted 8 sessions for 90 minutes respectivel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horticultural therapeutic group program had greater positive effects to the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with depression by abating depressive thoughts. Second, The horticultural therapeutic group program had positive effect in reducing suicidal thought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research proved that horticultural therapeutic group program can be served as an effective therapeutic program to reduce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의미요법을 도입한 압화 원예치료가 중년여성의 삶의 목적과 자아정체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이영애(Young-Ae Lee),황현정(Hyun-Jung Hwang),송종은(Jong-Eun Song ),손기철(Ki-Cheol Son) 한국원예학회 2007 원예과학기술지 Vol.25 No.3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에게 의미요법을 도입한 압화 원예치료를 실시한 경우와 기존의 압화 원예치료를 실시한 경우 중년여성의 삶의 목적의식과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시 생활개선회원 중 40-59세인 중년여성이며, 대조군 15명과 실험군 Ⅰ 12명, 실험군 Ⅱ 13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5월 23일부터 8월 10일까지였으며, 실험군Ⅰ에는 압화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험군 Ⅱ에는 의미요법을 도입한 압화 원예치료프로그램을 매주 1회씩 각 12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도구로 삶의 목적(PIL) 검사와 자아정체감 척도(ego identity scale),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사전ㆍ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전ㆍ후 그룹별 변화 비교 시, 대조군에서는 삶의 목적,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실험군 Ⅰ은 삶의 목적 전체 값과 자아정체감의 전체 값 그리고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실험군 Ⅱ에서도 삶의 목적 전체 값, 자아정체감 전체 값 그리고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군 Ⅰ과 Ⅱ의 삶의 목적과 자아정체감 하위영역의 변화를 비교해보면, 삶의 목적은 목표달성과 자아충족 영역에서 실험군 Ⅱ가 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정체감은 자기수용 영역에서는 실험군 Ⅰ이, 목표지향성 영역에서는 실험군 Ⅱ가 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 그룹 간 원예치료 실시 전ㆍ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삶의 목적 하위요인 중 인생목적과 미래열망, 자아충족도 및 전체 삶의 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조군에 비해 인생의 목적은 실험군 ⅠㆍⅡ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미래열망, 자아충족과 전체 삶의 목적은 실험군 Ⅱ가 실험군 Ⅰ보다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자아정체감의 전ㆍ후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두 실험군 모두 자기수용, 자기존재의식, 전체 자아정제감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자아존중감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실험군 모두 대조군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압화 원예치료와 의미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모두 삶의 목적 증진과 자아정제감,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삶의 목적 증진에는 의미요법을 도입한 압화 원예치료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다. Both the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using pressed flowers based upon logotherapy and the practice of conventional horticultural therapy using pressed flower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n the improvement of the purpose in life, ego-identity,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wom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low-income, middle-aged women whose ages ranged from 40 to 59 resident in 00 city. The control group, treatment group Ⅰ, and treatment group Ⅱ consisted of 15, 12, and 13 people, respectively. Study was performed from May 23<SUP>rt</SUP> 2006 to August 10<SUP>th</SUP> 2006. In treatment group Ⅰ conventional horticultural therapy using pressed flowers was applied while horticultural therapy using pressed flowers based upon logotherapy was applied in treatment group Ⅱ once a week and 12 times programs in total. A purpose in life (PIL) test, ego-identity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used as tools of this study and pre- and post assessments were made. When changes after horticultural therapy were compared with pre-therapy status in each test group, no differences in PIL, ego identity and self-esteem were made in the control group. In both treatment group Ⅰ and Ⅱ,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made in overall PIL and ego identity, self-esteem. However, as the changes of sub-categories of PIL and ego identity were compared between treatment group Ⅰ and Ⅱ, treatment group Ⅱ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goal achievement and self sufficiency among PIL items, than those of treatment group Ⅰ. Among ego identity, the improvement of goal orientation was more effective in group Ⅰ whereas that of self-acceptance was more effective in group Ⅱ. Through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horticultural therapy in each thre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goal, future aspiration, and self-sufficiency belonged to the sub-categories of PIL and overall PIL. Notable improvement was made in the life goal in treatment groups Ⅰ and Ⅱ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reatment group Ⅱ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overall PIL as well as future aspiration and self-sufficiency than those in treatment group Ⅰ.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in ego identity between pre and post horticultural therapy, overall ego-identity as well as self-acceptance and awareness of self-exstence in both treatment groups were improved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self-este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neces between treatment group Ⅰ and Ⅱ but both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average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conventional horticultural therapy using pressed flowers and the one based upon logotherapy ha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PIL, ego identity, and self-esteem and that the latter is profoundly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PIL.

      • 교회사회사업실천에 있어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김인,이남숙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0 교회와 사회복지 Vol.12 No.-

        본 연구는 교회사회사업실천현장에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검증한 연구이다. 특별히 원예지료프로그램이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교회사회사업현장에 적용하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노인전문병원의 재가복지노인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0명씩 구성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08년 12월 20일부터 2009년 8월까지 총 3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이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에 대한 만족을 느끼고 가족에 대한 고마움과 함께 기쁨으로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등에서 자아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정서적 안정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치료가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이완을 충족시킴으로서 우울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노인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교회사회사업실천현장에서 다양한 접근방법 중의 하나로 활용되는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Effects of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emotional stability for the choronic disease Elderly. An objct of study consists of 10 empirical group and 10 control group in the Jeon-Buk geriatics hospit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structured questionnaire. During 2007 December 20th to 2008 August 30th,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carried out 30 session. Frequency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group to another, and t-tests, anovas and regressions were used to confirm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empirical grou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meanns to increase self-esteem for the choronic disease Elderly. Second,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is also very affirmative means onemotional stability for the choronic disease Elderly. By accounting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I suggest that social worker make good use of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in social welfare field to solve problem of the aged.

      • KCI등재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윤숙영(Suk-Young Yun),김홍열(Hong-Yul Kim)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4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hand function of demented elders, the present study applied horticultural therapy to demented elders who were able to use both of their hands.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HTP) included various works in need of delicate hand motions for strengthening the demented elders’ hand function. Hand function was evaluated in terms of pinch and grip. The pinch of the right hand was changed from 2.90 ㎏ pre-HTP to 3.97 ㎏ post-HTP (p<0.05), and that of the left hand was changed from 3.06 ㎏ to 3.99 ㎏ (p<0.05). This shows that pinch was strengthened significantly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The grip of the right hand was changed from 6.02 ㎏ pre-HTP to 7.40 ㎏ post-HTP, and that of the left hand was changed from 5.32 ㎏ to 6.85 ㎏. This shows that grip was strengthened little by little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but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f demented elders continue to have various types of hand works moderate to them, such works will be effective not only in maintaining their hand function but also in strengthening it further.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양손 사용이 가능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를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손 기능 강화를 위해 섬세한 손동작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작업을 실시하였다. 손 기능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힘(pinch)과 손으로 움켜쥘 수 있는 힘(grip)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힘의 변화를 보면 오른손의 경우 원예치료 실시하기 전 처음은 2.90㎏이었으나 마지막 측정값은 3.97㎏으로(p<0.05), 왼손은 3.06㎏에서 3.99㎏으로(p<0.05) 원예치료 실시하고 난 뒤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힘이 유의하게 강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손으로 움켜 쥘수 있는 힘은 오른손의 경우 원예치료 실시하기 전 처음은 6.02㎏이었으나 원예치료를 모두 마치고 난 뒤는 7.40㎏으로, 왼손은 5.32㎏에서 6.85㎏으로 원예치료 실시 후 손으로 움켜쥐는 힘이 조금씩 강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매 회기마다 원예치료 실시하기 직전과 직후에 악력을 측정한 결과는 양손 모두 원예치료 실시 후에는 손으로 움켜 쥐는 힘이 유의하게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치매노인들에게 직접적으로 손 기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원예 프로그램들만으로 설계하여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손으로 활동할 수 있는 원예활동을 실시한다면 손의 기능 강화와 유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수경재배 프로그램을 통한 지적 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 증진

        주병식(Byung-Sik Joo),박신애(Sin-Ae Park),손기철(Ki-Cheol Son)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5

        본 연구는 실제 재배농가에서 실시되는 엽채류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지적 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을 향상시키고자 실시하였다. 직업적응훈련모델과 제 7차 특수학교 직업교과과정 농업교과의 경제작물영역에서 수경재배의 특성과 기초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엽채류(상추, Lettuce (Lactuca sativa L. ‘Asia Heuk Romaine’))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총 22회기)을 개발하였다. 인천광역시 K구에 위치한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중인 1-2학년 지적 장애학생 14명(남 10명, 여 4명)을 대상으로, 학교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인천시 K구에 위치한 채소류 전문생산농가에서 실시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2회(회기 당 평균 60분) 전공과 교육과정내 실습교육의 일부로 진행되었다.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담임교사 또는 원예치료사가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실험에 참여한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신경근육발달능력(McCarron assessment neuromuscular development), 정서적 행동능력(emotional behavioral checklist), 대인관계전략(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직업 흥미도 검사(KEPAD pictoral vocational interest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에 지적 장애학생들의 운동능력(P = 0.002), 정서적 행동능력(P = 0.00), 대인관계전략(P = 0.05)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 흥미도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지적 장애학생들의 직업적응력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능력과 정서적 행동능력 및 대인관계전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경재배는 대체로 단순하고 쉬운 작업과정으로, 지적 장애인의 직업영역으로써 적합하며, 직무수행에 있어서도 비교적 어려움이 적은 직종이라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직업적응력 증진을 위해 실제 현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엽채류를 재배하는 수경재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HT) program using hydroponics on work adjustment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Based on the critical role transitional model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agriculture, especially hydroponics, HT program (total 22 sessions) using hydroponics procedure for Lettuce (Lactuca sativa L. ‘Asia Heuk Romaine’) was developed. Fourteen (10 males, 4 females) graded 1<SUP>st</SUP> to 2<SUP>nd</S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recruited from a special education class in a high school located in Inchon, Korea and then a special farm for hydroponics in Inchon, Korea was offered for the HT program.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HT program for 4-month (from September to December of 2011, twice a week, approximately 60 minutes per session). Before and after the HT program, the McCarron assessment neuromuscular development, emotional behavioral checklist,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and KEPAD picture vocational interest test were performed by the teachers and horticultural therapists. As the results, the students significantly improved motor performance (p = 0.002), emotional behavioral strategies (p = 0.00), and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p = 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HT program for vocational interest was observed. In conclusion, the HT program using hydroponics, consists of simple and easy tasks so that it would be applicable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ositively affected to work adjustment skills by improving the motor performance, emotional behavioral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Additionally, HT programs using hydroponics with various kinds of vegetables are required to develop and to apply in practical settings for improving work adjustment skills.

      •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정서적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황인옥,여창호 釜山女子專門大學 2001 釜山女子專門大學 論文集 Vol.23 No.-

        우리 나라는 1960년대이래 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른 식생활 개선, 의학의 발달,보건위생의 향상 등 생활여건의 개선에 힘입어 평균수명이 지속적으로 연장되고 있다. 동시에 출산율이 감소하여 총 인구에서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000년 현재 7.2% 를 점하면서 UN에서 규정하는 고령화 사회 (aging society) 로 접어들었다. 그리고 인구의 고령화는 앞으로 계속 진행되어 우리 나라는 세계에서 최단기간에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 (aged society) 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렇게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만성질환노인 거동불능노인과 치매노인 등 장기 요양보호노인 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장기 요양보호노인 중 우리 나라의 치매노인의 수는 1997년 현재 241 ,889명으로 치매 유병률은 65세 이상의 노인의 8.3% 에 이르고, 2010년에는 433,918명에 8.6%, 2020년에는 619,132명에 9.0% 에 이를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치매는 노인의 사망 원인 중 심장병, 암, 뇌졸중에 이어 4위 에 해당할 정도로 노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매우 심각한 질병인 것이다. 이러한 치매노인들은 일반적으로 목욕, 옷 갈아입기, 식사하기, 앉기, 외출하기,화장실 이용 등 일상생활 수행 (activities of daily living) 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기억력,지남력,판단력 및 언어 능력 둥의 인지적 기능과 불안,우울,분노,감정의 변화 둥 정서적 기능의 장애를 수반하기도 한다. 특히 치매노인에게 있어서는 정서적 기능의 저하가 현저히 나타나게 됨으로,이러한 어려움과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개입 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개입 방법 중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치매노인 들에게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들의 정서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이유는 원예활동이 노인들에게는 매우 친밀감을 느끼게 하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즉 대부분의 우리 나라 노인들은 젊은 시절에 농사를 짓고 살았기 때문에 그들의 과거 경험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활동이라 할 수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horticultural therapy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day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and to verify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improvement in emotional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achieve these purposes, in this study, horticultural therapy was applied to the subjects of 8 old people in J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in Busanjin-gu for 14 weeks from March 20 to May 8, 2002 and the effect of the therapy on emotional function was examined and analyz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Horticultural therapy was shown to improve emotional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at is, depression decreased and the numerical value of emotional balance increased. This result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As mentioned above,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somewhat improved emotional functions through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xiety, possession of self-confidence and volition, and recovery of emotional balance. Horticultural therapy, therefore, appeared to be effective in improvement on emotional functions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consequence, three things have been suggested for the applic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s follows. Firs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continuously. Second, guarantee of sufficient resources, for example, special manpower training and financial security, should be achieveed. Lastly,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tinuously made for diffusion of horticultural therapy.

      • KCI등재

        원예치료를 적용한 작업치료적 중재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명화,김정미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2 No.1

        목적 : 본 연구는 원예치료를 포함한 작업치료적 중재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노인 16명을 대상으로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확률 할당하여 실험전과 후 에 측정하였다. 인지기능은 한국형 간이치매 사정도구(MMSE-K)을 사용하였고 한국판 수정 바델지수(K-MBI)를 이 용하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작업치료적 중재프로그램 전과 후에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작업치료적 원예치료의 적용 전․후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차이 를 비교하기 위해를 Wilcoxon Signed Rank Test 실시하였고, 실험 전, 후의 군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Mann-Whitney test를 사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 α=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 1. 대조군과 실험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인지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 를 실시한 결과 대조군은 실험전 16.25±1.38점에서 실험후 16.00±.92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은 실험전 16.00±1.51점에서 실험후 17.87±1.3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각 측정 시기별 군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험 전에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후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2. 대조군과 실험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 를 실시한 결과 대조군은 실험전 74.00±1.30점에서 실험후 74.25±1.16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은 실험 전 73.75±1.28점에서 실험후 76.37±1.3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각 측정 시기별 군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험전에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 가 없었으나, 실험 후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이상의 결과를 통해 원예치료를 포함한 작업치료적 중재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임상에서 치매노인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an occupat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horticultural therapy on cognition and daily living performa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 For the purpose, the study measure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argeting sixteen women with dementia who were living in nursery facilities. We used MMSE-K to analyse the cognition, and evaluated daily living performance using K-MBI(p<.05).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s follows: 1. To identify changes of MMSE-K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between the control and test groups.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MMSE-K of the control group was 16.25±1.38 before the therapy and 16.00±.92 after the therapy, which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MMSE-K of the test group was 16.00±1.51 before the therapy and 17.87±1.35 after the therap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2. To identify changes in daily living performance(K-MBI)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and it was discovered that scores of the control group were 74.00±1.30 before the therapy and 74.25±1.16after the therapy,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ose of the test group were 73.75±1.28 before the therapy and 76.37±1.30 after the therap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an occupat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horticultural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on and daily living performance of elderly women with dementia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linical interv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