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외식업체의 미스터리 쇼핑을 위한 평가척도 개발- 한식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
김영갑,이혜린,김예주 한국외식경영학회 2014 외식경영연구 Vol.17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e theoretical review to set up the concept how the mistery shopping program shall be implemented to Food-service Industry, and to develop the measuring tool with necessary reliability as well as validity to apply this program in domestic Food-service Industry. Particularly developing the measuring tool of mystery shopping for Korean Food Frenchise Industry is absolutely necessary to globalize Korean Food, so this would be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of valuation standards were carried out through 4 steps, questionnaire item development by the literature review, narrowing measurement items by major lecturers and major MBA students, narrowing measuring items by questionnaire survey of field expert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through developed evaluation tools. By summing the evaluation tools, prov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these steps, it has been confirmed as follows: Factor 1, Confirmation with 8 variables, Factor 2, Customer reception, with 3 variables, Factor 3, reliability with 4 variables, Factor 4, Corporeality with 3 variables Factor 5, Food characteristics with 5 variables, Factor 6, Reactivity with 3 variables, Factor 7, Hygiene cleanness with 3 variable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would be the organization of the concept of Mystery shopping, that is practically proliferated into various industry while its academic study is to seek. 서비스산업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최고의 고객경험을 창조하는 것이다. 미스터리 쇼핑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도구 중의 하나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국내의 외식산업에서 미스터리쇼핑의 중요도와 활용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외식산업계에서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측정을 위해 미스터리 쇼핑이 얼마나 중요한지와 미스터리 쇼핑이 어떤 도구로 어떻게 실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스터리 쇼핑 프로그램이 외식산업계에서 어떻게 실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이론적 고찰과 이러한 프로그램이 국내 외식업체에서 사용되는데 필요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한식프랜차이즈 기업을 위한 미스터리 쇼핑 측정도구의 개발을 함으로써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한 설문문항의 개발은 SERVQUAL, DINESERV, Scott & Joanna(2010), 미스터리쇼핑(김영갑․김문호, 2011) 등을 이용하였고, 전문기업으로는 (주)리스피아르 조사연구소와 신선설농탕에서 이용하고 있는 측정척도를 활용하였다. 평가척도의 개발 과정은 문헌고찰을 통한 설문문항의 개발, 전공 교수 및 전공 MBA 과정생에 의한 측정문항의 축소, 현장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측정문항의 축소, 개발된 척도를 이용한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등 4단계 과정을 거쳐서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 된 평가척도를 정리하면 요인1 확인성은 8개의 변수, 요인2 고객응대는 3개의 변수, 요인3 신뢰성은 4개의 변수, 요인4 유형성은 3개의 변수, 요인5 음식의 특성은 5개의 변수, 요인6 반응성은 3개의 변수, 요인7 위생․청결은 3개의 변수로 평가척도가 확정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무적으로는 다양한 산업으로 확산되고 있는 반면에 학문적 연구는 부족하였던 미스터리 쇼핑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가격파괴수준에 따른 품질지각, 위험지각, 가치지각 및 구매의도의 차이 : 외식업체의 메뉴상품을 중심으로
김영갑 한국외식경영학회 2009 외식경영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how different quality perception, risk perception, value percep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according to price destruction level of a restaurant menu item. From 429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samples, among which 406 were found usable.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SPSS/WIN Ver.12.0K software packages. For this purpose, using th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analysis and research conducted is as follows. First, quality perception of the difference according to price destru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isk perception with the price destruction was the highest in 2,100won, the price destruction level of 70% and in 3,500won and 4,900won, the price destruction level of 50% and 30%,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the consumer's value perception was the highest in the price destruction level of 50%. Last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study were suggested
김영갑 한국체육철학회 202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32 No.3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건강양극화의 문제, 현실, 접근관점을 고찰하고, 해법찾기로서 스포츠의 역할모델을 삼항순환 구조의 관점에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사회에서 건강양극화의 징후들은 다양한 사회통계적 지표들을 분석하면 확인할 수 있으며 심각한 수준으로 평가될 수 있다. 건강양극화의 심각한 현실에 비해 사회적 책임주체들은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 그러나 건강양극화는 건강 결과, 의료 접근성 및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의 불균형에 관한 윤리적, 사회적, 경제적 관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건강양극화의 간격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상생모델 설정은 학교체육, 생활체육, 평생체육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건강양극화의 해법찾기로써 스포츠의 역할모델 설정은 양자택일의 이항대립에서 창의융합적 사고인 삼항 순환구조로 접근해야 한다. 삼항 순환구조는 이항대립의 양자택일을 탈코드화하여 양자병합을 지향하는 창조적 사고이다. 따라서 삼항 순환구조의 주체인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은 교육의 관점에서 정부주도형으로, 생활체육은 지도와 자발적 선택의 관점에서 정부주도형(정책)과 시장주도형(운영)으로 병행하여 체계적으로 추진될 경우 건강양극화의 해법찾기도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 the reality, and the approach perspective of health polarization in Korean society. Moreover, this article analyses the role models of s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rnary cycle structure as a way to find solutions. Signs of health polarization in Korean society are confirmed by analyzing various social and statistical indicators, and they are evaluated at a serious level. Compared to the serious reality of health polarization, socially responsible entities tend to be indifferent. However, health polarization deserves attention from ethical, social, and economic perspectives regarding disparities in health outcomes, access to health care, and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 establishing a win-win model to minimize the gap between health polarizations, the roles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daily physical education, and lifelong physical education ar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order to find a solution to health polarization, establishing role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must be approached from a binary opposition of either/or to a triadic cycle structure of creative convergence thinking. The ternary circular structure is a creative thought, which aims for both and by decoding the either-or of binary opposition. Consequently,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and lifelong physical education, which are the subjects of the triadic cycle structure, should be systematically promoted. In parallel, a government-led typ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lifestyle sports, government-led policies, and market-led oper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guidance and voluntary choice, should be promoted. This may result in a possible resolution to the polarization of health issues.
김영갑,남중웅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2
Enactment of physical education act reflecting reality of physical education is the present practical effort considering future sports cul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look back on parts discussed in the rejected process of enacting physical education act and to argue its justification. The study examined discussions on enactment of physical education act in two viewpoints. First of all, the study argued that physical education act should be understood by only enactment of individual law for promotion of specific subjects and grasped in public level to make healthy society by narrowing a gap in health polarization in the future. The study also pointed out that, differing from partial arguments that execution of the lowest scholarship system and derivative meaning stated clearly in physical education act would give damage to elite sports, the future of elite sports was hopeful when elite sports were supported by related preceding researches and made a foundation for healthy physical education as an alternative. Considering examination of the lowest physical strength system, opening of contests limited on weekend and in vacation and reality that sports talent was assigned to only sports related department, the study examined it as supplement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modern society, sports are a social system to improve quality in life by satisfying basic desire of humans.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that physical education act should be approached in social welfare level of non-economic security. 학교체육의 현실성을 반성한 학교체육법의 제정은 미래 스포츠문화를 염려하는 현재의 실천적 노력인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교체육법 제정의 부결과정에서 논쟁이 되었던 부분을 되짚어 보고, 정당성을 피력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체육법 부결의 논쟁거리를 두 가지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우선 학교체육법은 특정과목 진흥을 위한 개별 법률의 제정만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향후 발생될 건강양극화의 격차를 좁혀 건강한 사회를 조성하려는 공적차원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학교체육법에서 명시된 최저학력제의 실시와 파생적 의미가 엘리트스포츠를 저해시킨다는 일부 주장과는 달리 그동안 관련 선행연구들에 의해 지지된 대안으로써 건강한 학교체육에 기반을 둘 때 엘리트스포츠의 미래가 희망적임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의 정당성 부여이외에 최저체력제의 검토, 주말과 방학기간에 한정한 대회 개최, 체육특기생이 체육관련 학과에만 배정되고 있는 현실 고려 등을 학교체육법의 보완으로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현대사회에서 스포츠는 인간의 기본욕구를 충족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사회제도로써 학교체육법이 비경제적 보장의 사회복지 차원에서 접근될 필요가 있음도 제시하였다.
김영갑 한국체육철학회 2011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legitimacy associated with holding sports events. The utilitarian perspective claims there is a need to choose the course of action since holding a sports event enhances happiness by creating economic utility. Structural-functionalistic perspective observes that holding sports event influences individuals, local communities, and national development to maintain the order of the entire society and in turn contribute to the social stability. Conflict theory and critical theory can be set as the balanced and alternative perspective which keeps unconditional and blind tendency to hold sports event in check and gropes for future us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 value of holding sports event is justified through calculation as an economic ripple effect based on utility. The political value expects the effects of national inte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with the processes of symbolization, identification, and manipulation through various ceremonial activities. The socio-cultural value involve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maturing desirable sports culture. 이 연구는 스포츠이벤트 개최와 관련된 이론적 시각과 가치론적인 정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스포츠이벤트 개최는 경제적 효용성을 창출하여 행복을 증진시키기 때문에 그 행위는 선택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구조기능주의는 스포츠이벤트 개최가 사회전체의 질서를 유지시킴으로써 사회통합에 기여한다고 보기 때문에 정당화된다. 갈등론은 스포츠이벤트가 경제적 동력에 의해 형성되는 방식과 정치 및 경제엘리트가 그들의 이득을 획득하고자 스포츠이벤트를 이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비판이론은 스포츠이벤트가 사회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재생산되는 변화의 장으로 이해하여 문화, 권력에 따른 사회적 불평등, 이데올로기 등의 측면에서 이해하는데 유용한 대안적 틀이다. 한편, 스포츠이벤트 개최의 경제적 가치는 현시적 측면에서 중요시되는 가치로써 효용성에 기반한 경제적 파급효과로 산출되어 정당화된다. 정치적 가치는 잠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다양한 의식적 행위를 통한 상징, 동일화, 조작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국민화합, 사회통합 등의 효과를 기대한다. 사회문화적 가치는 스포츠이벤트가 단순히 정치경제학적 효과에 머물지 않고, 건전한 스포츠문화를 성숙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
김영갑,김기홍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1
이 연구는 학교체육 위기의 본질적 요인으로 성장제일주의와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를 설정하여 비판적으로 직시하고, 근원적인 해법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체육의 위기는 내부와 외부의 심층적인 요인이 상호 작용된 결과로 이해된다. 물리력이나 영향력이 큰 외부요인에 초점을 맞춘다면 학교체육은 정치논리에 수반된 성장제일주의로 인해 국가정책에서 소외되었다고 볼 수 있다. 성장논리에 부합되는 영역만이 합리화된 개발독재시대에 학교체육은 정치논리에 의해 운영된 수동적 영역이었다. 또한 학교체육은 급격한 세계화과정에서 시장의 수월성이 강조되는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시행과 함께 더욱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즉 교육현장에서 체육수업 시수가 축소되고, 입시에서 제외되어 주변부 과목으로 몰린 현상이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으로부터 야기된 결과인 것이다. 그동안 학교체육 위기담론의 대응과제가 체육교육 전문가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시되어 왔지만 정부는 무관심과 미온적인 태도만을 관철시키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학술적 대응과제도 중요하지만 우선 학교체육의 선진화는 교육 관료의 권위주의와 맹목적 시장주의를 경계하고, 확고한 교육철학을 정립하려는 대통령의 결단과 시민사회의 공조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growth first belief and neo-liberalism as an essential element of crisis in school sports in a critical way and to find a fundamental solution. The crisis of school sports was caused by interaction of internal/external diverse and deep factors. Putting focus on the outside with large force or influence, school sports were caused by the national policy of ‘growth first’ involved with political logic. In addition, school sports are faced with its crisis by carrying out the educational policy of neo-liberalism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easiness of market in the process of quick globalization. Although it is important to make an academic response through crisis discourses on school sports, we shall control authoritarianism of educational bureaucrats and blind capitalism in advance for advancement of school sports, lead decision of the president proved by historic facts and establish a firm educational philosophy based on educational equalitarianism in cooperation with citize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