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소비공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 지각된 혜택과 관여도를 중심으로

        한성희 한국생활과학회 202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1 No.6

        This study aims to analyze impacts of perceived benefits of complex consumption space and shopping involvement on consumer space satisfaction. Survey participants were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30s to their 50s. A total of 634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For research methods, factor analysi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benefits of consumer spa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1) convenience, freedom, and escape from daily life, 2) spatial attractiveness of coexistence; and 3) independence.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pping involvement was classified into two factors: life-centeredness and self-expression. Second, the mediated effect of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nefits and consumption space satisfaction was verified. Consumers' perceived benefits positively impacted their satisfaction of the complex consumption space. Regarding the mediating involvement, the higher the level of involvement, the higher the consumption space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complex consumption space satisfaction, convenience among consumers' perceived benefits had the highest influence, followed by spatial attractiveness of coexistence, independence, and involvement in life-centeredness. Based on this study's results, it is necessary to newly classify and analyze the types of consumer-perceived benefits and engagement when analyzing impact factors of complex consumer space satisfaction. Perceived benefits and involvement can positively impact consumer space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소비공간에 대한 지각된 혜택과 쇼핑관여도가 소비공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30-50대 성인남녀로 최종 634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공간에 대한 지각된 혜택은 요인분석 결과, 편리성, 자유‧일상탈피, 공존과 독립의 공간매력성으로 3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쇼핑관여도는 요인분석 결과, 생활중심성과 자기표현성의 2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지각된 혜택(편리성, 자유‧일상탈피, 공존과 독립의 공간매력성)과 소비공간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관여도(생활중심성, 자기표현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소비자의 지각된 혜택이 복합소비공간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관여도를 매개하여 관여도 수준이 높을수록 소비공간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복합소비공간만족도에 미치는 독립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의 지각된 혜택 편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공존과 독립의 공간매력성, 생활중심성의 관여도 수준의 상대적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할 때, 복합소비공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비자의 지각된 혜택과 관여도 유형을 새롭게 분류하고 분석할 필요성이 시사되었으며, 지각된 혜택과 관여도가 소비공간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편리성 요인 이외에 공존과 독립의 상반된 특성이 상존하는 공간매력성이 복합소비공간만족도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보이고 있음을 입증한 것은 미래의 복합소비공간 구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소비자교육을 위한 우리 옛이야기의 활용성 가능성 탐색 - 거래관계자와 가계관리자로서의 소비자를 중심으로 -

        김정훈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3 No.3

        소비자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도구나 자료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옛이야기 속 경제개념과 소비생활영역을 동화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활용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옛이야기들 중 시장 거래관계자로서, 그리고 가계관리자로서의 소비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 옛이야기 15개가 선정되었다; 고삿섬과 고삿돌, 금 두꺼비와 3천 냥, 기름 바른 강아지, 나막신과 물통, 나무그늘 임자, 내년이면 장닭, 냄새 맡은 값, 닭값과 봉값, 떡 자루와 돈 자루, 말 내기 장기 한판, 며느리 고르기, 부자 되는 길, 수박이 당나귀 되었네, 조왕신과 며느리, 콩 한 톨 사경이들 옛이야기들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옛이야기들 속에서 시장거래관계에서의 소비자와 가계관리자로서의 소비자, 그리고 기타 소비자교육을 위한 다양한 주제 영역에서 단초를 제공할 수 있는 내용과 개념들이 포함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교육에 우리 옛이야기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이 연구되고, 실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folk tales to increase their use for consumer education. This study focused on consumers in the market and household financial managers from folk tales. 15 folk tales were selected as follows for the study; Hulled Rice Bag & Rock Bag, Golden Toad & 3 Thousand Dollar, Oiled Puppy, Wooden Shoes & Water Tank, Owership of the Shade of a Tree, Chick, Today, but Cock, Tomorrow, Price of the Smell, Prices of a Hen and a Fabulous Bird, Rice Cake Bag & Money Bag, a Game for Betting Horse, Searching for Good Daughter-in law, a Way to the Rich, Watermelon became into a Donkey, a Kitchen God and a Daughter-in-law, a Bean as Wage per Da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useful contents and concept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consumer abilities were included in Korean fairy tales. These contents and concepts can be utilized for various consumer education issues. Therefore Korean fairy tales can be good consumer education materials for various target students, subjects, and educational areas.

      • KCI등재

        대학생소비자의 소비절제(Anti-Consumption)행동에 관한 연구

        최경숙(Choi, Kyoung Sook),박명숙(Park, Myung So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현대 소비사회에서 대학생들의 소비절제행동의 수준을 알아보고, 소비절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대학생소비자의 소비절제(anti-consumption)행동을 파악 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소비절제행동의 동기 변수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개인적 동기(자아실현, 진정성, 삶의 행복)와 사회적 동기(환경의식)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동기 변수들이 소비절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소비자의 소비절제행동은 중앙값 보다 다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소비절제 유형 중 ‘간소화한 개인적 소비절제행동’이 ‘사회와 환경을 고려한 소비절제행동’보다 상대 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절제행동과 소비절제행동에 대한 동기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실현, 진정성 있는 삶, 삶의 만족도, 삶에 대한 긍정적 감정, 환경문제 결과 인지, 환경문제 위해 걱정은 정 (+)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외적 영향 수용과 삶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소비 절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진정성 있는 삶, 자기소외, 자아실현, 삶에 대한 부정적 감정, 삶에 대한 긍정적 감정, 환경문제 결과 인지, 삶의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소비자의 소비절제행동은 사회적 동기보다 개인적 동기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있으며, 특히 진정성 있는 삶에 대한 추구는 소비절제행동을 이끄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Anti-consumption is important and emerging aspect of consumer behavior and focuses on the reduction of material possessions.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student consumers anti-consumption behavior, personal motivation(self-actualization, authenticity: self-alienation, authentic living, accepting external influence, well-being: satisfaction with life,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social motivation(environmental consciousness: awareness of consequences, environmental concern)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of their anticonsumption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drawn from 350 university student consumers, and 308 subjec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anti-consumption behavior showed a score of 3.17(SD = 0.55),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Seco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anti-consumption behavior and each of four motivation valuables: self-actualization, authenticity(authentic living), wellbeing(satisfaction with life, positive affect)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awareness of consequences, environmental concern),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anti-consumption behavior and each of two motivation valuables: authenticity(accepting external influence) and well-being(negative affect). Third, th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the anti-consumption behavior were authentic living, self-alienation, self-actualization,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awareness of environmental consequences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ord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nti-consumption behavior was influenced more by personal motivation than by social motivation.

      • KCI등재

        멀티정보채널 환경에서의 소비자 정보혼란과 선택혼란

        남유진,김경자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의사결정과정에서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소비자혼란의 내용과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먼 저 심층면접을 통해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소비자혼란 사례들을 수집하고 성인 소비자 5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여 소비자혼란수준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은 정보채널과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과 제품선택과정에서 모두 혼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를 각각 정보혼란과 선택혼란으로 명명하고 각각을 3개의 하위차원으로 나누어 측정한 결과 정보혼란수준은 중복혼란, 불신혼란, 과부하혼란 순으로, 선택혼란 수준은 모 호혼란, 과잉혼란, 유사혼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제품선택 단계보다 정보선택 및 활용 단계에서 더 혼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탐색 초기 단계에서 정보혼란을 느낀 소비자들은 마지막 단계인 선택단계 에서도 더 많은 혼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소비자를 위해 무작정 정보제공의 양을 늘리는 것 보다 소비자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방식에 대한 고민과 정보제공 채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what and how much consumer confusion consumers had experienced under the multi-channel environment. In-depth interviews with 7 interviewees was conducted first to figure out what kinds of consumer confusions existes and next on-line survey with 581 adult consumers were conducted to validate how much consumer confusion they experienced while they search and utilize information for product purchasing.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ere confused not only during purchasing choice process (consumer choice confusion), but also during information search process(consumer information confusion). The information confusion level in the beginning of decision making process was higher than the choice confusion level which usually happened at the final purchasing process. Most of confusion were due to the information overload, and similar, ambiguous, and untrustful information, Consumer information confusion and choice confu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implying confused consumers at first were more likely to be confused at the end as well.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information channel management are necessary for reducing consumer confusion.

      • KCI등재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박신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Effect of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and Eco-friendly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on Eco-friendly ClothingConsumption Behavior: Focused on Mothers of Young ChildrenShinjung Park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as consumer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on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For this purpose, 419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re recruited as subjects thr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G-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surve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fluence between the data was verified by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mode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some of the sub-factors of mother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and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affect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and mother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influences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by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review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others’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in various aspects and analyze the influence paths of the variables more deeply. Key Word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Clothing Consumption,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Awareness,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박 신 정*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비자로서의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G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을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41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어머니의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이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 의복소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환경 의복소비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어머니의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과 친환경적 의복소비의식의 하위요인 일부는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은 친환경 의복소비의식을 매개로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후속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고, 그 변인의 영향경로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핵심어: 소비자, 사회적 책임의식, 의복소비, 친환경 의복소비의식, 친환경 의복소비행동 □ 접수일: 2022년 8월 10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호남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Professor, Honam Univ., Email: drsjpark@honam.ac.kr)

      • 초등학교 교과에 제시된 소비자교육내용 분석 - 소비자지식ㆍ소비자태도ㆍ소비자기능을 중심으로 -

        김금숙,이기춘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소비자교육내용을 소비자지식, 소비자태도, 소비자 기능 영역으로 분석하여 소비자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 대상은 5․6학년 과정의 교과서로 9 교과목으로 총 32권이다. 분석단위는 문맥단위이며, 집계체계는 쪽수이다. 분석 결과 5학년은 226.6쪽, 6학년은 212.5쪽으로 10.20%에 해당되는 소비자교육 내용을 담고 있으며, 두 학년 모두 소비자능력 중 소비자지식이 월등히 많았고, 자연자원보존 영역이 가장 많은 쪽수와 가장 많은 교육 빈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6학년 음악교과는 소비자교육 내용이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전반적인 소비자교육 은 내용영역 간에 불균형적이었다. 이에 소비자교육 영역간의 소비자교육 5․6학년 교과서 내용에 관한 소비자교육 관점에서의 재검정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analyze the consum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textbook of 7th curriculum through consumer knowledge, consumer attitude, and consumer skill, but also to supply useful data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n order to build the systematic contents of the consumer education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One of the significant target of this analysis is based on 5th-6th grade textbooks which are included in nine courses and thirty-two textbooks. Also we analyzed and organized them by using context, and then the system of enumeration was the number of pages. Pages regarding consumer education, which are presented in all the 5th and 6th grade textbooks are 226.6 pages and 212.5 pages. Consumer knowledge in both of grades has occupied most of parts in the consumer competency. Also, in both of grades, the domain of preserving “natural resources” takes possession of most of pages and education occurrences. In 6th grade, music textbook does not include contents for consumer education at all. In conclusion, most of the constructions of consumer education are out of balance in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and 5th-6th grades textbooks need to review point of view through the consumer education.

      • 消費者關與에 대한 理論的 考察

        김찬곤 東國專門大學 1997 金龜論叢 Vol.4 No.1

        소비자관여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나름대로의 연구결과를 도출하고 있으나 그 정의나 개념에 대한 의견 일치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그것은 연구자들이 소비자관여에 대한 어떤 측면 하나만을 강조한 나머지, 그 구성변수에 미처 시선을 돌리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선행연구의 다양한 정의 속에 포함된 공통된 개념요소를 분석하였다. 즉, 소비자관여란 무엇이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등에 초점을 맞추고,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소비자관여의 정의설정을 시도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자기관련성 변수를 고려한 소비자관여 모형을 고찰하고 소비자관여 모형을 고찰하고 그 모형에서 소비자관여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비자관여에 대한 제 정의들이 공통적으로 소비자, 제품, 상황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 정의에 사용된 핵심적 관여의 개념으로는 관련, 결과의 중대성, 개입, 각성 및 중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관여의 개념을 단순히 하나의 측면만을 강조하여 고찰한 것이 아니라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의 유의한 관계로 파악하여, 그 개념적 관계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소비자관여 연구의 체계화를 도모하여 소비자행동에의 실무적 차원에서의 응용을 시도한 것이다.

      • 브랜드경험, 브랜드지식, 브랜드관계품질 및 브랜드관계지속성 간의 관계

        이승재(Seung Jae Lee)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13 영상저널 Vol.6 No.1

        소비자들은 다양한 브랜드 접점을 통해 브랜드를 경험하게 되며, 기업의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의해 브랜드와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기업은 브랜드와의 관계 형성을 통해 브랜드충성도를 높임으로서 강력한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게 된다. 소비자-브랜드관계의 형성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소비자-브랜드관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이나 성과간의 단편적인 영향관계만을 살펴보았고, 포괄적인 관점에서 소비자-브랜드관계의 형성과정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검정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는 소비자-브랜드관계품질의 선행요인인 브랜드경험과 브랜드지식이 소비자-브랜드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브랜드관계품질이 소비자-브랜드관계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된 모형으로 살펴봄으로써 일련의 소비자-브랜드관계품질 형성과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경험은 브랜드지식과 소비자-브랜드관계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지식 역시 소비자-브랜드관계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브랜드관계품질은 소비자-브랜드관계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panies can improve customers" loyalty and build strong brand equity through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brand. Most of the studies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or between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the performance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in fragments. So, few studies have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Although consumers" brand experience and brand knowledge are considerably important, most of research has not considered theses factors as the predisposing factors of customer-brand relationship. This study develops a integrative model to test whether brand experience and brand knowledge affect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and whether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affects consumer-brand relationship stability, and examines a development process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rand experience positively affects both brand knowledge and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and brand knowledge also positively influences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Therefore, these results show that positive brand experience and brand knowledge of consumers improve the level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Second,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positively affects consumer-brand relationship stability. Particularly among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constructs which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sumer-brand relationship stability, the influence power of love is the highest, followed partner quality, nostalgic connection, personal commitment, interdependence.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its limitations, along with future research interest.

      • 소비자의 호응은 점포에 대한 불평을 감소시키는가?

        韓東哲,成礂承,金在英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9 사회과학논총 Vol.5 No.-

        점포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행동중에서 소비자의 불평행동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어왔다. 반면에 소비자들의 점포애호도, 소비자들의 점포에 대한 협력 및 소비자들의 점포에의 참여와 같은 소비자의 자발적성과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와서야 시작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소비자의 불평행동과 소비자의 자발적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시도되지 못히였다. 본 연구는 탐색적연구로서 소비자의 불평행동과 소비자의 자발적 성과간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의의가 있다. 불평행동은 개인적 불평, 점포에의 불평 및 제 3기관에의 불평으로 측정하였다. 소비자의 자발적 성과는 점포애호도, 소비자협력 및 소비자 참여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참여는 점포 및 제 3기관에의 불평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고, 점포 애호도는 제 3기관에의 불평과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