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이론고찰 : 압축적 근대성과 압축적 개인화 논의를 중심으로

        유한희(Han Hee Yoo)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5 아시아여성연구 Vol.54 No.2

        본 논문에서는 한국가족연구의 이론적 쟁점을 근대성과 개인화의 두 축에서 검토하였는데, 지난 수십 년간 서구 이론과 서구의 학문적 성과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한국가족 연구와 그 이론화를 고찰하였다 본고는 장경섭의 압축적 근대성과 홍찬숙의 압축적 개인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검토결과 두 학자의 개념은 서구 이론의 근대성과 개인화 논의를 거의 그대로 수용한 측면이 있고, 그로 인해 한국의 가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부분적으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즉, 이들 이론은 서양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이론을 한국가족에 적용하면서 일어날 수밖에 없는 과도한 이론적 차용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경험적 연구 축적을 통한 가족 이론의 발전을 저해하는 한편 한국 가족에 대한 실증적 분석 작업도 어렵게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상대적으로 낮은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가율이나 가족의 독특한 연결방식과 같은 한국적 특성을 비롯해 한국의 전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폭넓은 가족연구의 이론화를 모색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제안하였다. In this article, I review two theoretical approaches in Korean family studies: compressed modernity and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I conclude that import of western theories in Korean family studies has made theoretical research focus on the western academic results over the several decades. This trend is well illustrated by the two leading concepts of two Korean scholars: compressed modernity(Chang, Kyung-Sup) vs. compressed individualization(Hong, Chan-Sook). The two theories do not originate from the Korean society, rather being modified versions of the western theories. The western theory has been developed historically with communications among western scholars. However, the Korean studies applied the western theory without empirical testing of its applicability. Empirical research in Korea have been accumulating steadily since the 1960’s in Korean family studies, but Chang and Hong preferred applying western theories to conceptualizing their own. It should be analyzed by the empirical studies why the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is still low. Theoretically, the principle of the traditional family also should be reexamined as one of the fundamental factors for constituting the present family in developed Korean society.

      • KCI등재

        ‘위험회피’ 시대의 사회재생산 : 가족출산에서 여성출산으로?

        장경섭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3

        이 글은 21세기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초저출산, 만혼⋅비혼⋅이혼의 급증 등 다양한 가족·인구적 격변상을 경제와 사회의 기본적 재생산체계상의 위기로서 설정하고, 이러한 위기가 한국사회의 가족중심적 근대성(산업자본주의화) 및 이차근대성(신자유주의 세계화)에 맞물려 나타남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압축적 근대성으로 요약되는 급격하고 복잡한 역사적 변화가 가족중심적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거시 정치경제 질서에 배태된 갖가지 경제·사회·심리적 위험의 가족화가 이루어짐으로써 한국인들은 갈수록 가족관계를 위험관리(risk management) 차원에서 조절해야 할 필요성에 직면하게 되었다. 특히 지난 세기말 경제위기 이후 가속화된 경제체제의 구조적 불안정화 및 이에 맞물린 만성적인 사회·생태적 위기에 직면한 한국인들이 개인과 가족의 삶에서 광범위한 ‘위험회피(risk aversion)’적 행태를 보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재생산체계 전체의 위기가 전개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이러한 방향의 연구는 사회재생산 추세를 구성하는 가족·인구적 현상들의 분석에 있어 지역·계층별로 생활세계와 정치경제의 상호작용이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야 할 필요성을 내포한다. South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has confronted extremely low fertility, drastic increases in late marriage, singlehood, and divorce, and a host of other radical familial and demographic changes. These symptoms, constituting a fundamental crisis in the basic social and economic reproduction system, are manifested as a consequence of the society's family-centered modernity(capitalist industrialization) and second modernity(neoliberal globalization). As the extremely fast and complex social changes, explainable as compressed modernity, have occurred in a highly family-centered way, various economic, social, and psychological risks embedded in the macro political economic order have been familialized. In this context, most South Koreans have increasingly faced a need to deal with family relations in terms of risk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accelerated structural instability of the economic system and the accompanying social and ecological crises since the national financial crisis of 1997-98 have induced widespread behaviors of risk aversion in South Koreans' familial and individual life, which apparently prefigures a wholesale crisis of the entire social reproduction system. These trends seem to indicate a necessity that, in analyzing familial and demographic phenomena that constitute social reproduction tendencies, we should illuminate in detail how life world and political economy interact for different regions and classes.

      • KCI등재

        청소년기의 사회각축장화 - 한국의 압축적 근대성과 청소년 : 청소년기의 사회각축장화

        장경섭(Chang Kyung-Sup) 한국가족학회 2006 가족과 문화 Vol.18 No.4

        이 논문은 한국의 청소년기를 근대성, 특히 한국 특유의 ‘압축적 근대성’을 배경으로 하여 가족과 사회에서 청소년 지위의 구조적 전환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압축적 근대성은 청소년기의 ‘사회각축장’(socially contested terrain)화를 야기했으며, 이로 인해 주류 사회ㆍ정치적 담론에서 청소년 문제는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다루어지기보다는 여러 사회주체들의 이해와 이념을 반영해 다반사로 왜곡되었다. 이 가운데, 학교를 주축으로 한 국가-학교-가족의 동맹적 청소년기 관리체계는 한국의 산업화 시대를 구가하였으나 세기말의 급격한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변화의 격랑 속에서 심각하게 약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새로운 경제개발 패러다임으로서 추진된 정보화는 인터넷 등 새로운 정보통신공간의 확산을 통해 청소년 집단으로 하여금 주도적 소비집단, 창조적 문화집단, 진보적 정치집단으로서의 중대한 입지를 차지하도록 만들었다. 청소년들의 이러한 사회적 입지 확립으로 청소년기에 대한 학교의 영향력이 결정적으로 감소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한국의 정치ㆍ사회 질서 자체가 개혁적으로 재편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21세기 한국의 청소년기는 한편으로 국가-기업-매체로 구성된 정보화동맹과의 밀접한 상호작용 속에 전개되고 다른 한편으로 국가-학교-가족의 학력동맹이 갖고 있는 잔존 영향력에 여전히 노출됨으로써 매우 복잡한 변화를 겪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puberty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structural transitions of the familial and social status of youth under compressed modernity. In South Korea, compressed modernity has involved a process which makes puberty a socially contested terrain. Consequently, in mainstream social and political discourse, the youth issue has not been dealt with transparently or objectively, but frequently distorted reflecting interests and ideologies of various social groups. Among others, the puberty regime managed by the state-school-family alliance pivoting around public education was predominant in the industrialization era, but its efficacy has been critically declining under the tumultous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transformations at the turn of the century. In particular, informatization, while pursued as a new developmental paradigm, has enabled youth to occupy a crucial position as main consumer, cultural creator, and progressive citizen on the basis of newly established and expanded spac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 including, above all, internet. This social empowerment of youth has dealt a critical blow to the authority of school, and even triggered progressive reforms in the political and social order. In the early 21st century, puberty in South Korea undergoes extremely complex transitions as it closely interacts with the informatization alliance of state-industry-media, on the one hand, and is still exposed to the lingering influence of the schooling alliance of state-family-school,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한국 스포츠문화의 고민거리: 승부조작과 한국적 문화지형과의 관계성

        김영갑 한국체육철학회 201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는 승부조작의 발생원인을 한국적 문화지형과의 관계적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 승부조작 근절을 위한 문제의식을 제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승부조작의 영향요인인 한국적 문화지형은 경제적 지형과 교육적 지형으로 설정하였다. 경제적 지형은 압축적 근대성장에 내재된 성장제일주의가 스포츠문화에 이식되는 과정에서 승리제일주의로 합리화되었고, 승부조작을 야기하는 보편화된 신념으로 자리하게 됨을 강조하였다. 또한 교육적 지형으로써 신자유주의에 주목하였는데 경제적 효율성에 강조를 둔 신자유주의식 교육체제가 학교교육, 학교체육, 학생선수의 위기를 초래하였고, 스포츠교육도 효율성에 기반한 전문성만을 강조한 결과 승부조작을 근절시키지 못하는 선행변수임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승부조작과 한국적 문화지형과의 관계성 논의에 기초하여 승부조작 근절을 위한 문제의식을 제기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우선 경제적 지형인 압축적 근대성장에 의한 성장제일주의와 스포츠문화의 승리제일주의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기 위한 의식전환이 우선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적 지형인 신자유주의식 교육시스템이 다양한 교육위기를 유발시켰기 때문에 승부조작과 관련해서는 지도자 및 학생선수의 윤리교육을 도입하여 실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causes of matching fixing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 with Korean culture formations and to raise a critical mind for rooting out match fixing. Korean culture formations, a factor which had an effect on match fixing, was classified into economic formations and educational formations. Economic formations emphasized that it caused match fixing that growth first ideology by the velocity inherent in compressed modern growth was rationalized by victory first ideology. Educational formations rechecked that neo-liberalistic educational system emphasizing economic efficiency was a cause of match fix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critical mind to escape from Korean growth first and victory growth first. In diverse kinds of educational crisis by neo-liberalistic educational system which is a Korean educational formation, it is necessary to practice leaders and student players' moral education in advance to root out match fixing.

      • KCI등재

        1980년대 이후 한국사회 비판적 가족담론의 변화: 비동시성의 동시성

        김혜경(Kim, Hye-Kyung) 한국가족학회 2012 가족과 문화 Vol.24 No.4

        이 글은 1980년대 중반 이후 한국 가족연구의 변화 경향을, 시대적 배경과 관련하여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론은 문헌연구로서, 가족사회학, 여성학적 가족연구 등 사회과학적 분야를 주요 대상으로, 1차적으로는 단행본을 중심으로 하고, 2차적으로는 학술저널을 검토하였다. 학술저널은 가족연구 전문지이며 투고자의 분야가 비교적 포괄적인 『가족과 문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 사회에서 비판적 가족론의 흐름은 1980년대 후반의 마르크스주의적 가족론을 거쳐 1990년대 전반기 본격적인 여성주의 가족론으로 진화했으며, 90년대 중반 이래 후기근대적 서구 가족연구의 소개와 함께 근대성의 문제틀이 새롭게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세 가지의 접근은 거의 동시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90년대 거의 십년간을 통해서 상호중첩적인 전개를 보이고 있었다. 90년대 말 이후로는 이혼률 증가와 출산률 저하에 대한 인구학적 위기담론이 가족해체론으로 연결되면서 비판적 가족연구의 지성사는 정책 담론으로 협소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2000년대 이래 현재까지 신자유주의적 경제위기가 장기화되면서 미혼화, 저출산 등의 가족변화 현상은 대중적인 정책담론의 틀을 넘어서서 후기 근대적인 위험사회의 개인화라는 지구적인 경향, 한국사회의 압축적 근대화의 경험과 관련하여 재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80년대 이래 한국가족 연구의 중층적 경향은 근대와 탈근대의 압축적 근대성, 비동시성의 동시성이라는 용어로 요약될 수 있다. This study is a review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family theories and the family researches in Korea, focussing on discourses in the field of the family sociology and the feminist study on family from the latter of 1980s to the present. It covers the academic books and journal articles on the issue like family and culture, and also includes the books published outside the academia when those have the meaningful influen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rends of critical discourses on the family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Marxist family perspective through the end of the 1980s to the early 1990s, to the feminist approaches of 1990s, and nearly at the same time have witnessed the introduction of the postmodern perspective on the family. Meanwhile since the end of the 1990s the critical theories of the family has been contracted at the sight of the increasing divorce rate and the decreasing birth rate which were regarded as the sign of the family disorganzation, resulting the blooming of the policy-related family studies and withering of the radical perspectives. But continuing instability of the economic situation which has been started by the financial crisis of East Asia from the end of 1990s made it possible to integrate the theory of risk society and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into the field of family study. It meant that the Korean familial researches began to interpret the family experiences of Korea not only through the eyes of Korean tradition such as familism which has easily been labeled as the Korean peculiarity, but also through the perspectives of universal and glocal transformation of intimacy under the high risk society. It is the social situation of Korea under the compressed modernity that has made possible the simultaneity of the non-simultaneous theories in the family stud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