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모가꾸기 훈련이 만성정신분열병 입원환자의 외모만족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양수 ( Soo Yang ),최연숙 ( Yeon Sook Choi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00 정신간호학회지 Vol.9 No.3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대부분의 경우 만성화의 과정을 밟으며 반복되는 재발과 사회생활 기능의 장애를 경험하는 대표적인 만성 정신질환자로 스트레스에 대해 취약하고, 대처기술이 빈약하며, 의존성이 강하고, 경쟁관계 속의 직업활동 유지 및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낀다(이영문, 한일우 및 신현균, 1994; 황태연 등 1995).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란 일반적으로 유병기간이 길고 재발율이 높으며 양성증상보다는 음성증상이 주되며 약물치료에 반응이 적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에게 적합한 정신사회적 치료의 개발과 평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음성 및 결손증상은 약물치료로 양성증상에서와 같이 효과가 좋지 못하며, 약물 자체만으로는 일상생활기술, 대응기술을 향상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만성정신 분열병 환자의 부족한 사회적 기능은 사회대응력을 제한하여 증상악화에 대한 취약성을 높인다(Liberman, 1982). 개인위생과 복장에 있어 경솔하고 기괴한 태도를 취하는 것은 많은 정신질환자들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에 Goffman(1963)은 정신질환자에게 있어 외모에 대한 적절한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명되고 있다고 하면서 정신병의 전형적인 증상 중의 하나인 자신의 외모에 대한 무관심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고, Wong 등(1988)도 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는 외모가꾸기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외모가꾸기 훈련 프로그램은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 시행된 적이 없는 프로그램으로 환자들이 자신의 모습에 대해 관찰하고, 평가하며, 좋은 느낌을 가지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환자들은 첫 번째로 자신의 모습을 정확히 평가하고 관찰하는 것을 배우고, 그 다음에는 자신의 모습을 증진시키는 행동들을 익히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행동들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보조적인 방법들을 배우게 된다. 본 연구 대상자 중 실험군은 외모가꾸기 훈련 후 외모 만족 정도가 훈련 전보다 매우 향상되었는데, 이는 더욱 청결하고 단정하게 자신을 가꾸고 변화시킴으로써 만족과 즐거움을 느끼고, 또한 치료진이나 주변의 환자들로부터 긍정적으로 평가됨으로써 동기가 강화되고 자신을 매력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증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환자들은 본 프로그램에서 제공된 간단한 외모가꾸기 물품인 립스틱과 로숀을 바르는 것에 매우 흥미를 보였고, 스스로 ‘예뻐 보인다’, ‘검고 우중충한 피부가 뽀얗게 변한 것 같다’, ‘멋있게 보인다’ 등의 주관적인 만족감을 보였다. 이는 Cash(1989)가 신체적 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스로 시행한 화장에 대한 연구에서, 화장을 한 후에 평가자들과 대상자들 자신은 신체적 매력을 대단히 높게 인지했으며, 신체 이미지에 대한 호감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자아 인식을 나타냈다는 결과를 통해, 화장을 하는 것은 신체이미지와 사회적 자신감을 높이는 방법이 되며 자기 이미지 변화는 외모관리의 중요한 동기가 된다고 한 것과 유사한 결과이었다. 따라서 외모 향상은 자기향상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키고 자아존중감을 높힐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는 더욱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정신질환은 다른 질병이나 사고와 마찬가지로 자아존중감의 상실을 초래한다. 낮은 자아존중감을 지닌 사람은 정서적인 문제와 서툰 대인관계 기술을 지니고 있으며, 일의 성취도가 낮고, 비적극적이면서 타인의 비난에 쉽게 상처받는데 비해 호의적인 대우를 받고자 하는 욕구로 인해 외부환경에 쉽게 설득되며 정체성이 약하다(김시업 역, 1995). 즉 낮은 자아존중감은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감소시키고 적응력은 더욱 정신장애자의 자아 기능을 약화시켜 자아존중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순환적인 관계로 설명할 수 있다. 최근 외국에서도 정신질환의 치료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되고 있는데, 이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신질환과 자아존중감이 서로 밀접한 상관성이 있으며 자아존중감의 회복과 향상이 정신질환의 치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보고되고 있다(Smitherman, 1981). 즉 자아존중감은 정신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성격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정신질환의 치료모델 가운데 대부분이 어떤 형태이든 자아존중감의 수정을 통하여 정신질환의 치료를 꾀하고 있다는 주장이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다(Bednar, Wells,와 Peterson, 1989). 본 연구에서도 프로그램 실시전보다 실시 후 실험군에서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는데, 이는 자기외모에 대해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다는 신현영(1999)의 보고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으며, 김양진(1996)의 현실적 자기외모이미지와 자기존중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지녀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한 맥락이다. 개인이 자기 외모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는 자아존중감의 단서가 되며(Daters,1990), 자아존중감은 대인 관계의 태도에도 영향을 준다(김인자, 1991). 본 연구의 외모가꾸기 훈련과 대인관계 기술과의 관계는 훈련을 받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향상이 되었는데 이는 프로그램을 통해 개선된 외모와 보다 고양된 자아 존중감이 대인관계에서 긍정적으로 작용되었고, 또한 훈련기간동안 매일 환자들은 서로를 위해서 환류와 강화를 제공하며 서로의 건강한 부분을 동일시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관계의 향상이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Kefgen(1981)의 매력적인 외모의 가치는 매력 자체보다는 대인접촉 가능성을 높여주는데 있으며, 매력이 결여된 외모를 지니는 것은 자긍심이나 타인에 대한 존경의 부족, 신체적 질병, 정신적 장애, 사회가치에 대한 부정, 타인으로부터의 관심유도, 무례함에서 비롯되며, 만일 정신장애자의 외모가 정상인에 비해 덜 매력적이라면 그것은 개인적 자긍심의 부족, 정신적 장애 등의 이유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라는 견해를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외모로 인하여 자신감을 잃게 되면 남의 시선을 과도하게 의식하게 되어 남들 앞에서 자연스럽고 당당하게 행동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자기를 평가절하 하게 되는데 이는 대인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일을 추구하는 과정에서도 자신감을 잃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즉, 외모에 만족하는 사람은 타인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통해 높은 자아존중감을 지니게 되고, 높아진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인관계가 정상적이고 건전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존중감을 갖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것이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외모가꾸기 훈련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자기관리 능력의 개선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향상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재활프로그램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병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내의 정신사회재활센터, 지역사회 복지관, 기타 정신건강 센터 등에서 활용함으로써 이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검증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며, 일상에서 치료적 가치를 발견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될 때 정신장애자들을 위한 외모가꾸기 훈련은 치료와 재활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가 일 병원의 환자만을 대상으로 실시 되었으므로 결과를 확대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음을 제한점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추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입원한 상태에서 자신의 외모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개인 소유의 여러 가지 물품이나 적절한 의복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는 병원 환경의 보완책에 관하여도 계속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One of the characteristic signs of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is gradual deterioration of self-care skills including self grooming in their daily lives. This implies that they become slopy in their appearances leading to the failure in their social adaptations and being taken away from their beloved family and from the society they live in. Finally, they become to show every signs of chronic psychotic patients showing lowered self-esteem, labile emotional distress, indifference and apathy, and lack of insi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grooming skills training on the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satisfaction on selfappearanc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ubjects consisted of 32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32 patients in control group who were admitted to a hospital. For 5 days before the training sessions, we observed the independent grooming skill ability and measur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self-appearance, the degree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grooming session lasted for 50-60 minutes everyday for 16 sessions, and we observed the satisfaction on self-appearanc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follow-up observations immediately after the sessions and 3 weeks after the sessions. For those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we measured the same parameters for the same period of ti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grees of self satisfaction as to their own grooming images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pre-test 3.80±1.32, post training 6.26±1.20, and the data 3weeks follow up 7.11±1.15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no change. 2. The level of function in the area of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pre-test 2.45±0.35, post training 2.77±0.37, and at 3weeks follow up of 3.04±0.31. comparable to that of the control which showed no change. 3.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pre-test 2.86±0.56, post training 3.00± 0.45, and at 3weeks follow up of 3.62±0.40. No noteworthy data found in the control group. With the above results, it suggested that the independent grooming skill training be one of the highly effective therapeutic tools for the chronically ill psychotic patients, and of both convenient and widely applicable management tools for the therapeutic nursing intervention in the field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조사연구 –경상북도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

        문선정,가경환,김은희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that could promote self-evalu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positive self-awareness in appearance satisfaction, the pursuit of higher self-esteem, and to allow them to become more satisfied with their own appearance.; For this purpose, a self-administered survey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as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2018 in university students in rural communities and a total of 62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the exception of incomplete ones and those having insincere answe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items concer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a correlation matrix and principal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scales, and Cronbach’s α was estimated for reliability of the scales. As for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men showed higher levels of physical attract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in general than women; and the physical conditions, physical attr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in general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grade. Appearance confidence, physical conditions, physical attr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in general differed significantly by major; physical conditions and appearance satisfaction in general differed significantly by academic performance; and only physical conditions differed significantly by financial status, with the average financial level being related to better physical conditions than the lower financial levels. As for self-esteem, men showed higher levels of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and self-esteem in general than women;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and self-esteem in general differed significantly by grade; and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and self-esteem in general differed significantly by academic performance. Positive self-esteem and self-esteem in general differed significantly by financial status: the students at the average financial level showed more positive self-esteem than those at the lower financial levels, and those at the average and higher financial levels showed better self-esteem in general than those at the lower financial levels. As for the effects of the sub-facto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appearance confidence, the higher level of physical conditions, and the lower the level of physical confidence, the higher the state of self-esteem. As for the effects of the sub-factors for self-esteem on appearance satisfac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 more the negative self-esteem, the more the positive self-esteem, and the higher level of self-esteem, coupled with a higher level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positive self-awareness, which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become more satisfied with their own appearance and improve their self-esteem. Through further research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make systematic plans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positive awareness of appearance may be made reflecting contemporary society and more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조사를 통해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해 외모만족도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인식을 고려한 자가평가를 높이고, 대학생 스스로 지각하는 외모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일부 농어촌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7월부터 8월까지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작성이 미완성되거나 응답이 불분명한 자료를 제외한 총 625부의 설문지를 회수,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으로 구성하였다.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행렬을 이용, 주축인자법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방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외모만족도에서 성별은 신체매력과 외모만족도 전체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높았고, 학년에서 신체조건, 신체매력, 전체 외모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공에서는 외모자신감, 신체조건, 신체매력과 전체 외모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적에 따라서는 신체조건과 외모만족도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제 수준에서는 신체조건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신체조건은 중이 하보다 높았다. 자아존중감에서 성별은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전체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높았고, 학년에서는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전체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적에서는 긍정적 자아존중감, 자기존중과 전체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 수준에서는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전체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중이 하보다 높았고, 전체 자아존중감은 상과 중이 하보다 높았다. 외모만족도의 하위요인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외모자신감이 많을수록, 신체조건이 많을수록, 신체자신감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이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많을수록,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많을수록, 자기존중이 많을수록 외모만족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조사를 통해 대학생 스스로 지각하는 외모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긍정적 자기인식과 관련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바탕으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외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자아존중감을 강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취업불안, 외모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정향진(Hyang-Ji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취업불안, 자아존중감, 진로준비행동 정도를 확인하고, 외모만족도와 취업불안, 외모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일 지역 내 2곳 대학의 3학년, 4학년 간호대학생 2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896)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자기존중감은 외모만족도(r=.60, p<.001), 취업불안(r=-.32, p<.001), 진로준비행동(r=.23,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아존중감은 외모만족도와 취업불안과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효과, 외모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한 Sobel test 결과 외모만족도와 취업불안(Z=-3.09, p=.002), 외모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Z=2.84, p=.005) 모두에서 유의하였다. 결론 자아존중감은 취업불안과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주며, 특히 외모만족과 관련하여 자아존중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완전매개 됨으로써 건강한 자아존중감은 외모에 대한 취업불안을 감소시키고 진로준비행동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자아존중감이 낮고 외모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간호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양한 중재전략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steem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job-seeking anxiety, and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to 255 senior nursing students with off-lin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on analysis using SPSS 23.0 software.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 3-step regression by Baron and Kenny (1896) was conducte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for self-esteem.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ppearance satisfaction(r=.60, p<.001), the job-seeking anxiety(r=-.32, p<.001),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r=.23, p<.001). The self-esteem ha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job-seeking anxiety(z=-3.09, p=.002). And the self-esteem had significantly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z=-2.84, p=.005). Conclus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reduce job-seeking anxiety and to increas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relation to appearance satisfaction. Furthermore, various intervention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with negative perceptions of their appearance, or low self-esteem.

      • KCI등재후보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선희 인지발달중재학회 201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된 환경 속에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 중 학업성적, 외모 만족도, 컴퓨터 유능감, 사회적 지지(부모, 교사, 친구지지)를 중요한 변인으로 설정하고 선정된 변인들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을 성별과 학년에 따라 분석하여 개성이 뚜렷하고 신체적 심리적 발달 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 향상 방안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 는 중학교 1, 3학년 469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자아존중감, 학업성적, 외모 만족도, 컴퓨터 유능감, 사회적 지지(부모, 교사, 친구지지)의 차이를 파악하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학업성 적, 외모 만족도, 컴퓨터 유능감, 사회적 지지(부모, 교사, 친구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토하기 위한 목 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별과 학년 에 따라 자아존중감, 학업성적, 외모 만족도, 컴퓨터 유능감, 및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자 청소 년의 친구지지가 남자 청소년보다 더 높았고, 3학년의 자아존중감 및 친구지지가 1학년보다 높았고, 1학년 의 교사지지가 3학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년에 따른 학업성적, 외모만족도, 컴퓨터 유능 감 및 부모지지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학업성적, 외모 만족도, 컴 퓨터 유능감, 사회적 지지(부모, 교사, 친구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을 성별 및 학년에 따라 살펴보면, 남자 청소년은 외모만족도와 컴퓨터 유능감이 중요한 영향요인이었고, 여자 청소년은 외모만족도, 학업성적, 부 모지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학년의 자아존중감에는 외모만족도, 학업성적, 부모지 지, 교사지지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3학년의 자아존중감에는 외모만족도, 학업성 적, 컴퓨터 유능감, 부모지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 방안 마련 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정원(Jeongwon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외모 만족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G시 소재의 일개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 4학년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외모 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는 t-test,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SPSS PROCESS Macro 모델 6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상관관계에서 외모 만족도와 우울과 스트레스는 역 상관관계, 자아존중감은 외모만족도와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었으나,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외모 만족도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 검증 결과, 외모 만족도외모 만족도와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는 이중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대학생이 인지하고 있는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신의 외모에 대한 긍정적인 신체상을 갖도록 하는 내용과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심리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survey of 179 first- to fourth-grade students enrolle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one university in G City. Data analysis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using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ppearance satisfa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6.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stress showed an inverse correlation, and self-esteem showed a net correlation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tress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ut self-esteem had no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stress had no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Conclusions In order to reduce the depression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find an intervention method through various programs that can reduce the depression of nursing students psychologically and content to have a positive physical image of their appearance.

      • KCI등재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이우주,조규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소재한 4년제 D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2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 외모만족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대인관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세 단계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 가 제안한 세 단계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한 후 Bootstrapping 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는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영향의 이론적인 모형을 설정하여 이들 변인 간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생들의 높은 주관적 안녕감을 실현하는데 긍정적이고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론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외모자신감과 신체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뿐만 아니라 개인 내면에 작용하는 자아존중감과 나아가 긍정적 대인관계까지 형성할 수 있는 개입 방안이 마련되어야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이 생활 전반에서 심리적인 안녕감 및 행복감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 및 개입 방안을 연구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Methods Conducted a survey of 228 male and female students in D university located in Busan city and used data of 228 people for final analysis. The selected measures are Appearance satisfaction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self-esteem sca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cale. The data was analysed with SPSS Ver.28.0 in this study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Baron and Kenney(1886)’s three step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ird, Baron and Kenney (1886)’s three step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Fourth, Bootstrapping was performed after Sobel Test to verity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 is significant. Second, Self-esteem acts a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 Thir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ts a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model of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influence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is is for providing basic research data which actually and positively affects on fulfill subjective wellbeing by observation of mediating effects between variabl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 plan for self-esteem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uld be prepared along with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of confidence in appearance to strengthen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conclusion shows that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basis for research of intervention and overcoming methods to help college students to fee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ppiness consistently in their everyday life.

      • KCI등재

        북한이탈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련성

        이인숙(Insook Lee),양윤미(Yun-mi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는 북한이탈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관련성 및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북한이탈여성 총 20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2.40점으로 조사되었다. 외모관심도는 5점 만점에 3.20점이며, 외모관리 행동은 5점 만점에 2.67점으로, 대상자들은 메이크업과 의복관리 행동을 많이 하지만 운동, 섭식 행동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외모관리행동에서는 외모관리 하위 영역별 차이는 있으나, 연령, 성형관심도, 재북시 직업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외모관심도, 외모관리행동과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외모관심도는 외모관리행동,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외모관리행동은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대상자의 외모관리행동을 44.7%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인 북한이탈여성들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외모관리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baseline data by exploring the self-esteem and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North Korean immigrant wom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5 from 201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1) The mean score of self-esteem was 2.40 in 4 points, and the mean of the appearance concern was 3.20 in 5 points. And the mean of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2.67 in 5 points. Subjects had a lot of make-up and clothes behaviors. However exercise, food intake behaviors of subjects were lowerer than averag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lf-esteem, the appearance concern and general charateristeics(e.g age, intent weight loss,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In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and job in North Korea.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self-esteem and the appearance concern,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ge, intent weight control as well as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In the appearance concern, it showed a correlation with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ge, intent weight control as well as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In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age, intent weight control and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4) 44.7% of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explained: self-esteem, the appearance concern.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utilization of developing programs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KCI등재

        부모의 외모관련 양육유형과 대학생 자녀의자기존중감에 따른 외모만족도

        한미숙,이윤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s’ appearancerelated parenting styles on children’s adolescence and selfesteem by examining university students’appearance satisfaction. The results generated 3 different appearance-related parenting styles for fathers: indifference type (45.5%), conservative regulation type (32.0%) and appearancepursuing type (22.5%), and three for mothers: opinionrespecting type (39.5%), conservative regulation type (32.6%) and appearancepursuing type (27.9%). In addition, when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s were compared based on children’s selfesteem and their appearance satisfaction, mal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was affected more by their selfesteem than by parents’ parenting styles. In comparison, femal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parents’ parenting styles. Specifically, appearance satisfaction and body satisfaction were high when the mother respected the children’s opinions, and body satisfaction was rather low when the father was of appearancepursuing. This result shows that parents need to respect their children’s opinions on their appearance and guide them to find their own individuality in order to enhance the children’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기 부모의 외모관련 양육유형과 자신의 자기존중감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버지의 외모관련 양육유형은 무관심형(45.5%), 보수적 규제형(32.0%), 외모추구형(22.5%)으로 분류되었으며, 어머니의 경우에는 의견존중형(39.5%), 보수적 규제형(32.6%), 외모추구형(27.9%)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유형과 대학생 자녀의 자기존중감에 따른 외모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에게 있어서는 부모의 외모관련 양육태도보다는 자녀의 자기존중감이 그들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비하여 여학생들은 부모의 양육유형에 따른 외모만족도 면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는 어머니를 가진 여학생의 경우 외모만족도와 신체만족도가 높았으며, 아버지가 외모추구형인 여학생의 경우 오히려 자녀의 신체만족도가 낮았다. 또한 자녀들은 의견존중형을 가장 이상적인 양육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전반적으로 자기존중감이 높은 학생의 경우 외모만족도도 높았다. 이것은 부모들이 자녀의 외모 관련 양육태도로서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그들이 자신의 개성을 찾도록 지도하는 것이 자녀의 외모만족과 자기존중감 고양에 도움이 됨을 보여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장효정(Hyo Jeong Jang),서은희(Eun Hee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개인적 변인(외모관심도, 자아존중감)과 환경적 변인(학교생활적응, 가족건강성)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성별에 따라 각 요인이 외모만족도에 주는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6월 29일부터 7월 17일까지 약 3주간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551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무작위 반응이나 무성의한 자료를 제외한 543부를 자료 분석에 포함시켰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들에 대하여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 검정,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외모만족도는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가족건강성과 정적 상관이, 외모관심도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은 성별에 따라 평균값에 차이가 없었으나, 외모관심도,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외모관심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가족건강성을 확인하였다. 그 영향력은 자아존중감, 외모관심도,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 순이다. 특히 외모관심도는 외모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성별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주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인적 변인인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남녀학생모두에게 유의한 영향력이 있었으나, 환경적 변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변인이 달랐다. 즉 여학생에게는 학교생활적응이, 남학생에게는 가족건강성이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남녀 학생 모두에게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외모관심도를 적정 수준으로 낮추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여학생에게는 학교생활적응에 더 중점을 두고, 남학생에게는 가족건강성에 더 무게를 둔 접근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est in appearance, self-esteem,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strength on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high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identify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543 students in grades 5 and 6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were participated. Appearance satisfaction, body esteem scale, interest in appearance scale, self-esteem scale,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and the family strength scale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5.0 program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in correlation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strength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interest in appeara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average difference by gend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depending on gender, bu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interest in appearance, family strength,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an male students. Seco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high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ere interest in appearance, self-esteem,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strength. The influences were self-esteem, interest in appearance, family strength,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order. In particular, interest in appear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Third, depending on the variables, the effects on appearance satisfaction differed by gender. Among the variables, self-esteem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ffecte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school life adjustment for girls and family strength for boys were found to affect their appearance satisfaction.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self-respect and adjust the level of interest in appearance to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lso, a more focused approach to school life adaptation is required for girls and a more focused approach to family strength for boys.

      • 여성의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오영진(YoungJin Oh),윤천성(ChunSung Youn) 한국뷰티산업학회 2006 뷰티산업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한국 여성의 외모관리행동, 즉 체중조절에 대한 관리행동, 미적외모에 대한 관리행동은 어떠한가와 자아존중감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문제 1의 한국여성의 체중조절에 대한 관리행동은 어떠한가에 있어서 항상 비만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가, 음식을 먹을 때 자주 칼로리를 신경 쓰게 되는가, 체중 조절을 위해 다이어트 식품을 구입할 의사가 있는가, 절식 혹은 단식 등으로 체중감소를 시도한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나이, 교육정도, 직업, 키, 몸무게의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한국 여성의 미적 외모에 대한 관리행동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있어서 거울을 보며 외모를 살피는가, 보다 나은 외모를 위해 성형수술을 고려하겠는가, 피부 관리 센터를 다닌 경험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3인 여성의 전체적인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존재하는가, 어 떤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결국 비만을 우려하고 칼로리에 신경을 쓰며, 체중조절을 위해 다이어트 식품을 구입할 의사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체중감소를 시도하고 몸매를 가꾸기 위해 매일 운동을 한다거나 외모에 민감하여 거울을 보며 모습을 살피고, 옷차림이나 머리모양에 신경을 쓰며, 피부 관리 센터를 다니고 외모 때문에 성형수술을 고려하기도 하는 등 의식 적인 행동 등은 전체적으로 자아존중감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marketing activities of cosmetics industry that are geared toward skin care management, and academic research on beauty studies by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steem of Korean women. This study specifically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are their behavioral pattern on weight control? 2. How do Korean women manage their physical appearance?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all appearance management and self-esteem of korean women? The statistical outcomes in relation to the behavioral pattern for Korean women s weight control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five variables that include age, education, profession, height and weight, they were very concerned about obesity and that they were willing to buy dietary foods for weight control and it showed the high level of interest in weight control as they have previously attempted to cut back on food consumption or skip meal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behavioral pattern of appearance management showed that most of the Korean women were sensitive in response to their appearance. lastly, the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omen s behavioral pattern of appearance management and their self-esteem indicated the differences were meaningful. based on this outcome, we can conclude that weight control and physical appearance have impact on the interaction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and self-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