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북방 지역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을 위한 제언

        장향실(Hyang Sil Cha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신북방 지역의 한류 및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발전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신북방 지역에서 한류의 영향력과 한국어 교육의 확산 정도는 국가별로 차이가 큰 편이나, 본고에서는 향후 정책 시행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해 보았다. 이어 현황을 토대로 본고에서는 이 지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지속과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신북방 지역 대상 국가에 대한 기초 연구가 좀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신북방 지역의 국가별 기초 연구를 토대로 한국어문화 교육의 블록화[권역화]를 하고, 블록별 거점 지역을 설정하여 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해당 국가 혹은 해당 블록에 특화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한류와의 연관성 속에서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phase of Korean wave and Korean education in New Northern Areas, and then propose to implement for Korean education in this regions. Each countries are different from the diffusion of Korean education and the influence of Korean wave’s in New Northern Areas. But this thesis sets up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and so on. This thesis propose implements for Korean education in New Northern Areas. First, basic research should be activated for in the New Northern Areas. Second, It is necessary grouping several areas in New Northern Areas for Kore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by basic research. And then establish the hub of Korean education of each areas. Third, it is necessary educational programs for foreign teachers specializing in each area or country. The forth, It is necessary creative teaching methods connecting with Korean wave.

      • KCI등재

        신북방정책과 지역발전: 부산의 전략과 과제

        박범종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0 국제정치연구 Vol.23 No.2

        New northern polic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in Northeast Asia and the co-prosperity of Northeast Asia. It will also have an important impact on regional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n this study, President Moon Jae-in's promotion of new northern policy and Busan's strategy and tasks to become the second central growth city were presented. In the 'Nine Bridges' strategy, which is the core of the new northern policy, Busan will need an actively connected diplomatic efforts in not only containers (Busan), power grid, LNG (Busan) but also Busan's strengths such as fisheries, ports and shipbuilding.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und strategy to reduce the logistics costs by activating the transportation of Siberian transverse railways (TSR) and to make Busan the terminal point for future TSR and inter-Korean railways (TKR) connections. So, Busan must first expand its relations with the northern economies' nations related to the new northern policy. Second, Busan should connect the Inter-Korean Trans-Train (TKR) to the Trans-Siberian Railway, and build a port that connects Najin-Hasan through the port and logistics centering on the Busan New Port. Third, active diplomatic efforts and investment are needed for Russia's “Primorye 1” and “Primorye 2”. Fourth,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Northeast Asia should be strengthened by attending the 2nd General Conference on Northern Economic Cities (6 regions in 4 countries), which was founded and led by Busan City. 신북방정책은 동북아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동북아의 공동번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지방정부의 지역발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의 신북방정책 추진과 더불어 제2의 중추적 성장도시가 되기 위한 부산시의 전략과 과제를 제시했다. 부산은 신북방정책의 핵심인 ‘9개의 다리’ 전략에서 항만 및 부산항을 연계하여 컨테이너(부산), 전력망, LNG(부산) 뿐 아니라 부산의 강점인 수산, 항만, 조선 등에 있어 적극적인 외교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시베리아횡단철도(TSR) 운송 활성화를 통한 물류비용 절감 및 향후 TSR과 남북철도(TKR) 연결에 있어서는 부산이 기종착점이 되도록 적실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은 첫째, 부산은 신북방정책과 관련된 북방경제권 국가와의 교류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부산은 남북횡단철도(TKR)를 연결해 시베리아 횡단철도까지 연결하고, 부산신항을 중심으로 항만과 물류를 통해 나진-하산을 연결하는 항만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러시아가 추진 중인 ‘프리모리예 1’, ‘프리 모리예 2’에 적극적인 외교적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 넷째, 부산시가 창설하고 주도하고 있는 제2차 북방경제도시협의회 총회(4개국 6개 지역) 참석을 통해 동북아 지방정부간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동북지역의 경제 협력: 현황, 정책, 시사점

        이현태,김준영 만주학회 2020 만주연구 Vol.- No.29

        Though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Northeast China difficultfaces difficulties today, Korea needs to continuously strengthen economic exchange with Northeast China—particularly in regards to national strategies sustain shared political, economic,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The Korean government’s expanding consensus when it comes to economic cooperation in the region with the Eurasian Initiative and the New Northern Policy (NNP) and the creation of a framework for policy consultation with China are valuable foundations in the two country’s relationship. However, the NNP has produced few tangible and monetary business results, which has led to its weakening salience as a useful policy measure, as was the case with the New Southern Policy. It is thus necessary to design Korea’s strategic countermeasures considering future development plans in Northeast China. This proactive stance beckons a need to advance discussions on Korea’s role in the Northeast China’s 14th Five-Year Plan 2021- 2025. Korea’s participation in carrying out practical projects with Northeast China’s NNP can serve as a valuable partnership for futur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본 논문은 한국과 동북지역의 경제교류 현황을 평가한 후 양자의 경제협력 여건을 기회요인과 도전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최근 동북경제협력 정책을 살펴본 후 향후 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동북의 경제 교류 상황은 매우 악화되고 있었다. 동북의 심각한 경기 침체는 한국・동북 간의 무역, 투자를 현저히 위축시키면서, 양자 간 교류가 전체 중국 무역・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8년 역대 최저치인 각각 4.6%, 1.8%까지 떨어졌다. 이어서 한국・동북 경제협력의 기회요인과 도전요인을 살펴보았다. 기회요인으로는 첫째, 동북이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전략적 결합지로서 각국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집중되고 있고, 둘째, 동북 지방정부가 한국에 대한 우대적인 협력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셋째, 거대한 소비시장과 다양한 투자가능성이 있고, 넷째, 확대되는 중국과 유라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test-bed)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다섯째, 신북방정책의 주요 사업인 9-Bridge 사업이 동북에서도 가능하고, 여섯째,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어 향후 북한 개방 시 중요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제시되었다. 반면, 도전요인으로는 첫째, 동북이 경제교류를 하기에는 중국의 타 지역에 비해 경제적, 제도적으로 낙후되었고, 둘째, 사드 제재 등을 거치면서 동북 내 한국에 대한 사업 우호적 정서(business friendly)가 낮아지면서 동북 지역에서의 한국 경제의 위상이 과거보다 퇴색했으며, 셋째, 북한 등 동북과 관련된 국제정세도 한국의 대동북 경제협력에 그리 낙관적이지만은 않다는 사실이 지적되었다. 동북 협력의 여건이 양호하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이 그간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신북방정책 등을 통해 협력의 공감대를 넓히고, 정책 협의의 틀과 기반을 만들었다는 점은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아직까지 실질적인 성과가 미흡하고 정책 추진의 후순위로 밀리는 상황이다. 이후 동북경제협력을 위해서는 중국 동북의 향후 발전 계획까지 고려하여 한국의 전략적 대응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2016~2020년까지 중국의 13차 5개년 기간 동안 동북경제협력 성과를 점검하고, 신북방정책의 기여를 평가하는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진행될 중국의 2021~2025년 14차 5개년 계획 수립 단계에서 한국이 협력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해 사전에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북과 실질적인 사업 추진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러시아 외교안보 정책과 한·러 관계 2030

        신범식(辛範植)(SHIN Beom Shi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9 신아세아 Vol.26 No.3

        2020년 9월 한국과 러시아는 수교 30주년을 맞게 된다. 탈냉전기 한국은 북방외교를 통해 소련 및 중공과 수교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외교·안보적 우위를 확보하게 되었고, 이같은 외교 네트워크의 비대칭성은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 관계를 규정하는 중요 조건이 되었다. 하지만 어떤 조건 하에서 이같은 외교 네트워크의 비대칭성이 한국의 외교의 자산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 미-중 전략경쟁의 심화 과정에서 그것이 어떤 기회와 제약이 될 것인지, 왜 한국의 북방정책은 반쪽짜리 성과로 위축되었는지,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탐구는 부족해 보인다. 이런 견지에서 동북아 내 러시아의 위상과 ‘전략적 행위자’로서의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 지구적 및 동북아 지역적 국제관계의 맥락에서 한·러 관계를 검토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이 글에서는 한·러 관계를 규정하는 동북아 지역정치의 구도 속에서 러시아의 전략적 효용을 평가해 보고, 미래 한·러 관계의 발전 가능성을 밝히는 데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2030년경 한·러 관계를 전망하며 제기되는 중요 질문은 “러시아의 동북아·한반도 정책이 미국의 동북아 전략에 있어서 자산이 될 수 있는가”이다.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무시, 전략적 상호작용의 부분적 회복, 전면적 전략협력의 추진 등의 옵션을 가지는 미국이 협력의 카드를 뽑아 들게 될 경우 러시아가 이를 받아 지역정치 구도에서 자신의 전략적 위상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가능성은 높다. 따라서 한국의 대러 정책 구상에서 주목해야 할 사항으로는 경제위축의 출구로 신(新)북방경제협력의 추진, 동북아 소다자주의를 통한 실질 협력 활성화,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모색에서 러시아의 건설적 역할 유도 등이다. 2030년 이후 전망과 관련 한국의 대러외교의 중심적 지향점은 러시아가 동북아에서 진영논리에 빠져 남방 대 북방의 대립구도를 형성하는 존재가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북아에서 양국이 추동할 수 있는 소다자 및 다자 지역협력을 촉진해 나갈 전략협력 관계를 강화해 나가는 것이다. The year 2020 will be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OK-Russia diplomatic relationship. In the turbulent period after the Cold War, Sout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Soviet Union and China, and took an advantageous position toward North Korea in diplomatic and security issues. This “asymmetry of diplomatic networks” between North and South has been a critical featur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mportant questions such as under what conditions this asymmetry can serve as a diplomatic asset for South Korea, how it might work during growing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why South Korea’s Northern Policies were only half successful, and what can ensure further success,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however. It is important to examine critically the status of Russia and its potential as a “strategic player” in Northeast Asia, and to review ROK-Russia relations in the context of regional and global politics. This article aims to evaluate the strategic value of Russia in the region and to investigate constructive forms of ROK-Russia strategic cooperation in the regional context. An important question when analyzing ROK-Russia relations until 2030 is whether Russia s policy toward North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can be an asset in the US strategy for Northeast Asia. I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the options of ignoring Russia, partially engaging in strategic interactions, or promoting full-scale strategic cooperation, decides to cooperate, Russia will likely accept that choice and can strengthen its strategic position in the region. South Korea should consider ways to promote new northern economic cooperation, to pursue practical cooperation in the framework of subregionalism, and to induce Russia’s constructive role in establishing a peace and security cooperat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The main direction of South Korean diplomacy in relations with Russian until 2030 should be to prevent Russia from being a player in a Northern triangle against a Southern triangle and to establish strategic partnerships with Russia to build regional cooperation.

      • KCI등재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활용한 해외 한국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요구 분석-신남방·신북방 지역 고등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이정희,윤혜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어 교육 Vol.32 No.1

        This study aimed to draw approaches of activa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f new Southern and Northern areas, where the numbers of Korean learners are consistently increasing. To draw methods for activa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 needs analysis for Korean teachers using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the group of Korean education experts.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atisfaction and necessary aspects, and exclusive basic information aspect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eck a five-point scale regarding satisfaction and the necessary degree of Korean education activation methods. This study drew five categories for the questionnaire items: 1) curriculum, 2) teaching competence, 3) attracting learners, 4)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aterials, and 5) cooperation for activating education. A total of 68 participants related to Korean education from 17 countries responded to the survey. After analyzing basic information, it was found that both Southern and Northern areas have many institutions with Korean language majors, and the curriculum was focused on Korean language rather than Korean studies, whereas countries like North America and Europe focused on the long history of Korean education. As for the IPA result, 5 categories showed a meaningful result, p<.000 which reveal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support for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was most urgent.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support for attracting Korean learners, educational material and environment and understanding learners’ needs and character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