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의 매개효과

        차수현(Soohyun Cha),송주현(Juhyun Song) 한국생애학회 2024 생애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에 거주하면서 만 4세, 만 5세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32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Hall과 Rhomberg(1995)가 제시한 10가지 편견 영역을 기초로 하여 이순행(2003)이 개발하고, 조수희(2008), 김희영(2010)이 보완한 사회적 편견에 대한 부모의 인식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박영자(2001)가 개발한 어머니의 반편견 양육 실제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박선영(2017)이 개발한 유아 비판적 사고성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Armstrong 외(2003)의 맥아더 건강 및 행동 질문지(MacArthur Health and Behavior Questionnaire, HBQ) 부모용을 김재윤(2022)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측정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일반적 배경 요인에 따른 측정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인들의 측정 도구 신뢰도 확인을 위해 척도에 대한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모형을 살펴보기 위해 Hayes(2017)가 제안한 PROCESS macro version 4.2(SPSS Inc., Chicago, IL, USA)의 Model 4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 어머니들의 반편견 인식은 중간값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인구학적 특성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며, 어머니의 최종학력과 가계 월 소득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어머니의 최종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과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과 가정 내 반편견 교육 실행이 유아의 인지적,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어머니는 올바른 반편견 인식을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자녀가 다문화, 성, 장애, 가족구성, 능력 등에 대한 다양성을 존중하고, 편견과 차별을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반편견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행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대한 초기 양육환경의 중요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증진과 가정 내 반편견 교육의 지원 방안 마련해야 하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anti-bias education practices in the links between mothers’ anti-bias awareness and young childre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social behavior. The study involved 320 mothers residing in South Korea’s metropolitan areas, all of whom had four- or five-year-old childre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the Process macro program version 4.2, employing bootstrapping techniques to rigorously assess the hypothesized model. This study yielded several significant findings. First, mothers’ level of anti-bias education significantly differed across mothers’ education and family income levels, whereas childre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differed as a function of their mothers’ education levels. Second, mother’s anti-bias awareness and anti-bias education, and young childre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social behavior,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Third, mothers’ anti-bias education practices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 of their anti-bias awareness on childre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serves as a compelling confirmation of the impact that mothers’ anti-bias awareness can have on young childre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social development when mediated by their anti-bias education practices. It underscores the vital role that in-home anti-bias education plays in shaping children’s cognitive and social growth. These findings’ implications extend to enhancing anti-bias education practices within home environments, in collaboration with early educational settings, to foster holistic child development. These insights offer valuable guidance for parents, educators, and policymakers, highlighting the need to prioritize anti-bias education as a cornerstone of childhood development.

      • KCI등재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와 실제 간 관계에서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의 매개효과

        정계숙(Chung, Kai-Sook),박지영(Park, Ji-Y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와 실제 간 관계에서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3, 4,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194명을 대상으로 하여, ‘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부모의 인식 척도’와 ‘유아교육공동체 인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분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초자료로서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 및 실제, 그리고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은 보통이상의 수준이며,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수준이 실제수준보다 유의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수준과 실제수준,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은 어머니의 교사자질 인식의 기대와 실제 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공동체의 중요한 주체인 어머니의 교사자질과 유아교육공동체 인식 간의 관련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교사자질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plays any mediating role within relations of bewteen mothers’ expected and recognized teacher’s qualities. For this, I have chosen this study includes 194 mothers with kids aged 3, 4, and 5 years old, who are attend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n P city and utilized the ‘scale of parents’ recognition of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cale of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data and the Sobel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as the basic data, the levels of both mothers’ expected and recognized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have been on or above the average, and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expected by mothers ha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quality currently recognized by mothers. Second, there has been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mothers’ expected and recognized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and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Third,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mong mothers has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expected and recognized by mother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related to maternal perception of teacher qualifications and educational community, and discusses implications for parent and teacher education for improving teacher qualifications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와 영아 어머니의 역할 및 상호 관계에 대한 영아반 교사와 영아반 어머니의 인식

        김금옥 ( Kum Ock Kim ),이현옥 ( Hyun Ock L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만0세-만2세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와 영아 어머니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각자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영아반 교사-어머니 관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와 어머니의 협력적 관계형성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의 만 0-2세 담임교사 74명과 어머니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아반 교사의 인식에서 30세 미만의 교사가 보육과정 운영자, 자기 계발자의 인식이 높았고, 영아반 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보육교사 역할 인식이 높았다. 영아반 교사의 경력은 교사역할 인식에 유의한 차아를 보였는데 3-5년 미만의 교사들이 양육대행자에서, 1년 미만의 교사들이 보육과정운영자, 부모와의 협조 및 관계 형성자, 자기개발자에서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부모역할 인식을 살펴보면 부모의 연령, 학력, 취업여부에 따른 부모역할 인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교사의 영아반 교사-어머니 관계인식을 살펴보면 교사의 학력이 대학원 재학 또는 졸업일 때 협력이 높았으며, 교사의 경력이 3-5년 일 때 신뢰, 협력, 양육/교육에서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의 영아반 교사-어머니 관계인식을 살펴보면 어머니의 연령, 학력, 취업여부에 따른 영아반 교사-어머니 관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awareness of mothers with children aged between 0 and 2 and attending childcare centers by personal variables, the role awareness of teachers in charge of these children by personal variables, and their awareness of teacher-mother relationship in infant/toddler class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ole awareness of the teachers by personal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at aspect according to their age, academic credential and career. Second, concerning the role awareness of the mothers by personal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others in that aspect according to their age, academic credential and employment. Third, in relation to the awareness of the teachers on teacher-mother relationship by personal variab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credential and career. As to the awareness of the mothers on teacher-mother relationship by personal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others in that aspect according to their age, academic credential and employment.

      • KCI등재

        국내 거주 조선족 어머니의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이 자녀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오선영,한지수 한국아동권리학회 2023 아동과 권리 Vol.27 No.2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tendency of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among Korean-Chinese mothers living in South Korea. We examine whether the mothers’ awareness of child rights influences their implementation of child rights in a family context. We also test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se tendencies of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child rights depending on mothers’ characteristic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2 Korean-Chinese mother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Respondents were asked about their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Korean-Chinese mothers exhibited high levels of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However, the level of awareness was relatively low in the areas that emphasize children’s active roles including the child’s rights to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relatively low in the areas of care, participation, and respect for the views of the child. The mothers’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child right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age and length of stay in South Korea. The implementation level of child rights was higher when the mothers participated in parental education.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child rights, and the awareness level significantly predicted the implementation of child rights. Conclusions: The Korean-Chinese mothers should be supported so that they not only protect their young children to be safe and healthy but also understand and respect the children’s participatory rights. In order to improve the mothers’ implementation level of child rights,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mothers’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to consider their cultural background such as the length of stay in South Korea.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국내 거주 조선족 어머니의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 및 가정에서의 자녀권리존중 실행 수준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유아권리 인식이 자녀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어머니의 배경 특성에 따라 인식 및 실행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경기도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는 만 3~5세 유아의 학부모 중 조선족 어머니 152명을 대상으로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 자녀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국내에 거주하는 조선족 어머니의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 및 실행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유아의 능동적 권리를 강조하는 발달권, 참여권에 대한 인식과, 배려, 참여, 의사존중 영역에서의 실행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어머니의 인식 및 실행 수준은 어머니 연령과 한국 거주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부모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은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권리 인식은 자녀권리존중 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결론: 조선족 어머니들이 유아기 자녀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뿐만 아니라, 유아의 능동적인 권리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선족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을 함양해야 하며,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어머니의 한국 거주기간을 비롯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아동권리인식의 매개효과 -

        김정은,고관우 한국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3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있어, 양육효능감과 아동권리인식의 관계를 분석하고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아동권리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이끄는 선행요인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5세부터 10세 사이의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323명의 설문자료를 SPSS 29.0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교육 경험이 많을 수록 온정·격려 및 한계설정 양육행동과 양육효능감, 아동권인리인식 수준이 높았으며, 아동권리협약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온정·격려 양육행동과 양육효능감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온정·격려 및 한계설정 양육행동이 높아지며, 과보호·허용 및 거부·방임 양육행동이 낮아졌다. 또한 어머니의 아동권리인식은 온정·격려 양육행동 수준을 높이며, 과보호·허용양육행동을 낮추는 등 양육효능감과 아동권리인식은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양육행동을 수준을 높이고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아동권리인식은 온정·격려 양육행동에 부분매개하였고, 과보호·허용 양육행동에는 완전 매개하였으며 한계설정 및 거부·방임 양육행동에는 매개효과가 없었다. 즉 양육효능감은 아동권리 인식을 매개로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 수준을 높이고, 양육효능감이 낮더라도 아동권리인식을 매개로 부정적인 양육행동 수준이 낮아짐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 실천을 위해서는 양육효능감과 아동권리인식을 높여야하고 이를 위해 부모교육이 주기적으로 진행되고 특히 아동권리협약과 관련된 교육이 추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어머니와 중국어머니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양육실제

        문명희,유효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ctual parenting of Korean and Chinese mot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7 Korean kindergarten mothers in N province, Korea and 199 Chinese mothers at C·H·P kindergarten in Guangzhou, China. For this stud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arenting questionnaires modified by Lee(2004),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frequency, x₂verification, and T-test using SPS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mothers. In actual parenting, the study showed that Chinese mothers provide more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Korean mothers. Korean mothers turned out to be more desireable in 'gender roles' and 'ability' questions. 본 연구는 문화적 배경이 다른 한국어머니와 중국어머니간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양육실제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다문화 교육에 대한 비교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시 N구 W유치원 한국어머니 207명, 중국 광저우 C․H․P 유치원의 중국어머니 199명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어머니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와 한국과 중국어머니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양육실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정선희(1997), 하숙현(2000), 이미혜(2004)가 사용한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고, 수집된 연구 자료는 빈도와 x₂검증,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은 한국어머니와 중국어머니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어머니가 더 높게 인식하였다. 다문화 교육에 대한 양육실제에서는 중국어머니가 한국어머니보다 다문화 교육에 대한 양육을 더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머니는 ‘성역할’, ‘능력’ 문항에서 바람직하게 실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유아교사-어머니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상호인식

        김순환(Kim Soon Hwan),김하진(Kim Ha Jin),나원정(Na Won Jeo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어머니 관계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어머니 유형별 어려움(발생빈도 인식, 스트 레스 정도)과 어려움의 차이를 교사변인과 부모변인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 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영유아를 담당하는 교사 32명과 이들 교사의 학급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 머니 61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용, 교사용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는 극성형 어머니유형에 대해 어머니는 방임형 교사유형에 대해 어려움을 빈번하게 인식하였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꼈다. 변인별로 첫째, 교사 변인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을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 경력이 2년 이 상 5년 미만과 10년 이상의 교사 집단이 보다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측면에서는 보육교사 양성원을 졸업한 교사가 전문대학 및 대학교 이상을 졸업한 교사보다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연령이나 결혼여부는 교사의 발생빈도인식과 스트레 스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어려움을 알아본 결 과,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교육기관 경험이 세 군데 이상일수록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 났다.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은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어머니가 직업이 있는 경우 교사와의 관 계에서 어려움을 보다 자주,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상호어려움에 있어서는 유아교사가 어머니보다 어려움을 보다 빈번하게 인식하였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꼈다. 교사와 어머니의 관계에 나타난 어려움의 경우, 특정 교사 및 어머니 유형별 교사-어머니 관계에서 어려움을 더 빈번하게 또는 스트레스를 더 많이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iculties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mothers face in a dyad relationship, the difference in their mutual perceptions and details concerning the problems. In this regard we looked into the mutual difficulties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mothers engaged in a dyad relationship with diverse personal variables. The respondents were 61 mother-early childhood educator pairs from two kindergartens and one day-care center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Thirty two early childhood educator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and to solicit two mothers in their classes, the first two in alphabetic orders of children per class, to participat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parate questionnaires for each group. The research was measur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about Parents(QTP) by Prakke, Peet, & Wolf(2007)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difficulties Dut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ce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interpreted then modified to fit the actual circumstances of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term ‘parents’ was modified to ‘mothers’. Then we newly developed a questionnaire for mothers based on the modified Korean QT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arly childhood educator variables, day-care center teachers felt greater difficulty facing mothers compared with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felt more difficulties than those who had less than two years of work experience. Those who studied at Caregiver Training Centers felt more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than those who studied at Colleges or Universities. However, the teacher's age or marital status did not affect the relationship. Second, in terms of mother variables, when the age of the child was younger, and when the child has experienced more than three institutes, the mother felt mor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Mother's age or academic background did not affect the relationship, but working mothers felt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more often and more strongly than stay at home mothers. Third, in terms of mutual difficulties,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felt difficulties more often and more strongly than the moth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difficulties that mothers and teachers perceive in their relationship generally. As for teachers they did not only perceive difficulties with mothers in general, but also felt the difficulties accordingly with types of problematic mother behavio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s we found that teachers felt much more difficulties than mothers, methods to resolve the teachers’ problems should come first to improve and support the relationship. And as we found that teacher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felt more difficulties, support towards novice teachers should not stop, and persistently be given even to teachers who have career experience.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실행에 미치는 영향

        정희정 ( Chung Hee-j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소재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21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t 검정 및 일원변량분석, Scheffe의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머니의 연령, 학력, 가정 월소득에서 차이가 있었고, 어머니의 실행은 어머니의 연령, 가정 월소득, 유아의 연령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유아의 일반적 배경을 통제했을 때 어머니의 애정적, 자율적, 통제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통제변인인 어머니의 연령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어머니의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거부적 양육태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 자율적 태도가 유아의 놀이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태도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mot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children's right to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14 mothers of children aged 3-5 years who attend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Scheffe's post-test,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6.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to play was different in the mot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mother's performance was different in the mother's age, household monthly income, and infant's age. Second, when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mother and infant was controlled, the mother's affectionate, autonomous, and controlled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other's perception of the infant's right to play, and the mother's age, the controlling variable, had a negative effect. In addition, the mother's affectionat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other's implementation of the rights of infants, and the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negative effect.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the affectionate, autonomous attitude among mothers' parenting attitudes is the most important attitude that influences the mother's perception and execution of children's right to play.

      •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인식, 놀이참여가 유아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진희(Kim, Jin Hee) 한국부모교육학회 2020 부모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인식, 놀이참여 및 유아행복감에 대한 관계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에 위치한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의 자녀를 둔 어머니 34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자료처리는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인식과 놀이참여도, 유아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 One-way ANOVA검증 및 Duncan 사후검증을 하였다. 또한,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인식, 놀이참여, 유아행복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인식과 유아행복감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연구 결과, 어머니의 인식 하위 요인 전체는 유아 행복감 하위 요인 전체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놀이참여와 유아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에서도 어머니의 놀이참여 전체와 유아행복감 전체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인식에서 실외놀이, 놀이안전, 놀이시간은 유아의 행복감에 유효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놀이참여는 신체놀이, 역할놀이가 유아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mother s awareness of infants right to play, participation in play, and the sense of infant s happi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347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in Jeollanam-do. The data processing of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test, one-way ANOVA verification and Duncan post-verification to see if there was any difference between mother awareness, play participation, and infant s sense of happiness based on the mother 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background. In addition,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wareness, play participation, and the sense of infant s happiness with the right to play, an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a medium-term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udy, whi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s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and the infant s happiness, showed that the whole sub-factor of the mother s perception had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whole sub-factor of the infant s happiness, and the study on the mother s participation in play and the impact on the infant s happiness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whole mother s play participation in play and the infant happiness. In other words, outdoor play, play safety, and play time were found to have a valid impact on the happiness of infants in the mother s awareness of their right to play. And the mother s participation in play was shown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physical play and role play,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appiness of infants.

      • KCI등재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기질 및 상호작용이 어머니와 만 2세 자녀의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고지민 ( Ji Min Ko ),김희진 ( Hee Jin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1

        In this writing, I am analyzing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wo-year-old child in their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observe how one reacts to the other`s needs in their interaction, and to study the responsiveness between them and how mother` perceived power, the mother` temperature and toddler` temperature affect their responsiveness is to b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this I keep in mind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What is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wo-year-old child in their interaction? 2. How the mother` perceived power,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toddler` temperature affect a mother` responsiveness? 3. How the mother` perceived power,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toddler` temperature affect a toddler` respons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mothers and their two-year-old toddlers in middle class families in seoul. The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the criterion of mother`s and child`s responsiveness developed by Gates(2007) and the variables on the component of mother`s perceived power, the mother` and the toddler` temperature were analyzed by. The study generally shows tha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in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oddler, they have an influence on each other. Secondly, as far as the mother` and the toddler` temperature, mother` perceived power commutatively affect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wo-year-old child. That is, mother who recognized that they have the perceived power adequately mediate between two parties and highly responsive to their parties. and mother` effortful control and toddler` negative affectivity positively and negatively affect a mother and toddler` responsiveness in the interaction. That is, moth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and toddlers who have less effortful control, moth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and toddlers who have more negative go a interactive way with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oddler. 본 연구는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어머니와 자녀의 기질 및 상호작용이 어머니와 자녀의 반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걸음마기(만 2세) 자녀 36명과 그들의 어머니 36명으로 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Gates(2007)의 부모 반응성 범주에 기초한 어머니의 반응성과 자녀의 반응성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행과제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에서의 반응성은 어머니와 자녀 측면에서 모두 분석되었으며,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어머니와 자녀의 기질은 질문지를 통해 측정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 반응성과 자녀 반응성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반응성과 자녀의 반응성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자녀에 관련된 변인들은 상호작용이나 관계에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머니-자녀간 상호작용의 반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질 중에서 어머니의 조절능력, 자녀의 부적정서는 어머니와 자녀의 반응성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절능력이 높은 어머니와 조절능력이 낮은 자녀, 조절능력이 높은 어머니와 부적정서가 높은 자녀인 경우 반응성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