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가구주의 발생원인에 따른 빈곤특성 분석

        박재규(Chaekyu Park)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9 여성연구 Vol.77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cause of female-headed household and her poverty, to examine what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her poverty, and to suggest some ways to reduce her poverty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works, this study uses the data of 1,327 female-headed households from the First KLoWF which i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According to data analysis, those who became female-headed household before 2000 were generally parted from their husbands by death On the other hand, those who became recently female-headed household were mostly gotten divorced from their husbands or lived separately from their husbands Among total female-headed households over one-fourth is poor less than the minimum cost of living In particular, while the female-headed households who were separated from their husbands or lived separately from their husbands are poorer, those who are living with their husbands or are unmarried are less poor Furthermore, the poor women among the female-headed households parted from their husbands by death or unmarried became mostly female-headed household before 2000, the poor women among the female-headed households gotten divorced from their husbands or lived separately from their husbands recently became the household head From regression on factors affecting poverty, for those who parted from their husbands by death ownership of house and economic activity are significantly important, while for those who gotten divorced from their husbands education, school or non-school child, economic activity are significantly important On the other hand, unmarried women who are older or recently became the female-headed households are poorer, but those who ar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are less poor And the female-headed household's education and economic activity are significantly important to her poverty circumstance Given tho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ome ways overcoming the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 In particular it emphasizes some differential ways for various kinds of female-headed households because the female-headed household's poverty status and factors affecting her poverty are differential according to the causes of female-headed household 최근 여성가구주의 증가와 함께 빈곤층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여성가구주 발생원인에 따라 빈곤현황을 비교하고,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여성가구주의 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 자료 중 여성가구주 1,327명의 개인자료 및 가구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에 의하면, 2000년 이전의 여성가구주 발생은 사별에 의한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배우자와의 이혼 및 별거에 의한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즉 여성가구주 중 1/4 이상은 최저생계비 이하의 빈곤상태에 있었고, 특히 남편과 사별하였거나 이혼한 여성가구주가 상대적으로 많은 반면 배우자가 있거나 혹은 미혼의 여성가구주는 적었다 또한 배우자와 사별하거나 혹은 미혼의 여성가구주 중에 빈곤층 여성은 2000년 이전에 발생한 사례가 많은 반면, 배우자와 이혼하거나 혹은 별거한 여성가구주 중 빈곤층 여성가구주는 최근에 발생한 경향이 있었다 여성가구주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에 의하면, 배우자와 사별한 여성가구주의 경우 자가주택 소유 여부와 경제활동참여가 중요한 요인이며, 이혼한 여성가구주의 경우는 교육수준과 미취학 및 초중고자녀, 경제활동참여 여부가, 미혼 여성가구주는 나이가 많거나 혹은 최근 여성가구주가 된 경우 가난하였고,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가구주일수록 상대적으로 가난하지 않았다 배우자와 동거하는 여성가구주의 경우는 여성가구주의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참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여성가구주의 빈곤극복을 위한 몇 가지 정책을 제안하였는데, 특히 여성가구주의 발생원인에 따라 빈곤실태가 상이하며 또한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각에 대한 차별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여성 가구주 가계의 다차원 빈곤: 남성 가구주 가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남수정 ( Nam Su Jung ),황혜선 ( Hwang Hyesun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기존의 단일차원에서 빈곤을 측정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여성 가구주 가계의 다차원 빈곤을 살펴보기 위해 2015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을 Alkire와 Foster가 제안한 차원계수방식을 적용하여 남성 가구주 가계와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6가지 빈곤 차원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화폐 차원과 비화폐적인 차원들 간의 상관관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화폐와 고용의 상관관계 계수가 .344, 고용과 건강의 상관관계 계수가 .318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 가구주와 여성 가구주의 빈곤패턴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화폐와 고용 측면의 빈곤율이 높은 편이며 주거, 인간관계, 사회보장의 경우 남성 가구주와 여성 가구주 모두 빈곤율이 20% 미만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의 빈곤 패턴은 유사하였다. 그러나 남성 가구주와 비교해 여성 가구주의 빈곤율은 6가지 차원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나 화폐 측면뿐만 비화폐적인 측면에서도 여성 가구주들이 남성 가구주 보다 빈곤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음 알 수 있었다. 셋째, 차원계수방법(counting approach)을 적용한 남성 가구주와 여성 가구주의 머릿수 다차원 빈곤율(headcount ratio: H)과 차원조정지수(average deprivation score: A), 조정다차원 빈곤율(adjusted headcount ratio: M)을 살펴본 결과 남성 가구주와 비교해 여성 가구주 가계가 중복된 차원에서 빈곤을 경험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남성 가구주 가계의 경우 3개 이상 차원에서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머릿수 다차원 빈곤율은 10.0%이지만 여성 가구주의 경우 40.4%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지어 4개 차원에서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비율도 18.8%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남성 가구주와 비교해 여성 가구주 가계는 중복된 차원에서 결핍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남성 가구주 가계가 겪고 있는 빈곤의 부담 보다 상당히 가중된 빈곤의 부담을 경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빈곤의 강도인 차원조정지수를 반영한 조정 다차원 빈곤율을 살펴보더라도 남성 가구주 가계의 경우 3개 이상 집단의 조정 다차원 빈곤율이 3.012인 반면 여성 가구주의 경우 24.523으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여성 가구주 가계는 화폐 이외에 비화폐적인 측면에서 빈곤을 겪을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여러 차원에서 중복적인 빈곤을 경험하고 있고 빈곤의 강도를 감안한 조정 다차원 빈곤율 또한 높기 때문에 남성 가구주 보다 빈곤에서 벗어나기 어려우며 상대적으로 화폐적인 측면과 비화폐적인 측면 모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ultidimensional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s to that of male-headed households based on the counting approach which was theorized by Alkire and Fost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unidimensional approach, union method and intersection method to address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By applying the counting approach to 2015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headcount ratio, average deprivation score and adjusted headcount ratio were measured to identify multidimensional poverty.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dimens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rrelations between monetary dimension and non-monetary dimension were relatively low.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oney and employment was .344; correlation between employment and social security was .296; correlation between money and health .230. In addition, with regard to correlations between money and other dimensions were .108 for housing, .093 for human relations, and .145 for social security, which showed correlations between monetary dimension and non-monetary dimensions were relatively low. Second, female-headed households showed similar poverty pattern to male-headed households. The poverty rates of money and employment were high for both groups of male-headed and female-headed household. On the other hand, the poverty rates of housing, human relations and social security were relatively low; the rates of these dimensions were lower than 20%. However, the poverty rates of all dimensions were higher for the group of female-headed households than male-headed households, which shows that female-headed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have experience of poverty. Third, according to the headcount ratio (H), the average deprivation score (A), the adjusted headcount ratio (M) based on the counting approach, female-headed household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multidimensional poverty than male-headed households. The headcount ratio of male-headed households with experience of three or more poverty dimensions were 10.0%; the ratio of female-headed households with three or more dimensions of poverty were 40.4%. This result shows that female-headed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have experience of multidimensional poverty, which aggravates female-headed household`s poverty experience. When comparing female- and male-headed households` adjusted headcount ratio, female-headed households` ratio was 24.523 which is much higher than male-headed households` ratio, 3.012. As a result, female-headed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not only monetary poverty but also non-monetary poverty with multidimensional poverty experience than male-headed households. Moreover, female-headed households` adjusted headcount ratio which reflects the intensity of poverty based on the average deprivation score was much higher than male-headed households, which shows female-headed households may experience more difficulties in overcoming poverty than male-headed households.

      • KCI등재

        여성가구주의 발생원인에 따른 빈곤특성 분석

        박재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여성연구 Vol.79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cause of female-headed household and her poverty, to examine what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her poverty, and to suggest some ways to reduce her poverty.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works, this study uses the data of 1,327 female-headed households from the First KLoWF which i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According to data analysis, those who became female-headed household before 2000 were generally parted from their husbands by death. On the other hand, those who became recently female-headed household were mostly gotten divorced from their husbands or lived separately from their husbands. Among total female-headed households over one-fourth is poor less than the minimum cost of living. In particular, while the female-headed households who were separated from their husbands or lived separately from their husbands are poorer, those who are living with their husbands or are unmarried are less poor. Furthermore, the poor women among the female-headed households parted from their husbands by death or unmarried became mostly female-headed household before 2000, the poor women among the female-headed households gotten divorced from their husbands or lived separately from their husbands recently became the household head. From regression on factors affecting poverty, for those who parted from their husbands by death ownership of house and economic activity are significantly important, while for those who gotten divorced from their husbands education, school or non-school child, economic activity are significantly important. On the other hand, unmarried women who are older or recently became the female-headed households are poorer, but those who ar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are less poor. And the female-headed household's education and economic activity are significantly important to her poverty circumstance. Given tho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ome ways overcoming the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 In particular it emphasizes some differential ways for various kinds of female-headed households because the female-headed household's poverty status and factors affecting her poverty are differential according to the causes of female-headed household. 최근 여성가구주의 증가와 함께 빈곤층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여성가구주 발생원인에 따라 빈곤현황을 비교하고,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여성가구주의 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 자료 중 여성가구주 1,327명의 개인자료 및 가구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에 의하면, 2000년 이전의 여성가구주 발생은 사별에 의한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배우자와의 이혼 및 별거에 의한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즉 여성가구주 중 1/4 이상은 최저생계비 이하의 빈곤상태에 있었고, 특히 남편과 사별하였거나 이혼한 여성가구주가 상대적으로 많은 반면 배우자가 있거나 혹은 미혼의 여성가구주는 적었다. 또한 배우자와 사별하거나 혹은 미혼의 여성가구주 중에 빈곤층 여성은 2000년 이전에 발생한 사례가 많은 반면, 배우자와 이혼하거나 혹은 별거한 여성가구주 중 빈곤층 여성가구주는 최근에 발생한 경향이 있었다. 여성가구주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에 의하면, 배우자와 사별한 여성가구주의 경우 자가주택 소유 여부와 경제활동참여가 중요한 요인이며, 이혼한 여성가구주의 경우는 교육수준과 미취학 및 초중고자녀, 경제활동참여 여부가, 미혼 여성가구주는 나이가 많거나 혹은 최근 여성가구주가 된 경우 가난하였고,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가구주일수록 상대적으로 가난하지 않았다. 배우자와 동거하는 여성가구주의 경우는 여성가구주의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참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여성가구주의 빈곤극복을 위한 몇 가지 정책을 제안하였는데, 특히 여성가구주의 발생원인에 따라 빈곤실태가 상이하며 또한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각에 대한 차별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여성 가구주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배제 요인에 관한 시론적 고찰

        신희정(Shin Hee-J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대표적 취약집단인 여성 가구주의 빈곤을 경제적 관점으로만 접근하는 기존연구의 한계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여성 가구주의 빈곤을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다차원적으로 접근하고, 여성 가구주의 각 영역별 사회적 배제 요인이 여성 가구주의 빈곤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전 지역의 여성 가구주로 자조모임, 구별 지역자활센터, 여성개발센터,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모자원, 종교기관 등 여성 가구주 지원 기관을 이용하는 여성 가구주 203명이었으며, 5명의 훈련받은 조사자가 면접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가구주의 빈곤여부에 따라 노동시장 영역, 주거 영역, 건강 영역, 사회적 지지망 영역 등의 사회적 배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여성 가구주의 빈곤여부에 노동시장 영역, 주거 영역, 사회적 안전망 영역에서의 사회적 배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 요인들이 여성 가구주의 빈곤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빈곤을 구조화하는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걸과들은 여성가구주의 빈곤을 사회적 배제 관점에서 다차원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빈곤문제에 대한 해결에 있어 전통적으로 경제적 측면만 고려하던 것을 탈피하여 포괄적 접근을 적용할 근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Based on examination of limitations in the existing studies in which the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s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vulnerable groups in our society are researched only from economic viewpoints, the author in this study approached the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s from social exclusion on a multidimensional basis, and conducted positive analysis of how each social exclusion factor in each domain of female-headed households affect the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3 female-headed households in Daejeon who used agencies supporting female-headed households such as self-help groups, local self-sufficient centers by gu, women development centers,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local child centers, facilities for mothers and children, and religious facilities. Five trained investigators performed investigation for this study via interviews. As see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exclusion such as domains of labor market, dwelling, health, and social support network, based on the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s. In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s were affected by the social exclusion factors in the domains of labor market, dwelling, and social safety network. This results indicate that multidimensional social exclusion factors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s, serving as a condition structurizing pover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s and to present important suggestions in comprehensive approaches to solution of poverty, emerging from the traditional considerations of economic aspects.

      • KCI등재

        우리나라 여성 가구주 가계의 재무상태와 재무행동: 금융소비자 정책 시사점을 중심으로

        최철 ( Chul Choi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2

        오늘날 우리나라 가계구조 변화의 특징으로 1인 가계의 증가와 함께 여성 가구주 가계의 증가를 꼽을 수 있다.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00년도에 18.5%였던 여성 가구주 가계의 비율이 2012년도에는 26.8%로증가하였는데 이는 여성 가구주의 대부분이 고령층이면서 배우자와 사별을 한 경우에 해당하지만 이혼 후 재혼을 하지 않거나 결혼을 하지 않은 여성 가구주도 증가했기 때문이다. 빈곤의 여성화라는 개념이 도입된 이후 그동안 국내외적으로 여성의 빈곤 문제를 다루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실제로 각국의 주요 경제통계들도 여성이 상대적으로 더 빈곤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어 경제적인 성별 격차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재무나 금융교육 측면에서 여성의 금융생활에 대한 연구로도 이어져 위험에 대한 태도나 금융이해력 또는 금융역량에 있어서 여성의 차별성에 관한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 가구주 가계의 재무상태와 재무행동을 남성 가구주 가계와 비교하여 살펴보고, 그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금융 취약계층의 재무적 복지 증진을 위한 금융소비자 정책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는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공동으로 실시한 2011년도 가계금융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가계금융조사는 가계 특성별 분포와 구성, 자산과 부채의 규모, 가계의 미시적 재무건전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1년 3월 31일을 기준으로 하여 전국의 약 1만 가구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된 것이다. 다만본 연구에서는 분석 목적상 금융자산을 갖지 않거나 이상치로 간주될 수 있는 일부 부적합한 관측치들이 제외되었다. 변수로는 주요 사회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재무상태 변수 이외에도 개인의 주관적인 투자성향이나 태도를 나타내는 질적 변수가 추가되었고, 재무행동 변수로서 전체 금융자산 중 위험자산의 비중을 나타내는 위험자산비율과 여러 금융자산들에 얼마나 다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나타내는 다변화지수가 사용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조사대상 가계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재무상태와 재무행동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주로 단순평균이나 가중평균, 빈도 등과 같은 기술통계적인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특히 여성 가구주 가계와 남성 가구주 가계의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주요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세분화된 하위표본들에 대하여 Bootstrapping을 이용한 비모수적 통계기법으로 차이검정이 실시되었다. 또한 재무상태에 대한 영향요인분석을 위해 각각 순자산과 금융자산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선형회귀분석, 그리고 재무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각각 위험자산비율과 다변화지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tobit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여성 가구주 가계와 남성 가구주 가계는 사회인구통계학적으로나 재무상태 측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었다. 즉 연령으로는 여성 가구주 가계가 60세 이상의 고령층에, 그리고 중학교 졸업 이하의 교육수준이 비교적 낮은 계층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분포하였으며, 순자산과 금융자산 등 대부분의 재무상태 변수로도 여성 가구주 가계의 평균이 남성 가구주 가계의 절반 수준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사회인구통계학적 분포상의 차이가 뚜렷한 성별 가계 표본에 대하여 재무상태의 차이를 검증하려면 동일한 특성을 갖는 하위표본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인구통계학적 변수들 중에서도 재무상태와 연관성이 큰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연령, 교육수준, 가계 구성원 수를 중심으로 성별 하위표본들을 나누고, 이렇게 동일한 사회인 구통계학적 특성을 갖는 하위표본들 간의 차이검정을 모수적 방법과 비모수적 방법으로 동시에 실시하였다. 부분적으로는 두 가지 방법에 의한 검정결과가 불일치하기도 하였지만 비모수적 방법으로 얻은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순자산이나 금융자산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성별 차이가 재무상태 의 차이를 설명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것은 각각 순자산과 금융자산을 종속변수로 하고 주요 사회인구통계학적 변수들과 소득, 투자성향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도 성별 회귀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이 없다는 결과와도 일치한다. 그러나 하위표본들에 대한 차이검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별 차이는 거의 대부분 고령층이면서 교육수준이 낮은 하위표본들에서만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무상태의 차이가 일반적으로는 성별 차이에 기인하지는 않더라도 연령이나 교육수준 측면의 취약계층에서는 성별 차이로 부각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한편 각각 위험자산비율과 다변화지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tobit분석 에서는 주요 사회인구통계학적 변수들과 순자산, 소득과 같은 재무 변수들, 그리고 투자성향 변수가 모두 통제되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별 차이가 존재한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위험자산비율을 위험에 대한 태도로, 다변화지수를 금융이해도 또는 금융역량으로 해석해 본다면 이는 여러 선행연구들이 이러한 특성에서의 성별 차이를 도출했던 것과도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재무상태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지만 가구주의 연령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은 가계들을 중심으로 재무상태와 금융역량의 취약계층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향후 정책당국이 관심의 초점을 이러한 계층에 보다 집중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취약계층에 도움이 되는 금융상품 개발을 유도하고 세제혜택과 같은 편익을 제공해 주며 아울러 금융기관들이 이들을 배려하는 데 참여할 만한 유인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취약계층에 대한 이러한 정책적 배려는 최근에 전 세계적으로 금융 부문의 공통적인 정책목표가 되고 있는 금융포용의 취지와도 관련이 된다. 한편 효율적인 자산배분과 관련한 재무행동 측면에서 성별 차이가 존재하고 일반적으로 여성 가구주가 취약하다는 결과는 이들의 금융이해력 또는 금융역량 향상을 도모하는 데 주력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일련의 분석결과들이 재무상태나 재무행동에 대한 다양한 영향요인들 가운데에서도 특히 교육수준의 중요 성을 나타내고 있어 교육수준이 낮은 금융소비자에 대한 금융교육의 필요성과 유효성을 암시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정책당국은 금융교육 강화를 통해서 특히 여성 가구주의 미흡한 재무행동을 변화시키고 바람직한 금융생활을 유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것이 궁극적으로는 이들의 금융복리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presents the results of a study that investigated the financial status and behaviors of female-headed household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male-headed household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although female-headed households are generally in worse financial condition, the gender effects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However, it can be argued that there exist vulnerable and alienated groups of female-headed households among those whose heads are elderly and little educated. Also, the fact that most female-headed households are a one-person household raises the weakness of the groups. Aging and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are considered as the major factors that can account for financial behaviors of female-headed households. The risky asset ratio and diversification index of female-headed households are lower than those of male-headed households, which implies essential differences in financial behaviors between male- and female-headed households. The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will be the ground for the policy to improve the financial condition of female-headed households and ultimately to lead them to attain their financial wellbeing.

      • KCI등재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원인과 빈곤위험의 젠더격차

        김수정(Kim Su-Jeong) 한국여성연구소 2007 페미니즘 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가구소비실태(2000)자료를 대상으로 여성가구주 빈곤의 주요원인 및 빈곤위험의 젠더격차를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연구에서 부차적으로 간주되었던 혼인지위, 모성지위, 노동지위 변수를 포함시킴으로써 이들 변수가 남녀가구주의 빈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남성가구주 가구와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율은 각각 11%와 36%로 여성가구주가 3.2배 높은 빈곤율을 보였다. 남성가구주가구로부터 이탈할 경우, 여성의 빈곤위험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존연구에서 무직의 여성가구주는 빈곤위험이 오히려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는데(“선택적 무직”), 남성의 이전소득에 의존하는 실질적인 남성가구주 가구를 제외하고 분석하였을 때 무직은 여성빈곤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혼인지위와 부모지위는 남녀가구주의 빈곤에 중요한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혼은 남녀모두 빈곤위험을 높이지만, 여성의 경우 빈곤위험이 더 크게 나타난다. 또, 남성가구주의 경우 미취학자녀가 있더라도 상대적으로 빈곤위험이 낮은데 비해 여성가구주의 경우 빈곤위험은 크게 증가한다. 여성가구주의 가족적 특성은 이 집단을 빈곤에 취약한 집단으로 만든다. 현대사회에서 여성 빈곤은 여전히 남성지배적인 규범과 제도가 지배적인 가운데 아내지위, 모성지위의 취약성과 노동지위에서의 불이익이 중첩된 결과로 양산된다. 빈곤의 여성화를 방지하고 여성의 사회권을 내실있게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중층적 상황과 다양성을 고려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s of poverty between male and female headed households and analyses the differential effects ofeach variable by decomposing the probability of poverty, using the National Survey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2000 data.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verty rate (using 50% of median income poverty line) in 2000 was 11% for male-headed households(MHH) and 36% for female -headed households(FHH), which means that FHH were 3.2 times more likely to be poor than MHH. Second, “selectively not -employed” hypothesis which explains the lower poverty rate of not-employed FHH is rejected. The spurious relation disappears when the pseudo-MHH who depends on husbands’ transfer income is excluded from the category of FHH, so the employment status of FHH(esp.not-employed) should be one of main factors of poverty of FHH. Third, marital status and parental status are proved to be important variables to explain the gender gap of poverty. Even though divorce raises the poverty risks of both gender, divorced FHF is more vulnerable to poverty. Moreover, FHF with pre-school children is more likely to be poor than the same group of MHF. Familial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poverty risks of FHF. This results shows that the poverty of women is over-determined by insecurity of women’s labor market situation and vulnerability of women’s marital and parental status in the male-dominated society. This suggests that to protect women from poverty and guarantee women’s social rights, gender-sensitive and multidimensional social security programs are needed.

      • KCI등재

        여성 귀농·귀촌 가구주의 경험으로 본 귀농·귀촌 정착 과정의 성별성

        이순미,마상진 한국농촌사회학회 2022 農村社會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ttlement experiences and needs of female urban-rural migrants.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Urban-Rural Migrants Annual Surveys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surveys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householders rather than individual family members, which is the limitation of this analysis. During the past eight years, the proportion of female householders has accounted for around 38%. While the female proportion of moving as a family member has continued to decline, female-led urban-rural migration has increased. More than 60% of female migrants are single-person householders, while mael urban-rural migrant householders have a tendency of migrating in couples, which shows the familialized and gendered characteristics of urban-rural migration. female urban-rural migrant householders have a tendency of pursuing alternative life, which is not partly supported by the preceding studies that female urban-rural migration was mainly based on family motive. This suggests that urban-rural migration motive and migration area selection ar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tatus of a woman in the family rather than gender. Also, the recent change of urban-rural migration motive from economic interest to quality of life is partly affected by the increase in female-led urban-rural migration. Female urban-rural migration householders have various gender-related obstacles in their rural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especially education and policy access. The economic vulnerability of farming female migrants, and community integration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non-farming female migrants were the main problems for the rural settlement. For the future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nnual Survey of Urban-Rural Migrants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hould be supplemented to reflect the elaborate gender differences by the individual level survey. 이 연구는 가구를 단위로 이루어지는 귀농ㆍ귀촌 정책과 통계 작성이 여성 경험의 비가시화뿐만 아니라 성별 차이 자체에 관심을 두지 않는 젠더 무감성(genderblind) 의 전형을 보여준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선행연구도 적어서 공백 상태로 남아있는 여성 귀농ㆍ귀촌인의 정착 경험에 대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농림축산식품부의 「귀농ㆍ귀촌 실태조사」를 분석하였다. 개인이 아닌 가족의 경험을조사한 한계가 있어서, 가구주만을 선별하여 성별로 비교함으로써 귀농ㆍ귀촌 정착 과정의 성별 이슈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지난 8년간 귀농ㆍ귀촌 가구 중 여성 가구주 가구 비율이 38% 안팎을 차지해 왔고, 동반가구원 신분으로 이주하는 비율이 지속 감소하는 등 여성 주도적 귀농ㆍ귀촌 경향이 최근 몇 년간의 지속적 추세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여성 귀농ㆍ귀촌 가구주의 대부분은 배우자가 없고 60% 이상이 1인가구인데 비해 남성 귀농ㆍ귀촌가구주는 부부 동반 이주 비율이 높은 차이가 귀농ㆍ귀촌의 가족화되고 성별화된특성을 보여준다. 여성 귀농ㆍ귀촌 가구주의 이주 동기는 대안적 삶에 대한 추구가큰 비중을 차지하여, 여성의 농촌 이주가 가족적 동기에서 주로 이루어진다는 선행논의는 부분적으로만 지지될 수 있었다. 이주 동기와 지역 선택은 성별에 따라 이원화되어 있기보다 여성의 가족 내 위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는 경제적 동기에서 삶의 질 추구라는 최근의 귀농ㆍ귀촌 트렌드 변화가 여성 주도적 귀농ㆍ귀촌 증가의 효과일 가능성을 지시하는 것으로 볼만하다. 그러나 자기 주도적 귀농ㆍ귀촌을 실행한 여성 가구주들조차 교육과 정책 접근성이 남성에 비해 취약하고 제반 사회ㆍ경제 활동에서도 성별에 따른 장애가 많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여성 귀농 가구주의 경제적 취약성과 여성 귀촌 가구주의 지체된 지역사회 통합과 심리적 어려움, 그로 인한 도시로의 재이주 희망이가장 큰 문제점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는 가구주의 정착 경험에 국한된 것이므로 분석에서 성별 차이가 드러나지 않은 내용들에 대해 실제로 성별 차이가 없는 것이라 단언하기 어려우며, 이는 이 연구의 한계이기도 하다. 개인을 단위로 조사가 이루어지고 전체 여성 귀농ㆍ귀촌인으로 분석을 확대한다면 정착 경험의 성별 차이가 더 정확히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여성가구주 가구의 항상빈곤화

        이정아(Yi Junga)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9 여성연구 Vol.77 No.-

        선진국에서 1970년대 말부터 주목받기 시작한 신 빈곤의 한 양상인 ‘빈곤의 여성화(feminization of poverty)' 현상은 IMF 경제위기 이후 우리사회에서도 관측되어 왔다 빈곤의 여성화 현상은 국내외적으로 여성가구주 가구의 증가라는 가족구조의 변화와 서비스 부분의 확대, 노동유연화 추구 등의 경제구조 변화가 맞물려 촉발되었는데, 그 추세는 지속되거나 오히려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빈곤의 여성화의 추세와 그 요인을 분석하는데 금재호 김승택(2001)이 제시한 ‘항상빈곤(permanent poverty)' 개념을 이용하였다 빈곤을 경험한 가구의 절반 이상이 빈곤을 되풀이 경험한다는 기존의 연구(이병희 정재호, 2002)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많은 빈곤가구가 빈곤한 상태로부터 영구한 탈출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친 ‘평균소득’이 빈곤선 이하이면 빈곤한 가구 혹은 개인으로 보는 항상빈곤 개념을 이용하면 빈곤의 실태에 대한 윤곽이 더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자료는 「한국노동패널자료」의 4차부터 10차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빈곤가구 중 여성가구주 가구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전체 가구 중 여성가구주 가구의 비중은 5분의 1 수준인데 반해 빈곤가구 중 여성가구주 가구의 비중은 절반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강화되고 있다 또한 여성가구주 가구의 항상빈곤율은 35%를 상회하므로 여성가구주 가구의 3분의 1 이상이 항구한 빈곤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패널 로짓 분석(Panel Logit Analysis) 기법으로 항상빈곤의 요인을 실증분석한 결과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여성가구주에게 있어 노동시장의 한계적 상황에 따른 낮은 임금수준이 문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나,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입지 제고를 위한 구조적 개선이 요구된다 The feminization of poverty, which is one of the aspect of new poverty, has been observed in Korea after economic crisis in 1997 It was set off by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with increase of female headed households, the expansion of service industry and the economic changes like feminization of labour, and the tendency of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s toward strengthening This paper analyzes tendency and determinants of the feminization of poverty using the concept of permanent poverty in Keum and Kim(2001) By the concept of permanent poverty, which use average income over the long haul to measure their economic state, the actual state of poverty in revealed better The analysis shows female headed households in poor households are increased The proportion of female headed households in the whole households in one over five, but the proportion of female headed households in poor households is more than half, and the tendency like this is toward strengthening And the ratio of permanent poverty of female head households is more than 35%, this means that female headed households of more than one over three are in poverty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panellogit analysis, which points that low wage is the problem, structural improvement about status of female in the labor market are needed

      • KCI등재

        코로나19의 위험이 여성가구주의 일과 삶에 미친 영향과 삶의 질 회복을 위한 정책대안

        전현숙 ( Jeon Hyeonsuk ),신원식 ( Shin Wonshik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2 사회보장연구 Vol.38 No.1

        2019년 말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전 세계가 사회경제적으로 큰 혼란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도 사회경제적 활동을 제한하거나 봉쇄하는 사회적 거리두기 실시 등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다각적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여성가구주당사자 인터뷰와 여성가구주(취약계층 여성) 관련 전문가들의 FGI를 통해 코로나19의 상황이 이들의 일과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것을 토대로 여성가구주들의 코로나19 극복과 일상의 삶 회복을 위한 정책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가구주 인터뷰와 FGI결과 여성가구주는 사회적 단절과 고립감, 고용과 경제적 위기, 심리불안과 다양한 관계에서의 갈등을 경험, 가정과 일터에서의 노동 강도의 증가, 사회적 편견과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정보부족과 접근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를 토대로 AHP을 통하여 여성가구주들이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을 잘 극복하고 일상적 삶으로의 회복을 견인하기 위한 사회보장정책 사업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각 영역별로 우선하는 사업을 살펴보면 첫째, 여성가구주의 소득과 가계경제 회복을 위해서는 주거안정지원정책을 우선적으로 시행함이 필요하다. 둘째, 돌봄과 양육환경 영역에서는 노동환경개선과 일자리보호 정책사업, 셋째, 심리 및 정서변화 영역에서는 정서적 지원과 회복력 제고를 위한 정책사업, 넷째, 사회적 관계 맺기와 개인 활동 영역에서는 여성가구주의 사회적 관계 회복 지원, 다섯째, 여성가구주의 사회적 환경 영역에서는 사회안전망의 강화와 섬세한 보완으로 누구나 안전하게 사회경제 활동을 누리게 한다. 이 연구는 여성가구주 당사자의 목소리를 담아냄으로써 보다 현장에 가까운 결과와 대안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At the end of 2019, COVID-19 spread, causing great socioeconomic confusion and difficulties around the world. Korea has also made efforts to overcome COVID-19 by keeping social distancing that restricts or blocks socioeconomic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OVID-19 on their lives was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with female heads of households and FGI methods of related expert groups. Based on that, the purpose is to propose policies for female householders to overcome COVID-19 and recover their daily lives. As a result of interviews with female householders and expert groups, female householders experienced social disconnection and isolation, employment and economic crisis, psychological anxiety, and conflicts in various relationships, increased labor intensity at home and work, and social prejudice. There was a lack of information on social welfare policies and difficult access. Based on the results, AHP was used to present priorities for social welfare policy projects that help female householders overcome COVID-19 well and restore their daily lives. Looking at the projects that prioritize each area, first, the housing stability support policy is first implemented to restore the income and household economy of female householders. Second, the labor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the job protection policy project take precedence. Third, policy projects to improve emotional support and resilience in the area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 social relationships for female householders and social relations recovery support for individual activities, and social safety nets for female household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closer results and alternatives to the field by capturing the voices of female household owners.

      • KCI등재후보

        비교 국가적 관점에서 본 한국 여성가구주의 빈곤

        김수정 ( Sujeong K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保健社會硏究 Vol.2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LIS 데이터와 한국복지패널(2005)을 이용하여 한국 여성가구주의 빈곤을 비교국가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남녀 빈곤율 격차와 빈곤층내 여성비율을 지표로 사용하여 한국 여성가구주의 빈곤의 심각성을 밝히고자 했다. 둘째, 여성가구주 중 특히 빈곤에 취약한 두 집단인 여성노인과 모자가구(single mother) 집단의 빈곤율을 국제적으로 비교하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우리나라 여성빈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 여성가구주의 빈곤은 절대적인 빈곤규모나 남녀 상대적 차이에 있어서 다른 나라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에 있다. 여성가구주의 40%가 빈곤한 경우는 한국 사회밖에 없으며, 남녀 빈곤율 차이가 20%p이상인 국가 역시 한국밖에 없다. 여성가구주의 빈곤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이 다시 한번 강조될 필요가 있다. 둘째, 퍼스(Pearce)적 의미의 “빈곤의 여성화”, 즉 빈곤층 내 여성가구주 비율(중위소득 50% 상대빈곤선 적용)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한국의 빈곤은 “아직” 여성화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가구주의 인구학적 비중이 낮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18%) 한국 사회에서도 여성은 빈곤층에 과잉대표(over-representation)되고 있다(40%). 셋째, 여성가구주의 빈곤을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한국의 경우, 모자가구보다 여성노인의 빈곤이 심각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성노인의 빈곤율이 높은 국가는 사민주의 국가와 가족주의적 특징을 띤 한국, 대만과 같은 나라이다. 반면, 자유주의 국가들과 조합주의 국가들에서는 모자가구의 빈곤위험이 더 크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구분은 사민주의, 자유주의, 조합주의, 가족주의의 네가지 복지레짐 분류와 일치한다. 여성빈곤과 관련하여 레짐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복지정치와 젠더정치의 측면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ers(FHH) in Korea from the comparative perspective, using LIS micro data and KoWePS. In terms of the size and gender ratio of poverty, the situation of Korean FHHs is the worst. The poverty rate of Korean FHH is more than 40% and the gender poverty gap is about 20% point. Secondly, the proportion of FHH under the relative poverty line(50% of median income) is lower than that of male householders, and therefore poverty is not yet feminized in the poor population in Korea. However, FHH are over-represented in the poor (40%) compared to their relatively small population size(18%). Thirdly, in Korea elderly women are more likely to be poor than single mother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we found that the poverty risk of elderly women is higher not only in familiaristic countries like Korea and Taiwan but in the social democratic countr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re that poverty rate of the latter is very low in general. In contrast, the poverty of single mother is worse in liberal and corporatist countries. Based on these heuristic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differences in poverty profiles of women householders among the regimes should be explained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