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독해력, 영어읽기동기, 협동학습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영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group co-learning on English reading ability and motivation and the change in group co-learning perception after planning and applying a group co-study class program that can be applied in university liberal arts English clas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experiment team (34 students) conducted the class from September 2 to December 13, 2019 for 62 freshmen who participated in the compulsory liberal arts English class at the four-year university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and the control team (28 students) conducted the class as a typical lecture class based on the basis of cooperative learning. The English proficiency of the learners was approached by dividing the area of academic proficiency into English reading skills and the area of justice into English reading motivations. The pre-experimental learners' English reading skills were measured by excerpting the national level educational achievement assessment (high 2).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English reading ability score of a group that applied group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English reading ability score of a group that did not apply group cooperative learn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nglish reading motivation score of the group applying the convocation group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English reading motivation score of the group not applied. Third,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groups applying the convocation group cooperative learning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is study found that the awareness of English reading, English reading motiv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increased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during liberal arts English classes,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identity and so on. 본 연구 목적은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활용 가능한 소집단 협동학습 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 독해력과 영어 읽기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소집단 협동학습 인식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청북도의 4년제 종합대학교의 필수 교양영어 수업에 참여한 신입생 62명을 연구대상으로 2019년 9월 2일에서 12월 13일까지 실험반(34명)은 협동학습을 기반으로 한 맞춤식 소집단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통제반(28명)은 전형적인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은 학업 숙달도 영역을 영어 독해력으로, 정의적 영역은 영어 읽기 동기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실험 전 학습자들의 영어 독해력은 국가 수준 교육 성취도 평가문제를 발췌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의 영어 독해력 점수와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하지 않은 집단의 영어독해력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의 영어 읽기동기 점수와 적용하지 않은 집단의 영어 읽기동기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셋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의 인식변화가 실험 전과 실험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어 수업 시 대학생들 간의 협동학습을 통해 영어 독해력, 영어 읽기동기, 협동학습 인식이 상승했으며, 이를 통한 자아정체성, 자신감 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소집단협동학습을 활용하는 중국어회화수업이 말하기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옥전(Yuquan Li),이용남(Yong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중국어 방과 후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소집단 협동학습을 선택하여 고등학교 초급 중국어 말하기 학습에 적응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현 교육현장이 가지는 외국어 학습의 제약점을 보완하고 초급 중국어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의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담양에 소재의 H고등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20차시의 실험연구를 진행되었다. 사전 말하기 사전 말하기 점수와 사후 말하기 점수를 분석하여 소집단 협동학습은 중국어 말하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설문을 통해 사전・사후 학습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집단 협동학습을 실시한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은 중국어 말하기 평가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일반 학습에 비해 양적인 면에서 발화의 기회가 증가하였고 질적인 면에서도 협동학습 과업 해결을 위해 의미 있는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또한 팀 점수를 높이기 위해 구성원 모두가 서로 돕고 가르쳐 주는 소집단 내의 긍정적 분위기 속에서 학습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말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중국어 학습이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유효한 결론을 도출해 내었고 소집단 협동학습은 고등학교 중국어의 말하기 뿐 만 아니라 듣기, 읽기, 쓰기 활동에도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ducation method of elevating Chinese speaking skill for high school Chinese learning beginner by using STAD(Student Team Achivement Divisions), that is one of the various cooperative learning tools focusing learner. For this purpose, I applied STAD to high school chinese speaking education. Then I analyzed the rusult in order to make up for defects of the present high school Chinese education. This study was excuted for Chinese learner of N high school located in Incheon for four weeks. To verify influence on Chinese speaking of STAD by comparing pre-Chinese speaking score with post-Chinse speaking score. The questionnaires was used to examine a change of pre-post Chinese learning attitude. This study using the SPSS 12.0 software which resul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 test. To summarize, First,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between the experiment class and the comparative class in Chinese speaking improvement. It s consider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ncreased chances of speaking in a quantitative respect. also cooperative learning made the students more comunicative in a qualitative respect. Because the students actively needed to talk with each other to solve classwork. In addition, the students had to cooperate with other students for getting more higher score in a Chinese test. Second,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in Chinese learning attitude. Because the students got more confident about Chinese throughout group compensation based on individual Chinese learning improvement contribution. Third, the student could study more efficiently by exchanging information regarding Chinese with their friends in a basic group. besides,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for every level s Chinese learner. In particular, the student in the upper level made a progress of cognitive elaboration and the low level student could reflect on virtues and faults of high level student s learning methods by watching them. This study conclud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of Chinese speaking in high school education was effective as the results showed. I suggest that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not only Chinese speaking but also listening, writing, reading.

      • KCI등재

        인문 교양강좌에서 소집단 협동학습에 관한 학습자 인식연구

        김성해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5

        본 연구에서는 언어와 관련한 인문 교양강좌에서 소집단 협동학습에 관해 학습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대학 교양강좌에서 소집단 협동학습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의 한 4년제 대학에 2023학년 1학기에 개설된 언어 관련한 두 개의 인문 교양강좌를 수강한 9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소집단 협동학습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다수의 학습자는 소집단 협동학습을 선호하며 그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학생들은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해 다른 학습자들과 다양한 의견교류를 함으로써 자신들의 사고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는 것과 다른 학습자와의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었던 것을 장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강좌에서 소집단 협동학습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동기부여와 긴장 완화를 위한 충분한 아이스 브레이킹과 동료평가의 기능 강화 등을 제안하고 궁극적으로 효과적인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의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learners perceiv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in language-related liberal arts courses. The research aimed to explore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in university liberal arts cours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98 students who enrolled in two liberal arts courses related to language offer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3 at a local four-year univers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learners prefer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and positively evaluate its educational effect. Specifically, students recognized the advantages of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including the expansion of their thinking through diverse exchanges of ideas with peers and the formation of a sense of bonding with fellow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measures to enhanc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in university liberal arts courses. These measures include fostering motivation, providing ample ice-breaking activities for tension relief, and strengthening the functionality of peer evaluation. Thi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earner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 KCI등재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안종수(Jong Su 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학생들이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00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2개반 56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00고등학교는 00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다.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성적을 참작하여 2개 반을 선정하였다. 1반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반을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2022년 4월 29일부터 7월 9일 까지 약 2개월간 실시하여 13차시 수업을 하였다. 실험집단(28명)은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으로 수업한 반이고 비교집단(28명)은 설명식 위주의 전통적인 교과서를 바탕으로 수업을 한 반이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단원별 학습내용을 설정하고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에 활동지를 활용하였다. 이를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를 신장시킬 수 있었다. 둘째,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을 활용한 수업이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 학생들에게 서술형 위주의 전통적인 교과서를 바탕으로 한 수업과 비교하여 볼 때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더 효과가 있었다. 셋째,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을 활용한 수업에서는 일반적인 수학 수업에서 제외되는 하위권 학생에게도 흥미를 가지게 되어 활발히 참가하여 학업성취도의 수준을 향상하는데 효과를 보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으로 수업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overall mathematics achievement, interest, and mathematical attitude toward math learning through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by abili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58 students in 2 classes in the 2nd grade of 00 Humanities High School. OO High School is located in OO Metropolitan City. Two class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idterm exam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grade. Class 1 was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class 1 was divided into a comparative group. From April 29 to July 9, 2022, 13 classes were conducted for about 2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33 students) was a class that was taught by cooperative learning of small groups by ability, and the comparative group (33 students) was a class that was taught based on traditional textbooks centered on explanatory expressions.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his study, learning contents for each unit were set and activity papers were used for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by ability. By applying this to the class, it was possible to improve mathematics achievement, interest, and mathematical attitude. Second, classes using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by ability were more effective in mathematics achievement, interest, and mathematical attitude compared to traditional textbook-oriented classes centered on narrative for top, middle, and bottom students. Third, in classes using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by ability, they were also interested in lower-level students excluded from general mathematics classes, and actively participated and improved the level of mathematics achievement.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by abilit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interest, and mathematical attitude than the comparative group.

      • KCI등재

        소집단 협동학습의 효과성 인식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교적응행동의 예측력 탐색

        최임숙,박민정 교육종합연구원 2012 교육종합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협동학습으로 진행된 강좌에서 그 효과성 인식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교적응행동의 예측력을 탐색하였다. 모둠별 토론과 공동과제를 수행하면서 진행된 동일 교수자의 6개 강좌 수강생 25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이 지각한 협동학습의 효과성 인식 수준과 학업성취도는, 학습자의 학습몰입 수준과 학교적응행동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학습몰입과 학교적응행동은 협동학습의 효과성 인식과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의미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매개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학교적응행동은 학습몰입과 협동학습의 효과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효과 창출을 위해 학습몰입과 학교적응행동이라는 학습자 특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협동학습 수업전략의 학업성취 효과와 관련된 쟁점 분석

        고영남 안암교육학회 2004 한국교육학연구 Vol.10 No.1

        오늘날 교육현장의 많은 교사들은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수업방법에서 탈피하고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 수 있는 수업전략을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요즘 많은 주목을 끌고 있는 하나의 혁신적 수업전략은 협동학습이다. 협동학습은 자신의 학습과 다른 동료들의 학습을 최대화하기 위해 함께 학습하는 구조화된 소집단을 이용하는 수업전략이며, 이와 같은 교육적 접근은 교사의 지식을 단지 전달받는 수동적인 입장에서 학생이 주체가 되어 교육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입장으로 교육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협동학습이 학교급별로 여러 교육현장에 큰 영향을 끼치면서 학습자의 학업성취 측면에서 몇가지 쟁점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 측면에서 효과와 관련된 쟁점에 대한 분석을 위해 협동학습의 효과에 관한 이론적 관점으로서 동기론적 관점, 사회응집성 관점, 발달적 관점, 구성주의적 관점을 고찰하였고, 협동학습의 효과와 관련된 쟁점 중 이론적인 것으로서 외적 보상의 문제, 소집단 구성 방식의 문제, 영재교육에서의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이고그램에 따른 소집단 구성이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의 협동학습 교류패턴에 미치는 영향

        손주민 대한공업교육학회 201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고등학교 협동학습 수업에서 이고그램을 고려하여 소집단을 구성했을 때 학생들의 협동학습 상황에서 상호작용과 교류패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업고등학교 협동학습에 참여한 학생들 24명을 대상으로 이고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구조-기능을 분석 하고, 이를 토대로 자기긍정-타인긍정이며 유화성 있는 학생이 참여한 소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소집단으로 구성하고 표집된 두 소집단의 협동학습에서 이루어진 대화 내용을 녹음, 녹화하여 여기에서 이루어진 언어적 상호작용과 교류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이고그램 평균 특성은 FC 점수가 가장 높고 CP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연구 대상 학생들의 특성이 자유분방하며 자기 표현이 분명하지만 느슨하고 무절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 학생들의 인생태도 분석도에 나타난 내용은 자기긍정-타인긍정의 인생태도를 보인 학생은 6명(25%)이며 자기긍정-타인부정의 태도를 보인 학생은 15명(62.5%)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교류패턴을 분석한 결과, 자기긍정 및 타인긍정이며 유화성 있는 학생이 참여한 소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소집단보다 더 많은 대화가 이루어졌으며, 상보교류의 횟수도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따라서 공업고등학교 협동학습 수업에서 이고그램 특성에 따라 소집단을 구성하는 것이 수업의 활성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긍정-타인긍정이며 유화성 있는 학생이 참여한 소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소집단보다 수업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actions and transaction patterns on cooperative learning class grouping by egogram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For the process of this study, students' structural and functional egostates were analysed by egogram. After that experimental groups that participate in the members who have high score on I'm OK and You're OK position were organized. and also comparison groups that do not have any students who get position of I'm OK and You're OK were organized. After the target small group was video- taped, students' verbal interactions were written into transcripts. Their interactions and transaction patterns were analysed by the frame of verbal interaction. The results of egogram analysis is that the score of FC is most high and the score of CP is low. High FC means students have their free thoughts and childish actions in suitable language. And low CP means students have personality of immoderation and loose. The target students' life attitude graph shows that I'm OK-You're OK students is 6(25%) and I'm not OK-You're not OK students is 15(25%).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more active interactions than comparison group. The frequency of complementary transaction was also higher plenty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 frequency of crossed transaction was higher plenty in comparison group. So this study verify that when organize students into small groups on cooperative learning class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the egostates of positiveness is important variable. and the students who have a personality variable that influence positive life attitude to themselves and to others participate in as a member of small groups, the verbal interactions increase sharply and tha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lasswork process and performance.

      • KCI등재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기반 소집단 토론 수업 모형 개발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최동열(Dong-Yeol Choi) 한국영재교육학회 2022 영재와 영재교육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협동학습 기반의 소집단 토론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 문헌의 분석을 바탕으로 협동학습에 기반한 소집단 토론수업의 단계를 ‘사전준비-사전학습-협력적 활동-토론-정리’의 순으로 나누었다. 이후, 각 단계 마다의 필수 설계원리와 세부지침을 유목화하여 협동학습 기반 소집단 토론 수업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설계원리를 바탕으로 영재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기반의 소집단 토론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초안은 지구과학교육학 및 영재교육 분야의 전문가 5명으로 구성된 패널들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패널들의 검토 의견을 바탕으로 초안을 지속적으로 수정·개선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이후 과학영재학교 1학년 학생들(N=90)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설문 조사, 심층 면담 등을 통해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협동학습 구현 정도 등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영재교육에서 심화 과학 개념을 학습하는데 있어 학생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협동학습을 효과적으로 체험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ll group discussion class program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science gifted education. To this end, based on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 literature, the stages of small group discussion clas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were divided in the order of preparation-pre-learning-cooperative activity-discussion-organize . After that, the design principles for small group discussion classe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were developed by nomadizing the essential design principles and detailed guidelines for each stage. Based on the developed design principle, a small group discussion class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education. The draft program was verified for content validity by a panel of 5 experts in the field of earth science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After that, the program developed for first-year students of gifted schools (N=90) was appli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such a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the degree of cooperative learning implement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of great help to students in learning advanced science concepts in gifted education, as well as enable them to effectively experience cooperative learning.

      • 소집단 협동학습 기법 및 그 효과에 대한 재음미

        강영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87 公州敎大論叢 Vol.23 No.2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nature and effects of th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techniques such as Jigsaw, Teams-Games-Tournament (TGT), Student-Teams-Achievement-Divisions (STAD ), and Group-Investigation (G-I )* Th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techniques refered to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 which students in a classroom were divided to small groups, two or more students cooperatively performed the tasks, and recieved rewards for their performance. Many cooperative learning techinques have been proposed, but Jigsaw, TGT, STAD, and G-I have been known widely.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echniqu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o-emotional domains.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varied, but the cooperative learning techniques were no worse than competitive learning techniques or individualistic learning techniques, and in most ease, the former were significantly better. The results of this review showed that cooperative learning techniques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practice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theory, especially in Korea in which most teachers used competitive learning techniques or idealized the individual learning techniques. Further experimental and theoritcal studie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use of cooperative learning techniques in classroom instruction.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소집단 협동과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이현정 ( Hyun Jung Lee ),이대균 ( Dae Kyun Lee ),송정원 ( Jung Won So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유아문학교육의 실습 영역에 해당되는 매체 제작과 시연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소집단 협동과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였다. 대전시에 소재하는 D대학에 재학 중인 3년제 유아교육과의 2학년 학생 6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6-7명의 학생들로 이루어진 전체 10개 소집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소집단 협동과제 교수-학습 모형은 1차시 수업에서 교수로부터 소집단의 과제에 대한 안내를 받고 소집단 토의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해 다음 날 2차시 수업에 참석하였다. 2차시 수업에서 과제 수행을 위해 동화 선정, 동화 제작과 인형 제작에 따른 역할 분담, 시나리오 구성, 연출 방법 등을 교수의 지도하에 토의 하였다. 2차시 수업이 끝나면 학생들은 일주일 동안 협동적으로 과제 완성 과정에 참여하여 동화와 인형 제작, 시연 연습을 하고 일주일 후 3차시 수업에서 발표하고 평가하는 순으로 수업을 전개하였으며 수업의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수 평가와 자기· 동료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 동료평가에서는 학생들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소집단에 기여한 점수가 A(12~13점) 등급이 91%로 나타났으며, 교수의 평가에서는 A이상(27~30점)이 78%, B이상(21~30점)은 18%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집단 협동과제 교수학습 모형이 유아문학 교육의 과제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임을 시사해준다. This research is for developing the more effective teaching study model of a small group cooperation project to provide materials of instruction and demonstration in early children literature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68 sophomore students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D college located in Taejon Metropolitan City. The total 10 small group was structured and each small group was composed of 6 or 7 student members. This model was divided into 3-steps. The first step was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of project work from the professor and the second step was discussion for selection of fairy story, material and doll making, role assignment for doll play, scenario composition and doll-play production with a professor. At this time one week was taken for discussion and production of their project work. The final step for demonstration and evaluation of the project work was on work. In addition, professor evaluation, self evaluation and classmate evaluation was performed respectively to estimate class effectiveness.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 the score for contribution to the small group to execute project work in self and classmate evaluation showed that A grade(13~15 point) was 91%, grade over A(27~30 point) was 78% in professor evaluation and grade over B(21~30 point) was 96% in total respect. This result says that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odel of small group cooperation project is appropriate model to execute the project work for early children literatur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