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악기류의 수출경쟁력 변화에 대한 실증분석 : 미국 악기시장을 중심으로

        심재희(Shim, Jae-Hee) 韓國商品學會 2011 商品學硏究 Vol.29 No.5

        본 연구는 한·중 양국간 악기산업의 현황을 조사하고 미국 악기시장에서 양국의 악기제품이 어느 정도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지를 동태적 경쟁력 변화 측면에 초점을 맞춰 분석해 봄으로써 국내 악기산업의 실태를 점검하고 한국 악기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양국간 악기류의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무역협회의 무역통계에서 피아노,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전자 악기, 뮤지컬박스, 부분품 등 7개 품목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수출입 자료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HS 코드 기준 악기제품별 데이터로부터 무역특화지수, 수출편향지수, 시장별 비교우위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근거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시장에서 한국산 악기제품의 수출 경쟁력은 중국산에 비해 전반적으로 비교열위에 있었다. 연구결과는 우리 정부와 관련업계에 한국 악기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국산 악기제품의 고부가가치 브랜드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함과 동시에 새로운 악기 수요 분야로 부각되고 있는 전자악기 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육성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악기산업의 수요기반이 되는 음악산업을 필두로 한국내 연관산업의 발전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seek some implications which will develope Korean musical instrument industry by empirically analyzing changes in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musical instrument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U.S.A.market. For the purpose, Trade Specialization Index, Export Bias Index, and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were selected as analyzing method. HS 4 unit code in the musical instrument industry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used in the study were obtained fromthe trade statistics from2000 to 2010 produced by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KITA).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Koreanmusical instruments products are less competitive than Chinese ones in the U.S.A. mark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 government authorities and relevant industry should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musical instrument industry by pursuing such development plans for musical instrument industry as making high value-added instruments, developing electronic instruments, and promoting domesticmusic industry.

      • 악기연주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박명숙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논집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instrumental playing through Body percussion and unpitched percussion which are the basis of instrumental playing among various musical activities for children. Research methodsI studied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for playing instruments and suggested early childhood instrumental playing teaching methods in stages based on Orff's theory and methodology.ResearchI presented instrumental playing into different stages: Body percussion, Body percussion Ostinato, and unpitched percussion, unpitched percussion Ostinato. I gave “tempo” for Body percussion and “Body” and “speaking” for Body percussion Ostinato. Also, I proposed “imitation” for unpitched percussion and “assimilation” for unpitched percussion Ostinato.For this instrumental playing program to be applied in the real field of music, it is important that the children be given appropriate musical environment and phased and systematic instrumental playing be offered using quality percussion. Also, instrumental playing reference need to be supplied in the music scene and the teacher herself need to put efforts to improve her own ability in playing instruments.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악기연주의 기초가 되는 신체악기, 무선율 타악기 연주를 통하여 악기연주 능력과 창의적인 표현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악기연주의 지도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 문헌을 중심으로 유아의 악기연주 능력 발달단계를 고찰하고 악기연주 지도에 관한 Orff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유아기 악기연주의 교수방법과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악기연주 프로그램은 단계별로 신체 타악기, 신체 타악기 Ostinato, 무선율 타악기, 무선율 타악기 Ostinato를 제시하였다. 신체 타악기에서는 ‘박자’를 제시하였으며 신체 타악기 Ostinato에서는 ‘신체’, ‘말하기’를 제시하였다. 또한 무선율 타악기에서는 ‘모방’, ‘동화’를 제시하였으며 무선율 타악기 Ostinato에서는 ‘합주’를 제시하였다.악기연주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아에게 적절한 음악환경을 제공하고 신체 타악기와 무선율 타악기를 활용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악기연주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악기연주 지도 자료가 현장에 보급되어야 하고 유아교사 자신이 악기연주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의궤 소재 악기도(樂器圖) 연구

        이정희 ( Jung Hee Lee ) 한국음악사학회 2012 한국음악사학보 Vol.49 No.-

        의궤는 궁중에서 행했던 다양한 행사를 기록한 보고서이다. 조선시대 궁중 행사에는 의례히 음악이 수반되곤 했기 때문에 의궤에는 음악에 관한 정보가 많이 수록되어 있고, 그 중에는 악기도가 포함되어 있다. 바로 이 악기 도에 주목하여 의궤 소재 악기 그림의 분포 상황, 기록방식, 악기 종류 등을 정리해 보았다. 악기 도는 당시 궁중음악 연주에 동원되었던 악기를 그리는 것이 기본이었다. 그러나 각 의궤가 제작된 목적에 따라 도상화 된 종류에 약간의 출입과 시차가 있었다. 『종묘의 궤』와 『사직서의 궤』는 이전 시기에 종묘제례악과 사직제례악을 연주했던 악기의 그림도 폭넓게 소개되었다. 반면 새로 만들어진 경모궁제례를 기록한 『경모궁의궤』의 경우 당시 경모궁제례을 연주했던 악기만 그림으로 남겼다. 또한 상 장례(喪 葬禮)를 기록한 『국장도감의 궤』의 경우 부장용 명기 악기로 제작된 아악기 11종을 가감 없이 그림으로 그렸다. 궁중연향 관련 의 궤에는 연 향 악 연주에 동원된 악기그림이 있었다. 궁중에 새롭게 유입된 양 금, 선유락정재 반주 악대로 등장한 내취 악기 등이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악학궤범』의 악기 도에 견주해 보면 그 정보력과 정밀함이 부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악학궤범』 복간이 조선후기에도 지속적으로 이행되었기 때문에 의 궤의 악기 도에서 표현되지 않은 보다 상세한 정보는 아마도 음악 전문 서적인『악학궤범』을 참고했으리라 생각된다. 즉 의 궤 속의 악 기도는 실제 악대에 쓰이는 악기 종류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시차가 나기도 했다. 의 궤 제작의 일차적인 목적이 행사 전반을 기록하는 것이었고, 그 중에서 악기 도는 일부분을 형성하는 정도였기 때문에 약간 소홀해 진 것으로 해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 궤의 악기 도는 현재의 사진과 유사하게 기능하므로, 궁중의 악기와 궁중음악문화를 연구하는 기초자료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가치가 있다. Uigue 義軌 (official record of court events) is a report in which various ceremonies in the Court of Korea were recorded. Since the court ceremonies in Choson 朝鮮 era were often accompanied by music, there are numbers of records about music in uigue, and instrument figures were included in uigue as well. This study looks into the distribution status of instrument figures in uigue, recording method and kind of instrument focusing on instrument book.As; for instrument figures, it is normal to draw instruments played in court music. However, each Uigue had an access to several kinds of instruments depending on purpose of making Uigue. Chongmyo uigue 『宗廟義軌』 and Sajikso uigue 『社稷署義軌』 include wide range of the figures of instruments used for playing Chongmyo 宗廟 (Royal Ancestral Shrine) ritual music and Sajik 社稷 (Land and Grain Rite) ritual music in that era.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Kyongmogung uigue 『景慕宮義軌』in which Kyongmogung 景慕宮 ritual formalities was recorded, it only has the figures of the instruments played Kyongmogung ritual formalities ar that time. Also, in the Kukchang togam uigue『國葬都監義軌』 in which funeral was recorded, eleven kinds of court music instruments specially designed for burial ceremony were drawn without adding or deducting. The court party related uigueincludes figures of instruments played for court music. Yanggum 洋琴 (Western dulcimer) and naechwi 內吹(royal military band) instrument to accompany Sonyurak chongjae newly introduced to court are boasting graceful and beautiful figures in there. The paintings in instrument figure and the actual instruments forming band did not match often and somertimes showed time differences. The primary object of uigue was to record overall ceremony. Since the instrument figures were merely part of uigue, possible it could be treated with less care. In the big frame of uigue, instrument figures are just several pieces of puzzle. Nevertheless, uigue is one of the cultural heritages displaying vivid record of the old time, several hundred years ago, based on fact and accuracy. Therefore, the musical instrument figures in uigue have sufficient value as a data for study of court music. Also, there should be a continuous effort to reach and view the figures of instruments from the viewpoint of the painters who made uigwe at that time.

      • KCI등재

        한국 전통 타악기의 교육적 활용 방안

        김혜정 ( Kim Hey-jung ) 남도민속학회 2016 남도민속연구 Vol.33 No.-

        한국 전통음악에는 다종다양한 타악기가 다양한 연주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교육현장은 외래 타악기로 넘쳐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한국의 전통 타악기의 종류를 장르와 범주를 확장하여 살펴보고 연주법의 다양성, 또 생활 속의 타악기 대체물 활용 양상에 대해서 정리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방안을 찾아보았다. 논의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알려진 악기들 이외에도 더 많은 악기가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무구 정도로 치부되어 악기로서 조명받지 못했던 경우, 일반인들이 생활 속에서 활용하던 생활악기 등이다. 이들의 특성상 크기와 음량이 작은 경우들이 많아서 교육용 악기로서 활용한다면 많은 학생들이 일제히 연주하는 상황에는 장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무엇보다 현재 초등학교의 음악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외래종의 타악기군을 대체할 토종의 악기 개발이 시급하다. 교육용 악기 개발과 보급은 국립기관에서 주도적으로 해야 할 일이라 본다. 8음과 같은 악기 재료 구분법을 토대로 다양한 음색의 악기를 갖추어주고, 크기를 달리하여 여러 음색과 음고의 악기들을 개발하여 다양한 타악기 합주 음악을 구현해볼 수 있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하나의 악기이지만 모양과 크기의 다양성을 띄거나 연주법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사례를 찾아보았다. 특히 채를 다양하게 사용하거나 연주법을 달리함으로써 음색이 달라지고 연주법의 난이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동안 장구와 같은 악기를 예술음악의 활용과 동일한 방식으로만 제한하여 사용했다면, 앞으로 좀 더 다양하게 연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장구의 궁편 만을 북처럼 연주하거나 장구의 통 부분을 연주하여 나무 악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 민요의 반주로는 장구보다 북을 더 많이 사용했던 전통을 반영하여 가창 수업에서 북을 활용할 수 있도록 권장할 필요가 있다. 셋째, 그동안 타악기의 활용이 장단교육에 집중되어 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다양한 음악활동에서 악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악ㆍ가ㆍ무 종합적인 활동들을 만들어가야 한다. 가창, 기악, 창작, 감상 등의 각 영역, 나아가 영역통합과 교과 통합 등 다양한 적용 사례들이 있을 수 있다. 타악기는 단소나 소금과 같은 관악기나 가야금과 같은 현악기보다 훨씬 쉽게 연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작은 크기의 유율타악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교실용 타악기 개발은 국악교육의 현장을 훨씬 생동감 있고 신명나는 곳으로 만들어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Various percussive instruments are used in diversified manner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at the education field in Korea, there are overwhelmingly many foreign percussive instruments.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d the genres and extensions in the kinds of Korean traditional percussive instruments and organized the variety of techniques and aspects of possible replacement for percussive instruments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look for ways to apply them in school education fiel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ly, more instruments were found being used besides the instruments that were already known. They were some instruments which were considered shaman instruments and given little attention, and the everyday instruments that general people used. These instruments, by their nature, are small in size and low in volume which are the features that make them appropriate tools for school education where many students play them together at the same time. We need to change the existing awareness of academics about the existing percussive instruments in order to look for ways to actively apply percussive instruments. Secondly, some cases were found where there are different sizes and shapes of one instrument or there are different techniques for an instrument. Especially, using different sticks or techniques is found to change the tone of music and the difficulty of techniques. So far, instruments such as Janggu were constrained to the identical application of art music, which suggests the necessity to play and apply in various manners. Thirdly, there is an imperative need to replace the foreign percussive instruments that are currently used in music class in elementary school. Developing and supplying education instruments should be carried out by national agencies. Various education Korean instruments with appropriate volume and with better sound for classroom use should be developed. Fourthly, percussive instruments were used primarily for rhythm education. However, music with dance should be created in order to use instruments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For example, in folk songs, instrument sounds are used as lyrics and instrumental accompaniment is used in folk songs. These features should be acknowledged in the application of percussive music in singing activities. In addition, percussive instruments are relatively easy to play and this feature makes them a good tool for creative expression. Lastly, the current aspects of everyday life musical instruments should be well-organized and based on this tradition, various materials and tools should be used for making an instrument. Observing existing instruments and making a new one will be more effective when they are associated with other subjects such as math, science, and art. Also, using materials that are easy to find should make it possible to relate the class with social studies and practical course.

      • KCI등재

        조선시대 궁정 악기 제작기구의 조직과 역할

        오지혜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2 이화음악논집 Vol.26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social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instrument-making organization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musical instruments were an essential element to observe the five rituals and perform ceremonial music. In terms of the music-history,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the conditions and procedures for the production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Joseon Dynasty. The note names, scales, installations, and organization charts of the instrument-making organization in the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through historical records such as the Annals and Uigwe. The name of the instrument-making organiza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stitution of the temporary organization in the Joseon Dynasty.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it appea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Dogam(都監), So(所), Sack(色), and Cheong(廳), a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scale of the ministry. In the late 17th century, as the character of Dogam was set as handling important ceremonial matters in terms of the scale of ministry as well as symbolism, the name of the instrument-making organization was changed to Cheong. The instrument-making organization was a temporary organization, established with the permission of the king at the request of the Jangakwon(掌樂院), Yejo(禮曺), etc.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ministry, the organization is divided into the provincial Docheong(都廳), Byeolgongjac(別工作), Joseongso(造成所). The entire ministry was carried out in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each administration, supporting business, and musical instrument production. In this paper, the existence of musical instrument production organization in the Joseon Dynasty was investigated, and detailed review of its size, name, organization, and func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o be a broader historical study that reveals the them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nstrument in the future, going further from the discussion that has focused only on the instrument itself. 본 논문은 조선시대 악기 제작기구의 조직에 관한 사회 제도적 측면의 고찰이다. 조선시대 궁정에서 악기는 오례(五禮)를 지키며 예악(禮樂)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으로 갖춰져야 하는 의물(儀物)로서 악기를 갖추는 일은 궁정의 주요 사안이었다. 음악의 연행에 있어 악기의 제작을 위한 조선시대의 사회적 이행의 조건과 절차에 관하여 알아보는 일은 음악사적인 의의가 있으므로 조선시대 악기 제작을 위한 임시기구의 명칭과 규모, 설치와 조직에 대하여 실록 및 의궤 등의 사료를 검토하여 살펴보았다. 악기 제작기구의 명칭은 조선시대 권설관서(權設官署)의 직제 정립과 관련이 깊다. 조선 전기까지 도감(都監) 및 소(所), 색(色), 청(廳)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는 사역의 규모와 관련이 깊다. 17세기 후반에는 도감의 성격이 사역의 규모뿐 아니라 상징적인 면에서 의례와 관련된 중대한 사안을 처리하는 기구로 확립되면서, 악기 제작기구의 명칭이 도감보다는 한결 간편한 사업으로서 청아문을 사용하는 것으로 정례화된다. 악기 제작기구는 정해진 기간 안에 사역을 마쳐야 하는 임시기구로, 평소 궁정의 악기를 관장하는 장악원, 예조 등의 요청에 따라 왕이 허락하는 절차로 설치되었다. 조직은 사역의 성격에 따라 크게 도청(都廳), 별공작(別工作), 조성소(造成所)로 구별된다. 각기 행정적 사무 및 이를 지원하는 역할, 실제 악기를 생산하는 곳 등으로 유기적인 관계로 전체 사역이 이루어졌다. 조선시대 악기 제작기구의 존재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나아가 기구의 세부적인 규모와 명칭, 조직과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그간 악기 자체에만 집중했던 논의에서, 앞으로 악기 제작의 주체와 제작과정 등을 밝히는 폭넓은 사적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1930년대 일본인의 조선음악 연구 2

        이지선(Lee, Ji-su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7 No.37

        본 연구는 1930년대 일본인에 의해서 수행된 조선음악 연구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고찰 대상은 『이왕가악기』이다. 이 책은 1939년에 히타카 에이스케((日高英介)가 저술하고 이왕직아악부에서 간행한 조선악기 소개 책자로, 65종의 악기 해설이 56항목에 걸쳐 56장의 사진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이중에는 1937년 함화진이 북경에서 구입해서 조선으로 가져온 수공후·소공후·와공후·운라도 포함되어 있다. 『이왕가악기』는 악기를 연혁, 연주 방법, 재료, 용도, 치수 등의 측면에서 기술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측면을 모두 균형 있게 서술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것은 악기의 연혁에 관한 내용이다.『이왕가악기』의 연혁에 관한 내용을 조선 문헌의 그것과 비교하면 많은 부분에서 일치하지만, 한편으로는 개인적인 견해를 피력한 부분도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특히 양금·비파·소·약·생에 관해서는 아라비아 기원설, 서아시아 기원설, 남아시아 기원설 등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 기원설을 제시한 조선 문헌과는 구분되는 점이기도 하다. 악기의 형태, 연주 방법, 재료, 용도, 치수에 대해서는 일부 항목에서만 기술하고 있다. 형태에 대해서는 43종, 연주법에 대해서는 19종, 재료에 대해서는 15종, 용도에 대해서는 27종, 치수에 대해서는 15종의 악기 항목에서만 서술하고 있다. 또한 그 설명도 매우 간략한 편이다. 이러한 집필 방향은 음악을 전문으로 하지 않았던 저자의 경력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왕가악기』는 1930년대 말 조선 악기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사료이다. 또한 이 책은 시판용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당시 일반인이 쉽게 구할 수 있는 손꼽히는 조선 악기 해설서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만 해설의 내용은 악기의 연혁에 치우쳐 있어, 조선 악기를 처음 접하거나 익숙하지 않은 일본인에게 충분한 이해를 주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s to examine 《Yiwangga akki(The Musical Instruments of the Yi Royal Household)》, written by Hitaka Eisuke(日高えいすけ), and published by Yiwangjik aakbu(Royal Conservatory of the Yi Household). There are 56 photographs with commentaries in this book, including Sukonghou, Sokonghou, Wakonghou(Konghu: a kind of chordohpone), and Unna(a kind of idiophone) that were introduced by Hahm Hwa-jin from Beijing in 1937. 《Yiwangga akki》 explains the musical instruments in terms of their origins, playing methods, materials, uses, and sizes, although they are not all described in a balanced way. What it is mostly focusing is the origins of the instruments. Many of the explanation on the origins of the instruments agree to those in Joseon’s literature in a great deal when compared, but it also reveals personal opinions to some degrees. Particularly, the book supports the theory of the Arabian origin, the theory of the West-Asian origin, and the theory of the South-Asian origin on explaining a few instruments, which is different from Joseon’s literature that presents the theory of the Chinese origin. Only a few instruments are explained of their shapes, playing methods, materials, uses, and sizes in full. 43 kinds of instruments are explained of their shapes, 19 of their playing methods, 15 of the materials, 27 of their uses, and 15 of their sizes. The commentaries are also very brief. 《Yiwangga akki》 is a valuable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in the late 1930s. Since it was produced for commercial sale, it is considered to have been a popular and an easy-to-get guide book of the musical instruments of Joseon. However, it might not have been a great help to the Japanese who were new or unfamiliar to those instruments, as it is inclined to the origins of the instruments.

      • KCI등재

        부여능산리출토백제금동향로 : 주악 조소상 오른쪽1 악사의 악기에 대한 연구

        이종구(Yi Zong gu) 국립국악원 2009 국악원논문집 Vol.20 No.-

        필자는 2007년에 「백제금동대향로 주악 조소상 악기 명칭에 대한 연구」라는 논문을 통하여 부여능산리출토백제금동향로(夫餘陵山里出土百濟金銅香爐)의 다섯 악사와 그들이 갖고 있는 악기에 대한 선생연구를 한 바 있다. 이 본문에서 중앙악사의 악기를 백제삼현으로, 왼쪽1악사의 악가는 장소, 왼쪽2악사의 악기는 배소, 오른쪽1악사의 악기는 무명백제악기, 오른쪽2악사의 악기는 금(琴)이라 명명하였었다. 이것은 백제금동대향로가 발견된 직후부터 지금까지 해당 박물관 안내 게시물로부터 각종 교과서나 전 세계에 퍼져있는 모든 자료에 나타난 악기 이름과 큰 차이를 갖고있는 것었다. 특히 북 또는 타악기로 알려졌던 오른쪽1악사의 악기에 대한 견해는 그 근본부터 상이한 것이었다. 이 악기에 대하여 집중 연구한 것이 본 논문이다. 이름을 밝힐 수 없었던 오른쪽1악사의 악기에 대하여, 일반적인 악기로서의 조건과 맞는지 검토하였고 이를 다각도에서 촬영한 사진들을 종합하여 아도브-일러스트 프로그램으로서 악기 외형을 다시 한번 정리하였다. 그 결과, 가) 악기의 윗면은 앞쪽은 반원(半圓)형이고 뒤쪽은 직각의 모습이어서 마치 양변기(洋便器)의 윗부분 모양과 유사하고, 나) 악기는 너비가 연주자의 허리 품 정도이고, 길이가 사람의 골반에서 무릎 정도로 길이로 추정하였으며, 다) 악기 몸체의 높이는 연주자의 손바닥 너비 보다 약간 길지만 가부좌를 튼 양다리 사이로 더 깊이 내려갈 수도 있어 보였고, 라) 몸체 위에 달려있는 뚜껑 모양의 형태에 긴 손잡이가 한 가운데 부착되었다는것 들이었다. 이에 대하여 연주하는 모습은 오른손으로 손잡이의 뒤쪽을 잡고 앞 방향으로 새끼손가락이 위치하여 뚜껑을 상하로 움직이는 모습이었으며, 왼손으로 손바닥을 펴서 수도(手刀) 방향을 아래로 악기 몸통의 오른쪽에 대고 있다. 가부좌 자세로 무릎을 벌리고 앉아서 그 위에 악기를 얹어 놓고 있기 때문에 정강이와 발꿈치로 악기를 약간 조이듯 파지(把持)를 돕고 있고, 무릎에 얹어 놓고도 고정될 수 있다면 이 악기의 재료는 중량이 무거운 목재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사항을 바탕으로 상하 운동으로 연주하는 목탁이거나 손잡이를 이용하여 풀무질 하는 관악기의 가능성을 찾았지만, 몸체 옆 부분에 왼손을 대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관악기 즉 기구를 이용하여 송풍하는 생황 종류의 악기라는 점에 더 무게를 두었다. 그야말로 전대미문의 악기이기는 하지만 이 악기가 타악기라면 공명체를 왼손으로 막을 이유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결론을 유도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 이 악기의 표준규격과 용적률을 추적하기 위하여 한국고대인의 평균 신장을 164.3cm로 유추하였다. 따라서 필자가 2007년에 무명백제악기라 하였던 이 악기의 이름을 백제생황이라 명명한 것이 본 논문의 요지이다. This thesis outlines the Right 1st. musicians and their instruments that are placed on the top of a gilt incense burner called Baekjegeumdong- daehyangno excavated in 1993 at the temple site near Naseong, Baekje and Neungsan-ri, Gobun-gun with the help of the Buyeo National Museum. Even if it is a small sculpture, the shape of instruments and musicians clearly describe many details regarding a performing pose and the sound structure of each instrument. A brief summary is as follows : First, the instrument of the first musician known as percussion is wind instrument that can be assumed a kind of concertina. However, I myself couldn t find a proper name of this instrument therefore, I here call the instrument unnamed instrument of Baekje on my thesis. In this thesis, I inspected the external shape of the instrument, right 1 , by using photo-shop and illustrator program. As the result, I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both a percussion instrument a sort of wooden gong and a wind instrument of the reed instrument system. These two possibilities all differ from the existing a wooden gong and a reed instrument in the respect that these are used with utensils. However, we concluded that the possibility as a percussion instrument is lessened in the respect that the left hand touches the instrument. Therefore, the instrument which has sculpturally most completed external shape is the reed instrument which plays with bellows. That is why I am going to call the name of right 1 musician from Unnamed instrument of Baekje to Baekje - Shon Pung Gum(Baekje - Concertina) . Second, the second instrument previously known as the kômungo from the right side is closed to the gŭm(琴) which is one of the string instruments from middle China. The kômungo is originally from the Koguryŏ dynasty and the Silk Road. The fact that this instrument was found in there mains of Baekje tells us broad cultural exchanges of people of the country. Third, the instrument in the center of the burner known as the wanham or wolgŭm is closer to various kinds of the three-stringed instruments of Baekje dynasty. Last, there is a fan flute - or tŭngso - like instrument on the left side of Baekjegeumdong- daehyangno. Based on my study, these wind instruments came from the Silk Road and the southern regions. Although this sculpture is greatly tiny sculptured, it can be a reliable data by which the playing posture and the principle of sound of each instrument because the balance of human body and the shape of instrument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alistic proportion. Thus, in the situation that the instruments are reproduced, there will be no problem if two factors are preceded. In one process, detailed proportions of each part and the shape of instruments were investigated by estimating instruments and Baekjegeumdong- daehyangno musicians for data processing in the form of 3-Dimension graphs and theses tasks were performed by Dr. Park s team in KAIST. Then another required task is left before producing instruments. That is, the floor space rate and the size of instrument should be set by applying produced 3D graphic to ancient Korean people s average height. It has not been reported yet the average height of Baekje people. However, there were a few studies about the average height of Korean people until pre-Chosun dynasty after Baekje period. Based on adult skull which is excavated in Kimhae, Kyung-nam, the first one was revealed that the average height of male was 167.4 cm. Based on adult skull which are excavated in Gobun-gun of Koreyo dynasty, the second one was 162.2 cm. In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Im Jin Wae Lan), the average height of male was 161~166cm and their average becomes 163.5cm and in a book of English explorer, Bishop, Isabella bird, who visited to Korea in 1890s is written that the average height of Korean man was 164cm.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서양악기 담론

        김나은(Kim, Naeun) 한국대중음악학회 2010 대중음악 Vol.- No.5

        이 논문의 목적은 식민지 조선에 전래된 서양의 악기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문화적 의미를 획득해갔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악기를 미디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악기의 ‘미디어 사회문화사’를 제안했다. 그 이유는 음악에 얽힌 다양한 주체와 담론의 흐름들을 조금 더 효과적으로 구성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악기는 음악적 사고와 느낌을 표현하기 위한 ‘물적 매개물’이기도 하지만 19세기 유럽의 제국주의가 아시아 국가들에 끼친 영향을 극명하게 드러내주는 문화상품이기도 하다. 즉, 일제 강점기하 조선의 근대화와 이중음악성(bi-musicality)을 동시에 설명해줄 수 있는 미디어가 곧 서양악기라는 뜻이다. 근대화 이전까지만 해도 전통악기는 주로 특수한 계층이나 집단에 의해서 연주되거나 소유할 수 있었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양악 음악회의 성행, 근대적 음악교육의 확산으로 악기는 문화적이고 교육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졌고 상징적 의미를 획득하기 시작했다. 즉, 전통적인 음악문화 위에 양악이 유입되면서 조선에는 두 가지 음악문화가 공존하게 되었고 담론적 경합이 불가피했다. 이 논문은 그와 같은 담론들을 통해 서양악기가 어떻게 전유되었으며 어떠한 과정을 통해 문화적 의미를 획득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1920~1930년대의 잡지와 신문의 기사들을 분석했다. 더불어 악기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지금까지는 잘 논의되지 않았던 악기의 사회적·문화적 의미를 재조명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show how musical instruments acquire cultural meaning in Korean socie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For analyzing the musical instruments, I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sociocultural history of media.’ The reason is that the music intertwined with various subjects so the flow of discourse organized effectively. Musical instruments can express thoughts and feelings as ‘physical medium’ of music and also they are cultural products which reveal the influence of 19th century European imperialism on Asian countries. In other words, musical instruments can explain Korea’s modernization and the bi-musicality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at one time. Until the modernization, only special groups or classes could play traditional instruments bu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the prevalence of western music concerts, spread of modern education, music instruments obtain cultural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began to acquire symbolic meaning. That is influx of western music into the traditional Korean musical culture raise competition between two cultures was inevitable. This paper, through the competition of discourses, tries to reconstitute a historical trajectory of social usage of musical instruments therefore 1920s~1930s’ magazine and newspaper articles were analyzed. In addition, I examined prior studies of musical instruments and shed new light on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musical instruments so far had rarely discussed in Korea.

      • KCI등재

        백제악기연구 (I)

        이종구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0 音樂論壇 Vol.24 No.-

        In general, it is known that there are four types of Baekje dynasty's music instrument which are 'Go'(鼓: drum), 'Gak'(角: horn), 'Gong-hoo'(箜篌:harp) and 'Jaeng'(箏: zither). This information is based on the literatures of history showing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instrument of Baekje founded in Dang dynasty 50 years after Baekje in region of part of korean peninsular ended and it is way of how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s their students. The literatures of history exclude the fact that there had been various types of music and instrument of Baekje in the early period of Dang dynasty although it was reduced to the only four types of instruments left as a result. In contrast to the 700years of history of cultural nation 'Baekje', the instruments of Baekje seems to be remained as a poor figure to us nowadays. In the university level, three more instruments are added which are 'Dopipilryul'(桃皮觱篥: oboe), 'Jee'(篪: bamboo flute) and 'Woo'(竽: eastern mouth organ) resulting a sum of seven instruments of Baekje. However, it is only based on the record of 'Samguksagi'(the histroical record of three kingdoms of korea) which were written 500 years after Baekje in the region of part of korean peninsular ended. Futhermore, there is a tendency that people regard those instruments as chinese instruments due to the reason that those are not commonly used in 20th century's Korea, resulting a low interest among the people Reaching to the end of 20th century, specialists founded four more instruments called 'Hweing-juk', 'Mak-mok', 'Goon-hoo'and 'Darijigo' from the literature of Japan and those were classified into the instruments of 'Baekje' to make a sum of 11 types of instruments. However,it doesn't still contain the instruments identified from the artifacts excavated between the end of 20th and 21th century. This dissertation is published and translated with a general research of 27 types of literature on Baekje dynasty's music, identifying that there are at least 23 types of instrument of Baekje after a discovery of 12 more instruments based on 'The triad stone statue of Gye-you-myoungjun-ssi-a-mi-ta-bul', 'The gold-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The string instrument excavated from woelpyeong-dong', 'The string instrument of Baekje excavated from Sinchang-dong' and 'Palbujoongsang(八部衆像) in the site of a bowon temple'. The 12 added instruments are 'Bae-so'(排簫: pan flute), 'Jang-so'(長簫: large recorder), 'Saeng'(笙: mouth organ), 'So'(蕭: pan flute with a reed), 'Baekje-Saenghwang'(百濟笙篁, mouth organ in Baekje style), 'Gokgyeong bipa'(曲頸琵琶: bipa with a curved neck), 'Baekje Samhyun'(百濟三絃, plucked instrument of Baekje), 'Soo gong hoo'(垂箜篌:harp in L-shape), 'wa gong hoo'(臥箜篌: plucked zither with frets), 'Geum'(琴: long zither, Qin), 'Baekje Geum'(百濟琴: long zither in Baekje style) and 'Yogo'(腰鼓: two-side drum). Futhermore, this research suggests a possible approach to the addition of 19 types of instruments which are 'Yup'(葉),'Ga'(笳), 'Seul'(瑟), 'Samhyun Geum'(三絃琴), 'Bipa'(琵琶), 'Oh hyun'(五絃),'Chook'(筑), 'Gyeok Guem'(擊琴), 'Bang Hyang'(方響), 'Jong'(鐘), 'Soon uh'(錞于), 'Jing'(鉦), 'Tak'(鐸), 'Ryeong'(鈴), 'Bal'(拔), 'Bakpan'(拍板), 'Gyeong'(磬), 'Julgo'(節鼓) and 'Galgo'(羯鼓), based on the record in the 185th volume of 'Tong Jeon' showing that 'There are many similar instruments of Bek jae in 'Naeji(內地 = the capital city of Dang dynasty). Baekje's instrumental music is an overall performance assuming the form of 'kgamoo'(song, instruments, dance) in the concept of folk music as well as name of the musical form played for the independent music. The contents were diverse including from Buddhist propagation to the secular matter and were performed not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n all the Baekje's territory such as central district123 and Japan. Nowadays, it was confirmed that hose music' has... 백제 악기를 살필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사료는 「북사」 이다. 고(鼓)․각(角)․공후(箜篌)․쟁(箏)․지(篪)․적(笛)등의 7종 악기가 백제악기라 기록하고있다. 그 다음 오래된 기록은, 한반도백제가 망한 후 50년 뒤 당나라에 있던 많은 백제 음악과 악기가 사라지고 겨우 고․각․공후․쟁의 4종 악기만 남아 있었다는 「통전」 이다. 이러한 기록으로 말미암아 700년 긴 역사를 가진 문화국가백제에 겨우 7종의 악기가 있었다는 것으로 우리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그나마이러한 기록에 있는 백제 악기들은 20세기 한국에서 상용하는 악기가 아니기에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경향도 있다. 중국악기 또는 중국계열의 악기로 흘려버리는 것이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서서야 횡적, 막목, 군후, 다리지고 등 일본문헌에 있는 악기들이 전문가들 사이에 등장하여 백제악기로 말하게 되었다. 이를합한다면 11종이 된다. 여기에도 20세기 후반에 발굴한 유물의 도상으로 확인된악기들은 여전히 포함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계유명전씨아미타불삼존석상,백제금동대향로, 월평동 출토 현악기, 신창동 출토 백제 현악기, 보원사지 팔부중상(八部衆像) 등을 근거하여 12종의 백제 악기를 추가하여야 한다는 주장을하고 있다. 이로서 백제악기가 최소한 23종이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추가된 악기는 배소(排簫)․장소(長嘯)․생(笙)․소(蕭)․백제생황(百濟笙篁)․곡경비파(曲頸琵琶)․백제삼현(百濟三絃)․수공후(垂箜篌)․와공후(臥箜篌)․금(琴)․백제금(百濟琴)․요고(腰鼓) 등이다. 본 연구는 또 「통전」(通典) 185권의 “백제 악기는 내지(內地, 당나라 수도)와 같은 것이 많다”는 기록을 근거로, 엽(葉), 가(笳), 슬(瑟), 삼현금(三絃琴), 비파(琵琶), 오현(五絃), 축(筑), 격금(擊琴) 방향(方響), 종(鐘), 순어(錞于), 징(鉦), 탁(鐸), 령(鈴), 발(拔), 박판(拍板), 경(磬), 절고(節鼓), 갈고(羯鼓) 등의 19종이 백제악기로 더 추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제시하였다. 앞서 제시한 문헌들은 기악(伎樂) 때문에 백제 악기를 소개하고 있다. 고대국가에서는 악기가 음악활동을 위한 도구라는 차원을 넘어서 궁중의물로 또는정치적 수단이라 여겨 중요시하였다. 이런 환경에서 백제기악(伎樂)은 민속악형태를 띈 악가무(樂歌舞)형태의 종합 공연물이었지만 독자적인 음악에도 사용하였던 한 형식이었다. 내용도 불교 포교적인 것에서부터 세속적인 것 까지 다양하였으며 한반도는 물론 중원(中原)과 오늘날의 일본에 이르는 백제의 모든강역(疆域)에서 공연되었다. 회중보(懷中譜), 인지요록(仁智療錄), 기악곡(妓樂曲) 등의 일본 측 문헌에 악보집이 남아있어 그 해독과 음악 재현이 가능하리라는 추정도 하였다. 수․당나라에서는 승전국의 전리품(戰利品)으로 점령국의 음악을 모아 연회에서 사용한 바, 백제악도 여기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런 전통은적어도 한반도백제가 멸망한지 50년 정도 되는 8세기 초 까지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편 오늘날의 일본 땅에는 이보다도 100년이 훨씬 넘은 9세기중엽까지 백제악이 있었고 또 백제왕이 존재하여 이를 연주하였다. 여기에는 서로 다른 5명의 백제왕 이름이 동시에 거명되었으며 일본 왕과 군신(君臣)의 관계를 가지고 풍속무(風俗舞)라는 음악으로서 교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백제 기악은 맑아서 당나라 사람들이 즐겨 불렀다”는 「태평어람」 (太平御覽)의 기록은지금까지 음 ...

      • KCI등재

        조선시대 明器樂器의 시대적 변천 연구

        송지원 한국국악학회 2006 한국음악연구 Vol.39 No.-

        본고는 조선시대 왕실의 국장(國葬)시 시신과 함께 광중(壙中)에 부장하는 악기인 명기악기(明器樂 器)의 시대적 변천을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에 제작된 국장도감의궤(國葬都監儀軌)와 실 록, 오례서(五禮書)의 기록을 분석하여 오례(五禮) 중의 흉례(凶禮)로서 치러지는 국장의 주요 과정과 함께 명기악기의 종류, 제작 내용과 이동 상황을 아울러 살펴보았다. 명기악기는 정조대(正祖代)를 기점으로 종류와 재료 등이 변화한다. 정조대 이전의 명기악기에는 아 악기와 당악기, 향악기가 모두 포함되어 악기의 종류가 31종으로 다양하였으나 정조대 이후 아악기만 을 부장함으로써 11종으로 축소되었다. 또 종(鐘)의 제작 재료도 변화하여 숙종과 그 이전시기 국장의 종은 진흙을 구워 만들었으나 정조대 이후에는 동(銅)으로 제작하여 원 재료에 가깝게 되었다. 경(磬) 또한 진흙으로 제작하던 것에서 자기(磁器)로 제작하는 전통으로 바뀌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명기악기 는 악기궤(樂器櫃)에 어교(魚膠)로 바닥을 고정시켜 넣어 능(陵)으로 옮긴 후 광중에 부장한다. 정조가 즉위하면서 치른 영조의 국장에서부터 아악기 일색의 명기를 부장한 사실은 아악의 부흥을 꾀하고자 했던 정조의 국가전례정비 노력의 상황과 맞닿아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고악(古樂)과 고제 (古制)의 회복을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였던 정조의 국가운영 맥락이 왕의 무덤에 부장하던 악기의 종류에서도 확인되는 셈이다. 정조의 즉위와 함께 치러졌던 영조국장시의 명기악기가 아악기로 고정된 전통은 정조 자신의 사후에도 마찬가지였다. 이후 치러지는 모든 국장의 명기악기도 아악기로 고정되 어 이어짐으로써 정조대 이후의 조선 왕실 국장문화의 새로운 전통이 되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change of musical instruments which were supposed to be buried with the dead body in a royal funeral(明器樂器, myeonggi instruments). This paper clarifies the funeral rite, the kinds of the musical instruments for burial, the contents of the production, and the conveyance of the instruments, by analyzing Gukjangdogam'uigueo(國葬都監儀軌, a book for national funeral) and silrok(實 錄, True record of Joseon Dynasty), a book of Five Rites五禮書, which were produced in Joseon period. The kind and material of the musical instruments for burial began to change under the reign of King Jeong-jo正祖. Before King Jeong-jo's reign, the musical instruments for burial consisted of 31 kinds including the instruments for court music, the instruments for the Chinese music in Tang dynasty and the instruments of native Korean music. However, in King Jeong-jo's reign, only 11 kinds of the instruments for court music were buried in the funeral. In this period, the material of the bell was changed from mud to copper. Gyeong磬 also began to be made by ceramic, not by mud. These instruments were conveyed to the tomb, being fixed in an instrument box. This kind of change implies the policy of King Jeong-jo, who tried to reconstruct the national rites by recovering the old music and the old system and reviving the court music. The way which took only the instruments of court music for burial at the funeral of King Yeong-jo英祖 was taken when King Jeong-jo was dead. It became a new tradition of royal funeral after King Cheong-jo's re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