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gent Marking in Japanese Passive Sentences

        Han Joung-Youn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6

        본고에서는 일본어 수동문의 동작주 표시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용례 조사를 기반으로 기존의 고찰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비정물 주어 수동문에 있어서의 유정물 동작주 「に」격 표시 제약은 상당히 강하게 작동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약에서 자유로운 「によって」의 사용이 근대 이후 일본어 수동문의 증가 및 발달을 가져왔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 「に」가 수영성을 띠는 것은 동작주 표시로서 「に」만을 허용하는 경우에 한하며 「に」와 「によって」가 모두 허용되는 경우는 수영성과 무관하다는 것, 실제 용례에 있어서 「によって」가 사용되는 것은 중립적・객관적인 기술을 위해서라기보다는, 「に」는 동작주가 구문상의 필수 요소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동작주가 필수 요소가 아닌 경우에는 「によって」를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선택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고찰에 입각하여 일본어 수동문을 「に」와 「によって」의 허용 여부에 따라 크게 「に」수동문, 「に」「によって」양용 수동문, 「によって」수동문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に」수동문은 동작 대상과 동작주를 필수 요소로 요구하는 2항 술어문이며 「피해」등의 수영성을 나타내며 유정물 주어 수동문에 일반적인 유형, 「に」「によって」양용 수동문은 동작 대상과 동작주를 필수 요소로 요구하는 2항 술어문이며 수영성과는 무관하며 시각적・청각적 상황 묘사의 비정물 주어 수동문에 일반적인 유형, 「によって」수동문은 동작 대상만을 필수 요소로 요구하는 1항 술어문이며 수영성과는 무관하며 근대 이후 발달한 비정물 주어 수동문에 해당되는 유형임을 논하였다. 나아가 「に」수동문과 「に」「によって」양용 수동문은 근대 이전부터 존재했던 유형, 「によって」수동문은 근대 이후 본격적으로 발달한 유형이라는 사실과 근대 이후 가장 급증한 수동문은 동작주가 표시되지 않은 수동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근대 이후 일본어 수동문의 변화는 근대 이전의 2항 술어 구조의 수동문으로부터 근대 이후의 1항 술어 구조의 수동문으로의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 점을 기술하였다. In this study, we scrutinized previous studies on the agent markers of Japanese passives and examined existing review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concrete examp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triction of the animate-agent markerni” in inanimate-subject passive sentences is highly effective, bu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 use of “ni yotte,” which does not have this restriction, increased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Japanese passives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Besid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affectivit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agent marker “ni,” is limited to the case when only “ni” is allowed, and situations in which either one of two markers, such as “ni” and “ni yotte” are allowed, are unrelated to the concept of affectivity. In actual examples, the marker “ni yotte” was found not be chosen for the neutral and objective description. The reason was that the use of “ni” is possible when the agent is a syntactically indispensable constituent, whereas the marker “ni yotte” should be used when the agent is not a indispensable constituent. Based on this investigation, Japanese passiv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acceptability of the two markers “ni” and “ni yotte”. First, ni-passives are two-place predicates requiring the action object and agent as indispensable constituents, as well as a typical type of animate-subject passive sentence expressing affectivity, such as inconveniences. Second, passive sentences for which either marker is acceptable are two-place predicates requiring an action object and the agent as indispensable constituents, and they are not associated with affectivity. Additionally, these sentences are a typical type of inanimate-subject passive sentence for the audio-visual description of situations. Third, ni yotte-passives are one-place predicates requiring only the action object as an indispensable constituent unrelated to affectivity. These sentences correspond to inanimate-subject passive sentences that have developed since the onset of modern times. Ni-passives and passive sentences for which either marker is acceptable existed in pre-modern times, whereas ni yotte-passives have further developed since modern times. Furthermore, a type of passive sentence of which the prevalence has rapidly increased more recently is a passive sentence in which the agent is not marked. That is, the change in Japanese passives can be understood as the structural expansion from two-place predicates in pre-modern times to today's one-place predicates that have been in use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 KCI등재

        명사구 계층을 통해 본 한・일 수동표현의 대응양상

        김현숙(Hyunsook Kim),손동주(Dongju S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2

        본고는 일본어 수동문에 한국어가 수동문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 현상에 대해, 그 원인을 Silverstein(1976)의 명사구 계층의 원리와 어떤 관련성을 보이는지 또 이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에 먼저, 角田(1991)의 실험과 논을 통해 일본어의 명사구 계층의 반영도를 재확인하고, 角田의 실험 방법을 한국어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한국어에서도 명사구 계층의 반영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명사구 계층의 반영도가 높은 일본어가 수동문일 때, 한국어의 경우 능동문으로 대응하는 양상을 두고 선행연구에서는 한국어가 명사구 계층의 반영도가 낮거나 반영되지 않는 언어이기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 하지만, 본고는 견해를 달리하여 그 원인은 한국어 수동표현의 의미 기능과 관련이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명사구 계층을 기준으로 그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고찰을 진행하였다. 먼저 용례를 명사구 계층 간의 간격이 큰 경우와 작은 경우로 나누고 각각의 경우에 일본어 수동문에 한국어가 수동문으로 대응하는 경우와 능동문으로 대응하는 경우로 하위분류하였다. 그 결과 양 언어가 수동문 대 수동문으로 대응할 때는, 명사구 계층 간의 간격과 관계없이 한국어에 이形 동사꼴이 존재할 때라는 점, 그리고 한국어가 능동문으로 대응할 때는 이形 동사꼴이 존재하지 않을 때라는 점을 용례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다形 수동문이 통어상으로나 어용론적으로 생성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제약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본어 수동문에 한국어가 능동문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생기는 근본적인 원인은 양 언어의 명사구 계층상의 차이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 수동표현의 의미 특성의 차이에 의한다는 것을 고찰을 통해 밝힐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for explanation in relation to Silverstein’s(1976) noun phrase hierarchy when Japanese passives have no Korean passive equivalents. Tasaku Tsunoda’s experiments and discussions(1991) are the departure point to reconfirm the reflex of noun phrase hierarchy. In addition, his experiment methods are applied to Korean translations. The outcome is that the reflex of noun phrase hierarchy is high in Korean translations as in the Japanese language. Preceding studies conclude that Japanese passives have Korean translations in actives because the Korean language features low or no reflex of noun phrase hierarchy. This paper disagrees with the previous arguments and concludes that the linguistic phenomena under discussion have more to do with the function of meaning of the Korean passives. To identify the relation based on the noun phrase hierarchy, the study proceeded as follows: first, exampl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gap in the noun phrase hierarchy and subclassified as Korean passive equivalents and active equivalents. The findings are that Japanese passives have Korean passive translation if they have e-type verb form and they have Korean actives as equivalents when there is no e-type verb form. Furthermore, for jida-type passives to be generated, syntactically and pragmatically, there are constraints and certain conditions should be met. The paper concludes that there are cases where the Japanese passives have Korean active translations and the fundamental reason is not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the noun phrase hierarchy but because of meaning features of the Korean passives.

      • KCI등재

        프랑스어 수동문의 제약기반 분석

        고길수(Ko, Kilsoo) 프랑스학회 2022 프랑스학연구 Vol.- No.98

        수동문은 문법 연구에서 일찍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능동문과 같은 사태를 표현하지만 여러 국면에서 능동문과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문장의 형태가 완전히 다를 뿐만 아니라 수동문은 능동문에는 없는 제약과 변이가 나타난다. 변이는 문장의 해석과 정보구조의 변화를 동반하기도 한다. 그래서 수동문은 각 쟁점들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우리는 핵어중심구구조문법의 자질구조를 이용하는 제약기반 분석을 시도하였다. 자질구조는 음운, 형태, 통사, 의미, 정보구조를 기술하는 모형으로, 이를 통해 수동문의 다양한 국면을 통합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리는 또한 문장이 핵어의 문법 정보를 기반으로 해서 구성된다고 보아, 수동문의 통사, 의미, 담화 기능을 수동분사에서 분석, 즉 수동문의 제약과 변이를 어휘부에서 타동사에서 수동분사를 만드는 어휘규칙을 통해 설명할 수 있음을 보였다. Le passif a retenu l’attention dès le début dans l’étude de la grammaire. Il renvoie à la même situation que l’actif, alors qu’il tranche avec ce dernier à plusieurs égards. Il a des formes très différentes, et il présente aussi des contraintes, auxquelles ne se soumet jamais l’actif. De plus, il montre des variantes, pour lesquelles il faut étudier non seulement la forme mais aussi l’interprétation et la fonction discursive. En somme, le passif nécessite une analyse générale qui traite tous ces problèmes. Nous en proposons une, en nous basant sur une grammaire HPSG et son modèle d’analyse par contraintes. Suivant le modèle, nous faisons une structure de traits qui décrit et explique en détail et globalement le passif. Nous montrons aussi que des contraintes et des variantes observées dans le passif peuvent être bien décrites avec le participe passif dans le lexique.

      • KCI등재

        「きく」의 수동 「きかれる」에 관한 소고

        안선주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2 No.-

        본 연구에서는, ‘を’격 목적어를 가지는 ‘듣다’의 「きく」와, ‘を’격과 ‘に’격 목적어를 둘 다 필 요로 하는 ‘묻다’의 「きく」에 대한 각각의 수동 「きかれる」의 쓰임을 살펴보았다. ‘듣다’의 「きく」는 문 속에 직접수동이나 간접수동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きく」의 주어와 ‘を’ 격이 취하는 대상에 따라 나뉜다. 1인칭에 준하거나 불특정다수가 주어이면서 ‘発言’이나 ‘声’ 와 같이 사고과정을 거친 ‘의견’에 관련된 대상을 취하는 「きく」는 무생물주어의 직접수동 「き かれる」로 문에 나타나지만, 1인칭주어에 단순한 ‘소리’에 관련된 대상을 가지는 「きく」라면 수 동문은 되지 못하고 그 대신 「きこえる」가 쓰이게 된다. 이에 비해 3인칭주어에 ‘(噂/内緒/(人が 聞いて)困る)話’류의 대상을 가지는 「きく」는 간접수동으로 나타나 ‘피해’의 뉘앙스를 띄게 되며, ‘悩み/わがまま/相談事としての話’와 같은 말을 대상으로 하여 은혜의 뉘앙스를 전달하는 「きいて もらう」와 대비를 이루는 표현이 되게 된다. 덧붙이자면 일본어에서 3인칭주어의 ‘듣다’의 「きく」 는 이러한 간접수동으로 자주 문에 나타난다. 한국어의 경우 직접수동은 일본어와 같은 구문 이 가능하지만, 간접수동은 한국어로는 불가하여 ‘듣다’ 형태의 능동문이 그대로 쓰이므로, 이 러한 한일 양국어의 구문의 차이에 대한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묻다’의 「きく」는 직접수동, 소유주의 수동으로 문에 나타난다. 특히 직접수동의 경우 ‘に’격 의 간접목적어와 ‘を’격의 직접목적어 중 어느 것이 수동의 주어가 되는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 다. 1인칭주어일 때는 「きく」형태의 능동문이 그대로 쓰이는 일이 많지만, 3인칭주어의 「きく」는 ‘に’격의 간접목적어를 주어로 한 간접대상의 직접수동이 쓰이며 이는 「道を聞く」와 같은 콜로 케이션이 내포된 「きく」문도 포함해서이다. 실제 문 속의 ‘묻다’ 관련의 「きかれる」는 대개 이 구 문이다. 2, 3인칭주어의 「きく」는 ‘を’격의 직접목적어를 주어로 한 직접대상의 직접수동으로 쓰 일 때도 있는데, 실제로 동작주는 생략된 채 주격조사가 드러나지 않거나 주격조사 대신 取り 立て助詞 ‘は’가 쓰인 「~(は)、私にきかれても」로 문에 등장한다. 이 외에도 3인칭주어의 「きく」 는 소유주의 수동이 되기도 하는데 「(私の)名前を聞く」와 같은 구문이 쓰인 경우이다. 한국어의 경우 소유주의 수동은 별개로 하더라도 직접수동만큼은 일본어와 달리 능동문을 쓰는 것이 자 연스러우므로, 이러한 직접수동은 한국인학습자들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usage of ‘Kikareru’, the passive for a) the two term verb ‘Kiku’ (‘to listen’) in the form of ‘を’ object and b) the three term verb ‘Kiku’ (‘to ask’) which requires both ‘を’ and ‘に’ objects, was examined. ‘Kiku’ (‘listen’) appear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entence, depending on the subject of ‘Kiku’ and the object taken by ‘を’. ‘Kiku’, which is similar to the first person or is the subject of an unspecified majority, and which takes an object related to an ‘opinion’ that has undergone a thought process such as ‘声’ or ‘発言’, appears in the sentence as a direct passive ‘Kikareru’ of an inanimate subject. If ‘Kiku’ has the first person subject and an object related to a simple sound, it will not be a passive sentence, and ‘Kikoeru’ will be used instead. On the other hand, ‘Kiku’, which has an object of ‘(噂/内緒/(人が聞いて)困る)’ in the third person subject, appears indirectly and passively, showing the nuance of ‘disturbance/annoyance’. It becomes an expression that contrasts with ‘きいてもらう’ which conveys the nuances of ‘grace/favor’ by targeting words such as ‘悩み/わがまま/相談事としての話’. Adding to this, in Japanese, the third person subject ‘kiku’ (‘listen’) appears frequently in the sentence in the form of such indirect passive. In the case of Korean, direct passive has the same syntax as in Japanese, but indirect passive would not make sense at all, so the active sentence in the form of ‘listen’ is used instead; an appropriate education on suc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is thus necessary. ‘Kiku’ (‘to ask’) appears in sentences in the form of direct passive or owner’s passiv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direct passive,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which one between the indirect object of ‘に’ and the direct object of ‘を’ becomes the subject of the passive. In the case of the first person subject, active sentence in the form of ‘Kiku’ is often employed as it is, but in the case of the third person subject, direct passive is used with the indirect object of the case ‘に’ as the subject because it includes ‘kiku’ with collocations, such as ‘道を聞く’. In a lot of sentences, ‘Kikareru’ appears in the form of such phrase. There are rare cases in which ‘Kiku’ of the second and third person subject is used as a direct passive with a direct object of the ‘を’ case, but practically it appears in such sentences as ‘私に きかれても’ with the subject and action owner omitted. In addition to this, the third person subject ‘kiku’ is sometimes used as the owner's passive, often when collocation is used, such as ‘(私の)名前を聞く’. In the case of Korean, it is acceptable to write the owner's passive in the same form as in Japanese. However, unlike Japanese, the direct passive is an expression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for Koreans because active sentences are often used.

      • KCI등재

        서술의 유형의 관점에서 조명한 현대일본어의 사역문과 수동문

        최서영 ( Seo Young Cho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4 No.1

        사역문과 수동문은 형태적(동사의 형태가 유표적), 통어적(격의 변화), 의미적(능동문과의 의미적 차이) 카테고리를 가지고 동사문 고유의 문법현상인 보이스의 대표적인 체계를 이루고 있다. 사역문과 수동문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지만, 대부분이 사태를 서술하는 문을 다루고 있고, 속성을 서술하는 문에 관해서는 실증적인 고찰이 거의 없다. 사태를 서술하는 문과 속성을 서술하는 문은 의미 차이 뿐만이 아니라 문 요소, 문 구조와 같은 형식적인 차이와도 상관(相關)하는 서로 다른 문 타입으로 양자(兩者)를 구별하고 각각의 성질을 이해하려는 관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역문에 대해서 고찰한 기존연구(2010, 2014)를 발전시키는 한편, 고찰대상을 수동문으로도 확장시켜 서술의 유형의 관점에서 속성서술 사역문과 속성서술 수동문의 문 요소적, 의미적, 구조적 특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Causative sentence and passive sentence has morphological, syntactic, elemental categories and forms the system of Japanese voice phenomenon. In general, the event predication is expressed by verb sentences and property predication is expressed by nominal and adjective sentences. causative sentenceand passive sentence belongs to verb sentence represents event predicationmore often, butcan also represent property predication. While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research of the causative and passive sentence of the event predication type, the property predication type remains under-researched. In previous studies, the example of property predication type was pointed out but was not analyzed specifically. In this background, Choi(2010,2014) anaylized how the event predication and property predication is represented by types of causative sentences. And this paper, follow- up study of Choi(2010,2014), analyzed on the structural and semantic features of causative sentence and passive sentence based on corpus investigation systematically.

      • KCI등재

        非情物を主語とする受身文・自動詞文と動作主含意 ― 近代以降の日本文学作品の用例を中心に ―

        韓静妍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2 No.-

        본고에서는 타동사 구문에 나란히 대응하는 수동문과 자동사 구문의 차이로서 종래의 연구에 있어서 지적되어 온 「동작주의 함의」라는 개념에 주목하여, 비정물을 주어로 하는 상대타동사의 수동문과 상대자동사 구문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용례를 관찰하고 동작주의 함의라는 점에 있어서 두 형식이 실제로 차이를 보이는지 검토하였다. 「동작주의 함의」라는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동작주 존재 유무」와 「특정 동작주 함의」로 나누어 고찰하였으며, 수동문 및 상대자동사 구문이 나타내는 변화와 동작주 존재 유무, 그리고 특정 동작주 함의 여부와의 관련성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인 용례를 분석한 결과, 우선 상대타동사의 수동문과 상대자동사 구문은 나란히 상대타동사 구문에 대응한다고는 하지만 그 사용빈도에는 현격한 차이가 존재하여, 전체 용례에 있어서 수동문의 용례가 점하는 비율은 약 5%에 불과하며 상대자동사 구문의 용례가 약 95%를 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동작주의 함의와 관련하여 두 형식을 관찰한 결과,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특정 동작주의 함의보다는 동작주의 존재 유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 요인은 상대자동사 구문의 사용과는 관련성이 없으며, 수동문의 사용에 한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수동문은 대부분의 경우 동작주가 존재하는 외인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에만 사용되는 데에 반하여, 상대자동사 구문의 사용은 동작주의 존재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기본적으로 수동문이 동작주가 존재하는 외인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에만 사용되므로 동작주가 존재하지 않는 내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대자동사 구문만이 사용되지만, 상대자동사 구문은 내발적인 변화뿐 아니라 외인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었다. 수동문과 상대자동사 구문의 전체적인 사용빈도를 보았을 때에 상대자동사 구문의 비율이 현격하게 높은 것을 생각해 본다면, 전체적인 보이스 체계에 있어서는 어휘적 태의 형식인 자동사 구문이 동작주의 유무와 관계 없이 우선적으로 사용되고, 문법적 태의 형식인 수동문은 동작주가 존재하는 외인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에 한하여 극히 낮은 비율로 사용되며 어휘적 태를 보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aking note of the concept of the implicitness of an agent, as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as being the difference between passive and intransitive sentences, this thesis has examined specific forms of usage and has studied whether the two forms are actually different in terms of the implicitness of the ag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pecific forms of usage, it has been, above all, confirmed that there is a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usage of passive and intransitive sentences, and that, in all forms of usage, the proportion of usage of passive sentences is only five percent, whereas the usage of intransitive sentences is 95 percent. Next, regarding the implicitness of the agent, two forms were examined, and the examination showed that, in most cases, passive sentences are used only when there are changes caused by an external agent, whereas the use of intransitive sentences is not affected. Basically, because passive sentences are used only under these circumstances, only intransitive sentences are used to describe the changes caused by internal cause without an agent, whereas intransitive sentences are actively used not only to describe the changes caused by internal factors but also to describe the changes caused by an external agent as well. It can be said that, with regard to the overall voice system, intransitive sentences are preferentially used, regardless of the implicitness of the agent, and, in the case of passive sentences, which is the grammatical voice, their usage is extremely rare as they are only used to describe the changes caused by the external agent, simply to supplement the lexical voice.

      • KCI등재

        <일반논문> 일본어(日本語) 가능태(可能態)의 특성(特性)에 대하여

        이광수 ( Lee Kwangsoo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14 No.-

        本稿에서는 日本語 可能態의 보이스적인 特性과 形態的ㆍ意味的ㆍ統語的 特性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形態面에서는 短形의 派生態를 中心으로 考察하였으며, 意味面에서는 可能文의 統語的 特性에 따라 能動的 可能文과 受動的 可能文으로 分類하는 것을 試圖하였다. 그리고 能動的 可能文은 特定한 可能主體에 대한 能力의 存在, 行爲의 許容, 그리고 容易性을 나타내며, 受動的 可能文은 基本文에서 不特定한 사람이나 無情物의 補語成分이 主題化하여, 그 屬性을 敍述하는 性狀規定의 文으로 把握하였다. 또한, 斜格成分도 受動的 可能文의 主題가 될 수 있음을 確認하였으며, 基本文의 「を」 格이 主題化한 受動的 可能文은 受動文과 統語的ㆍ意味的 類似性을 갖는 것으로 把握하였으며, 非意志性의 意味素性을 갖는 基本態도 受動的 可能文의 可能態와 對立할 수 있음을 밝혔다. In this paper, I observed the morphologic, semantic and syntactic properties in the expressions of the potential voice in Japanese. As for the methods about the analysis of these semantic properties, on the side of forms, I researched them with the short derivative forms as the central figure, and on the side of meanings, I attempted to classify the potential sentences into active and passive ones according to the syntactic properties. I researched for the connections with the self-controllability of the subject to the potential exp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I apprehended that the active potential sentence indicates the existence of ability, allowance for behavior, and easiness of action to the specific one, otherwise, the passive potential sentence is the sentence of the prescriptions of the nature or state for the topic which is changed from complements of unspecific one or inanimate thing.

      • KCI등재

        일본어의 수동문과 자동사 구문 - 사건 구조와 구문 유형에 주목하여 -

        한정연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1 No.-

        For the purpose of looking into passive sentence and intransitive sentence which have things in common in terms of describing changes and being alternated with transitive sentence, this thesis has classified the two sentences into four categories: ① expressions describing stativity with concrete noun as subject, ② expressions describing activity with concrete noun as subject, ③ expressions describing stativity with abstract noun as subject, and ④ expressions describing activity with abstract noun as subject. And, then,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aspects of the distribution of these categories in modern times. In doing so, it has been noticed that passive sentence is used mostly in expressions describing stativity with concrete noun as subject, and intransitive sentence in expressions describing activity with concrete noun as subject. In previous studies, whether or not there was implicitness of agent was mainly mentioned as difference between the two sentences. However,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conducted this time through this thes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wo sentences are different in event structure and sentence type as well. It can be said that passive sentence is relatively frequently used in expressions describing stativity with concrete noun as subject because these expressions have been used since the days before modern times and have served as prototype for inanimate-subject passive.

      • KCI등재

        受動者가 述語 앞에 쓰이는 문장 고찰- 自⋅見을 중심으로 -

        김은희,안재철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3 No.-

        In this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are several cases as seen below where even when the zì(自) and xiàn(見) are in front of the predicate, they can function as passive voices. Before mentioning anything else, it should be noted that zì (自) is not used as an adverb which means ‘by itself’ but actually functions as a pronoun(Dàicí/代詞) instead and therefore becomes both passive and active voice in front of the predicate which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zì(自) is usually recognized as an adverb which means ‘by itself’ but contrary to this common belief,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are cases where it actually becomes passive voice frequently used in front of a predicate. Second, zì(自) has also been confirmed to have instances where it is used both as a passive and active voice pronoun in front of the predicate in som e cases. Third, zì(自) is sometimes used as an adverb meaning ‘by itself’ but in other cas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are instances where it is interpreted as an active pronoun. This paper also looked into how xiàn(見) is not used as the verb meaning ‘to see’ but after going through a grammaticalization process of losing its practical meaning, is used in passive sentences as passive identification markers whereby making the subject that appears in front of the xiàn(見) to become passive or itself becoming a pronoun and becoming a passive voice in front of the predicate. With these findings, the below conclusions were able to be derived. First, xiàn(見) is usually recognized as the verb ‘to see’ but when a word that is not recognized as a noun or a pronoun but a word that is recognized as verb appears behind it, xiàn(見) would be used as a passive identification marker and make that sentence a passive sentence so the subject that is used in front of the predicate would becom e the passive voice. Second, when a word that is regarded as a verb comes after the xiàn(見), it is a passive sentence but sometimes it becomes a first person pronoun by itself and becomes the passive voice of the predicate within the sentence. 漢文에서는 일반적으로 주어가 주어이며, 목적어가 목적어인 이유는, 주어나 목적어가 될 수 있는 명사나 대사가, 술어의 앞에 쓰이면 주어, 술어의 뒤에 쓰이면 목적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대체로 피동문을 제외한 보통의 문장에서는 술어 앞에서 주어가 되면, 그것이 술어의 주동자라고 판단한다. 본고에서는 ‘自’와 ‘見’이 술어의 앞에 있으면서도, 그것이 수동자가 되는 경우를살펴, 아래의 몇 가지 경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먼저 ‘自’가 ‘스스로’라는 부사로 쓰이지 않고 오히려 代詞로 쓰여 술어 앞에서 수동자와 주동자 등이 되기도 하는 문장들을 살펴 아래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自’는 흔히 ‘스스로’라는 부사로 인식되는데, 본고에 의하면, 그것이 부사가아닌 代詞이며, 더더욱 술어의 앞에 쓰이면서도 오히려 수동자가 되는 경우가 있음을확인하였다. 둘째, ‘自’는 어떤 경우 술어 앞에서 代詞로 수동자와 주동자를 겸하는 예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自’는 ‘스스로’라는 부사로 사용될 때가 있으며, 때로는 그것을 대사로 주동자가 된다고 해석할 수 있는 예도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또한 ‘見’이 ‘보다’라는 동사로 쓰이지 않고, ‘虛化’되어 피동 표지로 피동문에 쓰여, ‘見’ 앞에 출현하는 주어가 수동자인 것을 나타내게 되거나, 그것 자신이代詞가 되어 술어 앞에서 수동자가 되는 것을 살펴 아래의 몇 가지 결론을 얻을 수있었다. 첫째, ‘見’은 흔히 ‘보다’라는 동사로 인식되지만, 그것의 뒤에 명사나 대사로 인식되는 단어가 출현하지 않고 동사의 단어가 출현하면, ‘見’은 피동 표지로 사용되어, 그문장은 피동문이 되기 때문에, 술어의 앞에 쓰이는 주어가 수동자가 된다. 둘째, ‘見’의 뒤에 동사 단어가 오면, 피동문이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그것이 스스로 一人稱 代詞로 사용되어, 문장 중에서 술어의 수동자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