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성 주체의 결핍과 상실을 대리 표상하는 '사그라진 신부(新婦)'

        김영희(Kim Young hee)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3

        어떤 '신랑'이 혼인을 한 첫날밤 자신의 '신부'가 간부(姦夫)와 정을 통하고 있다고 오해하고 '신부'를 버려둔 채 신방을 나온다.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신랑은 우연히 첫날밤을 보낸 집 옆을 지나다가 첫날밤 복색과 자세 그대로 신방에 앉아 있는 신부를 발견한다. 신랑이 발견한 순간 신부는 먼지와 재로 내려 앉아 사라져 버린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 <첫날밤에 소박맞은 신부>는 표면적으로 신부의 비극으로 읽히나 불안과 우울의 주체인 신랑이 사그라지는 신부의 발견을 통해 자기 내면의 결핍과 상실에 직면하게 된다는 점에서 신랑의 비극이기도 하다. 이때 신부는 완전하고 흠결 없는 대상을 갈망하는 신랑의 성적 욕망이 투사된 존재로 남성 주체의 불안과 결핍을 대리표상한다. 남성의 성적 욕망은 영원히 충족 불가능하며 성적 대상으로서 순결하고 완벽한 신부는 애초에 도달할 수 없는 성적 환상에 불과하다. 남성 주체로서 신랑은 성적 욕망의 억압과 이로 인한 죄의식, 남성성과 권력 욕망에 대한 집착 등으로 강박적 불안에 시달리는 존재며, '사그라진 신부'의 표상은 신랑으로 하여금 자기 내면의 결핍과 상실에 직면케 한다는 점에서 남성의 불안과 우울을 환기시키는 대상이다. 수십 년의 시간 동안 신방에서 자폐하는 가운데 신부는 오로지 침묵한다. 신부는 단순히 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미동조차 하지 않은 채 같은 자세로 앉아 '온몸으로' 침묵한다. 이 침묵은 첫날밤의 폭력적인 사건이 '말로 다 할 수 없는 사건'임을 표상한다. 신부는 온몸으로 침묵하면서 언어의 표상 한계를 넘어선 폭력성, 곧 사건의 잉여를 증언한다. 서사의 변화 지향을 통해 드러난 여성 주체의 해석적 지향은 오히려 신부의 상실을 강화하고 여성을 타자화하는 젠더 정치의 기획에 공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나 이야기 연행과 전승의 장은 새로운 애도의 가능성을 예고한다. 말할 수 없는 폭력적 사건의 기억이 전이되고 상처가 공유됨으로써 신부를 타자화의 전략으로부터 해방시켜 진정한 애도로 나아가는 길이 열리는 것이다. 어떤 '신랑'이 혼인을 한 첫날밤 자신의 '신부'가 간부(姦夫)와 정을 통하고 있다고 오해하고 '신부'를 버려둔 채 신방을 나온다.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신랑은 우연히 첫날밤을 보낸 집 옆을 지나다가 첫날밤 복색과 자세 그대로 신방에 앉아 있는 신부를 발견한다. 신랑이 발견한 순간 신부는 먼지와 재로 내려 앉아 사라져 버린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 <첫날밤에 소박맞은 신부>는 표면적으로 신부의 비극으로 읽히나 불안과 우울의 주체인 신랑이 사그라지는 신부의 발견을 통해 자기 내면의 결핍과 상실에 직면하게 된다는 점에서 신랑의 비극이기도 하다. 이때 신부는 완전하고 흠결 없는 대상을 갈망하는 신랑의 성적 욕망이 투사된 존재로 남성 주체의 불안과 결핍을 대리표상한다. 남성의 성적 욕망은 영원히 충족 불가능하며 성적 대상으로서 순결하고 완벽한 신부는 애초에 도달할 수 없는 성적 환상에 불과하다. 남성 주체로서 신랑은 성적 욕망의 억압과 이로 인한 죄의식, 남성성과 권력 욕망에 대한 집착 등으로 강박적 불안에 시달리는 존재며, '사그라진 신부'의 표상은 신랑으로 하여금 자기 내면의 결핍과 상실에 직면케 한다는 점에서 남성의 불안과 우울을 환기시키는 대상이다. 수십 년의 시간 동안 신방에서 자폐하는 가운데 신부는 오로지 침묵한다. 신부는 단순히 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미동조차 하지 않은 채 같은 자세로 앉아 '온몸으로' 침묵한다. 이 침묵은 첫날밤의 폭력적인 사건이 '말로 다 할 수 없는 사건'임을 표상한다. 신부는 온몸으로 침묵하면서 언어의 표상 한계를 넘어선 폭력성, 곧 사건의 잉여를 증언한다. 서사의 변화 지향을 통해 드러난 여성 주체의 해석적 지향은 오히려 신부의 상실을 강화하고 여성을 타자화하는 젠더 정치의 기획에 공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나 이야기 연행과 전승의 장은 새로운 애도의 가능성을 예고한다. 말할 수 없는 폭력적 사건의 기억이 전이되고 상처가 공유됨으로써 신부를 타자화의 전략으로부터 해방시켜 진정한 애도로 나아가는 길이 열리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1920년대 목격과 미행의 담론화

        박숙자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1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clarify that witness narratives on women in 1920s contribute to "otherize" women. One of the subject matters, which is frequently found in literary works written in 1920s, is that a male character shadows and steals a glance at and witness a female character. As the result of this witness, a female character becomes rated as a negative body. What a male character witnesses is a female character's loose sexual relationship or her exceptional concept of sex. But the problem is that the contents of his witness is not true but reorganized through his sexual fantasy. A male character regards the body of a female character as the body filled with sexual desire. He thinks that her sexual desire is superfluous, if that desire does not belong to him and flows to another man. If a female character continues to refuse him, he concludes that she lacks her sexual desire. By these ratings, a female character rising to be a sexual subject becomes otherized. While the former is exemplified in Mulberry Leaves by Na, Do-Hyang, the latter is exemplified in Dormitory Inspector, B, and Love Letter by Hyun, Jin-Gun. As illustrated in these two novels, the contents of witness is not a modern means of recognition based on some facts. Rather, it is a mechanism invented by a witnessing male character in order to occupy the place of subject. That is, witness is very likely to be an alibi posing as a factual recognition, which can be used in distinguishing the subject. 이 글은 1920년대 들면서 풍미하기 시작한 미행 목격담이 근대적 포즈인 동시에 여성을 타자화하는 기제임을 밝히는 데 있다. 20년대 잡지와 소설에서 미행과 목격에 대한 글을 자주 접할 수 있는데, 그 근간에 근대적인 시각적 인식의 우월성과 사실적인 취재를 통한 공론화의 명분이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미행과 목격담이 신여성과 여성의 몸을 소재로 할 때, 여성의 몸은 부정적인 몸으로 가치평가 되면서, 작가의 남성적인 환상은 객관적인 장치를 통해 가려진다. 남성인물이 목격한 것은 여성인물의 문란한 성관계나 의외의 성관념인데, 문제는 남성인물이 본 것이 사실이 아닌 남성인물의 성적환상을 통해 재구성된 것이라는 점이다. 남성인물은 여성의 몸을 성적욕망이 가득한 몸으로 파악하고, ‘내것’이 되지 못하면서 다른 데로 흘러가면 ‘과잉’되었다고 하고, 거부로 일관하면 ‘결핍’으로 가치폄하한다. 전자의 예로 나도향의 뽕을 들 수 있고, 후자의 예로 현진건의 B사감과 러브레터를 들 수 있다. 이 소설들을 통해 볼 때 목격은 사실에 기초하는 근대적 인식의 기제라기보다 시선의 주체가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구성해낸 장치로써 사실적 인식이라는 포즈로 주체와 타자를 구획짓는 알리바이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 KCI등재

        La photographie fétichiste chez Hervé Guibert

        KIM Hyeon-A(김현아) 프랑스학회 2005 프랑스학연구 Vol.34 No.-

          프랑스 태생의 소설가 에르베 기베르는 문학작품을 통해 사진영상을 재현한다. 그는 사진가, 르 몽드(1977~1985)지의 사진기고 기자로 활동하기도 하며 자전적인 단편집 "L"Image fant?me"에서 가공의 사진이나 사진에 관한 희미한 기억을 글로 되살려낸다, 필자는 "L"Image fant?me"을 근간으로 작가의 작품 전반에 걸쳐 사진이 페티시즘과 연결되는 양상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 논문의 연구대상은 기베르의 문학작품에서 표현된 사진 영상이라는 점을 밝힌다.   페티시는 인간 내면의 결핍된 요소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긴 대체물을 의미한다. 작가는 사진이라는 매체를 인간의 근원적인 욕구와 결부시킨다. 사진 영상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성적인 환상에 빠지기도 하고 현실적으로는 충족하기 힘든 성적인 욕구를 대신 채우기도 하는 것이다. 그에게 사진은 사물의 외관이나 인간의 형상을 있는 그대로 재현한 영상이 아니라 사랑의 동반자로 다가온다. 사진에 대해 지나치게 성적으로 집착하는 이 태도가 페티시즘과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진은 육체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흠모하던 이의 사진이 작가의 몸에 실제로 인쇄됨으로써 육체자체가 인화지처럼 되는 현상이 그것이다. 작가는 사진속의 영상들을 시간의 구속에서 해방시키고 나아가 자신의 육체를 통해 재현해낸다. 기베르는 사진에서 죽음을 통해서만 실현이 가능한 영원성에 대한 꿈을 실현시킨 듯하다.   한편 사진은 기베르에게 정체불명의 유령의 영상을 꿈꾸게도 한다. 작가는 사진을 은밀히 훔쳐보면서 사진에 찍힌 사람이 오히려 자신을 뚫어지게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사진에 드러난 육체가 마치 유령처럼 감상자의 영혼에 끊임없이 엄습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진 영상의 사실적인 성격뿐만 아니라 감상자의 심리상태, 충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이 또한 신이나 영혼과 같은 초월성을 띤 전체가 아니라 한정된 부분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페티시즘과 직결된다.   평범한 사진에서 예기치 않는 이미지를 창조해내고 이를 페티시즘과 연결시킨 기베르의 작품세계, 우리는 그것을 통해 작가가 현상되고 인화된 영상보다는 상상의 나래를 자유롭게 펼칠 수 있게 하는 정신적 사진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계적이고 자동적인 사진을 거부하고 자신의 감추어진 욕망, 내면을 적나라하게 표현하고자 함이다. 그는 사진을 통해 인생의 심오한 철학을 담고자 한 것이다. 결국 페티시로써의 사진 영상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 통찰력과 진리를 보는 인간 영혼의 눈을 회복시키고자 한 작가의 의지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사진과 페티시즘 -에르베 기베르의 작품 세계-

        김현아 프랑스학회 2005 프랑스학연구 Vol.34 No.-

        프랑스 태생의 소설가 에르베 기베르는 문학작품을 통해 사진영상을 재현한다. 그는 사진가, 르 몽드(1977~1985)지의 사진기고 기자로 활동하기도 하며 자전적인 단편집 "L'Image fantô̂me"에서 가공의 사진이나 사진에 관한 희미한 기억을 글로 되살려낸다, 필자는 "L'Image fantô̂me"을 근간으로 작가의 작품 전반에 걸쳐 사진이 페티시즘과 연결되는 양상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 논문의 연구대상은 기베르의 문학작품에서 표현된 사진 영상이라는 점을 밝힌다. 페티시는 인간 내면의 결핍된 요소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긴 대체물을 의미한다. 작가는 사진이라는 매체를 인간의 근원적인 욕구와 결부시킨다. 사진 영상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성적인 환상에 빠지기도 하고 현실적으로는 충족하기 힘든 성적인 욕구를 대신 채우기도 하는 것이다. 그에게 사진은 사물의 외관이나 인간의 형상을 있는 그대로 재현한 영상이 아니라 사랑의 동반자로 다가온다. 사진에 대해 지나치게 성적으로 집착하는 이 태도가 페티시즘과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진은 육체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흠모하던 이의 사진이 작가의 몸에 실제로 인쇄됨으로써 육체자체가 인화지처럼 되는 현상이 그것이다. 작가는 사진속의 영상들을 시간의 구속에서 해방시키고 나아가 자신의 육체를 통해 재현해낸다. 기베르는 사진에서 죽음을 통해서만 실현이 가능한 영원성에 대한 꿈을 실현시킨 듯하다. 한편 사진은 기베르에게 정체불명의 유령의 영상을 꿈꾸게도 한다. 작가는 사진을 은밀히 훔쳐보면서 사진에 찍힌 사람이 오히려 자신을 뚫어지게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사진에 드러난 육체가 마치 유령처럼 감상자의 영혼에 끊임없이 엄습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진 영상의 사실적인 성격뿐만 아니라 감상자의 심리상태, 충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이 또한 신이나 영혼과 같은 초월성을 띤 전체가 아니라 한정된 부분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페티시즘과 직결된다. 평범한 사진에서 예기치 않는 이미지를 창조해내고 이를 페티시즘과 연결시킨 기베르의 작품세계, 우리는 그것을 통해 작가가 현상되고 인화된 영상보다는 상상의 나래를 자유롭게 펼칠 수 있게 하는 정신적 사진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계적이고 자동적인 사진을 거부하고 자신의 감추어진 욕망, 내면을 적나라하게 표현하고자 함이다. 그는 사진을 통해 인생의 심오한 철학을 담고자 한 것이다. 결국 페티시로써의 사진 영상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 통찰력과 진리를 보는 인간 영혼의 눈을 회복시키고자 한 작가의 의지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회화, 시, 소설의 상호 텍스트성 연구-샤갈의 나와 마을의 문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조용훈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9 No.-

        Messages for communication are of course recognized as texts as the communication can be made without regard to the type of element: visual, auditory, or even a sense of taste, tough, or smell. However, the text analysis has been unfortunately limited to individual texts. It has been insufficient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exts having different media, i.e. intertextuality. The intertextuality is a correlation between texts.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correlation should not be just at the level of quotation, but the focus should be given how the latter text interpret the former text and create new meanings and forms. This study explored why the Marc Chagall pictures are loved in literature and how his pictures were interpreted in poems and novels to create new meanings and forms, in terms of intertextuality. In addition, an effort was mad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s and languages and the difference and similarity between poems and novels. Texts were analyzed from a viewpoint of intertextuality to expand the scope of literature study into the level of culture. If the study of literature in the future is not to be limited to literary texts, but to include many different texts affecting it, the texts should be communicated socioculturally, an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he communication mechanism at the level of culture by which the texts are produced, transmitted, and recogniz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may be expected to aesthetically identify even the mental base which forms each of the text.

      • KCI등재

        회화 시 소설의 상호 텍스트성 연구 -샤갈의 「나와 마을」의 문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조용훈 ( Cho,Yong-bo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9 No.-

        Messages for communication are of course recognized as texts as the communication can be made without regard to the type of element: visual, auditory, or even a sense of taste, tough, or smell. However, the text analysis has been unfortunately limited to individual texts. It has been insufficient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exts having different media, i.e. intertextuality. The intertextuality is a correlation between texts.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correlation should not be just at the level of quotation, but the focus should be given how the latter text interpret the former text and create new meanings and forms. This study explored why the Marc Chagall pictures are loved in literature and how his pictures were interpreted in poems and novels to create new meanings and forms, in terms of intertextuality. In addition, an effort was mad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s and languages and the difference and similarity between poems and novels. Texts were analyzed from a viewpoint of intertextuality to expand the scope of literature study into the level of culture. If the study of literature in the future is not to be limited to literary texts, but to include many different texts affecting it, the texts should be communicated socioculturally, an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he communication mechanism at the level of culture by which the texts are produced, transmitted, and recogniz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may be expected to aesthetically identify even the mental base which forms each of the text.

      • KCI등재
      • KCI등재

        연쇄강간범의 범죄심리학적 특성

        전대양(Jeon Dae Yang) 한국범죄심리학회 2006 한국범죄심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연쇄강간범의 범죄심리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에 연쇄강간의 의의와 유형을 살펴보고, 연쇄강간범의 행동분석으로 범행동기를 추정하는 방법들을 기술하였다. 나아가 기 연구된 사례들의 범행동기를 분석함으로써 연쇄강간범의 특징들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본고를 통해 드러난 연쇄강간범들의 공통적인 특징들은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연쇄강간범들은 발달론적 관점에서 전형적인 강력범들의 그것과 비슷한면이 많았다. 둘째, 연쇄강간범들은 조각난 정체성 증후와 비슷한 심리적인 문제들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낯선 사람들을 자신의 범행대상으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연쇄강간범의 범행 동기는 매우 다양하나 피해자에 대한 조정·통제·지배와 같은 요소들이 범행 시에 비교적 뚜렷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연쇄강간범이 강간 후 피해자를 살해하면 연쇄살인범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연쇄살인범과 연쇄강간범은 같은 특징들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ear characteristics of serial rapis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writer examined definitions and types of serial rapists, and described methods to presume crime motive by serial rapist"s action analysis. Furthermore, tried to clear serial rapist"s characteristics analyzing crime motive of studied serial rape cases. Common characteristics of serial rapists can be arranged by five. First, serial rapists had much common points such as typical violent criminals in developmental psychological points. Second, serial rapists had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fractured identity syndrome. Third, many serial rapists make strangers to their crime target. Fourth, crime motives of serial rapists are very diverse. But, characteristics that appear at crime are mediation, domination and control about victims. Finally, if serial rapists kill their victims after rape, serial rapists are classified by serial murderers. Therefore, serial rapists and serial murderers have much common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