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오키나와의 아리랑 -미군정기 오키나와의 잔류 조선인들과 남북한

        임경화 ( Kyoung Hwa L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89 No.-

        본고에서는 식민지기부터 오키나와에 거주했다가 패전 이후에도 잔류하게 된 조선인들이 전후 냉전질서 속에서 방치된 후 발견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오키나와에서 미군의 직접통치가 실시되고 20여 년이 지난 후에 이들이 발견된 데에는, 1965년한일협정 이후 이들의 법적 지위를 둘러싼 ‘국가의 논리’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초기에는 소극적으로 대처했으나, 오키나와 반환협정 체결 전후로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했다. 반환으로 인한 총련의 오키나와 진출에 위기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총련은 오키나와에 오자마자 오키나와 전투에서 희생된 조선인에 대한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이 조사는 군대의 논리에 의한 오키나와 전투의 역사화에 대항해서 전개된 오키나와 주민 주체의 전투 기록운동을 계승한 것이었다. 오키나와 주민들은 ‘주민의 논리’에 입각한 오키나와 전투 역사화 과정에서 조선인들을 발견했다. 총련은 이 성과들을 이어 받으면서도 조선인이 주체가 된 오키나와 전투의 실상을 그리려 했다. 그 결과 조사단은 오키나와 전투 준비를 위해 동원되었던 조선인들 중에 패전 이후 미군의 전쟁준비에 동원된 사람들도 있었다는 것을 밝혔다. 조선인들에 대한 일제와 미군의 전쟁범죄를 고발함으로써 오키나와에는 식민지주의가 지속되고 있었음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한국정부와 총련의 잔류 조선인에 대한 인식 차는 남북한의 미군정기 오키나와인식이 반영된 것이기도 했다. 한국은 미군의 오키나와 통치를 적극적으로 지지했고 오키나와에 친미반공 독립국의 형성을 지원하기도 했다. 한편 북한은 제3세계해방운동 속에서 민족 재결합이라는 공동 목표 하에 오키나와의 조국복귀운동과 연대했다. 당시 주민의 다수가 복귀를 희망했으므로 남한은 ‘군대의 논리’에, 북한은 ‘주민의 논리’에 서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미군정기의 오키나와에 접근할 수 없었던 총련의 ‘주민의 논리’는 대다수가 민족 해방이 아닌 귀화를 선택했던 잔류 조선인들의 현실에 부합하지 못했다.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전쟁과 냉전의 틈바구니에서 국가와 역사로부터 망각당한 피해자가 발견되었을 때, 피해자의 존재를 품고 역사 속으로 이끄는 안내자의 논리가 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how the "leftover" Koreans, who survived the battle of Okinawa and then ended up settling down there, were first left to their own devises and neglected, and then re-discovered. One of the reasons why they were re-discovered 20 years after Okinawa cam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US military was the "state logic", to be applied to Okinawa Koreans under the terms of 1965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 Agreement. However, in the beginn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id not show an active interest in Okinawa`s Koreans; it started to do so only after Okinawa`s reversion to Japan was agreed by Japan and USA in 1971. The reason for that was the feeling of crisis, as it was understood that the reversion would allow the pro-North Korean Chosen Soren to move freely into Okinawa. The first thing Soren did on Okinawa was the investigation on the Koreans who died during the battle of Okinawa. This investigation continued the civilians-centred history recording movement which took momentum since the late 1960s as a counterforce to the conventional, military-centred descriptions of the battle of Okinawa. As the movement for re-writing the history with the "residents` logic" put squarely in the centre was booming, the remaining Koreans were discovered on Okinawa. The Soren investigation inherited the successes of this movement, while aiming at creating an alternative image of Okinawa battle, with Koreans being its main subject. It was discover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at a number of Koreans mobilized in preparation for war by the imperial Japan, were then re-mobilized again by the US military authorities after the Japanese defeat. The aim of the investigation report was thus to accentuate the persistence of colonialism in Okinawa by denouncing the war crimes committed both by imperial Japan and USA. The difference in the view on the "leftover" Koreans betwee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Soren reflected the divergence of South and North Korean views on the American military-ruled Okinaw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positive on US military rule in Okinawa, supporting also the idea of establishing a pro-American, anti-Communist independent state there. By contrast, North Korea solidarized since the mid-1950s with Okinawan reversion movement as a part of the Third World liberation movement, sharing the common aim of national re-union with the Okinawans. From this viewpoint, we can define South Korea`s logic as more military-based, while North Korea`s logic was closer to the wishes of the majority of general population, which supported the reversion. Soren, however, could not operate in US military-dominated Okinawa. Its "residents` logic", in fact, did not fit into the realities of Okinawa-based "leftover" Koreans, who mostly wished to naturalise rather than to participate in a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Despite such limitations, Soren still managed to play the role of an aid organization in relation to the "leftover" Koreans. On the discovery of these people victimized and forgotten by the states and official history amidst the vicissitudes of the World War and Cold War, it recognized them and offered them assistance and solidarity.

      • KCI등재

        마이너리티의 역사기록운동과 오키나와의 일본군 ‘위안부’

        林慶花 ( Lim¸ Kyoung-hw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본고에서는 오키나와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 배봉기가 1975년에 최초로 공개증언을 할 수 있었던 사회적 배경으로, 오키나와 반환 직후인 1972년에 이루어졌던 조선인 강제연행 진상조사 활동과 그와 연계되었던 오키나와전투 체험기록운동에 주목했다. 오키나와 주민들은 60년대 말부터 오키나와전투 체험기록운동을 전개하여 그때까지의 軍·官의 논리에 입각해 있던 戰史에 대항하여 주민들의 체험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1972년에 오키나와전투 당시 조선인 강제연행의 진상규명을 위해 결성된 朝日합동조사단은 이 체험기록운동의 성과를 계승하면서도 오키나와 주민들 사이에서 망각되었던 조선인 ‘군부’나 ‘위안부’에 대한 체험과 기억을 되살려 기록하는 데 성공했다. 국가가 수행한 침략전쟁의 참상을 아래로부터 비판적으로 바라보려는 오키나와 주민들의 시도는 조선인 강제연행 진상조사 활동에 대한 공감으로 이어졌다. 나아가 오키나와 주민들은 오키나와전투의 또 하나의 피해 주체인 조선인들을 통해 스스로의 피해를 상대화하고 스스로의 전쟁책임의 역사로 기록하기 시작했다. 오키나와 전투 체험기록운동의 이러한 질적 변화는 배봉기 등장의 사회적인 여건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ocial background which enabled Grandma Pae Ponggi, a surviving victim of Japanese Army-operated 'comfort women' recruitment, to come up with her pioneering public testimony in 1975. Two crucial elements of this background are the fact-finding activities on the forcible mobilization of Koreans which took place in 1972, right after Okinawa's reversion to Japan, and the related movement for recording the first-hand experiences of the Battle of Okinawa. The residents of Okinawa had been engaged in the testimony collection on the Battle of Okinawa since the late 1960s. Resisting the tone of the official war histories mostly based on military and bureaucratic logic, they recorded their experiences. The Joint Korean-Japanese Investigative Commission for fact-finding on the forcible recruitment of Koreans in the time of the Battle of Okinawa, which was formed in 1972, followed on the earlier achievements of this testimony-collecting movement. At the same time, it managed to revive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about the Korean 'military labourers' and 'comfort women', at that time already forgotten among Okinawa's residents. Okinawa residents' attempt to engage in a criticism of aggressive war's horrors 'from below' resulted in their sympathy towards the fact-find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forcible recruitment of Koreans. Familiarizing themselves with the experiences of Koreans, yet another group of Battle of Okinawa's victims, helped Okinawans to relativize their own victimhood and start also recording the history of their own war responsibility. This qualitative shift of Battle of Okinawa testimony-collection movement prepared the scene for emergence of Pae Ponggi.

      • KCI등재

        오키나와 전투와 방언 논쟁에 관한 연구 : 차별과 갈등의 관점에서

        양민호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2 No.4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ense of discrimination against language was created through the Battle of Okinawa and the dialect controversy. I tried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the dialect controversy began and the issue of dialect discrimination related to the Battle of Okinawa. In modern times, the Okinawa dialect has grown into a single expression code in recognition of its cultural value. However, during the Battle of Okinawa, it was found that the Okinawa dialect was a language that should disappear and was an obstacle to the integration of the nation. For Okinawa residents who suffer a lot of inconvenience and discrimination, maintaining a dialect means enduring inequality.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policy to encourage standard language, it was found that Okinawa residents themselves, not from others, moved to reject the Okinawa dialect because of education that had been injected that KOKUGO was essential to advance to a national language. For the government, which had dreamed of becoming a country through war, it was found that local languages such as the Okinawa dialect were unnecessary languages and were beings that caused conflict and discrimination. In this way, it was confirmed that external factors and situations were deep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identity of Okinawa dialect speakers through research on the Battle of Okinawa and dialect controversy. 본 연구는 오키나와 전투와 방언 논쟁을 통해 언어에 대한 차별 의식이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밝히기 위해 방언논쟁이 시작된 계기와오키나와 전투에 얽힌 방언 차별문제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대에는 오키나와 방언이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하나의 표현 코드로 성장하였다. 그렇지만 오키나와 전투 시기에는 오키나와 방언은 사라져야할 언어이며, 국민국가 통합을 저해하는 하나의 걸림돌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많은불편과 차별을 겪는 오키나와 주민에게 있어서 방언을 유지하게 하는 것은 불평등을 감수하라는 뜻이다. 표준어 장려정책을 펼치면서 국어는 국민국가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주입받아온 교육 때문에 타자(他者)로부터가 아닌 오키나와 현민스스로가 오키나와 방언을 거부하는 움직임을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쟁을 통해 하나의 국가를 꿈꾸어왔던 정부에게 오키나와 방언과 같은 지역어는불필요한 언어인 것이고, 갈등과 차별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오키나와 전투와 방언 논쟁 연구를 통하여 오키나와 방언 화자의 정체성 형성에 외부 요소와 상황이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오키나와의 ‘독자적인 평화인식’과 동북아 평화공생

        유지아 한일관계사학회 2024 한일관계사연구 Vol.83 No.-

        본 연구는 류큐처분과 오키나와 전투를 통해 맹아한 오키나와의 독자적인 평화 인식을 고찰하였다. 특히 오키나와 평화공원에 조성된 ‘평화의 초석’에 나타난 오키나와 평화인식과 현재까지도 거론되고 있는 ‘오키나와 독립문제’의 역사성을 검토하였다. 오키나와는 냉전 종식 후 한반도 위기, 대만해협 위기에 대처하는 데 있어서 요충지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 공세로 나오는 중국 해군에 대처하는 데 요충지로 간주되어 오키나와의 전략적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오키나와는 류큐처분으로 인한 일본의 내부 식민지, 오키나와 전투, 그리고 미군 점령기를 거쳐 현재까지 150여 년 동안 차별을 받았다. 이러한 역사를 배경으로 오키나와인들은 일본인들과 차별화된 ‘독자적인 평화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첫째가 오키나와 기지반환과 독립의지에 나타난 휴머니즘이며, 둘째는 ‘평화의 초석’에 나타난 반전사상이다. 이처럼 오키나와 현민들은 오키나와의 자주권이나 자기결정권 획득, 군사기지가 아닌 평화요구 등을 통해 독립적인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키나와인들이 잊지 말아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오키나와가 내부 식민지적 환경에서 차별을 받았다 하더라고, 그들 또한 식민지 국가에 대해서는 ‘제국인’이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평화의 초석’에 깃든 미군 철수와 냉전의 문제를 극복하는 방식에 ‘반전과 평화’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동북아의 화합을 저해하는 ‘제국과 식민’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가에 대해 더욱 고민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Okinawa's independent perception of peace.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of peace in Okinawa's "Heiwa no ishiji" and the "will for independence of Okinawa" in Okinawa's historicity were reviewed. Okinawa has been pointed out as an important point in dealing with the Korean Peninsula crisis and the Taiwan Strait crisis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In addition, Okinawa's strategic importance is expanding as it has recently been regarded as a key point in dealing with the Chinese navy that is on the offensive in the South China Sea and East China Sea. However, Okinawa has been discriminated against by Japan for more than 150 years from Japan's internal colonies due to the Ryukyu disposition, the Okinawa War during the Asia-Pacific War, and Japan's 'return' during the US occupation. Against this background of history, the Okinawa people have an 'independent perception of peace' differentiated from the Japanese. The first is the humanism that appeared in the return of the Okinawa base and the will to independence, and the second is the anti-war ideology that appeared in the 'Heiwa no ishiji'. As such, Okinawa residents are expressing their independent will through Okinawa's sovereignty, self-determination, and peace demands rather than military bases. Nevertheless, Okinawa has its own perception of peace and a task that should not be forgotten. It is the fact that Okinawa was discriminated against in its internal colonial environment, but they were also 'imperial people' to the colonial st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more about how to solve the problem of 'imperial and colonial' that hinders harmony in Northeast Asia, as well as 'reversal and peace'.

      • KCI등재

        일반논문 : 전후 오키나와(인)의 성찰적 자기서사 『신의 섬(神島)』: "오키나와 전투"를 사유하는 방식

        손지연 ( Ji Youn Son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翰林日本學 Vol.0 No.27

        전후 오키나와에 있어 전전(戰前)과 구분되는 전후(적) 사유, 혹은 본토와 구분되는 오키나와(적) 사유의 출발은 모두 오키나와 전투의 경험으로부터 촉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시로 다쓰히로의 『신의 섬(神島)』(1968)은 오키나와 전투가 내재한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여과 없이 담고 있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무엇보다 그 내용이 일본 본토인들에게도 오키나와인 스스로에게도, 더 나아가 우리 한국인들에게도 ‘불편’할 수 있는 소설이라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되는데, 이를테면 본토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마이너리티라는 유사한 입장에 있던 식민지 조선과의 관계, 오키나와 내부 주민들 간의 갈등, 세대 간의 갈등 등이 첨예하게 맞부딪히는 양상들이 그러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음 세 가지 관점에 주목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1) 소설 『신의 섬』이 작가 자신은 물론 본토인, 오키나와인 모두에게 불편한 소설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살펴보고, (2) 주인공 다미나토 신코와 후텐마 젠슈의 팽팽한 대결구도를 통해 드러나는 오키나와 특유의 성찰적 사유와 그 의의와 가능성을 짚어본 후, (3) 소설 전반에 흐르고 있는 ‘가해’와 ‘피해’ 구도의 역설 혹은 균열, 그리고 그 역설적 구도가 내포하는 의미를 문제 삼고자 하였다. For postwar Okinawa, it is not so exaggerated that the thought of postwar distinguished with before war, or the beginning of Okinawa’s thinking distinguished from mainland, has all been unleashed by the experience from the battle of Okinawa. ‘The God’s Island’ by Oshiro Tatsuhiro (1968) requires attention for the fact it depicted the various and complex problems inherent in the battle of Okinawa. Its meaningful since this is a novel with the content that can be ‘uncomfortable’ not only for Japanese of Mian land, and Okinawans themselves, but also for us, Koreans, because of such aspects that the relationship with mainland, with the colony, Joseon, with similar position as the minority, conflict among Okinawa residents, and the generations acutely clash each other. In this thesis, three perspectives are to be focused on. First, it will observe the reason why the Novel ‘God’s Island’ had to be an uncomfortable novel not only for all the Okinawans but also for author himself as well, second, see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Okinawan’s distinctive reflective thinking shown through confrontation of the main characters, Daminato Shinco and Hutenma Jenshu, and then lastly, will make an issue about the paradox or collision in structure of harm and harmed, and the meaning connoted by paradoxical structure.

      • KCI등재

        죽음과 재생의 도시 드라마: 오키나와 나하 신도심 개발을 중심으로

        조정민 ( Jung-min Cho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翰林日本學 Vol.0 No.28

        본 연구는 오키나와 나하시의 도시 역사의 변천을 검토하고, 신도심 개발에 대한 지역적 문제제기와 대응, 그리고 지역 주민들의 실천 등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현재 나하 신도심이라 불리는 공간은 오키나와 전투에서 격전이 벌어졌던 장소이자 패전 후에는 미군 군용지로 강제 접수되어 1987년 전면 반환되기 전까지 미군의 주택지로 사용된 곳이다. 반환 이후에는 오키나와현과 나하시, 그리고 지주회의 의견을 바탕으로 주거와 상업, 행정과 문화 시설을 두루 갖춘 도시 속의 또 다른 도시를 조성하였다. 세련된 신축 건물과 잘 정돈된 가로, 적당한 높이의 나무와 화초가 적절히 배치되어 있어 미관상으로도 훌륭한 신도심은 그 외관과는 다르게 죽음, 망령, 유령, 망자와 같은 불안이 내재한 공간이다. 오키나와 전투에서 전사한 일본군 혹은 오키나와 의용군의 유골이 수습되지 않은 채 미군의 주택지가 조성되고 이어서 신도심이 조성되었기 때문에 도시 내에서는 여전히 유령 담론이 부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망자에 대한 태도는 과거 미군들이 주택지를 개발할 당시와 크게 다르지 않다. 공기에 맞추어 사업을 완결 짓기 위해 망자의 흔적을 부대자루에 쓸어 담거나 묻거나 하는 방식은 과거에 미군들이 자신들의 거처를 마련하기 위해 점령지를 불도저로 거침없이 밀고 지나갔던 것과 닮아있기 때문이다. 전쟁의 비극적인 경험은 시멘트와 콘크리트, 철근에 묻힌 듯이 보여도 여전히 망자의 혼은 나하 신도심을 배회하며 시민들과 만나고 있다. 그럼에도 나하 신도심은 일본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꾸준히 인구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집값도 올라가고 있다. 오키나와 전투의 경험과 죽음은 소문으로만 경험될 뿐 쾌적한 물리적 주거 조건과는 분절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이 창조되는 공간으로서의 나하 신도심은 박제된 죽음(고분군)과 살아있는 유령 담론 공간으로서의 나하신도심과 서로 유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urban history of the city of Naha, Okinawa, brings up the regional problems, suggests the response to them, and looks at the memory and practice of the local people who are rushing into the actual problems. The new downtown of Naha is a place where fierce fights were fought during the Okinawa Battle and at the same time is a place which, after Japan``s defeat in the World War Ⅱ, was forcingly requisitioned as the land for a U.S military purpose and used as a residential district of the U.S. Armed Forces until 1987 when it was fully returned to the Japan authority. Currently, there are rows of large shopping malls, public offices, newly constructed apartment buildings and mansions, and business hotels in this area. This area may be an attractive new town and the space ridden with anxiety at the same tome to those with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its history. The hill across T galleria of duty-free shops is called Kirama chiji in its local name and is the place where the Japanese and U.S. army fought severe battles with each other during the Okinawa Battle, producing a countless number of casualties. After the war, the area was developed into the residential district for the U.S military, but at that time remains of the Japanese soldiers were not collected unlike those of the U.S. soldiers, which is why their remains are even now being collected mainly by some Japanese private organizations. For this reason, its surrounding area is well-known even in Naha as the place where psychic phenomena are often witnessed. As stated above, the new downtown of Naha is the place presenting a new life style, but at the same time is the place where ghost discussions, composed of the experiences of a ferocious battlefield, are roaming about. The distribution process of the two-fold discussions well show how inorganic urban space and its directly-opposed memory compete with and rushes into each other.

      • KCI등재

        메도루마 문학이 현실에 맞서는 방법― 「평화거리라 이름 붙여진 길을 걸으며」와 「나비떼 나무」를 중심으로 ―

        심정명 한국일본학회 2022 日本學報 Vol.- No.133

        Medoruma Shun's novels which deal with the memories of the Battle of Okinawa give the readers a chance to re experience the battle. In addition, his literature often reveals the complex and multifaceted conflicts in Okinawa society. The present paper, focusing on Walking a Street Named Peace(1986) and Trees of Butterflies(2000), analyzed how Medoruma’s novels have depicted the complicated and difficult reality of Okinawa and imagined how to oppose to it. In each of these two works, Uta and Gozei, an dementia stricken old woman appeared. They are living in a time where past and present are mixed, which showed traumatic memories of the war invading the present. And it suggests that such past overlaps with the present of Okinawa, where continued struggle against military bases still exists. Walking a Street Named Peace is considered to represent resistance to the emperor symbolically; however the work also reveals that there are multiple conflicts. And the work is also critical of talking about Okinawa’s fight easily. The novel Trees of Butterflies shows various conflicts highlighted by Gozei’s presence invading Okinawa's traditional culture, and through Yoshiaki, the focal character, seeks the possibility to relate to Gozei or the pain she represents. Medoruma’s novels ask the readers to establish such a relationship and remind them that reading such literature cannot be irrelevant to the fight that is currently taking place in Okinawa. 오키나와전투의 기억을 다루는 메도루마 슌의 문학은 독자들에게 전쟁을 추체험하게 한다. 또 그의 문학에는 오키나와 사회의 복잡하고 다면적인 갈등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메도루마의 많은 작품들에서 고독한 할머니가 등장하는데, 그러한 작품에서는 등장인물이 그러한 할머니와 만남으로써 과거의 기억과 마주하고 그것과 관계 맺기를 요청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평화거리라 이름 붙여진 길을 걸으며」(1986)와 「나비떼 나무」(2000)에 초점을 맞추어, 메도루마 문학이 어떻게 오키나와의 어려운 현실을 그려내며 거기에 맞서려고 하는지 살펴보았다. 두 작품에서는 우타와 고제이라는 인지증에 걸린 할머니가 등장하는데, 이들이 과거와 현재가 뒤섞인 시간을 살고 있다는 것은 오키나와전투의 트라우마적인 기억이 현재에 침입해 들어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러한 과거가 오키나와의 현재와 겹쳐져 있음을 시사한다. 「평화거리」는 보통 천황제에 대한 상징적인 저항을 그리고 있다고 평가되지만, 그 외에도 우타를 통해 본토와 오키나와라는 대립을 넘어서는 다양한 갈등을 보여준다. 우타가 깨트리는 ‘평화’는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작품은 오키나와의 바깥에 있는 사람들이 손쉽게 대항을 이야기하는 것을 경계하기도 한다. 「나비떼 나무」는 오키나와의 전통문화를 배경으로 고제이가 부각시키는 여러 가지 대립을 드러내면서, 초점인물인 요시아키를 통해 고제이나 그가 대표하는 여러 아픔과 관계 맺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메도루마 문학은 독자들에게도 이 같은 관계 맺기를 요청하는 동시에, 그러한 문학을 읽는 것이 현실의 싸움과 무관할 수 없음을 일깨워준다.

      • KCI등재

        < 특집 : 기억의 문화적 재현과 기억투쟁 > ; 오키나와 전투와 제주 4,3사건을 둘러싼 기억투쟁 -오시로 다쓰히로 『신의 섬』과 현기영의 『순이 삼촌』을 중심으로

        손지연 ( Ji Youn So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41 No.-

        이 글은 오키나와와 제주가 갖는 특수한 역사와 문학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그 가운데에서도 아시아.태평양 전쟁말기에 벌어진 오키나와 전투와 1948년 전쟁에 준하는 무차별적 폭력사태가 있었던 제주 4.3사건은 국가권력의 변방에 위치한 두섬의 비극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매우 상징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사태의 비극을 정면에서 다룬 기념비적인 작품 오시로 다쓰히로의 신의 섬과 현기영의 .순이 삼촌.을 비교 분석하여 오키나와 전투와 4.3을 둘러싼 기억투쟁의 차이와 그것이 내포하는 의미를 문제 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두 소설이 ‘집단자결’과 ‘집단학살’이라는 금기의 기억에 주목하고 폭로한 점에서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만, 기억투쟁의 향방(비전)을 제시하는 방식은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후의 작품에서 현기영은 국가폭력 사태에 분노하고 고발하는 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용서와 화해라는 예정된 수순을 밟아간 반면, 오시로의 경우 본토에 반응하는 형태로 변화해 가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은 그러한 예증이다. This study started from an interest in the unique history and literature of Okinawa and Jeju Islands. The Battle of Okinawa at a late stage of the Asia-Pacific theatre of World War II, and the indiscriminate violence in the 4.3 Jeju Massacre directly show the shared tragedy of the two islands; furthermore, they are are both located on the frontier of a nation``s authority, and thus are symbolic cases. This thesis analyzes Oshiro Tatsuhiro``s Island of the Gods and Hyun, Ki Young``s Sooni``s Uncle, both directly deal with the tragedy of two different but analogous incidents, and question the difference in memory struggle and definitions. Thus, though both novels show a similarity in focusing on and exposing the forbidden memory of mass suicide and massacre, the methods of suggesting the course of memory struggle are different. For example, in contrast to Hyun who took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fury, accusations, and violence of South Korea to espoused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Oshiro showed the changes in the form of responding to the mainland Japan.

      • KCI등재

        오키나와전투의 재현: 평화의 서사와 감정의 정치

        류현종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4

        This aims to analyze a comics, ‘Battle of Okinawa’ drawn by two korean students at a highschool in USA in terms of a narrative of peace and its emotional politics.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y have tried to secure their objective eyes on Battle of Okinawa, but because of the ‘victimhood,’ which was structured by korean identity, their antipathy, hate, and disgust against the Japanese stood out in the work. In contrast, Americans were expressed in positive emotions. Second, their emotional politics found in it suggested that we alert peace discourses which just seek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without an honest mourning and an examination of historical contexts. Third, specific subjects were to be selected out of Japanese in general, and their antipathy and hate were to be allocated to the subject of action. Fourth, emotional objects and patterns were not able to be set richly, as Okinawa Battle was addressed around confrontation between USA and Japan, which were identified as victim and perpetrator respectively. We can resist an emotional politics by our own emotional politics, when we can recognize that our emotions are learned emotions and ruled by a politics of emotion. This is why we have to read an emotional politics in a narrative of peace. A faithful mourning makes peace in mind, which enable us to talk about peace. 본 연구에서는 미국 고등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는 두 한국 유학생이 그린 오키나와전투에 관한 만화를 평화 서사와 감정의 정치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생은 오키나와전투를 객관적 시선으로 바라보려고 했으나, 한국인의 정체성에 의해 구축된 ‘피해자의식’이 강하게 작동하였다. 작품 속에서 일본인에 대한 반감, 증오, 혐오의 감정 배치가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미국인은 긍정적인 감정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작품에서 나름의 감정의 정치를 확인할 수 있는 데, 충실한 애도와 역사적 맥락의 검토 없이 화해와 상생만을 강조하는 평화 담론을 경계하라는 메시지를 읽을 수 있었다. 셋째, 일본인 일반에서 반감과 증오를 할당할 구체적인 주체를 선별함으로써, 행위 주체와 책임 주체를 분명히 규정하려 하였다. 넷째, 오키나와전투를 미국과 일본의 대립 구도로 설정하고 각각 피해자와 가해자로 고정되게 구별 지어서, 감정 대상과 감정 유형을 다양하게 설정하지는 못했다. 우리의 감정은 학습된 감정이며 감정의 정치에 의해 규율되는 감정이라는 점을 깨달을 때, 특정한 ‘감정의 정치’에 저항할 수 있다. 평화의 서사에 작동하는 감정의 정치를 읽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진실한 애도가 있어야 마음의 평화를 이루게 되고 그때 비로소 평화를 이야기할 수 있다.

      • KCI등재

        반(反)폭력의 방법으로서의 기억과 목소리 - 사키야마 다미(崎山多美)의 ??해변에서 지라바를 춤추면??을 중심으로 -

        조정민 ( Cho Jung-min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70 No.-

        본고의 목적은 오키나와의 작가 사키야마 다미(崎山多美)의 소설 ·『해변에서 지라바를 춤추면(うんじゅが、ナサキ)』(花書院, 2016.11)을 바탕으로 ‘기억’과 ‘목소리’로 구성된 전쟁 서사의 사상을 검토해 보는 것에 있다. 다시 말해 경험이나 증언으로 기록되던 기존의 전쟁 서사 방식을 대신하기 위해 등장한 ‘기억’과 ‘목소리’가 오키나와 전투를 어떻게 기록하고 있는지 이 작품을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해변에서 지라바를 춤추면』은 ‘기록’ 혹은 ‘재현’의 정치성에 대해 묻고 있는 작품으로, 오키나와 전투의 기억을 계승하는 서사적 방법론 혹은 실험을 담아낸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작품에서 주목해야 할 대목은 오키나와 전투에서 희생된 이들의 증언을 새롭게 발굴하고 확보하여 전쟁의 참혹함과 폭력성을 입증해 보다 진실에 가까운 장면을 재현하고 서사하기보다는 기록의 공백 속에 남겨져 있는 죽은 자의 목소리와 냄새, 움직임을 상상하도록 추동함으로써 전쟁의 비극을 개인의 신체에 각인 시키려는 문학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쟁 당사자들의 발화를 무조건적으로 받아쓰는 행위는 기존의 서사 법칙과 규범을 보강하는 데 봉사할 뿐이며, 무엇보다 당사자의 목소리를 언어화하는 순간 서사의 주변 혹은 공백은 다시 남겨지고 만다. 때문에 이 작품은 전사자들의 뜻을 알 수 없고 형용할 수 없는 비명이나 외침, 중얼거림 등을 의미가 불분명한 채로 남겨두고, 그런 갖은 소리의 근원지를 상상할 수 있도록 독자들을 이끌고 있다.이와 같이 기록을 대신하여 새롭게 등장한 ‘기억’과 ‘목소리’라는 사유방식은 기존의 역사에서 배제되어 있던 타자들의 목소리를 부활시키고 복원시키는 또 다른 방법이 되고 있다. 사실성과 현실성에 기반을 둔 역사 서술이 결과적으로 소재의 소진이나 서사 불가능성을 노정시키기 마련인 것을 염두에 둔다면, 사키야마 다미의 이러한 서사 전략은 문학적 언어로 역사 서사 외부에 있는 자들의 존재마저도 환기, 각인시킨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Okinawan author Tami Sakiyama’s novel Unjyuga, Nasaki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war narratives written in ‘memories’ and ‘voices’. In short,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memories’ and ‘voices’ recorded the Battle of Okinawa, which appeared in lieu of existing styles of war narratives recorded in the form of experience and testimony.As a work that questions the political nature of ‘records’ or ‘reproductions’, Unjyuga, Nasaki contains a narrative methodology or experiment that inherits the memories of the Battle of Okinawa. Most noticeable is the part that presents the literary methodology of imprinting the tragedy of war on the body of the individual by enabling readers to imagine the voices, smell, and movement of the dead, who had not been recorded hitherto, rather than by giving poof of the horror and violence of war as a consequence of securing new testimony from the dead at the Battle of Okinawa. The act of unconditionally taking dictation in the form of speech from persons involved in the war simply served to reinforce existing narrative rules and norms, and above all, the moment the voices of those involved were verbalized, the surroundings or gaps of the narrative were again left behind. Thus, this work salvages the incomprehensible and indescribable screams, cries, and mumblings of those killed as something with an unclear meaning and leads readers to imagine the source of those various sounds.Thus, the style of reasoning through ‘memories’ and ‘voices’, put in motion to substitute recording, has resurrected and restored the voices of the others who were excluded from existing history. Considering the fact that a historical narration based on reality and actuality unavoidably reveals the exhaustion of subject matter and the impossibility of narration, Tami Sakiyama’s narrative strategy offers great implications in that it arouses and imprints even the very existence of those outside the historical narrative through literary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