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청년운동과 언양지역 가톨릭청년회 결성

        손숙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4

        This research reveals organize of youth association and it’s meaning by focusing on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during colonial era. This research was proceeded by following two subjects. First, The purpose and activities of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Second, Revealing meaning and role of Catholic youth association of that era through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So, This research studied characteristics of Catholic youth association during colonial era by analyzing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in 1920s.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established in 1922, was aimed to help Korean Production and funeral ceremony. The background of fast organizing of Catholic youth association. in Unyang 4 years before establishing of Unyang Catholic was related to many faith community from the start of catholic receving.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reveals a lot of contest that related to manage of Catholic youth association very specifically, such as qualifications of member, excutives and fees. Because Catholic youth association included funeral ceremony as organize purposes, funeral ceremony of Catholic and mission work seems directly related. This corresponds with one of purpose of that time’s Catholic youth association, mission work. Catholic youth association in Unyang specified contents related to funeral specifically in there activites. Korean Production, which is another purpose of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was similar to Korean Production Movement, which was started by the right intellectuals to deal with socialism movement in 1920s. In this view, organizing of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shows not only just the specific truth of Korean Production Movement conducted in Kyung Nam provence, but also shows the specific example of participant of Catholic youth movement in cultural movements of intellectual after 3.1.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not only played central roles in construction of church and activites in church, but also briskly proceeded external activities such as funeral ceremony and Korean Production , which are purposes of youth association. After 3.1, many youth associations were organized and catholic church actively responded to the stream.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was also established as correspondence to that time’s social atmosphere. Therefore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organized in 1922, can contribute to revealing 1920s’ youth movements. 이 연구는 식민지기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에 주목하여 청년회 조직의 결성과 그 의미를 밝히고 있다. 이 연구는 다음 두 가지 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졌다. 먼저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 조직의 목적과 활동사항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는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 조직을 통해 이 시기 가톨릭 청년회의 역할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20년대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를 분석하여 식민지기 가톨릭청년회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1922년에 결성된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는 장례와 물산장려가 목적이었다. 언양 본당 설립 4년 전에 주변부 지역인 언양에서 가톨릭 청년회가 비교적 빨리 결성되는 배경에는 천주교 수용초기부터 이어져 온 많은 신앙공동체의 형성과 연관이 있을 것이다.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는 회원의 자격, 임원, 구성, 회비 등 가톨릭 청년회 운영과 관련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언양의 천주공교 청년회 결성 목적 중 하나로 장례가 포함된 것은 천주교의 장례절차가 전교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이 시기 가톨릭청년회 조직의 목적 중 하나인 선교와도 일치하였다. 언양의 천주공교청년회는 장의와 관련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활동하였다.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 결성의 또 다른 목적인 물산장려는 1920년대 사회주의 운동에 대응하여 전개된 당시 우파 지식인의 대표적 문화운동인 물산장려운동의 흐름과 같이 한다고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의 결성은 경남지역에서 전개된 물산장려운동의 구체적 실상을 말해주는 것을 넘어서 가톨릭 청년운동이 3.1운동 이후 지식인의 문화운동에 조응한 실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렇듯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는 본당 건립 및 교회 내 활동에도 중추적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장례와 물산장려의 청년회 설립 목적에 따라 대외 활동도 활발히 전개해 나갔던 것이다. 3.1운동 이후 많은 청년단체가 결성되는데 이러한 흐름에 천주교회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였고 언양의 천주공교 청년회도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에 조응하여 결성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1922년 결성된 ‘언양지방천주공교청년회’는 1920년대 청년운동사를 밝히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포은의 언양 유배가 언양지역에 끼친 영향과 그 의미

        엄형섭 포은학회 2018 포은학연구 Vol.22 No.-

        This research paper has a purpose of looking into an influence of Poeun Jeong Mong-ju’s exile to Eonyang region and investigating its meaning. There were some studies about Poeun’s exile, however, most of those were treated as a part of explaining Poeun’s life and characteristics of his literature only. This paper gives more attention to an Eonyang region, especially to a regional clan society which was influenced by Poeun’s exile to this area. At first, I proposed a new opinion that Poeun’s actual exile period was shorter than expected by existing chronologies and statement writings. Though, this is not directly concerned with this paper’s purpose, it is meaningful in the perspective of the necessity for investigating this time gap, if his exile period was shorter than what we know about. Secondly, I raised a question that if Yodo was an Poeun’sactual place of exile. In town chronicles of Ulsan which were issued from the middle of the eighteenth century to 1930’s, Bangu-dae was referred clearly and repeatedly as related place to PoEun. However, Yodo was never mentioned as related place to PoEun even though Yodo was listed on town chronicles of Ulsan. Thirdly, I investigated an influence of Poeun’s exile to Eonyang to a regional clan society. Even though Poeun’s exile period was short, his royalty of refusing to serve two kings and ethical lifestyle had become a dynamic of constructing the Bango memorial hall by members of Eonyang clan society. After the Bango memorial hall was removed, Poeun’s spirit influenced people to establishing their own life orientation by constructing a gravestone of Poeun’s great mausoleum. Lastly, I explored an influence of a Poeun’s poet which was written while his exile to Sino-Korean literature of Eonyang region. Poeun’s poet was repeatedly copied not only by scholars in the late of the Chosun Dynasty but also by a literary man and a public official no matter how they are distant from Eonyang or not. Also, his poet has influenced to a development of this region by giving birth to memorandums, prefaces, and epitaphs. Poeun’s exile to Eonyang is still influencing this area even after Eonyang had been united to Ulsan. In this point of view, it is natural and right to progress various businesses which are related to Poeun in this region. Merely, before progressing those businesses, there is a necessity for a close reconstitution. 이 글은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언양(彦陽) 유배가 언양지역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지금까지 포은의 언양 유배와 그가 남긴 시에 대한 고찰이 없었던 것은 아니나 대부분 포은의 전반적 생애와 문학작품의 특징적 면모를 설명하는 과정의 일부로 다루어졌을 뿐, 포은의 언양 유배가 언양지역, 특히 지역 사족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탐색은 시도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이런 점에 유의하여 논의해 보았다. 먼저, 포은의 언양 유배 기간이 지금까지의 연보나 논저에서 파악한 것보다 짧다는 새로운 의견을 제시했다. 이는 본고의 주안점과 직접적인 연관은 적다. 그러나 만약 실제 유배 기간이 지금까지 파악된 것보다 훨씬 짧다면, 그 공백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다음, 현재 유포되고 있는, 포은의 적소가 요도였다는 점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18세기 중엽 이후 1930년대까지 발간된 울산 읍지류에 반구대는 포은과 관련된 곳으로 분명하고 꾸준하게 언급된다. 그러나 요도는 읍지의 항목에 등장하는데도 포은과의 관련성은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다. 다음, 포은의 언양 유배가 지역사족사회에 끼친 영향을 살폈다. 잠시 머물다 간 인연이긴 하나 포은이 남긴 불사이군의 충절과 도학적 삶의 행적은 언양지역 사족이 반고서원을 건립하는 동력이 되었고, 반고서원이 훼철된 뒤에는 포은대영모비를 건립해 자신들의 삶의 지향을 설정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은이 언양에서 지은 시 한 수가 언양지역한문학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포은의 시는 조선 후기 언양지역 사족은 물론 반고서원과 반구대를 찾는 원근의 문사와 관원들에 의해 끊임없이 차운되고, 기문과 서문, 비문을 낳게 함으로써 이 지역 한문학 발전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포은의 언양 유배는 언양이 울산과 통합된 현재까지도 이 지역에 여전히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그에 대한 다양한 사업이 지역에서 진행되는 것은 당연하고 일면 바람직한 일이다. 다만 그것에 앞서 보다 면밀한 사실의 재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920년대 언양지역 가톨릭부인회 결성과 그 의미

        손숙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2 No.-

        As a result, this research has an historical meaning by revealing action of catholic dealing with youth movement and its’ lower part, women movement of protestantism and Chundogyo in early 1920s. Also,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meanings of youth movement and women’s movement in history of Catholic movement.This research aims to study meaning of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of colonial era by defining organize and activities of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through records descended in Unyang Catholic church. We could identify a purpose and activities of community Catholic women association organization and member who run the organization specifically by this research.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found in 1923 for growth of Catholic, and shared activities with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A women’s movement developed by groups that characterized by ‘new women’, ‘madam’ in 1920 was co-worked with youth movement, and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also identical with this stream. Organize of Catholic women association has an historical meaning by showing intersection of women’s movement and young men movement in 1920s. In late 1920’s to early 1930’s, Korean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separated into middle aged woman organization and young woman organization, and young woman organization took charge of guide boys and girls. This shows that Catholic organization corresponded with division of protestantism and Chundogyo’s youth movement to boy movement. The reason why Unyang, which is not a metropolitan, could have organizations like Catholic women association and youth association organization was that there were a lot of faith community since early accommodation of Catholic. And another reason was that there were powerful influences of Chundogyo, which preoccupied women movement and youth movement in Unyang. In this social mood, Catholic also dealt with this mood by organizing youth association organization and women association. 이 연구는 식민지기 ‘언양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과 활동을 언양성당에서 전승되는 기록물을 통하여 밝힘으로써 이 시기 언양지역의 가톨릭부인회가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가톨릭부인회 조직의 목적과 활동 및 이것을 운영한 구성원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언양천주공교부인회’는 1923년 천주교의 발전을 목적으로 결성되었으며 ‘언양지방천주공교청년회’와 연동되어 전개되었다. 1920년대 초반 ‘신여성’ ‘신여자’ ‘부인’으로 표상되는 집단을 중심으로 전개된 여성운동과 ‘부인’단체의 결성은 당시 청년운동과 연동되어 전개되는데, 언양지역 가톨릭부인회도 이러한 흐름과 같이 한 사실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언양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은 1920년대 여성운동과 청년운동의 교착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역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특히 1920년대 말 1930년대 초 즈음 한국 가톨릭부인회는 중년부인회와 여자청년회로 분화되고, 여자청년회 단체는 그 하부에 있던 ‘소년소녀’를 지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것은 여자청년회의 하부에 소년소녀 단체가 조직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개신교와 천도교 계열의 청년운동에서 소년운동이 분화해 나가는데 대해 적극적으로 조응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도회지가 아닌 주변부 지역인 언양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청년회와 부인회 등 평신도 조직들이 빨리 결성된 배경에는 언양지역이 천주교 수용초기부터 이후 이어져 온 많은 신앙공동체의 형성과 함께 부인운동과 청년운동을 선점한 천도교의 영향력이 강했던 지역사회 분위기도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천주교에서도 청년회, 부인회를 조직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듯 언양의 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과 의미를 살펴보는 이 연구는 1920년대 초반 개신교와 천도교의 청년운동과 이것의 하부운동으로 전개된 부인운동을 의식한 가톨릭의 조응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1920∼30년대 청년운동과 여성운동 나아가 가톨릭 운동사에서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802년 언양 향교의 儒案 작성과 새로운 구성원들

        손숙경(Son, Suk-Kyung) 부산경남사학회 2018 역사와 경계 Vol.108 No.-

        이 연구는 19세기 언양 지역의 새로운 향교 유안에 주목하여 향반사회의 변화와 그 의미를 밝히고 있다. 이 연구는 다음 두 가지 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졌다. 먼저 종래의 향반에 속하지 못했던 부류들이 언양의 향반사회에 진입하는 방식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는 언양 지역사회의 상층부에 진입하려한 이들의 존재형태와 동향을 밝히고 이것이 언양 향반사회에 초래한 변화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세기 이후 언양 향교의 유안에 새로 들어온 구성원들을 분석하여 향교 유안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1802년 언양 향교에서는 유안을 작성하면서 그 배경을 서문에 밝히고 이어 42명의 유생들의 명단을 수록하였다. 이 유안이 작성된 배경은 경순왕의 후손으로 유업을 잃지 않았는데도 향교나 서원의 유안에 입록되지 못한 사람에 대해 국가에서 입록하도록 조처하여 입록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향교의 유안에 입록된 구성원들은 현재 확인한 바로는 크게 두 부류로 나뉘어진다. 하나는 유안 등재에 앞장 선 경주 김씨 가문과 같이 향리 직책을 역임한 동종 계파가 존재하는 부류이다. 다른 하나는 언양의 유명 사족들과 연관되지만 그 관계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부류들이었다. 대대로 향리 직책을 역임한 동종 계파가 있는 부류인 경주 김씨 가문 중 한 계열은 향리 직책을 맡지 않았고 유안에 성명을 세 사람이나 등재하여 향리 가문의 배경에서 벗어나려 하였다. 이들은 언양 향교 유안 입록 자격과 관련하여 경순왕의 후손임을 내세워 경순왕의 후손에 대한 국가의 우대조처를 적극적으로 끌어낼 수 있었다. 한편 지역사회의 경제적 균질화도 새로운 부류들이 유안에 입록하여 양반사회에 편입해 나가는 환경을 조성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양반 가문들과 새로운 부류들의 구분은 여전히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유안에 등재된 구성원들은 언양의 중요 가문들과 거주지와 성관이 일치한다는 점에서 이들 가문 출신이거나 이들 가문들과 관련이 있다. 그렇지만 이들 가문들의 족보에서 찾아지지 않는 것은 중요가문들의 주변에 위치해 있는 부류들로 여겨진다. 이들은 유안 등재를 통해 향반사회로 진입을 시도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원래 향반 집단에 속하지 않았던 부류들이 국가의 정책 및 이념에 상응하여 향반 사회에 편입해 나가는 동향에 주목한 이 연구는 지역사회의 새로운 변화의 또 다른 층위를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reveals changes of local elite society and it’s meaning by focusing on the new Written Rosters of Yusaeng(Yuan) of Unyang in 19century. This research was performed with two following points. First point is how non-involved class kind actually involved in the local elite society of Unyang. The second is revealing trend and being of people who tried to be a upper class of Unyang and about what changes these things caused in Unyang local elite society. This research studied the characteristic of Written Rosters of Yusaeng Of County School by analysing new components of Written Rosters who joined after 19 century for successful research. In 1802 Writing Written Rosers of Yusaeng, Unyang County School reveals the reason why they rewrote it adding new Yusaeng in preface followed by 42 name of new Yusaeng. The reason why this Written Roster of Yusaeng was written is to let descendents of Kyungsoon King who were not able to be listed in Wrtten Roster of Yusaeng of County School or private school even though they did not lose confucianism work listed on the list. As far as identified, components listed in the lis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 One is group that have local clerk family similar to Kyungju Kim Clan, the leader of families tried to be listed in the list. The other one was a group unclearly related with famous elites of Unyang. Families of Unyang tried to be listed on the Written Roster of Yusaeng could be part of local elite society in Unyang under the understanding composition of state and local society. Above all, this research which focused on new group and its trend can contribute to finding the other layer of new changes of local society.

      • KCI등재

        언양 일원 천주교 관련 기록물과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제언

        손숙경 ( Son Suk-ky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이 연구는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한 방안으로써, 언양 성당을 중심으로 천주교 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할 것을 제언한 것이다. 현재까지 언양 지역 천주교와 관련하여 수합한 각종 기록물들을 쉽게 접근하여 활용하려는 구도에서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언양과 그 일원인 밀양, 동래 지역의 천주교 관련기록물의 1차 정리 작업인 자료집 간행을 기반으로 이것을 디지털 아카이브로 전환하려는 작업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언양 지역 천주교 기록물이 조사 수집 보존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어 고문서와 고문헌 등 각종 기록물의 가치와 의미를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기록물들이 언양 지역 천주교 수용 시기와 수용형태 등과 관련한 구전 내용의 비정과 이 지역의 천주교 수용과 수용자들의 모습과 형태를 밝힐 수 있는 소중한 기록물임을 드러내었다. 나아가 오프 라인에서 확인될 수 있는 이러한 기록물을 온라인 서비스 제공이 기본이 되는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 지원 및 인력보충에 대한 문제도 제언하였다. 이러한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은 단지 천주교 신앙인의 역사만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과 근대를 보여주는 ‘공공기록물(public records)’로서 무엇보다 소중하다. 따라서 이미 간행된 종이 인쇄본 형태의 자료집을 바탕으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언양 성당을 중심으로 흩어져 있는 전통시대와 근현대의 기존 자료들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천주교 관련 기억의 장소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연구를 계기로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을 ‘공공기록물’로서 그 소중함을 인식하고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자를 비롯한 ‘언양성당’, 그리고 언양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천주교 관련 기록물의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시작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 suggestion to build up digital archive of Catholic records, centrically Unyang church, for one way to preserve and use records about Unyang’ Catholic records. Up to now, this research launched to make using records related to Unyang’s Catholic easy. So, we started to discuss works for conversing source book of Unyang, Milyang and Dongnae’s Catholic researches into digital archive. To do such a work,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preserving Unyang Catholic records, and then we examined means and value of various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So, we suggested the needs of building archive by revealing that this kinds of records are valuable for revealing shape of this local’s Catholic embrace by comparing records and oral tradition of shape of Unyang’s Catholic embrace. Furthermore we suggest budget support and man power supply for building digital archive, which is base of providing these records through online service. These Catholic records of Unyang is not just important as history of Catholic believers, but also important for public records which show tradition and modern of Korea. And we have to make Unyang Church the place of memory by identifying needs to build archive related to original records of tradition and modern-comtemporary era. And we hope spreading other discussions about local Catholic by using this. Taking this opportunity, We want people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Unyang’s Catholic records as a ‘public records’ and we look for start of discussion for building archive based on Unyang Church and Unyang local society.

      • KCI등재

        언양 일원 천주교 관련 기록물과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제언

        손숙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This study is a suggestion to build up digital archive of Catholic records, centrically Unyang church, for one way to preserve and use records about Unyang’ Catholic records. Up to now, this research launched to make using records related to Unyang’s Catholic easy. So, we started to discuss works for conversing source book of Unyang, Milyang and Dongnae’s Catholic researches into digital archive. To do such a work,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preserving Unyang Catholic records, and then we examined means and value of various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So, we suggested the needs of building archive by revealing that this kinds of records are valuable for revealing shape of this local’s Catholic embrace by comparing records and oral tradition of shape of Unyang’s Catholic embrace. Furthermore we suggest budget support and man power supply for building digital archive, which is base of providing these records through online service. These Catholic records of Unyang is not just important as history of Catholic believers, but also important for public records which show tradition and modern of Korea. And we have to make Unyang Church the place of memory by identifying needs to build archive related to original records of tradition and modern-comtemporary era. And we hope spreading other discussions about local Catholic by using this. Taking this opportunity, We want people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Unyang’s Catholic records as a ‘public records’ and we look for start of discussion for building archive based on Unyang Church and Unyang local society. 이 연구는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한 방안으로써, 언양 성당을 중심으로 천주교 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할 것을 제언한 것이다. 현재까지 언양 지역 천주교와 관련하여 수합한 각종 기록물들을 쉽게 접근하여 활용하려는 구도에서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언양과 그 일원인 밀양, 동래 지역의 천주교 관련기록물의 1차 정리 작업인 자료집 간행을 기반으로 이것을 디지털 아카이브로 전환하려는 작업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언양 지역 천주교 기록물이 조사 수집 보존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어 고문서와 고문헌 등 각종 기록물의 가치와 의미를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기록물들이 언양 지역 천주교 수용 시기와 수용형태 등과 관련한 구전 내용의 비정과 이 지역의 천주교 수용과 수용자들의 모습과 형태를 밝힐 수 있는 소중한 기록물임을 드러내었다. 나아가 오프 라인에서 확인될 수 있는 이러한 기록물을 온라인 서비스 제공이 기본이 되는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 지원 및 인력보충에 대한 문제도 제언하였다. 이러한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은 단지 천주교 신앙인의 역사만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과 근대를 보여주는 ‘공공기록물(public records)’로서 무엇보다 소중하다. 따라서 이미 간행된 종이 인쇄본 형태의 자료집을 바탕으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언양 성당을 중심으로 흩어져 있는 전통시대와 근현대의 기존 자료들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천주교 관련 기억의 장소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연구를 계기로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을 ‘공공기록물’로서 그 소중함을 인식하고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자를 비롯한 ‘언양성당’, 그리고 언양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천주교 관련 기록물의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시작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조선후기 언양 향반(鄕班)가문의 사회 지위 유지와 그 양상 -삼동면 보은리 단양우씨(丹陽禹氏)가문의 사례연구-

        손숙경 ( Suk Kyung So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2

        이 연구는 조선후기 지방의 어느 가문이 양반이라는 상징권력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일련의 노력을 고문서 자료 등을 통하여 밝힘으로써 향반사회의 다양한 층위와 변화의 의미를 포착하는 데 있다. 삼동면 보은리에 거주한 단양 우씨 가문은 통칭 언양의 8대 성씨로 일컫는 언양을 대표하는 가문들보다 위세는 낮았으나 이들과 마찬가지로 언양의 향반 사회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렇듯 이 연구는 향반사회를 끌어가는 유력한 가문들 외에도 향반사회를 구성하는 또 다른 다양한 향반 가문들을 주목함으로써 조선후기 향반 가문의 다양한 층위와 그 의미를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단양 우씨 가문은 언양을 대표하는 8대 성씨들보다 늦은 18세기 중반에 언양 보은리에 정착하였다. 관직 진출을 사실상 기대할 수 없는 사회 환경 속에서 정착 이후 이 가문은 점차 언양의 공적 의례에 참여하고 언양의 관청 및 향반사회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사회적 위상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19세기에 들어서는 서원과 향교의 임원을 맡으면서 面任을 거쳐 座首까지 맡기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서 면의 분할 및 재정 운영 등 공적 영역에서 공론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역할도 맡았다. 이렇듯 향반으로서 사회적 위상을 확보하는 과정은 문화적으로 자신들의 미덕을 드러내는 행위로 이어졌다. 효자 정려를 받기 위한 50년에 걸친 노력이 이것이다. 이 유교의 실천 행위는 19세기 중반부터 후반까지 이어졌는데 이 사업에는 언양의 유력 향반들도 모두 동원되었다. 효자정려의 추증은 단양 우씨 가문이 사회적 위상을 확보하여 가는 중요한 문화적 전략인데, 대체로 뒤늦게 입향한 향반들의 노력은 매우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 같은 논의를 통하여 이 연구는 향반사회가 다양한 층위를 가진 부류들과 동질적인 상징권력을 계속 공유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사회적 위상을 확보하고 계속 유지하였음을 밝힐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discern the various stratums and change`s meaning of the local elite in later Choson dynasty. This work is carried out through the old document materials, and focused on the efforts on the family of local elite to attain and maintain the symbolic power as elite. Danyang Woo Family dwells in Bounri Samdongmyeon, and their power is not far over than the another eight group`s representing Unyang elite family. But they are also the member of the local elite society in Unyang. This work interested in the various local elite family in addition to the powerful family composing the local society, and reveals that there are many stratums and meaning of local family in later Choson Dynasty. Danyang Woo Family are located in Unyang Bounri, its appearance is rather later than the eight group``s representing Unyang elite family. It is impossible for this family to attain the official position. In this social condition, Woo family takes a strategy to strength the relationship the local elite and the Office of Unyang to participate into the public rituals. So they can gradually achieve the social position. They takes many position, including public county school of private academy, Myeonim(面任) and Jwasu(overseer, 座首). In this process they takes part to lead the public opinion including the divide of the Myeon(面) and the financial management. As above mentioned, this family does the action culturally to expose the virtue of their family in the process attaining the social position as local elite. This action resulted in the efforts of 50 years to receive the devoted son and Monument House from the government. Its efforts go on to 19c middle and later, and mobilizing all of the powerful elite family in Unyang. To receive the devoted son and Monument House is a kind of Cultural strategy and it is important in attaining the social position, and especially later appeared local elites do their best. In the end, we can find the facts that the local elite of local society shares the symbolic power with many another elites and Woo family is to achieve and maintain their social position in this process.

      • KCI등재

        조선후기 언양 鄕班 가문의 사회 지위 유지와 그 양상 - 삼동면 보은리 丹陽 禹氏 가문의 사례연구 -

        손숙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2

        This study is to discern the various stratums and change's meaning of the local elite in later Choson dynasty. This work is carried out through the old document materials, and focused on the efforts on the family of local elite to attain and maintain the symbolic power as elite. Danyang Woo Family dwells in Bounri Samdongmyeon, and their power is not far over than the another eight group's representing Unyang elite family. But they are also the member of the local elite society in Unyang. This work interested in the various local elite family in addition to the powerful family composing the local society, and reveals that there are many stratums and meaning of local family in later Choson Dynasty. Danyang Woo Family are located in Unyang Bounri, its appearance is rather later than the eight group's representing Unyang elite family. It is impossible for this family to attain the official position. In this social condition, Woo family takes a strategy to strength the relationship the local elite and the Office of Unyang to participate into the public rituals. So they can gradually achieve the social position. They takes many position, including public county school of private academy, Myeonim(面任) and Jwasu (overseer, 座首). In this process they takes part to lead the public opinion including the divide of the Myeon(面) and the financial management. As above mentioned, this family does the action culturally to expose the virtue of their family in the process attaining the social position as local elite. This action resulted in the efforts of 50 years to receive the devoted son and Monument House from the government. Its efforts go on to 19c middle and later, and mobilizing all of the powerful elite family in Unyang. To receive the devoted son and Monument House is a kind of Cultural strategy and it is important in attaining the social position, and especially later appeared local elites do their best. In the end, we can find the facts that the local elite of local society shares the symbolic power with many another elites and Woo family is to achieve and maintain their social position in this process. 이 연구는 조선후기 지방의 어느 가문이 양반이라는 상징권력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일련의 노력을 고문서 자료 등을 통하여 밝힘으로써 향반사회의 다양한 층위와 변화의 의미를 포착하는 데 있다. 삼동면 보은리에 거주한 단양 우씨 가문은 통칭 언양의 8대 성씨로 일컫는 언양을 대표하는 가문들보다 위세는 낮았으나 이들과 마찬가지로 언양의 향반 사회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렇듯 이 연구는 향반사회를 끌어가는 유력한 가문들 외에도 향반사회를 구성하는 또 다른 다양한 향반 가문들을 주목함으로써 조선후기 향반 가문의 다양한 층위와 그 의미를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단양 우씨 가문은 언양을 대표하는 8대 성씨들보다 늦은 18세기 중반에 언양 보은리에 정착하였다. 관직 진출을 사실상 기대할 수 없는 사회 환경 속에서 정착 이후 이 가문은 점차 언양의 공적 의례에 참여하고 언양의 관청 및 향반사회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사회적 위상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19세기에 들어서는 서원과 향교의 임원을 맡으면서 面任을 거쳐 座首까지 맡기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서 면의 분할 및 재정 운영 등 공적 영역에서 공론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역할도 맡았다. 이렇듯 향반으로서 사회적 위상을 확보하는 과정은 문화적으로 자신들의 미덕을 드러내는 행위로 이어졌다. 효자 정려를 받기 위한 50년에 걸친 노력이 이것이다. 이 유교의 실천 행위는 19세기 중반부터 후반까지 이어졌는데 이 사업에는 언양의 유력 향반들도 모두 동원되었다. 효자정려의 추증은 단양 우씨 가문이 사회적 위상을 확보하여 가는 중요한 문화적 전략인데, 대체로 뒤늦게 입향한 향반들의 노력은 매우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 같은 논의를 통하여 이 연구는 향반사회가 다양한 층위를 가진 부류들과 동질적인 상징권력을 계속 공유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사회적 위상을 확보하고 계속 유지하였음을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반구서원(盤龜書院) 건립(建立)과 반구대(盤龜臺) 상징화(象徵化)에 대한 소고(小考)

        오상욱 ( Sang Uk Oh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2

        1702년 金志를 비롯한 彦陽의 유림들은 반구대 상징화의 발판을 마련하였으며, 1712년에는 언양의 반구대와 관련된 三賢(圃隱ㆍ晦齋ㆍ寒岡)을 모신 반구서원을 건립하고, 이듬해 1713년에 위패를 봉안하였다. 그리고 동 시기에 集淸亭이 건립되면서 반구대 상징화는 절정을 이뤄 반구대를 찾는 문인들은 더욱 많아진다. 특히 良洞문인들이 조상참배와 도통연원을 목적으로 반구서원을 찾아 참배하고, 반구대의 경치를 즐겼고, 빼어난 경치를 품은 반구대 일원은 포은과 반구대가 結付되어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膾炙된다. 앞서 언양의 유림들은 울산부의 구강서원 건립과 사액을 받은 일에 대해 자극 받아, 언양 역시 서원을 건립해 지역의 발전과 자신들의 입지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런 상황에 三賢과 언양의 관계를 지나치게 천착해 의도적으로 반구대와 결부시켜 반구서원을 건립하였다. 서원 건립 후 三賢의 참배로 반구대가 명성을 얻었고, 집청정이 건립되면서 반구대는 언양의 명소로 탈바꿈한다. 결국 포은과 반구대를 천착하면서까지 언양과 반구대를 연결짓고자한 의도는 언양유림의 순수하지만 모순된 마음에서 빚어진 결과였으며, 이는 단순 지방유림만의 문제가 아니라, 재지사족과 가문 존속의 연관관계에 의한 집단행동이었음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In 1702, yurim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Kim Ji in Eonyang prepared the base of Bangudae Symbolic drawings. In 1712, they founded Banguseowon enshrining three wise men (Poeun, Hweje, and Hangang) related with Bangudae, and, in 1713, the next year, enshrined mortuary tablets of the three wise men. And, in the same period of time, Jipcheongjung was constructed, and Bangudae symbolic drawings became famous, attracting increasing number of Confucian scholars. In particular, scholars living in Yangdong visited Banguseowon to pay respect to Hweje, their ancestor, and for dotongyeonwon, and to enjoy the beautiful scenery around it. Bangudae and its surroundings are still popular for its beauty and because Poeun is enshrined. Yurim of Eonyang, triggered by the fact that yurim in Wulsan had founded Gugangseowon and received the hanging board of it from the king, wanted to found a seowon to develop Eonyang and secure their status. To found the seowon, they arbitrarily conn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wise men and Bangudae. When the seowon was founded, Bangudae became famous. With the construction of Jipcheongjung, Bangudae became a famous spot in Eonyang. The willingness of them to connect Eonyang and Bangudae even by linking Poeun and Bangudae was derived from pure but contradictory intention of yurim of Eonyang. We need to understand their actions as a collective behavior motivated by the linkage of the local scholar group and survival of status of family statuses.

      • KCI등재

        언양(彦陽) 유배기 포은시의 몇 가지 양상

        강지희 포은학회 2018 포은학연구 Vol.22 No.-

        In this paper, I studied intensively about Poeun Jeong Mong-ju’s poems composed during the period of his banishment. He was exiled to Eonyang(Ulsan) at the age of 39. He composed a poem in Eonyang, composed four poems in Gimhae. He also composed five poems on the way to Gaegyeong, the capital of Goryo. His poem composed in Eonyang was related to Yu Jong-won’s poem. Yu Jong-won was a poet of Tang Dynasty, China. Poeun got inspiration and adapted an end rime from Yu Jong-won’s poem.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ey were both rising scholars at their times. They both had capacity and rationality to revamp politics. For all that, they were exiled to a remote place why they resisted political authority. In their poems, they expressed grief and lamentation from painful realities of life. But they still hoped to be released from banishment and move on to better place. Poeun’s poems composed in Gimhae were mainly related to Yeonja Pavilion. He described his feelings and historical facts focused on the scenery, historic sites, and important people of Gimhae. He did not express deep sorrow as an exile there. After he wrote The record of Gimhae Fortress. If you read it, you will understand his mind as an official, administrator, and an strategist. After he was free from an exile, he composed poems on the way to Gaegyeong. He came to the capital by travelling through Uisung and Youngcheon. In his poems there, he showed sadness and desperation for uncertain future. Also he compared himself to a lame donkey. He seemed to accept present conditions silently. Poeun remembered Ja-you, a disciple of Confucius, who governed Museong quite well. He thought Youngcheon similar to Museong and reminded great governors of Youngcheon such as Jeong Seup-in, Choi Won-yu, and Ha Ryun. Poeun still held on an attitude as a good Confucianist and governor, though he was just free from an exile. Kim Gu-yong and Jeong Do-jeon were also exiled to a remote place for the same reason. They composed many poems there. Reading their poems, you can recognize serious conflict between retirement from the world and government service plainly. Their poems are different from Poeun’s poems. They composed many poems in a place of exile while Poeun composed only one poem there. Furthermore they imagined the future of the nation differently from Poeun. 본 논문에서는 언양 유배기 포은 정몽주가 지은 시를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언양 유배기 포은의 시는 시기상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언양에서 지은 시, 종편(從便)된 후 김해에서 지은 시, 해배되어 개경으로 돌아오는 중에 쓴 시 등이 그것이다. 언양에서 지은 시는 유종원의 시에 차운한 것이다. 포은과 유종원은 모두 실력과 합리성을 갖춘 신진사인(新進士人)으로서 당시의 정치현실을 개혁하고자 노력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두 사람은 모두 권신(權臣)에게 맞서다 귀양을 가거나 좌천되었다. 그들의 시에는 자신들의 고통스러운 현실에 대한 슬픔과 비탄이 담겨 있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도 언젠가 이곳을 떠나 더 나은 공간으로 가리라는 기대와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김해에서 지은 시들은 주로 연자루(燕子樓)와 관련이 있다. 내용을 보면 유배객의 처지에서 느끼는 안타까운 감정에 집중하기보다는 그 지역의 풍물과 유적지, 인물에 얽힌 사연들에 초점을 맞추어 사실들을 언급하고 지난날을 회고하는 정도였다. 훗날 포은이 쓴 「김해산성기」를 읽어보면 그가 지닌 관료, 행정가, 지략가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분명하게 느낄 수 있다. 해배 후 상경 도중에 의성과 영천 등에 들러 지은 시들에서는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슬픔과 절망이 느껴진다. 동시에 자신을 ‘절름발이 나귀’에 빗대며 현재 처한 상황을 담담하게 받아들이겠다는 체념도 엿보인다. 포은은 또한 공자의 제자 자유(子游)가 다스렸던 무성(武城)에 영주(榮州)를 빗대며 동료이자 명관이었던 정습인(鄭習仁)․최원유(崔元濡)․하륜(河崙) 등을 떠올렸다. 비록 해배되어 상경하는 길이었지만 그의 유자로서의 정체성, 위정자로서 민(民)을 살피는 시각에는 변함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김구용(金九容)과 정도전(鄭道傳)도 유배 기간 다수의 시를 저작하였다. 이들의 시에서는 자연에 귀의하고자 하는 마음과 현실에 대한 미련, 환로에서 뜻을 펼치고픈 열망 사이에서 느끼는 깊은 갈등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점은 포은의 언양 유배기 시에서는 찾기 어려운 특징들이다. 포은의 시가 척약재·삼봉의 시와 다른 면모를 보이는 이유는, 일차적으로 그의 언양 유배 관련 저작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은 데에 원인이 있다 할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유배 이후 그들의 다른 행로가 보여주듯이 각자 미래를 바라보는 방향이 달랐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추측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