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의 질과 유아학습, 학부모 이용만족 및 추천의도 간의 구조관계

        장명숙 ( Myung Sook Jang ),김판희 ( Pan He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질과 유아학습, 학부모 이용만족 및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린 이집의 질과 학부모 추천의도 간의 관계에서 유아학습과 학부모 이용만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P시에 거주하는 어린이집 학부모 380명과 어린이집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의 질과 유아학습, 학부모 이용만족 및 추천의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 된 자료를 구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집의 질과 유아학습, 학부모 이용만족 및 추천의 도 간의 구조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어린이집의 질, 유아학습, 학부모 이용만족 모두 추천의도에 직접 영향을 주며, 그 가운데 유아학습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의 질과 학부모 추천의도의 관계에서 유아학습과 학부모 이용만족이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린이집의 질은 학부모 추천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주지만, 유아 학습과 학부모 이용만족을 통해서 간접적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부모 추천의도 향상을 위해서는 어린이집의 질뿐만 아니라 유아학습과 학부모 이용만족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부모 추천의도를 높이기 위해, 유아학습과 학부모 이용만족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활동과 노력을 실천하는 어린이집의 질의 관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ay care center quality, preschoolers`` learning, parents`` satisfaction and parents`` recommendation of the day care center, and to verify that preschoolers`` learning and parents``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y care center quality and parents`` recommendation.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80 parents and 20 day care center teachers in P city using the checklists for day care center quality, preschoolers`` learning, parents`` satisfaction and parents`` recommend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 and AMOS 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day care center quality, preschoolers`` learning, parents`` satisfaction and parents`` recommenda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the three variables. preschoolers`` learning affected parents`` recommendation the most.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day care center quality and parents`` recommendation, preschoolers`` learning and parents`` satisfaction acted as significant mediators.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day care center quality not only directly affected parents`` recommendation but it also exerted indirect influence mediated by preschoolers`` learning and parents``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efforts such as managing day care center quality to facilitate young children``s learning and development to increase parents`` recommendation and the viability of a day car center.

      • KCI등재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 관점의 평가

        이은해,최혜영,박주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 관점의 평가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며, 부모 평가가 프로그램의 전반적 질, 가정과 어린이집간의 협조, 그리고 아동 및 교사 변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6개 어린이집과 각 기관에 재원 중인 영유아의 부모 20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 관점의 평가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평가와 만족도는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5개 하위 영역 중 학습환경 영역과 의미 있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다양하고 부모가 어린이집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수록, 그리고 가정과 어린이집 간에 긴밀하고 다양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질수록 어린이집에 대한 부모의 평가가 긍정적이었다. 그 외에도 아동이 어린이집에 다닌 기간이 길수록 교사의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부모의 평가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valuation of day care programs and experts' evaluation of the same programs. A total of 202 parents of young children enrolled in 6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gi-Do, Korea completed the parent evaluation questionnaire. Items i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categories. The first dealt with parents' evaluation of day care programs in terms of their children's enjoyment at the center and the behavioral changes they observed in their children (6 items), parents' opinion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day care center in which their child was enrolled (10 items). The second concerned parental involvem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er and parent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enter. The experts' evaluation of the same programs was carried out by trained observers using the Observation Scale for Day Care Programs (Rhee, Song, Shin, Choi, 2001).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s.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evaluation of day care programs was positive in general, with an indicating mean of 2.5 for children's enjoyment at the center and behavioral changes, 2.6 for parents' opinions and general satisfaction of daycare center. Second, parents' opinion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ir daycare center related positively to the quality rating of the classroom's learning environment. Third, parents' evaluation of daycare programs related positively to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enter, to the degree of parental involvement, and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er and parents. Fourth, the longer the children attended a center, the more positive were their parents assessments of that center. Parents' opinions and satisfaction was more positive as the age and experience of the teachers increased.

      • KCI등재

        가정어린이집 교사의 열린어린이집 부모참여의 인식 탐색

        강현경(Kang, Hyun-K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열린어린이집을 시행하고 있는 가정어린이집 교사가 어떠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부모참여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교사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인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K시에 있는 가정어린이집 1곳의 교사 4명과 5개월 동안 총 9회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교사들은 이해가 부족한 부모, 행사준비에의 수고로움, 또 이에 따른 처우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어려움으로 호소하고 있었고, 그럼에도 열린어린이집을 함으로써 부모의 참s여 권리가 충족되고, 영아들이 더욱 다양한 경험을 하며, 교사 자신도 발전하게 되는 긍정적인 부분을 깨닫고 있었다. 더불어 교사들은 활동에 이어 평가를 꾸준히 하면서 개선을 위한 실천적 노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성화에 긍정적으로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erception of the household day care center’s teachers on parental participation while operating open day care center program. To complete this purpose, 4 teachers in a day care center were interviewed 9 times for 5 months. As a result, teachers were in trouble because of ‘misunderstanding parents, hardships of preparation, and no cost according to the difficulties’, they found any beneficial parts like ‘fulfillment of parents’ authority to see, various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 effective progress of teacher themselves’, finally they have tried to ‘practical trial to improve after having any assessment time’.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positiv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open day care center.

      • KCI등재

        어린이집 원장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장효정(Jang, Hyo-Jung),강성순(Kang, Seong-Soon),권정옥(Gwon, Jeong-O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29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느 정도이며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회복탄력성과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 어린이집 원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들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이상이었는데 어린이집 유형, 재직 유형, 기관 위치, 학력, 유아교육 전공 여부, 어린이집 정원, 어린이집 교직원 수, 월 평균 보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들의 회복탄력성은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감정조절력은 직무스트레스의 모든 하위변인에 영향력을 나타냈다. 원인분석력은 원장으로서의 직업스트레스, 공감능력과 자아확장력은 교사 관리에 대한 스트레스에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시시각각 변화하는 보육현장에서 원장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여 자신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다각적인 지원 방법 및 연구의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job stress day care center directors are under, whether they vary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ay care center directors,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day care center directors was above averag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day care center, the type of employment, the location of the center, educational background, whether t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apacity of the daycare center, the number of day care center faculty, and the monthly average salary. Second, the resilience of daycare center directors was relatively hig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Third, among the sub-variable of resilience, emotional control has shown influence on all sub-variables of job stress. Cause analysis was influential in job stress as a director, and empathy and self-expansion were influential in managing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ill be provided as useful data for research on multilateral support methods so that daycare center directors can reduce job stress and positively play their roles in the ever-changing day care field.

      • KCI등재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에 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박진아 ( Jin Ah Park ),이경숙 ( Kyung Sook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아동학대 관련 경험, 아동학대 증가 및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상담 및 상담 기관에 대한 요구도는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어린이집 원장 및 보육교사 7명이며, 연구방법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관련경험은 목격 경험이 있으나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학대 사례 판정과정은 체계적 조사부재·장기간 시간 소요·아동학대 판정기준 모호함·보육현장 고려한 전문가 부재 의미범주로 구분되었으며, 아동학대 신고 전 보육교사와 부모 간 의견 조율 조정기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증가에 대한 인식은 직업정체감 혼란 및 직무만족도 저하, 아동학대 관련 과도한 심리적 부담감 및 좌절감, 아동학대 정의 및 범주의 모호성으로 인한 보육의 어려움의미범주, 셋째, 아동학대 발생 원인은 보육교사 요인, 영유아 요인 및 부모 요인 의미범주, 넷째, 아동학대 관련 상담 요구도는 보육교사, 영유아 및 부모를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 영유아발달상담전문요원의 보육관련 심리지원, 보육교사 권리보호 지원 의미범주, 다섯째, 아동학대 관련 상담기관 요구도는 보육교사 아동학대 전담 상담 기관 신설 및 형태 의미범주, 마지막으로 아동학대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한 조치는 보육현장을 고려한 아동학대 예방 교육, 보육교사 간 내부모니터링 체계 구축, 보육교사 자격정지 및 법적조치 의미범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n in-depth examination of child abuse experience at day care centers, perception of increase and cause of child abuse by day care center teachers, and teachers’ need for counseling and a counseling center to prevent and eliminate child abuse.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a director and seven teachers of a day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interviewees had experience of witnessing child abuse and taking no actions. Problems with assessment of child abuse cases included lack of systematic investigation, a long period of evaluation, unclear standards for assessment of child abuse, and absence of expertsspecialized in child care. It was also found that a mediating organization was required to arbitrat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before child abuse cases were reported. Second, perception of increase in child abuse cases among teachers included confusion of job identity, decline of jab satisfaction, excessive psychological burden and frustration regarding child abuse, and difficulty in child care due to unclear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hild abuse. Third, cause of child abuse included teacher factors, child factors, and parent factors. Fourth, need for counseling regarding child abuse included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for teachers, children, and parents, psychological support for child care by child development and psychology experts, and protection of rights of teachers. Fifth, need for a counseling center about child abuse included establishment of a counseling center specialized in child abuse by day care center teachers. Finally, measures to prevent and eliminate child abuse included training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of child care services, installation of the internal monitoring system among day care center teachers, and suspension of and legal regulation against teachers involved in child abuse.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경험 탐색

        최이수 ( Choi Yi-soo ),권경숙 ( Kwon Kyung-soo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원장을 대상으로 민간과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을 결정하게 된 동기는 무엇이며 국공립어린이집 전환과정과 이후 어린이집을 운영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는 국공립전환 경험이 있는 어린이집 원장 1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에서 2020년 2월까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을 결정하게 된 원장의 전환 동기는 기존 민간ㆍ가정어린이집 운영유지의 어려움, 국공립어린이집에 대한 사회적 기대로 나타났다. 둘째, 국공립어린이집 전환 전ㆍ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어려움은 초임 국공립 원장의 운영관리에 대한 어려움, 국공립어린이집 체계에 대한 적응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질 높은 국공립어린이집 운영과 국공립전환 정책의 바람직한 정착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tivation behind the decision of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regarding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conversion from private.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to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was observed, and also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running the daycare centers afterward.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October 2019 and February 2020 with 10 headmasters of daycare centers with experience in national and public conversion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existing private and family daycare centers, anxiety about changing childcare policies, and expectations for the status of state-run daycare centers were the motivation of the director in deciding for the conversion. Seco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concerning the transition to a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center were expressed as the difficulty of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as the first director of a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center, and the difficulty of adjustment to the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center system.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higher-quality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the desirable settlement of national and public transition policies, by examining the motive behind the decision of the headmasters of daycare centers to convert to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operating daycare centers afterward.

      • KCI등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의 유아영어교육방법과 유아영어교사의 실태

        김민화,유연옥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4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영어교육방법과 유아영어교사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D시에 위치한 사립유치원교사 90명과 어린이집의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지 총10문항이며 유아영어교육방법으로는 실시횟수, 수업시간, 실시형태, 프로그램준비, 교육내용, 교수방법이 포함되고 유아영어교사에는 전공, 유형, 요구되는 자질, 만족도가 포함된다. 자료분석은 설문지 문항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영어교육방법의 하위요인별 실태는 다음과 같다. 유아영어교육의 주당 실시횟수는 유치원에서는 주 4회, 어린이집에서는 주 2, 3, 4회 많이 실시하고 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외부에서 도입된 프로그램으로 1회당 20-30분씩 일과 중 대그룹으로 실시한다가 가장 높았다. 유아영어교육 내용은 유치원에서는 단어 및 알파벳 듣고 말하기이며, 어린이집에서는 이야기 중심(스토리텔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영어교수 방법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에서 노래·챈트·손유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영어교사의 하위요인별 실태는 다음과 같다. 유아영어교육 담당교사는 두 집단 모두 영어전공의 한국인 외부강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요구되는 교사의 자질로는 유치원에서는 유아교육과정과 유아발달에 관한지식. 어린이집에서는 유아영어교육 이론과 실제 교수방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영어교사에 대해 두 기관에서 각각 약 60%가 만족한다고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유아영어교육방법과 유아영어교사에 대해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고 유아교육 내에서 효율적인 유아영어교육의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tual practices of young children's English education method and English teacher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90 kindergartner's teachers and 100 day 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by completing questionnaires.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English education method(time of class, class type, program, contents, teaching method, etc.) and English teacher(major, teacher type, qualification, satisfaction, etc.). Frequency and percentil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 results of actual practices of english education method indicated that kindergarten classrooms who carried out English classes 4 times a week and day care centers carrying out English classes two to four times a week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rates. Both of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groups carried out 20 to 30 minutes English based curriculums. Listening and speaking words and alphabets were preferred in kindergartens and storytelling was preferred in day care centers as contents of English education. Singing·Chant·'Finger-movement as teaching method was preferred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Second, in regarding for English teacher for young children, both of these institutes consisted of Korean teachers who majored in English in College, and satisfied for english teacher about 60%. Required English teacher's with qualification were the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development in kindergartens and theory and teaching method of young children's English in day care center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to opportunity for reflective thinking and to prepare the effective alternatives for young children's English education based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보육교사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운영주체에 따른 보육교사의중요도 인식 비교

        전윤숙 한국보육학회 2017 한국보육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daycare teachers by the nursery school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For this purpose, 35 public and private daycare center, home daycare centers and corporation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randomly sampl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30 sub - elements based on 45 sub - competency unit elements extracted from 12 areas of job ability of the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Fin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17 questionnaires of 28 national daycare teachers, 30 private daycare teachers, 30 home daycare teachers, and 29 corporation daycare teacher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among the four groups in all 12 performance capability units. For the 12 job performance units, the importance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corporate daycare center, national daycare center, home daycare center, and private daycare center. Among them, "Establishment of Child Care Center Management Policy", "Construction of Child Care Service", "Child Care Activity Management", "Infant and Child Playing Guide", "Body and Art Activity Guidance", "Language, Nutritional guida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orporate daycare teachers and national daycare teache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ational daycare teachers and home daycare teacher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corporate daycare teachers and home daycare teachers..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between home daycare teachers and private daycare teachers. In the remaining five job competence units, "Child Care Assessment", "Support for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the Home and Community", "Child Care Management", and "Child Care Research", corporation daycare centers, national daycare cente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ivate daycare teachers. Also this tendency was consistently observed in 45 sub-capacity unit elements.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 제시하고 있는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어린이집 운영추체별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 교사 각 35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무능력단위 12개 영역에 근거하여 추출된 45개의 하위 능력단위요소를 토대로 작성된 하위요소 230개를 문항으로 작성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 28명, 민간어린이집 교사 30명, 가정어린이집 교사 30명, 법인어린이집 교사 29명 총 117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가지 모든 직무수행능력단위에 있어 네 집단 간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12가지 직무수행능력단위에 대하여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순서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중, 「어린이집 운영방침 수립」, 「어린이집 활경구성」, 「보육활동운영」, 「영유아 놀이지도」, 「신체·예술활동지도」, 「언어, 수·과학활동지도」, 「건강·안전·영양지도」의 일곱 가지 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교사와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며, 국공립어린이집 교사와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법인어린이집 교사들과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어린이집교사들과 민간어린이집 교사들 간에도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다섯 가지 직무능력단위인 「보육평가」, 「영유아발달지원」, 「가정·지역사회와의 협력」, 「보육운영관리」, 「보육연구」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민간어린이집 교사들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가지 하위 능력단위요소에 있어서도 이러한 경향은 일관되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소방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최종문 ( Cho Jong Moon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6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9 No.-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어린이집 소방안전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고 교직원, 부모, 영유아들이 화재발생에 체계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개발과정은 어린이집 소방안전교육과 관련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기초로 1차 교육 목표와 내용을 선정하였고, 2차에서 교사 및 부모대상 어린이집 소방안전교육프로그램 인식 및 요구 조사결과와 유아교육 전문가2인, 유아교육박사과정 5인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 보완 후 최종 어린이집소방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결론은 첫째. 어린이집 화재사고 예방을 위해 영유아기때부터 소방안전교육을 통해 화재안전의식을 고취와 화재위험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습관화되도록 하는것과 둘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소방안전교육 뿐만 아니라 부모,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방안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하였다. This program aimed to recognize importance of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for the day care center, and develop a program enabling school personnel, parents and infants to cope actively and systematically with outbreak of fire. As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is study selected educational objectives primarily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dvanced studies related to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for the day care center, and developed final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the day care center secondly after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by reflecting results of survey on the teachers’ and parents’ awareness and about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the day care center and opinions from 2 preschool education specialists and 5 persons who are in the doctoral course of preschool education. Accordingly, the conclusions are first, this study aimed to instill safety consciousness against fire through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for preventing fire accident in the day care center and make it a habit to copy with fire risk promptly from early childhood and second, this study also aimed to develop a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program not only for infants but for parents and teachers.

      • KCI등재

        보육서비스의 질이 학부모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유정(Jung Yu-Jeong),박경일(Park Kyung-Il)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2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어린이집의 학부모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서비스의 질 구성차원과 영향력이 어떤 것인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 평가인증 어린이집 11개소의 학부모이고 서비스 질의 구성차원은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 전문성, 안전성, 접근성 8가지 차원이며 학부모 충성도는 종속변수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영유아를 보내는 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의 질은 4.23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고, 서비스 질 수준은 확신성과 안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부모충성도는 평균 4.29로 매우 높은 충성도를 보였다. 또한, 어린이집의 서비스 질이 학부모 충성도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69.8%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부모충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보육서비스 질 차원은 신뢰성과 접근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부모의 충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육교사는 가장 우선적으로 학부모에 대해 교사들이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고, 지속적인 시설환경 개선과 학부모의 요구에 즉각적이고 신속하게 대응을 해 주어야 하고, 부모가 안심하고 영유아를 맡길 수 있도록 확신을 주고, 영유아에게 개별적으로 관심과 사랑으로 신경을 써 주어 학부모들이 교직원들을 믿고 맡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care service quality on parent’s loyalty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the day-care centers.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parents from 11 certified day-care centers, and the study factors of care service quality were 8 dimensions, configuration, reliability, responsiveness, confidence, empathy, professionalism, safety, accessi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quality of infant care services of day-care centers turned out to be very high, 4.23, and the parent’s loyalty to the day-care centers was also quite high, 4.29.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service quality dimensions to the loyalty was the ‘Responsiveness’, followed by ‘Conviction’ ‘Accessibility’, ‘Empathy, ‘reliability’. Overall, high quality child care services described the parents’ loyalty to the centers, which was 69.3%. Based on the result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fant-care-service and parent’s loyalty to day-care centers, especially teachers in day-care centers should provide the truth, and day-care centers should increase responsiveness by reacting the parent’s request immediately, enhance parent’s relief on leaving their infants in the centers, continue to improvement the center environment, treat each infant with sympathy and love, and increase parent’s reliability for by keeping their prom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