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장애학생, 이료교사, 안마사 간 안마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에 관한 비교 연구

        박영준,이해균,박중휘,김정현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2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ryo teachers, masseurs about problems of massage occupation and its method of improv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72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111 Iryo teachers in 12 schools for the blind nationwide and 367 masseurs. To identify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background variables, cross analysis and analysis of frequency per questions were used.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First, As for the problems of massage occupatio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Iryo teachers thought that massage occupation is a good job, and masseurs thought that massage occupation is a average job. However, students don’t want to be a masseur, because that massage occupation laid on depression, but Iryo teachers and masseurs think that students want to go to university or want to work in other occupations. As for the prevalence of illegal sighted massage shops, students had high awareness of the deficiency of masseurs’ with visual impairments abilities, Iryo teachers had high awareness of the deficiency of public relation and masseurs had high awareness of the deficiency of new enterprise model. also, as for the causes of depression of masseurs’ with visual impairments massage shops, students had highest perception about prevalence of the illegal sighted massage shops, Iryo teachers had highest perception about deficiency of the copying method in illegal massage markets, masseurs had highest perception about deficiency of the foundation of academy and institutions. Second, as for the new massage institutions, every group responded positively about Health Keeper and Massage Voucher. And every group thinks that the incomes of these institutions is most important. In addition, every group responded positively about health-care school-based enterprise, students and Iryo teachers had high perception about the successful possibility’s level is high, but masseurs had average perception of that. Third, as for the improvement method of massage occupation, concerning about massage certification, students wanted to be received massage certification after finishing Iryo curriculum in high school. But teachers and masseurs wanted to be separated two kinds of massage certification through the national test or the three-years professional department of Iryo course in the school for the blind. To continue the massage occupation is only for the masseurs with visual impairments, students had high awareness of the reinforce of Iryo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masseurs’ abilities. But teachers and masseurs had high awareness of the supplement of laws and institutions. In addition, as for the improvement of massage institutions, students had high perception of foundation of the professional research center, and Iryo teachers had high perception of introducing various foreign massage curriculum in the school for the blind. and also, masseurs had high perception about regulation of illegal massage shops and permission of using acupuncture level3.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 이료교사, 안마사 간 안마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에 관한 인식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 안마업의 문제점에 있어, 학생과 교사는 안마업이 좋은 직업, 안마사는 보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료와 관련된 진로를 선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학생은 전망이 밝지 않아서, 교사와 안마사는 학생들이 대학 진학이나 다른 분야에 종사하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불법 마사지 업소의 성행에 대해 학생은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실력 부족, 교사는 홍보 부족, 안마사는 새로운 경영 모델 도입의 미비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안마업 쇠퇴 원인에 대해 학생은 불법 마사지 업소의 성행, 교사는 새로운 안마시장 개방에 대한 대응책 미비, 안마사는 학문적ㆍ정책적 기반의 토대 미비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새로운 안마업 제도에 있어, 세 집단 모두 헬스키퍼 제도와 안마바우처 제도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제도에 대해 수익성 문제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보건안마 학교기업의 설치ㆍ운영에 대해 세 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성공 가능성에 대해 학생과 교사는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안마사는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시각장애인 안마업 발전 방안에 있어, 학생은 안마사 자격증을 현재와 같이 취득하기를 원하고 있었으나, 교사와 안마사는 자격증 이원화를 원하고 있었다. 그리고 안마업의 유보직 유지를 위해 학생은 이료교육의 강화와 안마사의 실력 향상, 교사와 안마사는 법과 제도의 보완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안마업의 발전 방안에 대해 학생은 안마업 연구기관 설립, 교사는 외국의 다양한 안마 관련 기술의 도입과 적용, 안마사는 불법 마사지 업소의 단속 및 3호침 이하의 침 시술 허용과 같은 법과 제도의 마련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안마업의 발전과제에 대한 이료교육교사의 인식 연구

        이태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9 장애와 고용 Vol.19 No.3

        최근 우리나라의 안마관련 사태와 일본 및 대만 등의 선험사례에 비추어볼 때 단지 안마업을 유보고용 직종으로 유지하려는 노력에서 벗어나 시장에서 생존과 경쟁이 지속가능한 발전방향을 모색해야 할 시기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안마업 발전과제들에 대한 이료교육교사의 인식을 중요도, 시급성, 현실성 부문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안마업 발전을 위해 총 20개의 발전과제 중에서 중요도는 16개 과제, 시급성은 11개 과제, 현실성은 3개 과제가 높게 인식되었다. 연구결과와 논의에 터해 단기적으로 이료교재 및 참고서적 개발 확충, 이료교육시설 및 기자재 개선 확충, 무자격 유사안마업자 법적 처벌조치 강화, 안마원 활성화를 위한 지원, 안마업의 인식개선과 홍보강화, 안마사 취업장소 다각화 등의 과제에 대한 지원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장기적으로도 이료대학 설립, 침사자격 제도화, 국가자격시험 시행 등도 계속 검토되어야 할 과제로 여겨진다. The anma job has been developed as reserved job for the visually impaired, but it has been disturbed by similar massage areas and faced various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anmaup. So first, it identified the developmental tasks of the anmaup from related literature. And on the basis, it surveyed on how do 66 related teachers recognize about such tasks. With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efforts should be made: in a short term, making easier anma educational materials, improving exercise equipments and facilities. activating small massage centers, changing public recognition and reinforcing marketing, diversing massager employment places and so on; in long term, establishing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area of riryo, realizing legal statement of acupuncture qualification system, reinforcing massage job as the reserved job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so forth.

      • KCI등재

        동아시아 시각장애인의 생존권의 비교 ― 일본·대만·한국의 시각장애인 안마사업권을 중심으로

        주윤정 ( Joo Yunjeong ) 한국사회사학회 2017 사회와 역사 Vol.0 No.115

        본 연구는 한국·일본·대만의 시각장애인들의 안마사업권이 형성·발전·변화해온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회적 약자집단의 생존권의 형성과정을 비교한다. 사회적 약자의 권리가 작동하고 실천되는 것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법적 논리의 비교만이 아니라 각국의 사회적 관계의 차이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적 관계의 차이로 인해 유사한 제도가 상이하게 발전한 과정에 대해 비교분석했다. 시각장애인의 안마업은 일본의 식민통치로 인해 한국과 대만에 이식되었지만 식민화/탈식민화 이후 각국의 상황은 상이하다. 일본은 시각장애인의 부분 독점, 한국은 독점, 대만은 독점폐지의 상황이다. 이렇듯 유사한 역사적 제도와 직업에 대해 대만과 한국에서 각각 상이한 법적 판단이 나오게 된 것은 순수한 법적 추론에 입각해서라기보다는, 각국의 시각장애인들의 조직화의 정도, 권리의식, 의료영역 및 시장의 상황, 시각장애인 조직의 물질적 자원, 종사 인구수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강력한 조직과 안정된 시장을 기반으로 출발한 일본의 시각장애인들의 경우에는 직업권에 대한 외부의 도전이 다소 부재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안마업에 대한 역사적 기반 혹은 시장이 없이 출발한 한국과 대만의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비시각장애인과 경쟁적 관계에 놓여있었다. 사회적 약자들의 생존권이 실제로 사회에서 보장되는 것은 추상적인 원리에 기반하고 있기 보다는, 사회적 제도·관계·행위자의 조직과 의식 운동 등의 복잡한 요인으로 인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동아시아의 시각장애인이 집단이 고유의 정체성과 문화, 생존권을 유지하는 데에는 전통적인 조직과 집단의 정체성의 권리의식과 집합적 기억 등이 강력한 역할을 했다. 전통적 조직과 그에 대한 의식의 유무에 따라 안마업이라는 제도가 안정화되거나 혹은 불안정화되었다. 다시 말해 시각장애인의 생존권, 권리라는 것은 단순히 법률에 의해 제정되고 보호받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실천의 과정과 그로 인한 투쟁의 결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런 권리주장과정에서 근대사회이전의 전통적 조직, 새로운 전통의 창출, 관습적 권리 의식 등은 생존권의 형성과 실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This study is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the right to survive of the blind. The blind in East Asia maintained their right to massages during modernization, colonization/decolonization, compressive modernity, authoritarian regime, and democratization. The blind in East Asia worked as massagers as part of their colonial vocational education. Blind massagers as an occupation was a new modern system imported from Japanese society. The monopoly of this vocation was terminated in Taiwan, while partially protected in Japan and strongly protected in Korea. This stems from differing organizational level, market systems of each country and also the level of collective memories on customary rights of the blind. The right to survive was not merely protected by the legal system and the state, but the right itself is the outcome of social practices and strenuous social struggles. In the formation of the right of the blind,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customary rights and traditional organization played important roles. Focusing on such differences, it is possible to compare how these three countries` experiences of colonization and post-colonization for the blind people differ in each society.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기반 연구: 안마업 이외의 직종을 중심으로

        서원선,서욱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8 장애와 고용 Vol.2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rove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who work in occupations other than massag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ir rehabilitation processes. Method: A total of 9 individual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participants with visual disabilities who work or seek occupations other than massage and Strauss and Corbin(1998)'s Grounded Theory was utilized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a total of 100 concepts were categorized and 31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classified. Additionally, a Model for the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was proposed. Implications: As a result, service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individual psychological and group counseling services, mentoring services, professional career counseling and job match, individual case management, individualized service delivery, post-employment services were propos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안마업 이외의 직종에 종사 혹은 구직하려는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 과정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 경험을 이해하고 직업재활 서비스의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안마업 이외의 직종에 종사 혹은 구직하는 9명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개별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총 100개의 개념들이 도출되었고, 이들은 31개의 하위범주와 14개의 범주로 유목화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 경험에 관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시사점: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에 필요한 서비스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심리·집단상담, 멘토링 서비스, 전문적인 구직상담 및 직업알선, 개별 시각장애인의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방식 개선, 사후관리 서비스 등으로 요약되었으며 이와 관련해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인 안마업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

        조성재,전영환,이태훈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8 시각장애연구 Vol.3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인 안마업 활성화와 이를 통한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고용 확대를 위해 도 입 또는 추진이 필요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0명의 시각장애인 고용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기법을 활용하여 3가지 영역 25가지 세부 항목에 걸쳐 이들 각각에 대한 도입 필요성과 추진상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안마사 양성 교육 강화와 자격 제도 정비 영역에서는 ʻ안마의 치료적 효능 검증을 위한 연구 환경 조성과 임상 연구 강화ʼ, ʻ헬스키퍼 직 무표준화와 취업준비 교육 실시ʼ 등을 조속히 시행 또는 추진해야 할 과제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안마사 일자리 확대와 취업 지원 강화 영역에서는 ʻ보건소, 국공립대학병원 등의 공공 의료기관에 대한 시각장애 인 안마사 취업 기회 제공과 고용 확대를 위한 근거 마련ʼ, ʻ안마사에 관한 규칙 개정을 통한 시각장애인 안마사 채용 기관과 사업주 자격 요건 완화ʼ 등의 방안을 조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끝으로, 안마 창업 육성 영역에서는 ʻ공항, 역사, 대형터미널 등 다중 이용시설에 대한 안마원 설치 지원 제도ʼ, ʻ안마수가 표준화와 건강보험 적용ʼ 등의 방안이 조속히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ays to promot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massage therapists who ar blind or visually impaired. To this end, a delphi study technique was conducted to 30 participants who have an experty at the employment matter in vision rehabilitation. An instrument used in the delphi study has three domains, comprising 25 items. Findings suggested that, in the pre-service training domain, strengthening research capacity to empirically verify therapeutic effect of massage therapy, along with developing standardized therapeutic procedures for healthkeepers were identified as highly needed policies. In the employment support for blind massage therapists domain, implementing a measure that public health centers or general hospitals can employ blind massage therapists and modifying a regulation to ease non-profit organizations to establish massage centers were recommended. In the assistance in self-employment domain, mplementing a measure that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s massage therapy and allowing blind massage therapists to open a massage shop at public facilities such as a large airport were recommended.

      • KCI등재

        시각장애 직업 현황 및 대책

        권선진 韓國視覺障碍硏究會 1999 시각장애연구 Vol.15 No.-

        시각장애인에게는 안마업 등의 서비스직을 제외하고는 거의 제한적인 직종에 종사하고 있다. IMF 이전부터 실직자 상태로 사회의 경제적 어려움과 관계없이 직업 생활에 어려움이 있다. 시각장애가 일반직을 가지기에는 중증으로 시각장애인 스스로도 자포자기하는 경우가 많으며, 정부의 지원책을 요구하고 있다. 생활보호 확대와 의료지원 등의 직업생활보다 복지시책을 요구하고 있다. 생활보호 확대와 의료지원 등의 직업생활보다 복지시책을 원하는 단계를 벗어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직업영역 확대와 신직종 개발 등 다양하고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 KCI등재

        시각장애인 직업실태 조사

        서인환 韓國視覺障碍硏究會 1999 시각장애연구 Vol.15 No.-

        시각장애인의 직업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 연구를 하고자 맹인복지연합회 회원 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응답자 57.9%가 안마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으며, 47.5%가 무직이거나 최저 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입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32.4%가 직업을 바꾸기를 원했으며, 공무원, 사무직, 농업 순이었다. 직업 훈련을 받기를 원하는 곳으로는 개인교습이나 맹인단체가 가장 많았으며, 훈련직종으로는 침술업, 안나업, 통신판매, 워드속기, 서비스 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훈련기간 동안 생계비 지원을 강력히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