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서비스에 대한 복지태도의 결정요인: 자기이해, 상징적 태도, 사회지향적 인식요인들을 중심으로

        서욱영 ( Wook-young Seo ),문다슬 ( Daseul Moon ),정혜주 ( Haejoo Chung ) 한국보건행정학회 2017 보건행정학회지 Vol.27 No.4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terminants of welfare attitudes toward healthcare services in South Korea, using three main theories: self-interest (positive welfare attitudes if the policy fulfills people’s personal interests), symbolic attitudes (positive welfare attitudes if the person is politically progressive or egalitarian), and sociotropic perception (positive welfare attitudes if the person experienced positive aggregated collective experiences of societal events and trends regarding the policy). Although the definition of the welfare attitude is rather ambiguous in literatures, in this investigation, we operationalize the concept as the ‘willingness to pay higher taxes to improve the level of health care services for all people in Korea’ which shows individuals’ actional propensity. Methods: We used the health module from the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2011 for the analysis (N=1,391). Fiv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built successively using two variables for each theory to measure key concepts of self-interest, symbolic attitudes, and sociotropic perceptions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 result showed self-interest and symbolic attitudes factors to be strong determinants of welfare attitudes towards healthcare services in South Korea, whereas sociotropic perception factors have inconsistent effects. Conclusion: For a more politically elaborated healthcare reform in South Korea and elsewhere, there needs to be further research on various dimensions and determinants of welfare attitudes to understand popular basis of welfare expansion, especially in the era of inequality.

      • KCI등재

        지역사회 내에서 중증장애인의 탈병원 과정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서원선,서욱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장애인의 장기간 병원 입원기간을 줄이고 사회복귀를 위해 중증장애인의 탈병원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병원에 장기간 입원하는 중증장애인의 탈병원 과정을 이해하고 탈병원에 필요한 정책 및 제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증장애인 10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근거이론(Grounded Theory)를 활용해 탈병원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패러다임모형을 제시해 구체적인 지역사회 복귀 절차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탈병원을 위해 병원 내 정보제공 기능 강화, 병원과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 병원과 보조기기센터의 연계, 가족상담・심리상담의 확대, 직업재활 서비스 개선으로 분류하여 연구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evelop the policies to minimize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of people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PSDs) and to support the processes of dehospitalization for social reentry of PSDs. For this, the processes of dehospitalization of PSDs’ long-term hospitalization and the policies for the dehospitalization of PSDs are analyzed. Through one-on-one individual depth interviews, the processes of dehospitalization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grounded Theory and specific steps are proposed through the Paradigm Model. As a result, research implications related to Emphasis on the Functions of Information Provision at Hospital, Connection between Hospital and Facilities in the Community, Connectionbetween Hospital and Assistive Technology Centers, Expansion of Family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Improve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re proposed.

      • KCI등재후보

        장애인 및 장애인 가족의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서원선,서욱영,이소원 한국장애인개발원 2019 장애인복지연구 Vol.10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suicid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to establish a suicide prevention plans. Focus group interviews and multipl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members, activists and experts who had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Based on Glaser and Strauss(1967) data analysis, the suicidal causes and patterns were examined through the interview processes. Participantsʼ suicide awareness pattern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Society Attributing Suicide to the Personal Respon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ocietal Environment Misunderstanding the Disability, Psychosocial Maladaptation due to Disability, Motivation Overcoming the Disability and Desire for Life) and 11 sub-categories.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negative attitudes against the disability, the awareness of psychological mal-adaptation to the disability, the extension of individualized social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improvement of Center for Suicide Prevention have been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및 장애인 가족의 자살에 대한 생각을 조사하고 자살 예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자살 생각 및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장애인 당사자, 가족, 활동가·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Glaser와 Strauss(1967)가 제시한 귀납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자살에 대한 인식의 모양새를 통해 당사자 관점에 근거한 자살 생각 및 예방 방법들을 조사하였다. 참여자들의 자살에 대한 인식 패턴을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상위범주(ʻ자살을 장애인 개인의 책임으로 전가시키는 사회ʼ, ʻ장애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회와 주위 환경ʼ, ʻ장애로 인한 심리사회적 부적응ʼ, ʻ자살을 이겨낸 원동력과 삶에 대한 의지ʼ)와 11개의 하위범주로 구조화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에 대한 사회적·환경적 차별 및 비장애인들의 부정적 인식 해소, 장애로 인한 심리적 부적응 상태의 이해, 장애인의 개별 특성을 반영한 사회서비스 개선, 자살예방센터 역할 확대의 4가지 관점에서 연구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기반 연구: 안마업 이외의 직종을 중심으로

        서원선,서욱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8 장애와 고용 Vol.2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rove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who work in occupations other than massag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ir rehabilitation processes. Method: A total of 9 individual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participants with visual disabilities who work or seek occupations other than massage and Strauss and Corbin(1998)'s Grounded Theory was utilized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a total of 100 concepts were categorized and 31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classified. Additionally, a Model for the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was proposed. Implications: As a result, service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individual psychological and group counseling services, mentoring services, professional career counseling and job match, individual case management, individualized service delivery, post-employment services were propos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안마업 이외의 직종에 종사 혹은 구직하려는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 과정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 경험을 이해하고 직업재활 서비스의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안마업 이외의 직종에 종사 혹은 구직하는 9명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개별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총 100개의 개념들이 도출되었고, 이들은 31개의 하위범주와 14개의 범주로 유목화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 경험에 관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시사점: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에 필요한 서비스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심리·집단상담, 멘토링 서비스, 전문적인 구직상담 및 직업알선, 개별 시각장애인의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방식 개선, 사후관리 서비스 등으로 요약되었으며 이와 관련해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의 만성질환, 건강행태 및 사망위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자료 분석

        김지영,강민욱,서욱영,이지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2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자료를 이용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만성질환과 건강행태를 비교하고, 사망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태를 조사하였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나이와 성별을 매칭하였으며, 카이검증, 로지스틱 회귀분석,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Enterprise guide 7.1로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총 5,490명(장애인 915명 vs. 비장애인 4,575명, 67.6±10.36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고혈압(OR=1.34, 95% CI=1.15-1.56), 당뇨(OR=1.51, 95% CI=1.28-1.79), 심장질환(OR=1.49, 95% CI=1.18-1.87), 뇌혈관질환(OR=4.00, 95% CI=3.22-4.96), 암(OR=3.83, 95% CI=2.66-5.52)에서 질환을 가질 위험(Odds ratio)이 높았으며, 사망위험 또한 1.97배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95% CI=1.73-2.24). 장애인의 사망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태는 흡연과 체질량지수로 나타났다. 향후 장애인의 만성질환과 조기 사망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보건 정책과 교육 홍보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chronic diseases and health behaviors between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matching with sex and ages, and to analyze mortality risk according to health behavior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e used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Health Screening Cohort (NHIS-HEALS). The chi-square test, logistic regression, and Cox’s proportional risk model were used.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mpleted using SAS Enterprise Guide 7.1 software. P-values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significant. A total of 5,490 persons (915 persons with disabilities vs. 4,575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mean age 67.6 ± 10.36 years) were selected. Participants with disabilities has higher prevalence of hypertension (OR=1.34, 95% CI:1.15-1.56), diabetes (OR=1.51, 95% CI:1.28-1.79), heart disease (OR=1.49, 95% CI:1.18-1.87), cerebrovascular disease (OR=4.00, 95% CI:3.22-4.96), cancer (OR=3.83 , 95% CI: 2.66-5.52) and higher mortality risk of 1.97 times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without disabilities (95%CI: 1.73-2.24). The health behaviors affecting the mortality risk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smoking and body mass index. In the future, active health-care policies and education programs will be needed to prevent the risk of developing chronic diseases and premature death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24시간 장애인활동지원체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서해정 ( Suh Hae-jung ),김재근 ( Kim Jae-geun ),전지혜 ( Jeon Ji-hye ),서욱영 ( Seo Wook-young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장애인복지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24시간 장애인활동지원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에 적용 가능한 토대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문헌검토 및 일본을 직접 방문조사하여 최중증장애인 활동지원의 대상, 급여, 전달체계 그리고 재정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24시간 상시 활동지원 적용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장시간 활동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를 단순한 ‘요양이 필요한 환자’ 정도로 단정하지 말고 사회활동이 필요하면 실질적인 상시 활동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상자 선정에 있어서는 장애인의 의료적 측면과 아울러 지역생활, 직업, 주간활동, 주보호자의 상황, 거주 환경 등을 고려하면서 장애인 당사자의 서비스 이용의향을 청취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한국에서 이용률이 매우 낮은 ‘방문간호’ 급여의 개선이 필요하며, 최중증장애인의 욕구에 의한 전문적인 의료적 처치를 위한 급여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특히 루게릭병, 진행성 근디스트로피 등의 장애유형에 대한 대상자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활동보조인의 전문성 교육과정과 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전달체계는 기존의 국비사업과 동일하나 장시간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활동보조인 매칭, 이용자의 상황 등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며, 제공기관에서의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조치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최중증장애인에 대한 장시간 서비스를 위한 재정마련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며, 지자체별로 심각한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현행 지자체의 추가급여를 유인하는 방안을 마련하거나, 별도의 기금을 재원으로 확보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n applicable foundation in Korea through analyzing the case of 24-hour assistance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Japan. By reviewing literatures and visiting research to Japan, we suggest about target population, payment system and delivery system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o make several application plans for 24-hour personal assistance system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actual assistance needs to be distinguished between care and activity support. Second, with regard to selection of target people, medical aspec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environment, job, daytime activities and protector's situation should be considered with direct person's willingness to use. Third, payment for professional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needs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should be supported, and 'visiting care' service that shows low utilization rate in Korea should be improved. Especially, there needs to be a series of education course and management system for activity assistants considering people with Lou Gerig's disease, 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etc. Fourth, though delivery system is identical to previous government funded service, extra precautions on activity assistants matching or user's situation are required and there needs to come up with emergency response at providing organizations. Last, public consensus is necessary in a sense of financing for a long track of time assistance service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o avoid serious deviation by local governments, the plan to attract additional payment or to obtain separate funds needs to be prepared.

      • KCI등재

        쪽방 거주 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연구

        전지혜 ( Ji Hye Jeon ),차선화 ( Xian Hua Che ),정혜주 ( Hae Joo Chung ),김진성 ( Jin Sung Kim ),서욱영 ( Wook Young Seo ),조승화 ( Seung Hwa Ch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2

        본 연구에서는 쪽방촌에 거주하는 장애인들의 쪽방 유입 과정과 현재 생활에 대한 생애사 분석을 하였다. 특히 장애가 이들의 쪽방 유입과정 및 현재의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하여 분석하였는데, 장애는 빈곤을 심화시켜 참여자들을 쪽방으로 유입시킨 주요원인이었으며, 탈빈곤할 수단인 노동능력의 감소를 야기한 조건이었고, 결국 수급자로서 만성적 빈곤상태에서 살아가도록 만든 요인이었다. 또한, 한편으로는 장애가 최저생계의 생활을 할 수 있는 수급권 보장의 도구로 기능하여 쪽방촌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했다. 쪽방촌 거주 현실에 대한 분석 결과, 쪽방 거주 장애인은 “빈곤과 불편의 생활화 및 장애와 갈등의 일상화”로 표현되는 힘든 생활을 하고 있었고, 이웃과 갈등 또는 협력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현실에서의 감사와 이웃에서 찾은 희망”으로 요약되는 긍정적빈곤문화를 창출해내고 있는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통해서 사회복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쪽방거주 장애인의 탈빈곤과 자립을 돕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며, 특히 지역사회 자조활동을 지원하는 지역복지 대응체계가 필요하다. 빈곤연구 및 장애인복지 연구의 영역에서 쪽방거주 장애인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또한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alone in a single room occupancy community and to suggest social work strategies for them. For data analyses, the life history methods (LHM) which focuses on the personal life story was employed. A total of 6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original data collected by a research team at Korea University for a research grant funded by the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Their open coded data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disability led the participants to live in a single room occupancy of poor people villege, jokbang-chon.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long lasting poverty, physical pain, and environmental limitations. They also experiences ‘ambivalent culture of poverty`` representing conflicts or cooperations among neighbors. Based on trusts and cooperations in this poor village, more supports for their self-help groups are necessary.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alone in a single room occupancy should be also considered in the on-going discussion of exit-poverty and disability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