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형·비정형 우도에 의한 SWAT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평가

        성연정,이상협,정영훈 한국수자원학회 201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2 No.11

        In hydrologic models, parameters are mainly used to reflect hydrologic elements or to supplement the simplified models. In this process, the proper selection of the parameters in the model can reduce the uncertainty.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quantify the uncertainty of SWAT parameters using the General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 (GLUE). Uncertainty analysis on SWAT parameters was conducted by using the formal and informal likelihood measures. The Lognormal function and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were used for formal and informal likelihood, respectively. Subjective factors are included in the selection of the likelihood function and the threshold, but the behavioral models were created by selecting top 30% lognormal for formal likelihood and NSE above 0.5 for informal likelihood. Despite the subjectivity in the selection of the likelihood and the threshold, there was a small difference between the formal and informal likelihoods. In addition, among the SWAT parameters, ALPHA_BF which reflects baseflow characteristics is the most sensitive. Based on this study, if the range of SWAT model parameters satisfying a certain threshold for each watershed is classified, it is expected that users will have more practical or academic access to the SWAT model. 수문모형에서 매개변수는 수문요소를 반영하거나 단순화된 모형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매개변수로 인한 모형의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eneral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 (GLUE)을 이용하여 SWAT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GLUE의 우도함수는 정형/비정형 우도를 이용하여 불확실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정형우도는 lognormal 함수를 비정형우도는 Nash-Sutcliffe Efficiency (NSE)를 이용하였다. 우도와 임계치를 선택하는데 주관적인 요소가 포함되지만 정형우도는 상위 30%, 비정형우도는 0.5이상의 NSE 값을 가지는 우도를 선택하여 행위모델을 생성하였다. 연구결과 우도선택과 임계치 선택의 주관성에도 불구하고 정형/비정형 우도는 작은 차이가 있었으나 우도의 선택과 상관없이 일관된 점분포, 사후분포 및 SWAT결과의 불확실성 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공통적으로 SWAT매개변수 가운데 기저유출과 관련된 ALPHA_BF가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역별로 어떤 임계치를 만족하는 SWAT모형 매개변수의 범위를 분류한다면 사용자들이 SWAT모형에 대한 실무적인 혹은 학술적인 접근이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중세 우도론(友道論)에 대한 고찰Ⅰ-우도론(友道論)의 사적(史的) 전개-

        강민구 ( Kang Min-gu )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1

        고려 시대의 우도론은 조선시대와 차이를 보이는데, 李穀은 「義財記」에는 형제의 우정보다 친구 간의 의리를 더욱 중시하는 당시의 풍기가 반영되어 있다. 또 李穡의 「對客問」은 朋友有信이 五倫 중 가장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앞의 4가지 윤리가 이상적 수준에 도달하면 붕우유신은 따로 노력하지 않아도 저절로 성취할 수 있다는 극단적 논리를 반박한 글로, 고려 후기에는 우도 의식이 여타 윤리적 가치에 비해 느슨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李穡은 「送朴中書歸覲序」에서 친구 간의 사귐을 세력에 따라 맺어진 교제[勢合]와 진심으로 맺어진 교제[心合]로 구별하면서, 후자는 義에 토대한다고 하였다. 조선 개국기의 우도론은 卞季良의 「契盟文」과 같은 盟契文의 형태로 출현하였고 이후 丁克仁의 「泰仁鄕約契軸」와 같은 鄕約契軸으로 模擬되는데, 붕우간의 규약이 향촌 공동체의 규약으로 확산되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이후 士禍가 발생하면서 맹약문이나 경계 형식의 우도론은 자취를 감추고, 金安國의 「送文生歸南州序」와 같이 우도의 파괴와 속물적 교제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글이 출현한다. 조선 후기에는 정쟁으로 인한 분당이 격화되면서 우도론이 이론화·구조화되었다. 柳夢寅의 「送權仲明盼宰江華序」은 東人의 南人·北人 분당, 北人의 大北·小北 분당, 骨北·肉北·中北으로의 분기 과정에서 야기된 허위적 교제를 비판한 글이다. 西人의 老少分黨은 조선 후기 지식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본격적 우도론의 출현을 추동하였다. 李之濂은 「朋友說」에서 친구가 중대 범죄를 저지르지 않으면 절교하지 말아야 한다는 극단적 논리를 제시하였다. 「朋友說」은 노소 분당의 핵심 인물인 朴世采와 尹拯에게 보내졌고, 이 글을 두고 8년간 논쟁이 전개되었다. 李瀷은 경솔한 절교를 경계하였으니, 그는 義理라는 핵심 가치가 결여되었기 때문에 중간에 친구와 절교하게 되는데, 이것은 인생의 낭비라고 하였다. 그는 또 친구 간에는 재물을 서로 융통하여 구제해 주는 도리가 있어야 한다는 논리를 제시하였다. 安鼎福은 붕우 간의 윤리가 올바로 성립되지 않는다면 나머지 네 가지 윤리가 밝아질 수 없다고 하면서 교제를 面交·勢交·心交·情交·道義之交의 다섯 가지로 구분하고 당시의 사귐은 面交와 勢交에 불과하며, 心交나 情交는 기대하기 어렵기에 그보다 상위 수준의 道義之交는 바랄 수조차 없다고 한탄하였다. 鄭在?은 「交友論」에서 교제의 유형을 利交·勢交·面交·心交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그는 이익과 권세의 유무에 따라 이합집산하는 利交나 勢交, 면전에서 즉흥적 기분 맞추기만 추구하는 面交는 속세의 사귐에 불과하지만, 心交는 학문을 매개로 하며 내면의 본질을 추구하며 이상적 인간의 완성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목숨을 바칠 수도 있는 참된 교제라 할 수 있다고 하였다. 崔漢綺는 「朋友損益」에서 인간의 인지적 능력은 제한적이고 경험도 제약이 있기에, 타인의 견문과 경험을 제공 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다만, 타인이 제공하는 정보와 경험을 선별하고 그것을 분석 종합 개괄할 수 있는 능력도 구비해야 한다고 하였다. The Theory of Friendship of the Goryeo Dynasty differed from the Joseon Dynasty. In Lee-Gok(李穀)`s 「Euijaegi(義財記)」, it was reflected the morality of the time that emphasized friendship more than friendship of brothers. In addition, Lee-Saek(李穡)`s 「Daegaekmun(對客問)」 was a refutation of extreme logic that Bungwooyusin(朋友有信) is located at the last position of the five moral disciplines[五倫], so that if the above four ethical values reached the ideal level, it could be accomplished without self effort. In the late Goryeo Dynasty, it could be seen that the consciousness of friendship was looser than other ethical values. In 「Songparkjungseogwigeunseo(送朴中書歸覲序)」, Lee-Saek(李穡) distinguished friendship into friendship which is depending on the forces[勢合] and sincere friendship[交合], and he said that the latter was based on righteousness[義]. In founding period Joseon Dynasty, the theory of friendship emerged in the form of a Maenggyemun(盟契文) such as Byeon Gye-ryang(卞季良)`s 「Gye maengmun(契盟文)」. Then it has been simulated as Hyangyakgyechuk(鄕約契軸) like Jeong Geuk-in(丁克仁)`s 「Taeinhyangyakgyechuk(泰仁鄕約契軸)」, it was remarkable that the promise between friends has spread to the agreement of the local community. However, as the Sahwa(a massacre of scholars, 士禍) broke out, the pledge and vigilance type theory of friendship hid the trace, and there appeared a harsh criticism of the destruction of friendship and the bourgeois associations such as Kim Ahn-guk(金安國)`s 「Songmunsaenggwinamjuseo(送文生歸南州序)」.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olitical party due to the political dispute had intensified, and the theory of friendship was theorized and structured. Yu Mong-in(柳夢寅)`s 「Songkwonjungmyeong ban jaeganghwaseo(送權仲明 盼 宰江華序)」 was a criticism of false associations caused by dividing process like Dongin divided into Namin and Bukin, Bukin divided into Daebuk and Sobuk, or Golbuk, Yukbuk and Jungbuk. The Noron-Soron political party(老少分黨) of the Seoin gave a great shock to the intellectual socie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promoted the emergence of the theory of friendship in earnest. In 「Bungwooseol(朋友說)」, Lee Ji-ryeom(李之濂) suggested the extreme logic that it should not break off relations, unless the friend commits a serious offence. 「Bungwooseol(朋友說)」 was sent to Park Se-chae(朴世采) and Yun-Jeung(尹拯) who were the key figures of the Noron-Soron political party, and it had been debated for over eight years. Lee-Ik(李瀷) warned of breaking off relation rashly, he said that because the core value of righteousness lacks, so he break up with a friend in the middle, that is a waste of life. He also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 duty to finance and save each other among friends. Ahn Jeong-bok(安鼎福) said that if the ethics were not properly established among friends, the remaining four ethics could not be brightened. Then he distinguished friendship into five types : face-friendship(面交)·power-friendship (勢交)·heart-friendship(心交)·affection-friendship(情交)·morality-friendship (道義之交). The friendship of the time were only face-friendship and power-friendship, these were just a relationship to match your feeling in front of the face, and it was hard to expect heart-friendship and affection-friendship (情交), so he lamented that a higher level of morality-friendship could not even be expected. In 「Gyowooron(交友論)」, Jeong Jae-gyeong(鄭在?) distinguished friendship into four types : interest-friendship(利交)·power-friendship(勢交)·facefriendship(面交)·heart-friendship(心交). He said that interest-friendship and power-friendship which are depending on the profits and authority or face-friendship that seeks only to make an impromptu feeling in one`s presence were only the friendship of the secular world. However, it was said that heart-friendship was a true friendship that mediates scholarship, seeks inner nature, contributes not only to the perfection of ideal humanity but also to the death of life. In 「Bungwoosonik(朋友損益)」, Choi Han-ki(崔漢綺) said that the cognitive ability of human beings was limited and experience was also restricted, so that human beings should be provided with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others. He also said that, however, they should have the ability to select information and experience provided by others and to analyze and comprehensively summarize it.

      • KCI등재

        제주도 우도 지역 내 지질유산의 다양성과 가치

        우경식,윤석훈,손영관,김련,이광춘,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6 No.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natural heritage and scientific value of various geosites on Udo Island, and to evaluate the sites as natural monuments and as world natural heritage properties. Udo Island includes a variety of geoheritage sites. Various land forms form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omeori Oreum formed by phreatomagmatic eruptions. The essential elements for the formation of Udo Island are the tuff cone, overflowing lava and overlying redeposited tuff sediments. Various coastal land forms are also present. About 6,000 years B.C., when sea-level rose close to its present level due to deglaciation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carbonate sediments have been formed and deposited in shallow marine environment surrounding Udo Island. In particular, the very shallow broad shelf between Udo Island and Jeju Island, less than 20 m in water depth, has provided perfect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rhodoids. Significant amounts of rhodoids are now forming in this area. Occasional transport of these rhodoids by typhoons has produced unique beach deposits which are entirely composed of rhodoids. Additional features are the Hagosudong Beach with its white carbonate sands, the Geommeole Beach with its black tuffaceous sands and Tolkani Beach with its basalt cobbles and boulders. Near Hagosudong Beach, wind-blown sands in the past produced carbonate sand dunes. On the northern part of the island, special carbonate sediments are present, due to their formation by composite processes such as beach-forming process and transportation by typhoons. The development of several sea caves is another feature of Udo Island, formed by waves and typhoon erosion within tuffaceous sedimentary rocks. In particular, one sea cave found at a depth of 10 m is very special because it indicates past sea-level fluctuations. Shell mounds in Udo Island may well represent the mixed heritage feature on this island. The most valuable geoheritage sites investigated around Udo Isalnd are rhodoid depostis on beaches and in shallow seas, and Someori Oreum composed of volcanoclastic deposits and basalt lava. Beach and shallow marine sediments, composed only of rhodoids, appear to be very rare in the world. Also, the natural heritage value of the Someori Oreum is outstanding, together with other phreatomagmatic tuff cones such as Suwolbong, Songaksan and Yongmeori. Consequently, the rhodoid deposits and the Someori Oreum are worth being nominated for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status. The designation of Someori Oreum as a Natural Monument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this procedure. 우도 내에 분포하는 여러 지질명소에 대해 자연유산적·학술적 가치를 조사하여, 이들의 보전가치와 세계자연유산으로서의 자격을 평가하였다. 우도는 작은 제주도라고 불릴 만큼 제주도 섬 내에 나타나는 다양한 지질유산적 특징을 가진다. 우도 내에는 우도를 형성한 수성화산체인 소머리오름과 소머리오름이 만들어지면서 형성된 여러 화산지형이 분포한다. 이들은 수성화산 분출에 의해 형성된 응회구와 그 위에 흐른 용암, 그리고 용암 내에 발달되어 있는 용암동굴과 화산 분화 후 재동되어 퇴적된 화산쇄설물이다. 플라이스토세에 이르러 수십 차례에 걸쳐 빙하기와 간빙기가 교호하면서 우도는 섬과 육지환경이 계속적 으로 반복해 왔다. 마지막 최대 빙하기 이후에 해수면이 현재와 같이 상승한 약 6000년 전부터 우도 주 변의 천해환경에서는 많은 탄산염 퇴적물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우도와 제주도 사이에 존재하는 수심이 20m 이내의 넓은 천해환경은 홍조단괴가 만들어지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였으며, 현재에도 많 은 홍조단괴가 자라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홍조단괴는 태풍에 의해 지속적으로 해안가로 운반되어 홍 조단괴로만 이루어져 세계 유일이라고 판단되는 해빈퇴적물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이 해빈퇴적물은 전통 적으로 학계에 알려진 해빈퇴적물과는 그 성인적 측면에서 구별된다. 전형적인 해빈퇴적물로는 탄산염 퇴적물로만 이루어진 하얀 모래의 하고수동 해빈, 화산쇄설물이 침식되어 퇴적된 검은 모래의 검멀레 해 빈, 그리고 주변의 현무암이 침식되어 커다란 자갈로만 이루어진 톨칸이 해빈이 나타난다. 과거 바람에 의해 탄산염 해빈퇴적물이 육지로 운반되어 형성된 사구층이 나타나며, 우도의 북쪽 해안가 세배곶 지역 에는 전형적인 해빈의 형성과 태풍의 영향으로 퇴적된 복합적인 성인을 가진 퇴적물도 나타난다. 화산쇄 설물로 이루어진 퇴적층을 따라 발달한 해안 절벽에는 파도의 침식에 의해 형성된 해식동굴이 여러 개 발견된다. 특히 수심 10m 부근에 나타나는 수중 해식동굴은 해수면의 변화를 반영하는 뛰어난 지형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우도의 다양한 지질유산은 우도가 매우 뛰어난 지질다양성을 보여주는 장소임을 지시 한다. 전 세계에서 우도의 홍조단괴 해빈과 같이 거의 모든 퇴적물이 홍조단괴로만 이루어진 지역은 매 우 드물며, 수중폭발에 의해 형성된 소머리오름은 제주도 내에 나타나는 다른 수성화산체인 성산일출봉, 수월봉, 송악산, 용머리 등과 함께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될 자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홍조단 괴 해빈은 국가지정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나 그 지정 지역 밖에도 더 넓은 지역에 홍조단괴가 형 성되고 있으므로 보전지역의 확장이 필요하다. 또한 소머리오름도 그 지질유산적 가치의 보전을 위해 천 연기념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이보형이 수집한 호남우도농악녹음자료의 역사적 의미 -1970대말부터 1980년까지 이루어진공연녹음자료들을 중심으로-

        가미노치에 남도민속학회 2019 남도민속연구 Vol.38 No.-

        본고에서는 한국의 음악학자인 이보형이 1970년대말~80년까지 수록한 호남우도농악의 공연 음원에 주목하여 근현대 농악사 안에서 이 자료들이 가진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으로 한 자료는 ①1977년 4월 서울국립국악고등학교 마당 ‘호남농악 우도굿 원형발표회’, ②1979년 10월 덕수궁 ‘판놀음 덕수궁 공연’, ③1980년 7월 공간사랑 ‘농악종합연구집회’, ④1980년 11월 서울국립국악고등학교 마당 ‘원로농악인공연’의 4건이다. 자료 선정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호남우도농악은 기교적이며 세련된 음악이나 무용을 특징으로 한다고 평가 받는데 본고에서 주목하는 자료에는 그러한 예술성을 고도로 발전시킨 원로 연주자들의 녹음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호남우도농악의 음악적인 특징을 알기 위해 적합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당시 ‘무형문화재로서의 농악’에게 요구된 가치관이나 농악의 문화재지정의 과정을 알기 위해 이 자료들이 실마리를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4건의 녹음자료의 내용을 보충자료와 함께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을 알게 되었다. 첫째, 녹음된 공연과 그 시기에 개최된 호남우도농악의 여러 공연에 관한 신문기사를 통해 이 시기의 공연이 호남우도농악의 문화재지정의 과정과 관계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이유로는 공연의 개최시기가 1970년대말에서 80년대 전반에 집중되어 호남우도․좌도 합동으로 ‘호남농악’으로 지정 심위를 진행중이였던 시기와 겹쳐 있다는 점, 개최지가 모두 서울인 점, 국악협회나 국문학자의 중진들이 주최하여 기록 작업을 함께 했던 점, 각 지역의 일류의 원로 연주자들을 모아서 공연한 점 등을 들수 있다. 또한 당시 신문기사에서는 그 때 지식인들이 ‘잊혀져 가는 지역민속문화’에 관한 위기의식이 강하고, 문화재보호 방침 안에서 강조된 ‘원형’을 회복해야한다는 가치관에게 큰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러한 연주자들에 의해 연주된 음원에서는 오늘날의 호남우도농악과는 다른 가락의 분위기, 변형가락, 판의 구성 등을 볼 수 있었다. 특히 1977년의 ‘호남농악 우도굿 원형발표회’에서는 당산굿, 풍장굿 등 의례적 대목을 연행했고 그 안에서 연주된 가락도 단순 반복이 많았으며, 추임새나 노래굿 등 음성이 갖은 주술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의 농악공연에서 연행되는 대목은 대부분 기교적이고 공연예술적 요소가 강한 판굿만으로 한정되는데 이 시기 문화재 개념 속에서는 ‘원형’의 보존이라는 관점에서 이러한 대목들을 의식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이보형이 1970년대말에서 1980년까지 수록한 공연녹음에는 호남우도농악의 특징을 남기고자 하는 연주자와 주최 측의 강한 의식이 느껴진다. 이러한 활동이 없었으면 호남우도농악이 지금처럼 전승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다만 문화재지정이나 공연 때문에 변형되거나 고정화된 부분도 적지 않을 것이며 근현대의 농악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도 이 시기의 녹음은 매우 소중하다. 이번에 정리된 자료를 바탕으로 공연 출연자 중 지금도 면담이 가능한 연주자들이나 녹음에 참여했던 연구자들 등 관계자들에게 인터뷰를 거듭하는 작업과 각 지역 농악 전승자들과 함께 자료의 분석을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audio recordings of Honam-udo nongak (folk drumming and dance in Jeolla province) recorded between late 1970s and 1980 by Lee Bo-hyeong, a Korean musicologis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se audio materials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and the background of recordings. Especially following four materials are selected for analysis. Recording #1, performance at Gugak National High School, in April1977 Recording #2, performance at Deoksugung, in October 1979 Recording #3, performance at Gonggansarang theater, in July 1980 Recording #4, performance at Gugak National High School, in November 1980 First, through referring the pamphlets and the articles on newspapers, it became clear that these performances of Honam-udo nongak were somehow relevant to the process of designation of ‘Honam nongak’, including both Honam-udo and Honam-jwado nongak, as an intangible heritage. It is because these performances were all held in late 1970s and early 1980s, when the council for intangible heritage had investigations and discussions on Honam nongak very frequently. All performances were held in Seoul and organized by association of traditional music or Korean scholars. The recordings and the articles about the performances showed the intention of the scholars who claimed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the ‘archetype’ of intangible heritage including nongak because people were afraid of the situation that many traditional cultures were disappearing at that time. Second, the contents of recordings showed the musical differences of Honam-udo nongak played in the period and in these days. Especially in recording #1, titled as ‘The Archetypical Performance of Honam-udo Nongak’, many famous senior players from Jeolla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concert and played ritualistic repertories such as Dansan-kut or Pungjang-kut consisting many repetitive rhythmic patterns and ritualistic recitation. Compared to these performances, recent nongak concerts mainly focus on technical, artistic repertories. This difference shows that nongak performances in 1970s to 1980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concept of ‘archetype’ of intangible heritage. Through examining the contents and the background of the recordings, it is confirmed that these audio materials are historically important because they are consisting of typical and highly trained performances of Honam-udo nongak and also rhythmic patterns which are no more played in recent performances. The audio materials also provide the issues what the ‘archetype’ is in intangible heritages. In order to clarify the musical changes and the inherited characteristics of Honam-udo nongak from the period to now, it is important to listen to the sounds of the tapes and discuss about it with the musicians and scholars who joined the recordings, and also with the young musicians who are now playing Honam-udo nongak.

      • KCI등재

        우도농악 설장구의 명인 김병섭에 관한 연구

        조미연 국립국악원 2018 국악원논문집 Vol.38 No.-

        Seoljanggu possess an artistic value. Kim's life and his musical activitie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Kim Byung-seop(1921-1987) was born in Jeong-eup, North Jeolla Province and died in Seoul(1921~1987). At the brass-shop(놋점), He watched the Pungmul Gut and started to learn it in his 10s through the village Gut and experts. Second, Kim's music activities are divided into those in Jeong-eup and in Seoul. During the time in Jeong-eup he did the systematic self-study and learned the melodies of his seniors. He attempted to improve his skills with the famous Udo Nongak musicians through competitions and Geolips, and began his career as a professional folk music expert by teaching women's bands. During the time in Seoul he newly organized the education for Udo Nongak and presentations for restoration of it as well as Seoljanggu works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and foundation of the times to foster the younger generations. He also continued to make efforts for performance, education, succession and distribution of Udo Nongak Panje and Seoljanggu. Third, there are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at are succeeding to Kim's personal play. The individuals who learned at that time through female farmers' bands are Na Geum-chu, Moon Jung-sook, Yoon Jung-im and etc. The groups are a preservation association for Kim's Seoljanggu and a study association for his Seol Janggu, Finally, Kim's SeollJanggu was kept in the basic framework of Udo Nongak and his skills were applied to it, creating a 15-minute piece for the stage. While following the traditions of the Udo Nongak masters, he improved the artistic value of his Seoljanggu by making new changes. Kim made an exclusive musical world of his own through the turbulent modern history and his musical efforts have been outstanding. Later, We will need to examine the life of masters and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change of times as well as their devoting efforts to promote the arts through artistic musical activities. 설장구는 전라도 우도농악권 지역에서 발달했던 개인장구놀이이다. 설장구는 우도농악 판제 안에서 연행되었고, 김병섭은 그것을 바탕으로 개인 설장구를 만들었으며, 문화재로 지정받지 못했지만 현재까지 설장구 유파 중에서 가장 활발하게 전승⋅보급되고 있다. 우도농악권의 설장구 명인 김병섭은 폭넓은 음악활동을 통해서 근현대의 개인적인 장구놀이의 예술적인 역량을 끌어올리고, 풍물굿의 연행 양태에 변화를 주었다. 풍물굿은 지역의 민속 음악이고, 집단 제의, 오락, 예능의 기능에서 예술작품의 형태로까지 전문적인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김병섭은 우도농악 판제와 설장구의 위상을 높이고, 이를 보존⋅보급⋅전승에도 앞장섰으며, 김병섭 개인기량과 음악적⋅예술적 깊이가 증대되었다. 본고는 이와 같이 우도농악과 설장구의 음악적인 영향력이 예술적인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기여했던, 김병섭의 개인적인 삶에서부터 예술적인 삶까지를 다루는 생애사를 연구⋅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김병섭의 생애와 음악활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김병섭(1921~1987)은 전북 정읍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작고하였다. 놋점에서 풍물굿을 보고자라며 접하였고, 마을굿과 전문가를 통해 배운 풍물굿을 10대에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둘째, 김병섭의 음악활동은 정읍과 서울 활동기로 구분된다. 정읍 활동기는 체계적인 자기 학습과 우도농악 선배 명인들의 가락을 배운다. 우도농악 명인들과 대회 및 걸립을 통해 기능연마를 꾀하였고, 여성농악단 등을 가르치며 전업적인 풍물굿 전문가의 길로 들어섰다. 서울 활동기는 후학 양성을 위해 우도농악의 교육과 복원 발표회, 설장구 작품을 그 시대의 요구와 기반에 맞게 새롭게 편성하였다. 그래서 우도농악 판제 및 설장구를 공연⋅교육⋅전승⋅보급시키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하였다. 셋째, 김병섭의 개인장구놀이를 전승하고 있는 개인들과 단체가 있다. 여성농악단을 통해 당시 배웠던 개인들은 명인 나금추, 문정숙, 윤중임 등이 있다. 그리고 단체는 김병섭류 설장구 보존회와 김병섭류 설장구 연구회이다. 넷째, 김병섭 설장구는 우도농악의 기본틀을 유지하고 그의 기량을 적용하여 15분 분량의 무대용 작품을 만들었다. 우도농악 명인들의 전통적인 방식과 전통을 따르면서도 새로운 변화를 주어 예술성을 드높였다. 이렇게 김병섭은 격동의 세월인 근현대사를 거쳐 자신만의 독자적인 음악적인 세계를 구축하였고 그 음악적인 노력이 뛰어났다. 차후 명인들의 생애와 예술적인 음악활동을 통해서 예술의 경지에 올리기까지 헌신했던 노력과 그 시대 변화에 따른 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연구⋅고찰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해방공간기 전라북도 농악의 발전 양상

        임미선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3 No.-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the North Chŏlla province 全羅北道 nongak 農樂 (farmers' music). Expecially, the paper deals with how Chŏngŭp nongak 井邑農樂 and Namwŏn nongak 南原農樂 newly emerged in Chwado 左道 (left region of province) and Udo 右道 (right region of province) respectively, focusing on the process of farmers' music being advanced into an entertainment music performed in a stage, the tent, called p'ojang kŏllip 포장乞粒. Also, the paper includes a discussion on how and when Chwado and Udo farmers' music began to interact each other. In the discussion, the background and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North Chŏlla province farmer's music are highlighted. A new form of farmer's music band, which was composed of professional musicians, began in Chŏngŭp nongak 井邑農樂 (Chŏngŭp farmers' music) while pan 'gut 판굿 was arranged by professional entertainers, as Poch'ŏn'gyo 普天敎 religion encouraged farmers' music before the Liberation. First, I paid attention to the role of National Farmers' Music Competition called Chŏn'guk nongak kyŏngyŏn taehoe 全國農樂競演大會 that it accelerated musical development of nongak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In consequence, the paper emphasizes the composition of the bands with well-known performers, and presents the history of p'ojang kŏllip in 1940s after the North Chŏlla province farmers' music band became famous winning a special award. Though a short amount of time, however, the liberation period was the hay day of the farmers' music in South Western region (Honam 湖南 or Chŏllado 全羅道) in Korea as many talented performers were produced and artistic skill were developed. At the same time, the competitive structure between Chwado 左道 (left region) and Udo 右道 (right region) would have improved the artistic aspects in farmers' music, more specifically the formality of pan'gut 판굿. The sponsorship, the financial support from wealth people, is also mentioned in terms of commercial performance and th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armer's music. 본 논문은 해방공간기(解放空間期)에 전라북도에서 농악(農樂)이 발전하게 된 배경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우도(右道)에서 정읍농악(井邑農樂)이, 좌도(左道)에서 남원농악(南原農樂)이 새롭게 발전하게 된 상황, 좌도와 우도 농악이 포장걸립으로 연예농악을 펼치면서 발전하게 된 과정 등에 비중을 두고 논의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좌도농악(左道農樂)와 우도농악(右道農樂)의 교섭이 이루어진 배경과 시기에 대한 내용도 아울러 다루었다. 논의에서 해방 이전에 보천교가 농악을 장려함으로써 정읍농악이 전문 치배들로 구성되는 농악대(農樂隊)의 형성을 가능케 했던 측면과 전문 예인들에 의해 판굿이 짜여지는 등의 기반이 이루어진 환경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해방공간기에 개최되었던 전국농악경연대회(全國農樂競演大會)가 농악 발전의 촉매 역할을 한 점에 주목하여 대회 출전을 위해 이름난 잽이들이 결집하여 농악단(農樂團)이 구성되었던 점, 대회에서 전북팀이 특등상을 받아 전북의 농악이 전국적으로 알려짐으로써 1940년대에 포장걸립이 시작되었던 점 등을 부각시켰다.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해방공간기에 호남 농악(湖南農樂)은 좌도에서는 남원농악이, 우도에서는 정읍농악이 주축이 되어 많은 명인들을 배출하고 기예를 발휘함으로써 최고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이 기간 좌도와 우도의 보이지 않는 경쟁구도도 농악의 기예능, 특히 판굿의 형식이 발전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고창에서와 같이 재산가들의 후원을 받아 상업적으로 농악을 연행한 것도 일정 부분 기여한 측면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해방공간기 전라북도 농악의 발전 양상

        임미선 ( Mi Sun Lim )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3 No.-

        본 논문은 해방공간기(解放空間期)에 전라북도에서 농악(農樂)이 발전하게 된 배경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우도(右道)에서 정읍농악(井邑農樂)이, 좌도(左道)에서 남원농악(南原農樂)이 새롭게 발전하게 된 상황, 좌도와 우도 농악이 포장걸립으로 연예농악을 펼치면서 발전하게 된 과정 등에 비중을 두고 논의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좌도농악(左道農樂)와 우도농악(右道農樂)의 교섭이 이루어진 배경과 시기에 대한 내용도 아울러 다루었다. 논의에서 해방 이전에 보천교가 농악을 장려함으로써 정읍농악이 전문 치배들로 구성되는 농악대(農樂隊)의 형성을 가능케 했던 측면과 전문 예인들에 의해 판굿이 짜여지는 등의 기반이 이루어진 환경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해방공간기에 개최되었던 전국농악경연대회(全國農樂競演大會)가 농악 발전의 촉매 역할을 한 점에 주목하여 대회 출전을 위해 이름난 잽이들이 결집하여 농악단(農樂團)이 구성되었던 점, 대회에서 전북팀이 특등상을 받아 전북의 농악이 전국적으로 알려짐으로써 1940년대에 포장걸립이 시작되었던 점 등을 부각시켰다.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해방공간기에 호남 농악(湖南農樂)은 좌도에서는 남원농악이, 우도에서는 정읍농악이 주축이 되어 많은 명인들을 배출하고 기예를 발휘함으로써 최고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이 기간 좌도와 우도의 보이지 않는 경쟁구도도 농악의 기예능, 특히 판굿의 형식이 발전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고창에서와 같이 재산가들의 후원을 받아 상업적으로 농악을 연행한 것도 일정 부분 기여한 측면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the North Cholla province 全羅北道 nongak 農樂 (farmers`` music). Expecially, the paper deals with how Chongop nongak 井邑農樂 and Namwon nongak 南原農樂 newly emerged in Chwado 左道 (left region of province) and Udo 右道 (right region of province) respectively, focusing on the process of farmers`` music being advanced into an entertainment music performed in a stage, the tent, called p``ojang kollip 포장乞粒. Also, the paper includes a discussion on how and when Chwado and Udo farmers`` music began to interact each other. In the discussion, the background and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North Cholla province farmer``s music are highlighted. A new form of farmer``s music band, which was composed of professional musicians, began in Chongop nongak 井邑農樂 (Chongop farmers`` music) while pan ``gut 판굿 was arranged by professional entertainers, as Poch``on``gyo 普天敎 religion encouraged farmers`` music before the Liberation. First, I paid attention to the role of National Farmers`` Music Competition called Chon``guk nongak kyongyon taehoe 全國農樂競演大會 that it accelerated musical development of nongak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In consequence, the paper emphasizes the composition of the bands with well-known performers, and presents the history of p``ojang kollip in 1940s after the North Cholla province farmers`` music band became famous winning a special award. Though a short amount of time, however, the liberation period was the hay day of the farmers`` music in South Western region (Honam 湖南 or Chollado 全羅道) in Korea as many talented performers were produced and artistic skill were developed. At the same time, the competitive structure between Chwado 左道 (left region) and Udo 右道 (right region) would have improved the artistic aspects in farmers`` music, more specifically the formality of pan``gut 판굿. The sponsorship, the financial support from wealth people, is also mentioned in terms of commercial performance and th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armer``s music.

      • KCI등재후보

        정읍우도농악의 오채질굿에 관한 연구

        서정매 ( Jeong-mae Seo ) 남도민속학회 2009 남도민속연구 Vol.18 No.-

        본문은 호남우도농악의 발원지로 알려져 있는 정읍우도농악의 오채질굿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오채질굿의 시대별 변화에 따른 가락의 분석을 통해 이에 따른 정읍풍물굿의 내용변화 및 전승현황을 고찰한 것이다. 시대별로 가장 앞선 음반으로 볼 수 있는 1970년 전사종ㆍ전사섭의 오채질굿과 1980년의 이보형 채록의 호남우도판굿은 10ㆍ10ㆍ10ㆍ9ㆍ9의 총 48소박으로, 2/3/3/2, 2/3/3/2, 3/2/2/3, 3/3/3, 3/3/3의 혼소박으로 구성된다. 특히 1970년 전사종ㆍ전사섭의 오채질굿은 연주자가 1945년 광복 이후 활동했던 초기 정읍농악의 멤버이기 때문에 오채질굿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후 1983년 김용배 팀의 오채질굿은 10ㆍ14ㆍ10ㆍ6ㆍ9의 총 49혼소박으로, 기존의 전사섭ㆍ전사종의 오채와는 흐름이 완전히 다르게 연주되었으나, 1986년에 다시 수정ㆍ연주되어 10ㆍ11ㆍ10ㆍ9ㆍ9의 총 49의 혼소박으로 연주되었다. 그러나 둘째가락에서 전사종ㆍ전사섭의 것과는 한 소박이 더해진 11소박으로 연주된 점이 다르다. 그리고 1980년을 전후로 1990년 중반까지 활동한 유남영의 오채는 전사종ㆍ전사섭의 장단과 소박이 같으나, 다만 넷째가락에서 한 번으로 떨어내는 연주형태를 두 번으로 나누어 떨어내었다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장단와 소박에는 변동이 없다. 그런데 현재 정읍농악의 상쇠 부문 무형문화재인 유지화의 오채질굿은 10ㆍ11ㆍ10ㆍ15ㆍ9의 총 55혼소박으로 구성되어 기존의 것과 차이가 많이 났다. 첫째는 첫째가락이 2/3/3/2가 아닌, 2/2/3/3의 혼소박으로 집합되며, 둘째는 둘째가락이 2/2/2/2/3의 11혼소박으로, 이는 김용배 팀이 연주한 사물놀이의 것과 같다. 셋째는 넷째가락이 15혼소박으로 기존의 것과는 박의 차이가 많이 나지만, 그 근원은 전사종ㆍ전사섭의 장단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즉 전사종ㆍ전사섭이 6소박을 한 번으로 떨어내었는데, 유지화는 그것을 두 번 반복하여 12소박으로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유지화의 오채질굿은 현재 정읍시립농악단과 정읍시 읍면동 농악단의 과반수가 전승하고 있으며, 이 외 정읍우도굿 전승회 및 4개의 읍면동 농악단에서는 유남영의 오채를 전승하고 있다. 이것이 현재 정읍우도농악의 오채질굿의 전승현황이라 하겠다. 이러한 오채가락의 시대적 변화는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오채는 다른 가락에 비해 2소박과 3소박의 혼소박으로 이루어진 불규칙 박자이면서 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가락을 솎아내어 연주하기 때문에 농악 가락 중 가장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만큼 다이나믹하고 멋이 있는 가락이기 때문에 우도농악의 꽃으로 자리매김했을 것이다. 이러한 오채가락의 변형은 비단 정읍농악 뿐만이 아니라 다른 지역의 우도농악에도 어떤 변화를 거쳤다고 보이며, 아울러 다른 우도지역의 농악에 전승되는 오채질굿의 가락 변화 및 전승현황에 대해서도 연구가 요구된다 하겠다. Farming music of Jeong-eup Woodo region is known as the source of farming music of Honam Woodo region. I have researched the tune of the Ochaejilgut, especially on the musical changes that has been made periodically to see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as well as its transmission. The earliest record we can find on these two subject is from the Ochaejilgut of Sa-jong Jeon and Sa-seop Jeon in 1970. Farming music of Honam Woodo Pangut is also recorded on the book by professor Bo-hyung Lee. According to his record, it is consisted with 5 consequence rhythms which are three 10 beats followed by two 9 beats. In total it has 48 beats, more specifically grouped rhythm of 2/3/3/2, 2/3/3/2, 3/2/2/3, 3/3/3, 3/3/3. Recordings on the Ochaejilgut music is shows significance since both of the musicians who are performing in the record were the first generation of its music and also regarded as one of the oldest reference material in this field. The second recordings were made on the 1983, by performing group leaded by Yong-bae Kim. The music then, was performed differently from what has been recorded formerly because it was in the rhythmically grouped mixture of 10 beats, 14 beats, 10 beats, 6 beats and 9 beats. Later, on 1986, it was rhythmically re-grouped and the tune of its music shows was again, performed in the mixture of 10 beats, 11 beats, 10 beats followed by two 9 beats in a row. The difference between earlier recordings of Sa-seop Jeon’s compare with Yong-bae Kim’s is that only second beat has been extended from 10 to 11 beat. Another musical reference can be found from the recordings of Nam-young You from 1980 to mid 1990. It show almost the same rhythmic patters as Jeon’s, except on the 4th rhythmic patters, it shows two distinctive vibrations compare with what formerly performed with only one vibration. But other than that, it does not show any remarkable changes. But the recordings of Ji-hwa You shows dramatic changes in its rhythmic pattern compare to the former records. It is consisted with mixture of 10 beats, 11 beats, 10 beats, 15 beats and 9 beats, in total 55 beats while former records from others only show 48 and 49 beats. First rhythm is grouped in 2/2/3/3/, second one is in 2/2/3/3/. Also, changes on the fourth rhythmic group can be found but it also shows some connection with what has been changed on the second recording from Yong-bae Kim. Because on the fourth rhythm he performed it with 2 vibrations, and Ji-hwa You’s musical tune shows possibility of repeating this particular part twice, resulting the changes on the entire length of the music. These extended version is now mostly transmitted among more than half of the musicians who are performing farming music in Jeong-eup city area. Musical style of Nam-young You has been transmitted among the musicians of Jeong-eup Woodo and other smaller areas around. This is the current status of transmission of Ochaejilgut music. These kind of periodic changes of the musical tune might be natural thing to be happen. Due to its musical complexity as well as difficulty, with many different rhythmic patterns mixed together, may be certain changes on its rhythm has requested among the musicians who perform these. Because its complex and dynamic rhythmic patters, music of Ochaejilgut regarded as one of the essence of Woodo region farming music. Rhythmic patter of Ochaejilgut and its change can be also shown on the Woodo region farming music that are performed among other regions and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more researches and studies on its music must be conducted among many musicologists.

      • KCI등재

        호남우도농악에 대한 연구동향과 연구과제 - 판굿 연구를 중심으로

        시지은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7 南道文化硏究 Vol.0 No.32

        호남우도농악은 우리나라에서 근대적 공연양식으로서의 판굿이 가장 일찍 형성되고 발달한 지역의 농악이다. 전라도 산간지역의 호남좌도농악과 평야지역의 호남우도농악 에 대한 관심과 구분은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호남우도농악 권역에 대한 탐구 와 전승 내용에 대한 조사와 보고들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차츰 개별 지역 농악에 대한 구체적이고 총체적인 조사와 보고가 많은 지역에서 진행되었다. 개별 지역 농악에 대한 조사로 우도농악 판굿의 짜임새나 고유한 가락 등에 있어 커다란 공통점이 있지만, 지역별로 독특한 특징들이 있음이 밝혀졌다. 지역별 특징이 존재하지만, 우도농악은 근대적 차원의 후원에 따른 활발한 활동과 뛰어난 예인들의 지역적 교류를 통해 판굿 구성에 대한 지역적 공유가 이루어져, 다른 지역의 판굿에 비해 체계적이고 통일적인 구성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한 짜임새와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가 판굿에 대한 구조적 분석으로 이어져 상당한 연구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우도농악에 대한 연구는 다른 권역의 농악에 비해 양적으로 질적으로 우세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사와 분석이 다른 권역의 농악에서도 빠른 시기에 진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음악과 연행 양상을 중심으로 한 지금까지의 농악 연구가 물질연구 내지는 사회문화적 차원으로 확대되고, 다른 민속예술 장르와의 상관성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고 기대한다. Honam Woodo Nongak is a Nongak in the area that established and developed Pangut as a modern way of domestic performance earlier than any other region in Korea. It was in the 1960s that people developed an interest in and distinction of Honam Jwado Nongak in the mountainous region of Jeolla Province and Honam Woodo Nongak in the Honam plains. Since then, a massive effort has been made in investigations and reports on the Honam Woodo Nongak region. This has gradually led to specific and comprehensive investigations and reports on Nongaks in individual regions. As part of the investigations on Nongaks in individual regions, they are found to have a lot in common in terms of structure and the unique rhythm of Woodo Nongak Pangut. They also feature uniqu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region from which they originate. Although Nongaks in different region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Woodo Nongak features regional sharing for Pangut composition through activities triggered by modern level sponsors and regional exchanges among outstanding artists. This results in a relatively more systematic and unified structure compared to Panguts in other regions. The studies on this structure and development have led to a structural analysis of Pangut, producing considerable academic research accomplishments. The study on Woodo Nongak is consider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uperior to that of Nongak in other regions. Undoubtedly, these investigations and analysis should extend to Nongaks in the near future. It is expected and anticipated to extend to the scope of research into Nongak, which has, so far, been centering on music and performance aspects, studies of material or socio-cultural dimensions and in-depth research into a possible correlation with the other folk art genres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