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춘 성노동의 이론화와 성/노동/상품의 위계화

        고갑희 비판사회학회 2009 경제와 사회 Vol.- No.81

        이 글은 2004년 9월 23일 성특법이 시행된 이후 전개된 성매매근절과 성노동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매춘이 갖는 노동으로서의 성격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려는 초발적 시도다. 성특법 시행 이후 집창촌 매춘에 종사하는 여성들이 자신들을 성노동자로 명명하면서 국가법과 매춘을 둘러싼 낙인에 저항하는 움직임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성노동자들은 집창촌 폐쇄와 재개발이라는 상황에 직면하여 생존권, 주거권, 노동권, 인권 자체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현재 지구지역적으로 성노동자들의 권리를 위한 움직임이 더 강해지고 있지만 정작 성노동자들은 국내외적으로 성매매근절론과 인신매매근절론에 직면하여 어려운 삶을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는 이유로 매춘과 여타 다른 성산업의 성노동에 대한 낙인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낙인은 매춘이 노동이라고 인정하지 않는 것과 연결되어 있다. 매춘을 노동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은 매춘을 둘러싼 쾌락, 노동, 상품의 위계화를 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성특법 시행이 5년째로 접어드는 현재 매춘이 갖는 노동으로서의 성격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이다. 따라서 매춘의 노동으로서의 성격에 대한 이론화도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성행위와 성적 쾌락에 대한 위계적 인식도 여전하다. 어떤 것이 노동이고, 어떤 것이 노동이 아닌지에 대한 위계화도 여전하다. 그리고 어떤 서비스상품은 예술이고, 어떤 서비스상품은 성의 상품화라는 이름으로 설 자리를 잃는다. 이 글은 국내외의 매춘 성노동자들의 생존권이 인정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런 위계화를 설명하고 매춘의 성적 노동으로서의 성격을 이론화하려는 시도다.

      • KCI등재

        1970년대 성노동자 수기의 장르적 성격과 글쓰기의 행위자성

        노지승(Roh Ji Seu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서강인문논총 Vol.0 No.52

        한국의 근현대문학은 매춘부를 서사의 소재로 삼아 이들을 연민의 대상이자 에로틱한 대상으로 묘사해왔다. 1970년대 일었던 수기 열풍과 호스티스 멜로드라마의 유행은 매춘부로 지칭되어 왔던 그리고 한국문학이 오랫동안 문학의 소재이자 대상으로 호출해 왔던 성노동자들의 글쓰기에 영향을 주었다. 성노동자들은 기존의 주류 문학에서 묘사되었던 매춘부들의 묘사 방식과는 다르게 자신들을 서술하고자 했다. 성매매 여성들의 언어에 귀를 기울이려면 성매매에 대한 도덕적 판단을 일단 정지시키고 이들을 이전과는 다르게 ‘성노동자(sex worker)’로 부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매춘부, 창녀라는 용어들 대신 성매매 여성들을 성노동자로 부르고자 하였다. 1970년대 호스티스 멜로드라마의 열풍과 수기 쓰기의 열풍이라는 두 개의 흐름 속에서 『O양의 아파트』와 『현지처』가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이 두 편의 단행본은 각각 오미영과 강영아라는 성노동자들에 의해 쓰였지만 그 내용의 진위나 실재 인물의 집필 여부는 매우 불투명하다. 그러나 한 사람의 온전한 실재 삶은 아닐지라도 적어도 여러 실재 성노동자들의 삶을 집합해 놓은 이 단행본들에서 저자들은 자신들이 성노동자가 될 수밖에 없었던 사회구조적 문제를 폭로하면서 사회의 떳떳한 주체로 살고 싶다는 인정욕망, 사랑과 결혼에 대한 판타지를 드러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 단행본들은 자신들이 항상 자기 삶의 행위자임을 드러내려는 의지 역시 특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 단행본들은 수기, 소설, 고백 사이에서 그 어느 쪽으로도 장르가 온전히 확정되고 있지 않으면서 수기와 소설과 고백의 요소를 각각 다른 함량 비율로 갖고 있다. 그 가운데서 수기와 소설적 요소의 함량에 비해, 권력 앞에서 자신의 과오를 털어놓고 속죄하는 글쓰기인 고백의 함량 비율은 가장 낮다. 즉 이들은 기생 관광이라고도 불렸던 자신들의 노동에 대해 세간의 눈을 의식하여 부끄러워하고 있지만 매순간 자존감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었고 그래서 그들이 비교적 자신 있게 자신의 체험을 서술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Modern Korean literature has adopted prostitutes as materials of narration and portrayed them as objects of pity and erotic objects. The fever of autographical writings that rose in the 1970s affected the writings of sex workers, who had been called prostitutes and had long been called out by Korean literature as materials of literature. The sex workers tried to portray themselves differently from the way the prostitutes had been depicted in traditional mainstream literature. To listen to the sex trafficking women"s language, you should first stop the moral judgment on sex trafficking and call them sex workers unlike the way you have called them earlier. Therefore, in this article, instead of the terms prostitute and hustler, sex trafficking women are called sex workers. 『Miss Oh"s Apartment』 and 『Mistress』 were published as single books in the two streams of the 1970s, that is, the fevers of hostess melodramas and autographical writings. Although these two single books were written by sex workers named Oh Mi-yeong and Kang Yeong-ah, the authenticity of the contents or whether the actual persons wrote the books is extremely unclear. However, in these single books, in which at leat the lives of many actual sex workers were gathered although not the whole life of a person, the authors disclose the problems in social structures that forced them to become sex workers while revealing their desire for recognition with a view to living as honorable beings in society and fantasies about love and marriage. On the other hand, these single books also characteristically disclose their will to show that they are always the agent of their lives. The genre of these single books is not completely determined as any of autographical writings, novels, and confessions while having the elements of autographical writings, novels, and confessions at different content ratios. Among them, the content ratio of confessions, which are writings to confide the writer"s mistakes and atone for the mistakes in front of power, is the lowest when compared to the elements of autographical writings and novels. That is, it can be seen that although they were ashamed of their work as they were conscious of public eyes, they were making effort not to lose their self-esteem at every moment, and therefore they could describe their experience relatively confidently.

      • KCI우수등재

        매춘 성노동의 이론화와 성/노동/상품의 위계화

        고정갑희(Ko Gap-hee) 비판사회학회 2009 경제와 사회 Vol.- No.81

        이 글은 2004년 9월 23일 성특법이 시행된 이후 전개된 성매매근절과 성노동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매춘이 갖는 노동으로서의 성격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려는 초발적 시도다. 성특법 시행 이후 집장촌 매춘에 종사하는 여성들이 자신들을 성노동자로 명명하면서 국가법과 매춘을 둘러싼 낙인에 저항하는 움직임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성노동자들은 집장촌 페쇄와 재개발이라는 상황에 직면하여 생존권, 주거권, 노동권, 인권 자체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현재 지구지역적으로 성노동자들의 권리를 위한 움직임이 더 강해지고 있지만 정작 성노동자들은 국내외적으로 성매매근절론과 인신매매근절론에 직면하여 어려운 삶을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는 이유로 매춘과 여타 다른 성산업의 성노동에 대한 낙인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낙인은 매춘이 노동이라고 인정하지 않는 것과 연결되어 있다. 매춘을 노동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은 매춘을 둘러싼 쾌락, 노동, 상품의 위계화를 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성특법 시행이 5년째로 접어드는 현재 매춘이 갖는 노동으로서의 성격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이다. 따라서 매춘의 노동으로서의 성격에 대한 이론화도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성행위와 성적 쾌락에 대한 위계적 인식도 여전하다. 어떤 것이 노동이고, 어떤 것이 노동이 아닌지에 대한 위계화도 여전하다. 그리고 어떤 서비스상품은 예술이고, 어떤 서비스상품은 성의 상품화라는 이름으로 설 자리를 잃는다. 이 글은 국내외의 매춘 성노동자들의 생존권이 인정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런 위계화를 설명하고 매춘의 성적 노동으로서의 성격을 이론화하려는 시도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theorize prostitution as labor in the context of the debate between the abolition of prostitution and the advocacy for sex work after the enactment of the ‘Preventive Act of Prostitution’ in Korea in 2004. After the enactment of the Law, the prostitutes in the Red Light Districts have demonstrated against the government and have claimed to be acknowledged as workers. The prostitutes at this moment are encountering the compulsory closing of the Red Light District under the name of regentrification. Thus they experience the lost of their right to live and work. At present, although the movement for the sex workers’ rights has been empowering in and out of Korea, the prostitutes all over the world have to survive a hard life facing the abolition of prostitution and sex trafficking. The reason why this situation does not disappear is the existence of criminalization and stigmatization against prostitution and other sex industry works. The stigmatiz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disapproval of prostitution as labor. It is the hierarchy of sex, pleasure, labor and product that prevents people from acknowledging prostitution as labor. In spite of the sex workers’ rights movement during the last 4 years after the enactment of the Law, there is still a negative concept about prostitution as labor. And there are not many attempts to theorize prostitution as labor. And the hierarchy of sex and sexual pleasure, labor, and product is still powerful. It happens quite often that one work is labor and the other is not, and one service product is art and the other is crime under the name of sex-commercialization. In this circumstance, this article tries to analyse the hierarchy related with prostitution and theorize prostitution as labor hoping that the sex workers’ rights to live can be accepted in and out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관광 기생에서 이주 성노동자로 - 일본 이주 한인 여성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김숙이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3 여성학연구 Vol.33 No.2

        이 글은 전 지구적 자본주의의 확대와 함께 진행되어온 국제이주에 주목하며, 이주 여성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확대되었음에도 여전히 비가시화된 채 놓여있는 해외로 이주한 한인 여성의 성노동 경험과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가운데 가까운 아시아 국가인 일본으로 이주해 성노동을 한 한인 여성을 대상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 구술생애사 작업을 통해 일본에 이주한 한인 여성의 생애 경험을 살펴보고, 특히 일본 이주의 과정과 노동의 경험을 분석한다. 2000년대에 일본에 이주해 성노동을 한 한인 여성의 구술생애사 작업을 통해 생애 경험 전반을 살펴보고, 일본 이주 전과 후 노동 경험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연속성과 변곡점, 그리고 행위성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구술자는 1990년대에 국내에서 룸살롱, 일반 요정을 거쳐 관광 요정에서 일하다가, 2000년대 초반 학생비자를 발급받아 일본으로 이주해 성노동을 하는 한편 학업을 이어갔다. 구술자는 한국에서 ‘성매매 여성’이자 일본인 관광객을 상대로 성노동을 하던 ‘관광 기생’이었으며 일본의 ‘이주 성노동자’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구술자는 한국에서 ‘성매매 여성’이자 일본인 관광객을 상대로 성노동을 하던 ‘관광기생’이었으며 일본의 ‘이주 성노동자’가 되었다. 즉, 구술자의 생애이야기는 ‘성매매 여성’, ‘관광 기생’, 일본의 ‘이주 성노동자’가 연속된 과정이자 생애사건이었음을 보여준다. 구술자의 이야기는 구술생애사에 담겨있는 연속성과 (신자유주의 경제질서, 국제이주 등의) 사회적 맥락이 교차하며 가져온 변화와 변곡점을 동시에 바라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과 사회 담론, 신자유주의 구조와 권력에 대한 비판적 연구와 동시에, 개인의 생애라는 연속성 위에서 그것들이 어떻게 작동하고 재생산되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론이 고려되어야 한다. 사회변화와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의 정책과 담론, 신자유주의 경제질서와 권력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함께 구술생애사 작업 등을 통해 개인의 생애에 놓여있는 연속성 위에서 그것들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고려해야 한다. 본 구술생애사 작업을 통해서도 드러나듯 개인의 생애가 놓인 연속성, 그리고 개인의 삶에 내포된 다양한 맥락과 행위성을 살피며 좀 더 현실적 역동에 다가가는 작업의 필요성이 재고되어야 한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international migration that has been progressing along with the expansion of global capitalism, and as an aspect of the phenomenon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intimacy labor that has expanded along with care work. Among them, this paper examine the experiences of Korean immigrant women in Japan who do sexwork. The narrator is a Korean woman who immigrated to Japan 20 years ago. In the early 2000s, she moved to Japan on a student visa. Before that, she worked as ‘gisaeng’ of Japanese sex tourism called ‘gisaeng tourism’. The narrator said that she was a ‘prostitute’ in Korea and a ‘gisaeng’ who did sexwork for Japanese tourists, and she became a ‘migrant sex worker’ in Japan. In other words, the narrator's life story shows that 'prostitute', 'gisaeng', and Japan's 'migrant sex workers' were continuous processes and life events. The story of the narrator raises the need to simultaneously look at the changes and inflection points brought about by the intersection of the continuity contained in the oral life history and the social context.

      • KCI등재

        혁명 전후 러시아 성매매 정책의 변화: 질병담론에서 노동담론으로

        장한닢 ( Han Nip Jang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러시아연구 Vol.26 No.1

        본고는 1917년 혁명 전후 러시아에서 일어난 성매매 정책의 변화가 질병담론에서 노동담론으로 이행하는 과정이라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기존 연구는 성매매 정책의 변화를 체제의 성격 변화를 통해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성매매 문제의 복잡한 성격을 간과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소비에트 러시아의 성매매 정책의 다면성을 고려하여, 성매매 정책의 골자인 공공보건의 증진은 의사들로부터, 규제폐지주의는 제국 말 여성주의자들에게서 비롯되었다고 설명한다. 서로 다른 요소들은 무엇보다도 사회주의 국가의 새로운 구성 원리, 즉 모든 시민이 성별과 계급에 무관하게 생산적인 노동에 종사해야 한다는 믿음을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성판매 여성들 역시 소비에트 시민이 되기 위해서 생산적 노동에 종사해야 했다. 전시공산주의 시기와 신경제정책 시기에성매매 정책의 성격은 상반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기저에는 성판매는 노동이 될 수 없다는 일관된 관점이 존재했다. 본고는 소비에트 성매매 정책이각 시기별로 달라지는 이유를 정권의 정책 변화보다 성매매에 대한 일관된 태도 탓으로 해석한다. 소비에트 당국에게 성매매는 여성노동력의 활용과 분리할 수 없는 문제였다. 보건정책의 실행 결과 성병과 분리된 성매매 문제는 여성노동과 노동시장이 맺는 관계의 일부로 자리 잡은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ain the changes of Russian prostitution policies after the Bolshevik Revolu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ition from discourses of disease to those of labor. In the previous researches, the Bolshevik regime is regarded as the sole actor to initiate the overall new prostitution policies. This approach, however, fails to explain the dynamics of the issue. Different origins of the prostitution policies in Soviet Russia could account for these aspects. Two main ideas were materialized into the new policies: abolitionism and the blueprint of public health. Bolsheviks encompassed both the eagerness of feminists for abolitionism and passion of medical doctors for better health care. But their basic doctrine of socialist constitution could not but urge every citizen to devote oneself to productive labor in the new era. Prostitutes also had to be engaged in productive labor, and thereby they could become Soviet citizens. This view that prostitution is not a labor persisted although prostitution policies seemingly changed from the period of War Communism through New Economy Policy. This research tries to prove that the reason of changes in prostitute policy of early Soviet period was closely related to the consistency of the authorities’ attitude towards prostitution. The Soviet authorities considered prostitutes as a ‘reserve army’ of women work force. Prostitution became to be seen separated from the viewpoint of veneral diseases and constitute an issue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work force and labor market.

      • KCI등재

        여성주의 ‘성노동’ 논의에 대한 재고

        이나영(Lee Na-Young) 비판사회학회 2009 경제와 사회 Vol.- No.84

        본 논문의 목적은 성매매에 대한 여성주의적 논쟁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해결해야 될 몇 가지 이론적 과제들을 성노동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이다. 여성주의 성노동 논의는 문제설정의 모순과 대립구도 설정의 비대칭성, 노동 개념의 모호성, 이분법적 여성 정체성의 재생산, 역사적 맥락의 부재 등 이론적 한계를 노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천적으로는 성매매라는 남성중심의 관행을 인정하게 하고 자유주의와 정치적 보수주의 기획에 포섭될 우려마저 노출시키고 있다. 성매매가 섹슈얼리티의 단순한 교환관계가 아니라 성적 욕망을 충족시키는 사용가치 이상의 사회적 실천이자 제도이며 체제라고 보는 필자는 노동의 재개념화가 수반되지 않는 성노동 논의는 공허하며, 대한민국의 역사와 현실 속에서 개별적 욕망과 권리가 불평등하게 배치되어 있는 토대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임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근절/성노동의 이분법적 대립이 아니라 정교하면서 생산적인 방식으로 성매매에 관한 논쟁의 방향을 바꾸고자 하는 희망을 피력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heoretical problems and practical issues embedded in feminist arguments on sex work to go beyond the dichotomous debate of abolitionist vs. sex work or criminalization vs. legalization. Some sex work feminist arguments based upon the contradictory and ambiguous contention on work, identity, and practical agenda without contextualization of Korean history and reality to constitute prostitution. Such arguments could be leading to social sanction on male habitual practices and proliferation of the sex industry in the current androcentric neoliberal society of Korea. I argue that prostitution is not just a free trade of sexual desire and money between male and female adults, but instead a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system which has been produced and reproduced by the discriminatory intersectional basis of gender, sexuality, race, class, and nationality. Feminist sexual politics needs more radical and subtle theorization on prostitution to reconceptualize work and to deconstruct the foundation to constitute the meaning and reality of prostitution.

      • KCI등재

        성 · 유흥산업으로 유입되는 여성이주

        김희강(Kim, Hee-Kang),송형주(Song, Hyung-Joo)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젠더와 문화 Vol.10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여성이주 중 성 · 유흥노동자의 유입 및 흐름에 주목하여, 성 · 유흥산업에 유입되는 여성이주를 국제적 재생산노동분업(international division of reproductive labor)의 맥락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국제적 재생산 노동분업이란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이 성별로 또한 국제적으로 분업화된 것으로, 저개발국 여성이 개발국으로 이주하여 재생산노동을 담당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성 · 유흥산업으로 유입되는 여성이주에 대한 기존 연구는 성매매 유입 및 여성이주자를 인권침해의 피해자로 보는 시각에 집중하여 왔다. 반면, 본 논문은 성 · 유흥산업에 유입되는 여성이주를 가부장제와 전 지구적 자본주의가 상호 교차하는 맥락인 국제적 재생산노동분업의 구조 속에서 살펴본다. 본 논문의 장점은 기존에 자주 논의되지 않았던 성 · 유흥이주노동자를 다룸으로써 여성이주의 논의 대상을 단지 확대한다는 점을 넘어선다. 국제적 재생산 노동분업의 맥락에서 여성이주를 살펴보는 것은, 이주를 결정하는 여성의 선택이 거시적 제도와 구조의 동학 속에서 어떻게 구성되는지, ‘이주의 여성화’가 어떻게 전 지구적 체계의 성불평등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하는지 등을 보여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women’s international migration to the sex/entertaining indus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reproductive labor.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reproductive labor refers to the internationally divided as well as gendered separation between productive labor and reproductive labor. That is, it implies that Third World women move to the First World where they mostly perform the reproductive labor of that First World. While many current studies on migrant sex workers/entertainers are largely concerned with the issues of sex trafficking and the violation of women’s human rights, this paper approaches the international migration of sex workers/entertain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lobal and domestic structures of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reproductive labor, where the systems of patriarchy and international capitalism intersect.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addressing of how migrant sex workers/entertainers are connected to migrant domestic workers and marriage migrants, how migrant women’s choices are constituted within/by broad structures and institutions, and how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renders the global system of gender inequality.

      • KCI등재

        여성 하위주체에서 '성노동자' 운동으로

        조은주(Cho Eun-Joo)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78

        이 연구는 「성매매방지법」의 시행에 맞서 제도화된 여성운동 진영을 ‘여성권력자’로 비판하며 출발한 ‘성노동자’ 운동에 관한 접근이다. 성거래 근절주의에 입각한 한국의 여성운동은 각고의 노력을 거쳐 「성매매방지법」의 제정을 이루어냈으나, 성판매여성들의 삶의 연속적이고 다층적인 맥락을 ‘성매매피해자’라는 단일한 차원으로 한원하고 본질화함으로써 탈식민주의 이론이 제기하는 하위주체의 문제를 내재하게 되었다. 성판매여성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구상과 계획을 주어진 조건에서 실천하는 행위자이며, 성거래업주와의 일상적 관계의 체험 역시 폭력과 착취로 절대화되지 않는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성격을 가진다. 이러한 삶의 지평을 배제하고 비가시화하며 스스로를 피해자화하는 여성운동 진영에 대한 분노와 저항감은 성 노동자 운동의 근간에 자리하고 있으며, ‘성노동자’라는 집합적 정체성은 이러한 감정의 차원에 기반을 두고 형성되고 발전할 수 있었다. 분노와 저항감, 적대감 같은 성판매여성들의 감정의 차원은 사회운동이론들이 강조해왔던 사회운동의 합리적 속성과 충돌하는 것이 아니다. 나아가 성판매여성들이 성노동자라는 집합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성거래업주의 관계망을 운동의 자원으로 동원해내는 과정 역시 성노동자 운동의 자연스러운 전략이었다. 성노동자 운동과 성거래업주들의 연계는 성노동자 운동이 사주나 강압에 의한 것이었음을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복잡다기한 삶의 경험과 사회적 관계망이 운동의 자원으로 동원되는 성노동자 운동의 합리적 과정을 드러내준다. This study approaches female sex workers’ movement which started with criticism on institutionalized women’s movement in South Korea. The Anti-Sexual Traffic Act enacted in 2004 is an achievement of women’s movement which has insisted on the abolition of prostitution. The Act, however, reduces complicated aspects of sex workers’ lives to victims of sex trafficking, which brought out subaltern issue in postcolonial theory. Sex workers are actors who practice their own plans for their lives under give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imps and its daily experiences have also complex contexts which can not be fundamentalized to only violence or exploitation. Sex workers felt strong anger and antipathy against women’s movement circles as the abolitionist movement and the Act eliminate and unvisualize those aspects of their own lives. This emotional context generated sex workers‘ movement combined with formation of collective identity as sex workers. The emotional context including sex workers’ anger or antipathy is not incompatible with rational property of social movements which has been stressed in social movement theories. Sex workers mobilized resources for their movement from their relationship with pimps and their networks. Their connection with pimps in sex workers’ movement doesn’t mean that the movement was instigated or coerced; it shows us rational and strategic process of resource mobilization from complicated lives and social bonds.

      • KCI등재

        성노동자에 대한 낙인을 통해 본 해방기 성노동자 재교육 운동의 한계-김말봉의 ≪화려한 지옥≫, 박계주의 ≪진리의 밤≫을 중심으로-

        배상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현대소설연구 Vol.- No.55

        This thesis studied a reeducation movement for ex-sex workers anda stigma on sex workers in novels focused on Fancy Hell written byKim Mal-bong and The Night of Truth written by Park Kye-ju. Thepurpose of the paper analyzed a stigma on sex workers following theperspective of a hero and a heroin who run reeducation institutes forex-sex workers, and a radical reason why they did not care about theproblem of stigma. Also, this thesis researched the reason why theydid not know fully the harmful effect from a hasty trial of the abolitionpolicy for a state-regulated prostitution. Two novels have differentpositions when they regarded the abolition policy and sex workers, butthey shared a discriminative perspective to sex workers. It connectedto the conclusion that ex-sex workers should work out their salvationby their efforts. These conclusions related to political position of thesenovels’ authors as the right. 이 논문은 김말봉의 ≪화려한 지옥≫과 박계주의 ≪진리의 밤≫을 중심으로 소설 속에 그려진 성노동자 재교육 운동과 성노동자에 대한 낙인을살펴보았다. 공창폐지정책의 결과로 공창을 나온 성노동자들을 재교육하는시설을 운영하는 두 소설의 주인공들이 성노동자를 바라보는 시선에 녹아있는 성노동자에 대한 낙인을 분석하고 성노동 재교육 운동이 낙인을 방기하여 발생하는 문제점과, 재교육 기관에서조차 낙인을 방기할 수밖에 없었던 근본적인 이유를 분석해보았다. 또한 성노동자들의 재교육을 그토록 강조한 소설 속 운동가들이 공창폐지정책의 성급한 시도가 낳은 폐해를 재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를 소설 속에 나타난 작가의 정치적 입장과 결부시켜 연구해보았다. 두 소설은 공창폐지정책과 성노동자를 바라보는 시선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성노동자를 차별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은 공유하고있으며, 이는 전직 성노동자들이 다른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력 구제해야한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이 결론은 두 소설 작가가 가지는 우익으로서의 정치적 입장과도 관련이 있다.

      • KCI등재

        노동 상품과 한국의 경제성장사-이진경의 『서비스 이코노미』(나병철 옮김, 소명출판, 2015)에 부쳐-

        권창규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5 사이 Vol.19 No.-

        근대 이후 만물의 상품화 현상 중에서 가장 극단적인 형태는 노동력 상품과 성 상품이다. 마르크스의 말을 빌리면 노동 상품은 가장 불행한 상품이며 사실상 자유로운 교환 및 계약 관계에서 거래되는 상품이 아니다. 사실상 상품이 아니라는 마르크스의 진단에는 19세기 말 산업 자본주의의 태동기에 계급 착취를 통찰한 마르크스의 시각이 깔려 있는데 이를 산업 자본주의의 전성기였던 20세기 식으로 풀고 남한의 경제 개발 시기에 적용해 본다면 『서비스 이코노미』의 저자 이진경의 대답은 인종과 성, 계급이 착취되는 초국적인 현상이라 대답할 것이다. 본고는 이진경의 저작에 대한 서평으로 저자가 포착한 한국 경제 성장사에 드러난 ‘인종과 섹슈얼리티의 트랜스내셔널한 프롤레타리아화’를 검토하고 응답하고자 했다. 이진경의 저작은 젠더 정치학의 관점에서 민족주의의 남성성을 비판적으로 조망하는 시각이 두드러진 저작이라 2000년대 이후 식민지 이후를 초국적으로 모색하고자 하는 관련된 미국의 ‘한국학’의 성과들과 함께 살펴볼 만하다. 저자는 베트남 참전 군인, 기지촌 성 판매 여성, 일반 성 판매 여성, 이주 노동자라는 다양한 하층 계급을 각각 군사 노동, 성 노동, 이주 노동으로 개념화하고 남한이 노동 수출국에서 노동 수입국으로 변모하는 역사 속에서 적극적으로 연결 짓고 있다. 그의 기획은 주류의 남성 민족주의적 경제 문화사 및 그에 대항하는 역사 어느 쪽에서도 포함되지 못했던 주변인들의 역사인 동시에 한국 경제 성장사의 통시적인 역사 문화사 쓰기가 되고 있다. In Service Economics, Lee Jin-kyung investigated the transnational proletarization of race and sexuality in the modern economic history of South Korea. The specific subjects investigated the Korean military troops in the Vietnam War, sex workers (especially in the US camp towns in Korea), and migrant workers (particularly Asian workers). Those workers are the human beings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national history and literature. The author focuses on the “necropolitics” of military work, sex work, and migrant work during Korea’s historical transition from a labor-exporting country to a labor- importing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