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십장생도(十長生圖)〉의 상징과 생명사상

        김정은(Kim, Jung Eun) 한국민화학회 2015 한국민화 Vol.- No.6

        본 연구는 조선시대 〈십장생도〉에 내재된 생명사상에 관한 고찰이다. 〈십장생도〉는 고려 말 궁중회화 가운데 세화로 그려졌던 그림으로 장수를 축원하는 길상적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도교의 생명사상을 수용한 불로장생의 염원을 추구하는 상징이 깊게 깔려 있다. 〈십장생도〉는 고대부터 인간의 원초적 욕망을 구현하기 위한 불로장생의 복을 추구하는 사상과 결합하여 다양한 상징물 문양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문양은 조선시대 회화뿐만 아니라 궁중 복식 및 자수, 도자기 등에 이르기까지 상징적 이미지로 반영되었다. 한국적 특성을 다분히 지닌 조선시대 〈십장생도〉는 궁화와 민간 세화, 민화 방면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 화목이다. 〈일월오봉도〉, 〈요지연도〉등과 함께 조선시대 대표적인 궁화이기도 한 〈십장생도〉의 구성요소인 장생물은 한국인의 토속적인 자연숭배 사상과 신선사상을 대표로 하는 중국 도교의 생명사상과 자연스럽게 결합되어 있다. 근래 민화연구가들의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고 있는 민화는 분류와 범주 개념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중심에 있는 〈십장생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연구는 민화의 유행에 따른 표면적 관심을 넘어 이면에 숨겨진 사상적 배경에 대한 관심을 환기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십장생도〉의 배경을 이루는 장생물이나 신선도 계열의 사상적 연원과 십장생에 내재된 생명사상을 고찰함으로써 인간의 욕망이 투영된 예술작품의 진정한 의미와 생명의 경외감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십장생도〉에 내재된 불로장생의 소망은 현대에 와서도 방법은 다르지만 여전히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민족정신이 깊이 스민 〈십장생도〉의 내면에 담긴 불로장생의 신선사상으로 대표되는 도교적 생명사상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의 생명사상과 직결된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의 문제도 함께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about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十長生圖)〉 inherent in the thought of Chosun Dynasty. In the late Koryeo Dynasty,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was a painting of the palace of drawing periodic paintings. It was believed to signify the praying for longevity and it was based on the symbol of an eternal youth and longevity with the thought for life of Taoist. As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was combined with the thought of an eternal youth and longevity, it implied the primitive desire of human being from ancient days and it is the painting of good fortune which composed of several symbols that reflected its symbolic image of Paintings, Royal court dress, Embroidery and Pottery of Chosun Dynasty.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of Chosun Dynasty has Korean characteristics and can be classified as the representative type of paintings through several directions like the painting of the palace, civil periodic paintings and folk paintings. Also,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can be represented by the Painting of the palace with 〈Sun, Moon and Five Peaks Painting(日月五峰圖)〉 and 〈Painting of Taoist immortals(神仙圖)〉 and one of the components. Longevity is naturally combined with Totemism of Korean and Thought for life of Chinese of representative of The immortality. Recently, most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folk paintings and its discussions symbolizes a concept of classification, category and so on. However, Study from a new perspective for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according to folk paintings in fashion exposes the ideological background beyond superficial concerns and provides a good platform of opportunity for the arousal of interest. Therefore, considering the longevity, background of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the ideological origin of the Taoist immortal paintings series and the thought for life of the longevity, we can understand the realistic meaning of human beings desire, projected works of art and awe for life clearly and on the whole. Nevertheless, due to the different methodologies between present and ancient and hope of eternal youth and longevity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painting can progressively move on. Considering the thought for life of Taoist with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of representative of the immortality, it can be expected that the environmental problem with human being and natures coexistence can be thought about harmoniously.

      • KCI등재

        조선시대 <십장생도<SUB>十長生圖</SUB>> 상징<SUB>象徵</SUB>에 내재된 철학적<SUB>哲學的</SUB> 사유 ― 도교적<SUB>道敎的</SUB>철학 사유를 중심으로

        김정은(金正恩)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3

        본 연구는 조선시대, 장수를 상징하는 <십장생도>에 표현된 이미지의 철학사유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한국에서 <십장생도>는 고려 말부터 궁중회화 가운데 세화歲畫로 그려졌던 그림으로 장수를 축원하는 10여 종류의 자연물을 구성하여 그린 그림이다. 세화는 사邪‧귀鬼‧액厄을 물리치거나 방어하고, 좋은 것을 더욱 증가시키는 벽사闢邪, 길상吉祥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그림은 감상용 그림으로서의 기능보다 벽사 길상의 목적성을 지닌 그림으로 장수와 관련된 인간의 생명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생명과 관련된 그림은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생명 인식 결과로 자기 시대의 상상력을 표상한 예술품이다. 장수를 상징하는 10여 종류의 이미지는 일차적으로 미술로 표현된 표현물이지만 이미지의 내면에는 도교적 철학 사유가 내재되어 있었다. 첫 번째, <십장생도>의 십여 종류의 장생물은 혼돈의 기氣의 작용으로 탄생된 자연물 가운데 하나로 기화우주론氣化宇宙論적 사유가 내재되어 있다. 두 번째, 대자연의 동식물들은 천지 가운데 인간과 함께 태어난 것으로 인간과 같은 부류라는 천인동류天人同類)의 사유가 내재되어 있다. 세 번째, 인간과 대자연은 동류이므로 천지 자연물인 <십장생도>의 장생물은 인간과 감응할 수 있는 동기상응同氣相應의 사유가 내재되어 있다. <십장생도>에 그려진 장수 길상의 10여 종류 소재는 천지 자연물로서 그 탄생 근거는 도교의 천인합일적 철학 사유가 내재되어 있었다. 조선시대 대표적인 궁화이기도 한 <십장생도>는 민화연구가들의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고 있으며 분류와 범주 개념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표면적 관심을 넘어 이면에 숨겨진 사상적 내용을 통하여 인간의 생명은 어디에서 비롯되었으며, 또한 자연과 인간은 어떻게 공존해야 하는지 예술을 통한 철학적 사유의 발현을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the image expressed in the Shichangshengtu (十長生圖), the symbol of longevity in Joseon Dynasty. In Korea, Shichangshengtu is a painting that has been drawn as a royal paintings for Sehwa (歲畫; New Year gift painting) since the end of Koryeo dynasty. It is a painting composed of 10 kinds of natural objects containing the wish of longevity. Sehwa has functions of Bixie (僻邪), defeating or defending from the evil (邪), demon (鬼), and misfortune (厄), and Jixiang (吉祥; auspicious sign), enhancing the goodness even more. This is not a painting for admiring rather for finality with Bixie and Jixiang, so it is rather connected to man’s life of longevity. These life-related paintings are works of art that represent the imagination of one’s own era as a result of people’s perception of life in that era. The ten images are primary products symbolizing longevity expressed in art, but the philosophical manas of Tianren Heyi (天人合一; unity of man and heaven), contained within the image, have been examined. First, ten longevity symbols in Shichangshengtu are a kind of natural objects created by the action of the Qi (氣) of chaos, and the manas of Qihua Yuzhoulun (氣化宇宙論; spiritual cosmic theory) is inherent. Second, the nature’s animals and plants are born with humans on earth, middle of heaven and earth, and there is an inherent manas, Tianren Heyi, those are same kind of creature of human, Tianren Heyi. Third, since humans and Mother Nature are the same, the longevity symbols of Shichangshengtu, which are natural objects of heaven and earth, are beings born under the action of Qi like humans, so they can respond to humans, and the manas of Dongji Xiangying (同氣相應; synchronous response) is inherent. It is believed that the 10 symbols of Changshou (長壽; longevity) and Jixiang depicted in <Shichangshengtu> have the influence of the longevity path by responding to humans through the image symbolizing Changshou based on the above Taoistic philosophical manas. <Shichangshengtu>, which is also a representative court painting of the Joseon Dynasty, is receiving a lot of love and interest from folk painting researchers, and various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classification and categories are being conducted. Therefore, we expect the expression of philosophical manas through art, where human life originated and how nature and human should coexist through the ideological content hidden behind the surface, beyond the superficial interest.

      • KCI등재

        오리건대학교박물관 소장 십장생병풍(十長生屛風) 연구

        박본수(Park Bon soo) 국립고궁박물관 2008 古宮文化 Vol.- No.2

        미국오리건주의 오리건대학교박물관 소장 <십장생병풍>은 1924년 서울의 무역상에 의해 오리건대학교박물관에 판매되었으며, 머레이 워너 컬렉션 한국미술의 기초가 되었다. 이 병풍은 1879년 12월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1874∼1926)의 천연두회복사건 때 진료를 담당했던 의약청 관원들이 역사척인 검사에 참여했던 것을 기념하는 계병으로 제작했던 것이다. 좌목에 나타나는 이유원 등 14명의 관직명을 『승정원일기』를 통혜 추적해본결과 이 작품이 제작된 시기를 1880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작품 외에도 왕세자의 천연두 회복을 기념한 계병이 두 점 알려져 있는데, 모두 왕세자의 책봉의례를 주체로 한 반면, 의약청이 주관한 이 계명은 십장생을 주체로 했다. 이렇게 십장생을 주제로 한 계병은 현재까지는 처음으로 알려진 작례이다, 그리고 다른 계병들이 행사를 기록한 서문이 있는데 반해 이 병풍에는 서분이 없고 좌목만 있는 것이 특이하다. 이 <십장생병풍>이 상징하는 공간은 해도(海島) 라기 보다는 심산유곡(深山幽谷) 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양식적으로는 전형척인 십장생도에 비해 소나무의 숫자가 두 그루로 줄어들고 전체적으로 구도가 축약된 형태이다. 이를 그린 화원은 좌목올 붙이기 위해 처음부터 그림의 첩수를 줄일 것을 의도하였고, 구도를 축약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청색과 녹색이 두드러지고, 청학ㆍ황학ㆍ백학 등 3색의 학이 동시에 그려진 점, 원근감과 공간감이 표현되는 첨 웅은 천형적인 십장생도의 양식과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청록산수에는 적용되지 않었던 준법과음영처리가보이는 정은 이 작품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십장생도>를 비롯한 궁중장식화 중에서 제작연대가 정확하게 밝혀진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런데 이 병풍은 조선말기 궁중에서 벌어진 왕세자의 천연두 회복이라는 구체적인 사건과 연결되므로 문화적ㆍ시각적 중거물로서의 의의와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궁중장식화의 양식 비교 및 연대 추정에 중요한 기준작이 될 것으로생각한다. In 1924, Ten Symbols of Longevity Folding Screen in the Oregon University Museum was sold to the museum by a trader and it laid the foundation of the Murray Warner s Korean Art collection. When the Crown Prince Sunjong(1874-1926), was up and around, recovering from the smallpox illness in December 1879, all the pharmaceutical crews who were seriously involved in his cure really exulted to have the screen produced in commemoration of the successful event. After having examined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titles including Lee Yuwon and fourteen others in Seungjeongwonilgi(Diary of the Royal Secretariat), I verified that the screen was produced in 1880. Besides this screen in Oregon University Museum, two more screens were produced to commemorate the recovery of the Crown Prince, which depicted the Crown Prince Empowerment Ceremony. Meanwhile, this screen, which is sponsored pharmaceutical ministry, depicts ten longevity symbols. This was first ever screen dealing with ten symbols of longevity. Moreover, while other screens have a foreword on the event, this screen only has government officials list.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Folding Screen expresses and symbolizes Steep mountains and deep valleys rather than Sea island . Compared with typical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it has only 2 pine trees and seemed contracted in terms of composition in whole. The artist who drew it seemed to be intent on decreasing the sheets and contracting the composition to save the space for the government officials list attachment. However, this one wouldn t make much difference from the typical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that it was distinctively blue and green color toned, featured blue crane, yellow crane and white crane at the same time and showed very good perspectives and space ratio. However, this one shows dexterous texture stroke method and lightings. Production dates of most palace paintings have rarely been cleared up including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ut this one would not only have high cultural social value because it was related with the heir apparent s recovery from the illness but also is valuable yardstick for tracing the origin date and comparing the palace painting types.

      • KCI등재

        이색의 세화 십장생시(歲畫十長生詩) 연구

        황수정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88

        This study speculated on the Sehwa Sipjangsaeng poetry by Lee Saek, a civil minister, scholar, and poet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There were a number of achievements in studies on Lee Saek's Chinese poetry. He was much interested in daily narratives and expressed his passion for such narratives in poetry. It has been ascertained that his poetry explored diverse and abundant materials and subjects and his Sahwa Sipjangsaeng bibliograpically mentioned the Korean Sipjangsaeng painting in the earliest period. Existing relevant studies were usually focused on the Sehwa and Sipjangsaeng of the Joseon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hwa Sipjangsaengsi written by Lee Saek and its meaning. In the late Goryeo period that was politically intervened by the Yuan Dynasty of China, Lee Saek was a leader of cultural development with pride and dignity in his country as one of the Goryoe intellectuals. During those times, a king conferred with the Sahwa Sipjangsaeng on a subject to celebrate a new year. Lee Saek expressed his thoughts about the painting in a poem while recovering from an illness. Thus, his Sehwa Sipjangsaeng poetry has a meaning in that it led us to an awakening of human life and attitude towards it beyond the wish of longevity. His Sehwa Sipjangsaeng poetry was roughly classified into two perspectives: First, the poetry described his recognition of eternal life by expressing the homeostasis of the heaven and sustainability of the earth. That is, it described the sun, clouds, water, and rocks. The poet expressed the origin and spirit of life based on the principle of nature circulation in his poetry. Second, it led us to speculate about our variable attitude toward life through verses about pine trees, bamboo trees, a bracket fungus of the genus Fomes, turtles, cranes and deer. That is, he showed his true attitude as a politician, subject, and intellectual by expressing his thoughts about miracles and the unchangeability of animals and plants. Thus, it was concluded that his Sehwa Sipjangsaeng poetry suggested the origin of life and orientation towards life. 본고는 이색의 세화 십장생시에 대한 연구이다. 이색(李穡)은 고려 말 문신(文臣)이고, 학자이며 시인이다. 그동안 이색의 한시에 대한 연구는 이미 많은 성과를 이루고 있다. 그는 일상 서사(敍事)에 다방면으로 관심을 두면서, 이를 시화(詩化)하였다. 그의 시세계는 소재 및 제재에 있어서 다양하고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작품 중에서 세화 십장생을 노래한 시는 우리나라 십장생도에 대한 문헌상 가장 이른 시기의 언급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기존의 세화 및 십장생에 대한 연구는 주로 조선시대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본고에서는 고려 말 이색의 세화 십장생시 연구를 통해 그의 시가 갖는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고려 말 원 간섭기에 이색은 고려 지식인으로서 긍지와 자부심이 있었고 자국의 문화 발전에 선도적인 인물이었다. 세화 십장생은 임금이 신하에게 세시(歲時)에 송축(頌祝)의 의미로 하사한 것이다. 이색은 이 그림을 병중(病中)에 다시 꺼내어 보고 시화(詩化)하였다. 따라서 그의 세화 십장생시는 단순한 ‘장수(長壽)’에 대한 염원을 넘어서 인간 존재의 삶에 대한 인식과 그 지향점을 살펴볼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색의 세화 십장생시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항구적인 삶에 대한 인식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에는 천상의 항상성과 지상의 지속성을 노래한 작품이 속한다. 즉 해와 구름, 물과 돌에 대한 작품이다. 이색은 자연 순환의 원리를 통해 삶의 원천과 그 기상을 노래하고 있다. 따라서 작품에서 생성의 힘과 그 근원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다. 다음은 인간의 가변적 삶에 드러난 그의 태도를 고찰할 수 있다. 소나무(松)ㆍ대나무(竹)ㆍ영지(芝)ㆍ거북(龜)ㆍ학(鶴)ㆍ사슴(鹿)의 시를 통해 표출하였다. 즉 동식물의 영험과 무변성을 통해 정치가로서, 신하로서의 면모와 참된 지식인으로의 자세를 드러냈다. 이로써 그의 세화 십장생시는 삶의 근원을 제시하고 자신의 지향점을 다시금 표출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저항 장면의 형상화로서 〈십장가〉가 거둔 성취

        김진영 ( Kim Jin-yo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2 민족문학사연구 Vol.78 No.-

        〈십장가〉는 『춘향전』의 삽입가요 중 하나로, 장형(杖刑)을 당하게 된 춘향이 자신이 맞는 매의 도수를 두운(頭韻) 삼아 부르는 숫자말놀이 형태의 사설이다. 그런데 현전하는 『춘향전』 이본들 중 『남원고사』에서는 춘향의 장형 장면이 아닌 단순 발악 장면에 삽입된 숫자말놀이 사설이 확인된다. 본고에서는 장형 장면이 아닌 곳에 삽입된 숫자말놀이 형태의 사설과 장형 장면에 삽입된 〈십장가〉 사설 간의 차이에 유의하여, 양자의 예술성을 미적 형상화라는 관점에서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전자보다는 후자가 (1)숫자의 생생한 존재감을 통한 육체적 고통의 형상화 (2)즉각적ㆍ다성적 구성을 통한 긴장감 조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훨씬 높은 예술적 성취를 이루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십장가〉 대목의 예술성은 숫자말놀이 형식이 장형 장면과 긴밀히 결합됨으로써, 춘향의 저항을 보다 생생하고 긴장감 있게 형상화해냈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남원고사』에서와 같은 숫자말놀이 사설이 초기형태이고, 장형 장면에 삽입된 〈십장가〉가 좀 더 예술적으로 완성된 후기 형태일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남원고사』 단계에서 아직 자신의 형식적 장점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던 숫자말놀이 사설은 후대 이본에서 장형 장면으로 옮겨감에 따라 이를 십분 발휘하며 높은 수준의 예술성을 성취했던 것이다. 조선 후기 민중들이 『춘향전』에서 기성의 지배체제를 전복하거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이념과 논리를 제시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들은 춘향의 수난과 저항을 보다 생생하고 긴장감 있게 형상화하기 위해 〈십장가〉라는 새로운 형식을 빚어내 널리 향유했다. 여기에서 『춘향전』이 조선 후기 문학 작품으로서 지니는 역사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Shipjang-ga(十杖歌, The Song of 10 Strokes Caning), one of the inserted songs in Chunhyang-jeon(春香傳, The Story of Chunhyang), is a kind of ‘number pun’ sung by Chunhyang who was caned by the newly appointed governor and used the number of strokes as alliteration of the pun. Out of many versions of Chunhyang-jeon, Namwongosa(南原古詞, The Old Story of Namwon) shows us a number pun which is not inserted in the caning scene but in Chunhyang’s monologue. This study,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pun inserted in Chunhyang’s monologue and Shipjangga inserted in caning scene, compares their artistic accomplishment in terms of scene description. The conclusion is that the latter succeeds more artistic accomplishment than the former, achieving (1)graphic description of physical pain through vivid presence of the number and (2)dramatic tension through the instant-polyphonic composition. In short, the form of number pun was able to describe Chunhyang’s protest more vividly and dramatically, through the successful combination with the caning scene. Therefore, we can infer that Shipjang-ga inserted in the caning scene is more elaborate version and the number pun like in Namwongosa is its early version. The number pun, who couldn’t prove its merit in the stage of Namwongosa, could fully prove its artistic merit as it was moved into the caning scene in later versions. The people of the late Joseon(朝鮮) period did not present revolutionary ideology or logic through Chunhyang-jeon. But they created a new artistic form called Shipjang-ga to describe Chunhyang’s pain and protest more vividly and dramatically and it was widely appreciated. On this account, we can find the historical meaning of Chunhyang-jeon as a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period.

      • 오태석 가야금병창<십장가>연구

        하선영 ( Seon Young Ha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4 藝術論集 Vol.14 No.-

        가야금병창은 판소리나 단가 또는 민요 등을 창자 자신의 가야금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는 음악장르이다. 현재 연주되고 있는 가야금병창은 모두 오태석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오태석은 이전 시기와는 다르게 가야금병창을 독자적인 음악장르로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오태석 가야금병창 <십장가>를 중심으로 오태석 가야금병창의 음악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오태석의 <십장가>는 2옥타브가 넘는 넓은 음역에 계면조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사설의 내용에 따라 우조로의 일시적 변조가 자주 나타난다. 오태석은 <십장가>에서 노래를 본청으로 맺지 않고 음악적 변화를 꾀하는 경우가 많다. 노래 선율이 본청이 아닌 음으로 끝날 때 오태석은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가야금으로 본청을 연주하여 종지를 강조하였다. 가야금으로 안정감 있게 맺어주는 것이다. 오태석의 <십장가>에 사용된 붙임새는 대마디 대장단, 밀어붙임, 교대죽 등으로 붙임새의 활용이 단순하였다. 각각의 붙임새에 따른 가야금 반주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가야금은 노래 선율의 주요음을 따라 반주하는 수성가락의 기능과 장단의 첫 박을 강조하고 맺어주는 역할, 노래 선율이 본청이 아닌 음으로 끝날 때 본청으로 종지를 강조하는 역할 등을 하였다. 오태석의 <십장가>에서 주목할 만한 가야금 반주의 특징은 판소리 고법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생각되는 패턴의 리듬유형이 자주 출현하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가야금병창 발생 초기 가야금은 판소리 연주에서의 북의 기능을 대체하는 역할을 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십장가>의 마지막 부분에서 오태석은 가야금으로 창자의 역할을 대신하였다. 오태석은 판소리 명창이자 가야금 명인으로서 음역은 넓고 높았으며, 반주 악기인 가야금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노래를 더욱 풍성하게 하는 한편 가야금으로 음악적 안정을 보강하였다. Gayageum Byeongchang is a music genre where singers sing Pansori, Tanka or folk song with their own Gayageum(12-stringed zither) accompaniment. Oh Taeseok has a different signification in that he developed Gayageum Byeongchang to a independent music genre unlike his previous time. The genre has been developed from Oh since the mid-20th century. This research intended to examin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Oh Taeseok’s Gayageum Byeongchang focusing on SipJanga(Song of Ten Punishment) from the famous pansori repertorie Chunhyangga(Song of Chunhyang), Oh Taeseok’s Gayageum Byeongchang. Oh Taeseok’s Sipjanga consists of a wide range of Gyemyunjo, exceeding 2 octaves. However, temporary modulation of ujo mode often occur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ccasions. Oh Taeseok tended to attempt musical change rather than finishing the song with tonal center in Sipjanga. When the melody of song ends with note rather than the tonal center, Oh Taeseok emphasized cadence playing the tonal center with the Gayageum in order to complement this. That way, he ended the song with stabel Gayageum accompanying melody. The texts used in Oh Taeseok’s Sipjanga have a simple use in the strict formality with slight variations. As a result of examining types of Gayageum accompaniment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f texts and the melody, it was found that Gayageum has a role that emphasizes and combines the first rhythm and function of melodic improvisation which accompanies to the rhythm of central notes of song melody and that emphasizes cadence with the tonal center when song melody ends with note, not the tonal center. The notable characteristics of Gayageum accompaniment in Oh Taeseok’s Sipjanga is that rhythm types of pattern thought to be related to Pansori method often occur. From this fact, we could know initial Gayageum of Gayageum Byungchang had a role which replaces the function of drum in Pansori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Oh Taeseok replaced the function of singer with Gayageum in the last part of Sipjanga. As a master singer and master artist of Gayageum, Oh Taeseok had a wide and high range, and strengthened musical stability as well as enriching the song through utilization of Gayageum which is an accompaniment instrument.

      • KCI등재

        병풍 속 민화 십장생도 연구

        정명호 ( Myoung-ho Jung ),김신아 ( Sin-a Kim ),권기형 ( Gi-hyung Kwon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7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1 No.4

        민화는 우리민족의 미의식과 생활관이 표현된 그림으로 우리의 정서를 그대로 나타낸다. 많은 민화들 중 십장생도는 선조들의 현세구복과 장생불사의 소망을 담아 오랜 시간 이어져 내려온 전통적인 회화이다. 십장생도를 구성하는 해, 구름, 산, 바위, 물, 학, 사슴, 거북, 소나무, 불로초의 10가지 소재들은 불로장생을 상징하며 자연과 인간이 하나로 어울려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뜻이 담겨있다. 본 연구는 민화 중에서도 병풍에 그려진 십장생도를 통해 소재들이 지니는 의미를 고찰하며, 십장생도에 나타난 회화적 표현에 대해 알아보았다. 십장생도에 나타나는 장생물들의 의미는 궁극적으로 우리 선조들의 행복한 삶을 살고자 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마음으로 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우리의 전통문화를 찾고 계승시키며 발전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우리의 기억 속에 사라져가는 문화유산을 찾고 우리민족 고유의 감성을 찾아 더욱 우리의 것으로 계승,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Folk paintings express our national aesthetic senses and our sentiment. Out of many other folk paintings, Sip-Jang-Sang-Do is a traditional painting that has lasted until now which contains the ancestors’ hope of good fortune and eternal life. Sip-Jang-Sang-Do is formed with the Sun, clouds, mountains, rocks, water, cranes, deers, turtles, pine trees, and elixir plants. These ten materials symbolizes perennial youth, long life and humans to harmonize with the natur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meaning of the 10 materials of Sip-Jang-Sang-Do folk painting and its malerisch expression. the meaning of longevity in Sip-Jang-Sang-Do painting ultimately comes from the wish of our ancestors to live a happy life and expressed in a way that humans to be in harmony with the nature. Today, finding our tradition, carrying over that tradition from one generation to another and developing the tradition is very important matter. Finding our cultural heritage that has been forgotten and look for our indigenous heart within then finally we can sublimate as our own.

      • KCI등재

        『춘향전』 ‘십장가’ 대목의 담화 방식과 그 의미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를 중심으로—

        이채은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49

        This article analyzed the weaving technique of the discourse of ‘Sipjanga’, a scene of Chunhyang's punishment, which is one of the highlights in Chunhyang-jeon, and then revealed the functional meaning of it. ‘Sipjanga’, the essential part of Chunhyang-jeon provides an intense description of Chunhyang’s protest against unjust orders of a new magistrate, Byun Hakdo. It depicts scenes in which he orders Chunhyang to be flogged and she voices against him in a fit of rage; and it is a major part of ‘Sipjanga’. At this moment, Chunhyang's speech calls attention as it consists of a unique narrative format; when the commander flogs Chunhyang one by one, she repeatedly asserts her chastity and exposes the injustice of Byun’s compulsion by using the number of floggings as alliteration. This discourse of ‘Sipjanga’ unfolds amid the intersection of two axes of the reason: a metonymic combination of number-related words and a metaphorical choice of body-related concepts. The metonymic discourse method, which develops by using numbers, meets the narrative meaning of Chunhyang's resistance to the situation where the violence of Byun is inflicted; and the metaphorical discourse method, which seeks to understand the extreme pain of flogging and the psychology of that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ody’, seems to be produced in a process of vertical inference hinged on Confucian reasoning systems or value orientation. As these two techniques of discourse intersect, ‘Sipjanga’ makes readers remember the narrative meaning for a long time, revealing Chunhyang's pain in the situation of punishment in objective figures, and at the same time, it makes easier to sympathize with Chunhyang and be immersed in the narrative, expressing her feelings through embodiment. For this reason, it is assumed that the unique technique of "Sipjanga," which maximizes the amusement of Chunhyang-jeon could have remained unchanged despite the variation in the content of many different versions. Therefo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s to explore the context of meaning through linguistic form and content, which has not been actively addressed in the previous study of Chunhyang-jeon. 이 글은 『춘향전』의 눈대목 중 하나인 춘향의 형장 장면, 즉 ‘십장가’ 대목의 담화 방식을 분석해보고, 그로부터 이 대목이 가진 무엇인지를 밝혀보았다. 『춘향전』의 눈대목인 ‘십장가’는 신임 사또의 부당한 명령에 항거하는 춘향의 모습이 절절하게 묘사된 대목이다. 이 대목은 수청을 거절당하자 화가 난 신임 사또가 춘향에게 태형을 명하는 장면을 그린 것으로, 신관사또를 향해 악에 받쳐 외치는 춘향의 발화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 때 춘향의 발화는 집장사령이 하나하나 매질을 할 때마다 그 숫자를 두운으로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자신의 정절을 주장하고 수청 강요의 부당성을 폭로하는 독특한 담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주목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십장가’의 담화는 ‘숫자’를 중심으로 한 언표의 환유적 결합과 ‘몸’을 중심으로 한 개념의 은유적 선택이라는 두 축이 교차되는 가운데 구성된다. ‘숫자’를 매개로 펼쳐지는 환유적 담화 방식은 변학도의 폭력이 가해지는 상황에 대한 춘향의 저항이라는 서사적 의미와도 맞닿아있으며, 고통이 극한으로 치달은 형장의 상황과 그 때의 심리를 ‘몸’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은유적 담화 방식은 유교적 사유체계나 가치지향을 바탕으로 수직적으로 유추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두 가지 방식의 담화가 교차되면서 ‘십장가’는 형장으로 인한 고통을 객관적 수치로 드러내 독자로 하여금 그 서사적 의미를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게 해주고, 동시에 그 때의 감정을 신체화하여 춘향의 마음에 쉽게 공감하고 서사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 때문에 ‘십장가’의 독특한 담화 직조 방식은 『춘향전』 서사 향유의 재미를 극대화시키면서, 많은 이본들 속 내용상의 변주 속에서도 변함없이 고수되는 부분으로 남아있을 수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글은 그동안의 『춘향전』 연구에서 그리 활발하게는 이루어지지 못했던, 언어적 형식과 내용을 통한 의미맥락의 탐색을 시도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4월혁명기와 5·16 이후 부두노동조합 재편 과정과 노동조합 지도자들의 동향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3

        <P>&nbsp;&nbsp;일제시기 항만에서는 특수한 형태의 노무조직이 노동조합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하였다. 노동조합은 십장에 의해 고용된 노동자들이 그들의 작업권한을 지키기 위해 십장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일제시기에 존재한 십장제는 해방 이후에도 그대로 온존하였다. 중간관리자 십장은 대개 노동조합 분회장을 맡고 있었으며 하청업주로 군림하여 노동력 공급, 작업배치, 노무관리 등의 권한을 행사하였다.</P><P>&nbsp;&nbsp;십장제에 대한 비판운동은 1950년대 후반에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비판운동은 대한노총 내 정대천 세력과 김기옥 세력 사이의 연합과 대립관계에서 일어난 측면이 강했다. 결국 세력 대결에서 정대천 세력이 헤게모니 장악에 실패하였으며, 김기옥을 중심으로 확고한 1인 집권체제가 형성되어 4월혁명 이전까지 권력을 장악하였다.</P><P>&nbsp;&nbsp;한편 부산부두노조에서도 1950년대 후반 김기옥의 권력의 집중과 남용을 비판하는 반김세력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1958년 11월에 정대천 세력이 폭로한 비료조작비 횡령사건을 계기로 정대천 세력과 연결하여 김기옥에 대한 비판운동을 전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반김운동은 자유당의 개입으로 좌절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P><P>&nbsp;&nbsp;4월혁명의 공간은 1950년대 후반 반김운동을 전개하던 노동세력의 운신 폭을 넓혀주었다. 정대천은 구세력이라는 지탄을 받으며 노동계를 떠났지만 부산부두에서는 반김운동의 대표적인 인물들이 조직을 재정비하고 김기옥 세력을 제거하는 한편 조합운영을 체계화시켜 나갔다. 이들 세력이 조합운영의 방향을 조합원의 직접·비밀투표에 의한 분회장 선출, 작업반장의 임명제 폐지, 조합원의 직접투표에 의한 작업반장 선출 등으로 설정한 것은 1950년대 후반에 전개된 반김운동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P><P>&nbsp;&nbsp;5·16 이후에는 4월혁명기 부산부두노조나 자유연맹에서 주도적인 활동을 했던 인사들이 일선에서 후퇴하고, 자유연맹에서 사무국장으로 재임했던 이춘희가 전국부두노동조합 위원장에 선출됨으로써 새로운 판도를 형성하였다. 새롭게 형성된 노동세력은 결성대회에서 채택된 4대 시정방침에 따라 조직운영 체계를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조합원 등록제를 실시하고, 중간착취의 온상이 되었던 반장제를 폐지하고 연락원제도를 도입하였다.</P><P>&nbsp;&nbsp;등록제에 의한 노동자 윤번배치는 노동조합의 자주성, 민주성 여하에 따라 성패가 좌우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5·16 이후 조직된 지부나 분회는 전국부두노동조합 위원장 이춘희가 위촉한 조직위원에 의해서, 그리고 조직위원이 포섭한 조직요원에 의해서 단기간에 하향식으로 급조되어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토대를 갖추지 못하였다. 연락원제도는 4월혁명기 부산부두노조에서 운영한 내용과 비교하여 진일보한 면이 있었지만 연락원을 “분회장 추천으로 지부장”이 임명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조합원들에 대한 인사권 행사, 중간착취 등을 차단하기에는 미흡한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과거의 폐단은 쉽사리 제거되지 않았고, 1960년대까지 온존하였다.</P>

      • KCI등재

        4월혁명기와 5,16 이후 부두노동조합 재편 과정과 노동조합 지도자들의 동향

        임송자 ( Song Ja Yim )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3

        일제시기 항만에서는 특수한 형태의 노무조직이 노동조합이라는 이름으로 존재 하였다. 노동조합은 십장에 의해 고용된 노동자들이 그들의 작업권한을 지키기 위 해 십장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일제시기에 존재한 십장제는 해방 이후에도 그대로 온존하였다. 중간관리자 십장은 대개 노동조합 분회장을 맡고 있었으며 하청업 주로 군림하여 노동력 공급, 작업배치, 노무관리 등의 권한을 행사하였다. 십장제에 대한 비판운동은 1950년대 후반에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비판운동은 대한노총 내 정대천 세력과 김기옥 세력 사이의 연합과 대립관계에서 일어난 측면이 강했다. 결국 세력 대결에서 정대천 세력이 헤게모니 장악에 실패하였으며, 김기옥을 중심으로 확고한 1인 집권체제가 형성되어 4월혁명 이전까지 권력을 장악하였다. 한편 부산부두노조에서도 1950년대 후반 김기옥의 권력의 집중과 남용을 비판 하는 반김세력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1958년 11월에 정대천 세력이 폭로한 비료조 작비 횡령사건을 계기로 정대천 세력과 연결하여 김기옥에 대한 비판운동을 전개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반김운동은 자유당의 개입으로 좌절을 겪을수밖 에 없었다. 4월혁명의 공간은 1950년대 후반 반김운동을 전개하던 노동세력의 운신 폭을 넓혀주었다. 정대천은 구세력이라는 지탄을 받으며 노동계를 떠났지만 부산부두에 서는 반김운동의 대표적인 인물들이 조직을 재정비하고 김기옥 세력을 제거하는 한편 조합운영을 체계화시켜 나갔다. 이들 세력이 조합운영의 방향을 조합원의 직 접·비밀투표에 의한 분회장 선출, 작업반장의 임명제 폐지, 조합원의 직접투표에 의한 작업반장 선출 등으로 설정한 것은 1950년대 후반에 전개된 반김운동의 연장 선으로 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5·16 이후에는 4월혁명기 부산부두노조나 자유연맹에서 주도적인 활동을 했던 인사들이 일선에서 후퇴하고, 자유연맹에서 사무국장으로 재임했던 이춘희가 전국부두노동조합 위원장에 선출됨으로써 새로운 판도를 형성하였다. 새롭게 형성 된 노동세력은 결성대회에서 채택된 4대 시정방침에 따라 조직운영 체계를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조합원 등록제를 실시하고, 중간착취의 온상이 되었던 반장제를 폐지하고 연락원제도를 도입하였다. 등록제에 의한 노동자 윤번배치는 노동조합의 자주성, 민주성 여하에 따라 성패 가 좌우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5·16 이후 조직된 지부나 분회는 전국부두노동조합 위원장 이춘희가 위촉한 조직위원에 의해서, 그리고 조직위원이 포섭한 조직요원에 의해서 단기간에 하향식으로 급조되어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토대를 갖추 지 못하였다. 연락원제도는 4월혁명기 부산부두노조에서 운영한 내용과 비교하여 진일보한 면이 있었지만 연락원을 “분회장 추천으로 지부장”이 임명하도록 규정하 고 있어 조합원들에 대한 인사권 행사, 중간착취 등을 차단하기에는 미흡한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과거의 폐단은 쉽사리 제거되지 않았고, 1960년대까지 온존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d reorganizing and activities of National Free Labor Union during the period of April revolution, and its reorganizing toward National Docker’s Union and management in the organization.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tations in union leadership and its attitudes from the April revolution to the May 16th military coup.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what labor group developed criticism campaign on foreman system which has been generated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how the campaign has been unfolded. April revolution could give labor group that unfolded anti-Kim giok campaign more leeway to move. Representative figures in anti-Kim campaign used their influence in wharf at Busan. They set up the direction in union operation to have branch chairman election with direct and secret vote by union members, abolition of work party leader’s appointment, and election of work party leader with direct vote by union members. It is thought that their direction was extension of anti-Kim campaign. National Union’s Council was reorganized into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FKTU) after May 16th military coup. Dockers’ union was also reorganized into National Dockers’ Union, a industrial union, on September 20 in 1961. Newly Reorganized labor group tried to change it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4 administrative policies which were decided upon in its organization conference. Member’s registration system was put into practice. Working party leader system which was a hotbed for intermediary exploitation was abolished and contact man system was initiated. New executives’ will to change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 was originated in anti-Kim campaign in the latter part of 1950s and organizing experience during the April revolution. However,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 like that was so nominal that foreman system retained its many evils until 1960s. National Dockers’ Union could not remove hotbed for intermediary exploitation. It meant clearly that reform never could succeed with only the will of leaders in upper organization. FKTU and industrial union under the FKTU were organized in top-down style without getting rid of deep rooted structural contradiction in subordinate organizations. Furthermore, the will to reform could not help regressing as labor organization was rearranged to the exclusion of Kim Mal Ryong’s National Union’s Council group which took the lead labor movement during the April revolution. Subordinate organizations were built in haste, so it failed to gain reformative labor leaders. The limit like that still worked in 1970s followed 1960s, so it became the major factor to define trade union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